KR20150004539U - 기능성 도마 - Google Patents

기능성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39U
KR20150004539U KR2020140004444U KR20140004444U KR20150004539U KR 20150004539 U KR20150004539 U KR 20150004539U KR 2020140004444 U KR2020140004444 U KR 2020140004444U KR 20140004444 U KR20140004444 U KR 20140004444U KR 20150004539 U KR20150004539 U KR 20150004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main body
flat plate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경
Original Assignee
정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경 filed Critical 정제경
Priority to KR2020140004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539U/ko
Publication of KR20150004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보호막; 상기 본체 외주 면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호막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2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막은 칼 일부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기능성 도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도마 {Functionality cutting board}
본 고안은 기능성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도마는 식 자재(음식재료)를 자르거나 다질 때 사용하기 위한 평판형 주방용 도구이다.
주방용 도마의 사용시에는 칼로 식 자재(음식재료)를 자르거나 다지기 때문에 칼자국이 발생하거나 물기 등으로 세균이 발생하여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주방용 도마를 나무재질에서 강화유리 재질로 바꾼 신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4635호에서는 도마에서 가공한 식 자재를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안전하면서 내용물이 흘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식 자재를 가공시 필요한 도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도마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214호에서는 도마 작업시 음식 재료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이나 육즙, 물기 등을 홈 내부로 유도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주방용 도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마는 식 자재의 물기 및 식 자재를 자를 때 주변을 어지럽히는 문제가 있다.
KR 10-2009-0094635 A1 KR 20-0300214 B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식 자재의 물기 및 식 자재를 자를 때 주변을 어지럽히지 않도록 임시보관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채칼이 형성되고, 채칼을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 자재를 얻는 기능성 도마를 제공한다.
또한, 도마 표면에 있는 액체 식 자재(음식물)를 빠르게 배출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건조 가능한 기능성 도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본체; 상기 본체 길이방향의 외주 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보호막; 상기 본체 외주 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호막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2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막은 칼 일부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기능성 도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제1 보호막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0%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이 접하지 않는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테두리 상단부에 체결되는 칸막이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칸막이 부재는 평판; 상기 본체에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평판 하단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부 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평판의 표면 일부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식 자재를 자르도록 1개 이상의 채칼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평판의 하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을 지지부가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밑면(저면)에 받침 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받침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갖으면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개구부는 서로 다른 폭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본체의 액체 식 자재가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본체와 수평을 형성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외주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칸막이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의 외주 면에서 상부로 돌출하는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식 자재를 자르면서 한편으로는 식 자재를 일 방향으로 임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의 외주 면에서 상부로 돌출하는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햇빛에 살균할 때 도마를 수직 형태로 보관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도마를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건조함으로써, 도마의 표면에 있는 액체 식 자재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마의 가로방향의 양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액체 식 자재가 도마의 표면에 접하여 고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보호막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삽입된 칼이 적은 힘으로 식 자재를 자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보호막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삽입된 칼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보호막에 다수개의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다양한 종류의 칼을 삽입하여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표면과 이격된 칸막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 자재의 조리시 필요한 도구를 거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에 다양한 크기의 절단 기능을 갖는 채칼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식 자재를 손 쉽게 돌려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A-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를 가로방향으로 거치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제1 사용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제2 사용예시도,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사용예시도 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 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측", "타측",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대한 기능성 도마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A-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를 가로방향으로 거치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제1 사용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제2 사용예시도,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의 사용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길이방향의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보호막(200); 상기 본체(100) 외주면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호막(200)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2 보호막(3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0)는 식 자재가 올려지거나, 식 자재를 자르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100)는 목제, 합성플라스틱, 합성수지 및 스텐레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체(100)는 평면을 갖도록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본체(100)의 형태를 직사각형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본체(100)는 마름모, 다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0)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도 3을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으로 갈 수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두께 a거리와 b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체(100)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0)는 일 방향으로 식 자재에 있는 액체를 일 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100)는 양단부 테두리에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액체 식 자재(음식물)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한다. 돌출부(120)는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본체(100)를 지면에 밀착하지 못하도록 한다(도 8을 참조). 돌출부(120)는 본체(100)가 액체 식 자재(음식물)에 접하여 고이지 못하게 한다. 즉, 돌출부(120)는 본체(10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형성한다. 이는, 액체 식 자재(음식물)가 고여서 본체(100)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120)는 기능성 도마(10)를 가로방향으로 거치함으로써, 세로 방향보다 빠르게 액체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돌출부(120)와 제2 보호막(300)은 가로방향으로 기능성 도마(10)를 거치하여 중량을 분산한다. 즉, 돌출부(120)와 제2 보호막(300)은 거치시에 중량이 분산되어 안정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으로 절단된 식 자재가 위치되도록 받침부재(110)를 밑면(저면)에 부착할 수 있다(도 1을 참조). 받침부재(110)는 본체(100)의 표면을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절한다. 받침부재(110)는 식 자재를 자르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받침 부재(110)는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회전 결합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부재(110)는 나사를 이용하여 본체(100)에 결합 될 수도 있다. 받침부재(110)는 본체(100)의 4각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는, 받침부재(110)의 형태 및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식 자재(음식물)가 본체(100)의 일 방향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액체 식 자재(음식물) 및 절단된 식 자재(음식물)가 주변을 어지럽히지 않도록 임시 보관역할도 한다. 또한,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햇빛에 살균할 때 도마를 거치하는 거치대 역할도 할 수도 있다.
