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96U -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96U
KR20150004296U KR2020140003916U KR20140003916U KR20150004296U KR 20150004296 U KR20150004296 U KR 20150004296U KR 2020140003916 U KR2020140003916 U KR 2020140003916U KR 20140003916 U KR20140003916 U KR 20140003916U KR 20150004296 U KR20150004296 U KR 201500042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upled
housing
shaf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묵
배해정
Original Assignee
임선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묵 filed Critical 임선묵
Priority to KR202014000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296U/ko
Publication of KR20150004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윙축을 통해 집광판의 집광렌즈와 광원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여, 핀 조명과 같은 스포트라이트(Spot Light)로 활용하거나 야간 낚시에 활용되는 집어(集魚)용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고, 동시에 일반 조명 또는 다용도 충전식 LED 랜턴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추가로 은은한 분위기의 실내등의 연출 또는 확산광을 이용한 사진촬영기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을 구비한 PCB,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광원 전방에 중첩 배열되는 집광렌즈와 스윙축을 구비한 집광판 및 PCB를 위한 제1장착부, 전지를 위한 제2장착부, 집광판을 위한 제3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제3장착부는 집광판의 스윙축이 결합되는 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집광판의 집광렌즈와 광원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EQUIPPED WITH FOCUSING PLATE}
본 고안은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광판에 구비된 스윙축을 통해 집광판의 집광렌즈와 광원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여, 핀 조명과 같은 스포트라이트(Spot Light)로 활용하거나 야간 낚시에 활용되는 집어(集魚)용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고, 동시에 일반 조명 또는 다용도 충전식 LED 랜턴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추가로 은은한 분위기의 실내등의 연출 또는 확산광을 이용한 사진촬영기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는 소모되는 전력에 비해 광품질이 좋고 강한 조도의 빛을 발광할 수 있어 근래에 들어 조명장치의 광원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의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3-0073328호 (2013년07월03일) [발광 모듈 및 렌즈]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배열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 칩 상에 상기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기다란 형상의 광 패턴들에 의해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광속을 분포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균일한 면 광원을 구현하는 조명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집광 또는 확산광을 활용하기 위해 볼록부와 오목부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014418호 (2012년02월17일) [발광 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발광장치는 복수의 도광판, 각 도광판의 입광부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형광체층에 대응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 도광판의 입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배광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돌출부 아래에 상기 배광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형광체층이 배치된 입사면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도광판을 반구형으로 구성하여 오목부, 볼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볼록렌즈를 활용하여 광원으로 발광되는 빛을 집광시켜 빛의 세기를 높여주는 집광 조명장치는 종래기술로 이미 많이 소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342482호(2013년12월11일) [집광식 내부조명 표지판],
공개특허 제10-2012-0067769호(2012년06월26일) [집광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에는 상기와 같은 집광 조명장치가 제시 되어 있는데,
상기 모든 종래기술은 집광성이 필요할 때는 집광용 조명장치로 활용할 수 있지만, 그 외에 실내조명등, 랜턴, 플래쉬 등과 같이 확산형 조명을 사용해야 할 때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조명장치는 활용할 수 없고, 새로운 조명기기를 도입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집광모드와 확산모드 두 가지를 겸비한 조명장치의 필요성이 확인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집광판에 구비된 스윙축을 통해 집광 제공 시에는 집광렌즈와 광원을 중첩시키고, 확산광 제공 시에는 집광렌즈를 비중첩시켜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끔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상기 조명장치의 하우징에는 다리부재와 후크를 포함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다리부재를 통해 조명장치를 직립된 상태로 거치하거나 후크를 통해 바(bar) 타입의 거치대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추가로 상기 후크에는 거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라인 타입의 거치대에도 거치할 수 있게끔 하는 등, 다양한 거치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거치수단을 제공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거치가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는
광원을 구비한 PCB,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상기 광원 전방에 중첩 배열되는 집광렌즈와 스윙축을 구비한 집광판 및,
PCB를 위한 제1장착부, 전지를 위한 제2장착부, 집광판을 위한 제3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제3장착부는 집광판의 스윙축이 결합되는 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집광판의 집광렌즈와 광원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장착부를 위한 전면 제1패널과,