제1 보호막(200)은 본체(100)의 길이방향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보호막(200)은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0%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보호막(200)이 형성된 길이는 식 자재를 자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보호막(200)의 일 단부에는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제1 보호막(200)은 칼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210)가 형성된다(도 9를 참조). 즉, 개구부(21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이 서로 접하지 않는 단부에 형성된다. 이는, 식 자재를 자르는데 제2 보호막(30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개구부(210)는 칼을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개구부(210)는 칼을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칼이 식 자재에 적은 힘을 가해도 절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개구부(210)는 마치 작두를 사용하여 식 자재를 절단 및 자르는 역할을 해준다(도 9를 참조). 개구부(210)는 다양한 칼의 종류를 고려하여 폭과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개구부(210)는 식 자재를 절단시 칼이 흔들리지 않도록 일정강도 이상의 내구성 및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보호막(300)과 제1 보호막(200)은 식 자재가 본체(100)에서 일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제2 보호막(300)은 본체(100)의 외주 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보호막(300)은 제1 보호막(200)과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보호막(300)은 제1 보호막(20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제2 보호막(300)의 높이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2 보호막(300)은 조리도구가 배치된 형태에 맞게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후술할 칸막이 부재(400)에 결합 된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제작 방법에 따라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칸막이 부재(400)는 본체(100)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을 제공한다. 칸막이 부재(400)는 평면을 갖는 평판(410)과 평판(410)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평판(410)을 지지하는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평판(410)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평판(410)은 조리도구를 거치하는 공간을 재공하거나 조리도구역할을 한다. 평판(410)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평판(410)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평판(410)은 전자저울, 양념통 등 기타 조리에 필요한 도구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거치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도 10 참조).
평판(410)의 상부에는 식 자재를 절단하기 위한 채칼(450)이 형성된다. 채칼(450)은 일정한 크기로 식 자재(음식물)를 절단한다. 평판(410)의 표면 일 측에는 얇은 식 자재(음식물)를 절단하는 부분이 형성되고, 평판(410)의 표면 타 측에는 굵은 식 자재(음식물)를 절단하는 부분이 형성된다(도 7를 참조).
평판(410)의 하단부에는 결합홈(470)이 형성된다(도 6을 참조). 결합홈(470)은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의 테두리 상부에 결합한다. 결합홈(470)은 평판(4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즉, 결합홈(470)은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의 결합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결합홈(470)은 지지부(430)의 내측에 형성된다.
지지부(430)는 칸막이 부재(400)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며 하중을 받쳐준다. 지지부(430)는 본체(100)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접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430)는 적어도 2개 가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지지부(430)의 개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지지부(43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의 연결지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지지부(43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의 연결지점에 강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지지부(430)는 결합홈(470)이 제1 보호막(200) 및 제2 보호막(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역할도 병행한다. 즉, 지지부(430)는 칸막이 부재(400)와 제1 보호막(200) 및 제2 보호막(3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부(430)를 회전하여 상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채칼(420)을 위치시키는 손잡이 역할도 한다. 즉, 지지부(430)는 채칼(420)의 얇은 식 자재(음식물)/굵은 식 자재(음식물)를 절단하기 위해서 분리 후 회전하고 결합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기능성 도마는, 일실시예의 동일구성요소는 생략하고,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1 보호막, 제2 보호막과 칸막이 부재의 구조 및 결합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체(100); 상기 본체(100) 길이방향의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보호막(200); 상기 본체(100) 외주면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호막(200)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2 보호막(300)을 포함한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식 자재가 본체(100)의 일 방향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은 액체 식 자재(음식물) 및 식 자재가 주변을 어지럽히지 않도록 임시 보관역할을 한다.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에 삽입홈(미표기)이 형성된다.