제1패널과 상하 각 제3 및 제4 패널을 통하여 연결된 후면 제2패널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2장착부를 위한 중공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중공부 양측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좌우 제1 및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재4패널에 구비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축설부, 이 축설부와 결합된 연결부, 이 연결부와 결합된 지지부로 구성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구비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제3 및 제4 패널과 제1 및 제2 캡에는 상호 연결된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에는 상호 연결된 제1, 제2, 제3, 제4 바타입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제1바타입부재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는 끼움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와, 제1클램프와 연결되고 다리부재의 축설부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는
각각 외주면에 정지돌기를 갖고 상호 이격된 두 탄성돌기를 하부에 구비한 후크바디와,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결합되고 정지돌기가 결합되어 단계적 멈춤이 가능한 복수의 환형 배열 요홈을 갖는 체결부를 구비한 링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는,
집광판에 스윙축을 도입하여 집광 제공 시에는 집광렌즈와 광원을 중첩시키고, 확산광 제공 시에는 집광렌즈를 비중첩시켜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끔 하고,
아울러 집광판에 구비된 스윙축과 하우징의 제3장착부에 구비된 축핀을 통해, 집광이 필요할 때는 집광렌즈를 중첩되게 배열하고, 확산광이 필요할 때는 외측 집광판을 개방하여 비중첩 되게 하고, 이를 통해 집광조명(Spot Light), 확산조명(Diffused Light)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모두 활용할 수 있게끔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하우징에 다리부재와 후크를 포함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다리부재를 통해 조명장치를 직립된 상태로 거치하거나 후크를 통해 바(bar) 타입의 거치대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게끔 하고, 추가로 상기 후크에는 거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라인 타입의 거치대에도 거치할 수 있게끔 하는 등, 다양한 거치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거치수단을 제공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거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조명장치를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지지대(다리부재)를 하우징 내측으로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깔끔하고, 지지대가 손상될 위험을 제거하였다.
도1은 본 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상측 평면도 및 배면 측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분해도.
도4는 본 고안의 집광 및 확산광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의 실시를 위한 변형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방향을 도1 [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집광판(30)이 배열된 도면상의 상측 방향을 전면, 도면상의 배면 측이며 다리부재(77)가 구비된 측을 후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집광판(30)을 전면에 배치한 그대로의 방향에서 다리부재(77)가 구비된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기준을 잡고 상, 하, 좌, 우를 나눈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렌즈의 역할에 따른 집광 또는 확산광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집광렌즈(31)(볼록렌즈)는 광원(11)에서 발광되는 빛을 굴절시켜 모아주는 역할을 하여 빛의 강도를 높여 특정 지역에 강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해주어, 스포트라이트(spot light)가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야간에 어획을 할 때 물고기가 빛을 향해 모여드는 습성을 이용한 집어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좁은 지역에 강한 광도의 빛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평판렌즈 또는 오목렌즈는 일반적인 형태의 조명이 필요한 경우 활용하게 되는데, 랜턴, 특히 바닥이나 천장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랜턴처럼 거치하는 형태로 사용하여 실내 조명등으로 활용하거나 손전등의 역할로 야간 이동 시 불을 밝혀 안전한 보행을 돕는 역할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조명기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넓은 지역에 확산된 빛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집광효과와 확산광효과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윙축을 구비하여 상기 집광렌즈(31)의 중첩 또는 비중첩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조명장치(A)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A)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본 고안의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을 구비한 PCB, 광원(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20), 광원(11) 전방에 중첩 배열되는 집광렌즈(31)와 스윙축(33)을 구비한 집광판(30) 및, PCB를 위한 제1장착부(51), 전지(20)를 위한 제2장착부(52), 집광판(30)을 위한 제3장착부(53)를 구비한 하우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50)의 제3장착부(53)는 집광판(30)의 스윙축(33)이 결합되는 축핀(55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집광판(30)의 집광렌즈(31)와 광원(11)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PCB는 LED소자가 배열된 광원PCB(10A), 광원(11)제어를 위한 제어PCB(10C), 전지(20)의 충전 및 동작설정을 위한 전지PCB(10B)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A)는 작은 전압으로 높은 효율의 광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LED소자를 광원(11)으로 활용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반영구적인 LED소자의 특성으로 인해 내구성이 높은 조명장치(A)를 제공한다.
이는 높은 효율성을 가진 LED소자를 광원(11)으로 활용하기 위함이고, 상기 광원(11)은 다른 종류로 대체될 수 있으며, 반드시 LED소자를 활용한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도입된 전지(20)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내부, 제2장착부(52)에 결합된다.