칸막이 부재(400)는 본체(100)의 표면에 이격된 공간을 제공한다. 칸막이 부재(400)는 평면을 갖는 평판(410)과 평판(410)의 외주 면을 따라 일부에 스토퍼(412)가 가 형성된다.
평판(410)은 삽입홈(220)에 삽입된다. 평판(410)은 본체(100)의 표면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평판(410)은 식 자재가 일 방향에서 임시 보관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평판(410)은 공간을 분활 하도록 형성된다. 평판(410)은 조리도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평판(410)의 상단부에 조리 도구인 저울, 양념 통, 접시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도 11을 참조). 또한, 평판(410)의 일부 공간에 채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스토퍼(412)는 평판(410)의 외주면을 따라 일부가 형성된다. 스토퍼(430)는 제1 보호막(200)과 제2 보호막(300)에서 칸막이 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스토퍼(430)는 사용자가 파지 및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스핀들 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 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기능성 도마 100: 본체
110: 받침 부재 120: 돌출부
200: 제1 보호막 210: 개구부
300: 제2 보호막 400: 칸막이 부재
410: 평판 412: 스토퍼
430:지지부 450: 채칼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길이방향의 외주 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보호막;
    상기 본체 외주 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호막과 접하도록 형성된 제2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막은 칼 일부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도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막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0%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이 접하지 않는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테두리 상단부에 체결되는 칸막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도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평판;
    상기 본체에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평판 하단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부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표면 일부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식 자재를 자르도록 1개 이상의 채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하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을 지지부가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 밑면(저면)에 받침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갖으면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서로 다른 폭 및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액체 식 자재가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 테두리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막과 제2 보호막의 내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본체와 수평을 형성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외주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도마.
KR2020140004444U 2014-06-12 2014-06-12 기능성 도마 KR201500045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44U KR20150004539U (ko) 2014-06-12 2014-06-12 기능성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44U KR20150004539U (ko) 2014-06-12 2014-06-12 기능성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39U true KR20150004539U (ko) 2015-12-22

Family

ID=5517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44U KR20150004539U (ko) 2014-06-12 2014-06-12 기능성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53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44B1 (ko) 2016-01-27 2016-12-08 박규섭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살균도마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2374A1 (ko) * 2017-07-25 2019-01-31 김영중 식품재료 수동재단기
KR20190107834A (ko)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4Y1 (ko) 2002-10-18 2003-01-10 고성남 주방용 도마
KR20090094635A (ko) 2008-03-03 2009-09-08 이진우 도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4Y1 (ko) 2002-10-18 2003-01-10 고성남 주방용 도마
KR20090094635A (ko) 2008-03-03 2009-09-08 이진우 도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44B1 (ko) 2016-01-27 2016-12-08 박규섭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살균도마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2374A1 (ko) * 2017-07-25 2019-01-31 김영중 식품재료 수동재단기
KR20190107834A (ko)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3B2 (en) Cutting board assembly
US7992714B1 (en) Toddler food tray assembly
US5423451A (en) Bowl and cutting board combination
US9066626B2 (en) Cutting board apparatus with collapsible tray
US10945563B2 (en) Cutting board tray
US8474610B1 (en) Produce container with insert
US9113735B1 (en) Post drink holder device
US20190320853A1 (en) Cutting board
US20210137294A1 (en)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KR20150004539U (ko) 기능성 도마
US20080257910A1 (en) Supporting device for package water dispenser
US20220287492A1 (en) Multipurpose kitchen apparatus with extendable storage
USD874333S1 (en) Mobile gardening device
US10588484B2 (en) Drying rack
US20120241338A1 (en) Serving assembly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EP3064096B1 (en) Butter dish with rotatable lid
US10238224B1 (en) Ergonomic cup holder with enhanced stability and weight distribution
US10542844B2 (en) Cutting surface with integrated measuring receptacles
US11034040B2 (en) Cutlery apparatus
KR200481424Y1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CN109414123A (zh) 具有托盘和调料容器的集成刀架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US20070045390A1 (en) Container support with tool
ES2382943T3 (es) Contenedor para envasar y transportar productos de frutas y hortaliz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