상기 전지(20)는 리튬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지PCB(10B)를 통해 전압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전지(20) PCB에는 추가로 보호회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이 보호회로는 전기적인 회로를 차단하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및 과열 발생 시 회로를 단락시키는 PTC(Positive Coefficient 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PCM은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를 감시하는 회로로서 과충전 전압, 과방전 전압 및 과전류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PTC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오프 상태가 되고,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온 상태로 동작하여 단시간 내에 높은 전류가 흐르면 전기저항이 커져서 오프 상태로 동작하게 한다.
또한 전지PCB(10B)에는 추가로 전압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전압조절부는 레벨 업, 다운 신호를 통해 상기 전지(20)의 충전 전압을 조절하고, 전지(20)에서 발생하는 출력전압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전지PCB(10B)에는 상기와 같은 충전 단자 이외에도 휴대폰에 연결되는 USB단자와 같은 제2단자 및 제2충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젠더들을 포함하여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과 연결 가능한 외경 5.5mm 및 내경 2.1mm의 암단자와 같은 제3단자 및 제3충전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한 형태의 전지(20) 및 전지PCB(10B)를 제시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집광판(30)에 대해서 도1 내지 도3을 통해 알아본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은 하우징(5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원(11)의 전방에 집광판(30)이 중첩 배열된다. 이러한 집광판(30)에는 집광렌즈(31)가 구비되어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집광렌즈(31)는 볼록렌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집광렌즈(31)를 광원(1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확산을 위하여 오목렌즈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한편 본 고안의 핵심은 집광과 확산광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인데,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A)는 집광판(30)의 집광렌즈(31)와 광원(11)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는 스윙축(33)이 상기 집광판(3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50)의 제3장착부(53)에는 상기 집광판(30)의 스윙축(33)이 결합되는 축핀(553)이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핀(553)은 상기 하우징(50)의 제3장착부(53)에 마련되어 있고, 여기에 스윙축(33)이 결합되어 둘은 축핀(553)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중첩을 원할 때는 두 집광판(30)을 중첩배열하고 상기 집광판(3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후크(79)를 상기 제4패널(60D)에 형성된 체결바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켜주면 된다.
또한 비중첩을 원할 때는 결합된 체결후크(79)와 체결바의 결합을 해제하면 된다.
중첩 또는 비중첩을 통한 빛의 굴절과 이를 통한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하우징(50)은 제1 내지 제3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하우징(50)의 측면에 위치한 제1장착부(51)에는 상기 PCB가 장착되고, 하우징(50) 내부에 위치한 제2장착부(52)에는 상기 전지(20)가, 하우징(50)의 전면에 위치한 제3장착부(53)에는 상기 집광판(30)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50)은 제1장착부(51)를 위한 전면 제1패널(60A)과, 제1패널(60A)과 상하 각 제3 및 제4 패널을 통하여 연결된 후면 제2패널(60B)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2장착부(52)를 위한 중공부(61)를 갖는 바디(60) 및 바디(60)의 중공부(61) 양측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좌우 제1 및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0)에는 거치수단(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을 통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패널(60A)은 하우징(5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고, 이에 제1장착부(51)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집광판(30)이 결합되고, 추가로 그 단부에는 상기 제어PCB(10C)에 마련된 광량조절스위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패널(60B)은 제1패널(60A)에 대응하는 후면에 위치하고,
제3패널(60C)은 상기 제1 및 제2패널(60B)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50)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1패널(60A) 측으로는 상기 광원PCB(10A)가 수용되는 제1슬릿홈을, 하우징(50)의 내측인 중공부(61) 측으로는 상기 전지PCB(10B)와 제어PCB(10C)를 수용하는 제2슬릿홈을 구비하고 있다.
제4패널(60D) 역시 상기 제3패널(60C)과 마찬가지로 제1슬릿홈, 제2슬릿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50)의 하측에 구비된다.
아울러 제4패널(60D)에는 상기 거치수단(70)의 구성인 축부재(71)가 형성되어 있는 것 역시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캡(62)은 제1내지 제4패널(60D)에 둘러싸여 이루어진 중공부(61)의 측부에 결합되고, 제어PCB(10C)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노출공을 가져 전원스위치와 상기 광량조절스위치의 일부가 하우징(50)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스위치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캡(63)은 중공부(61)의 타 측부에 결합되고, 전지PCB(10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노출공을 가져 상기 전지PCB(10B)의 제1 내지 제3단자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커넥터(Connector)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A)의 거치수단(70)은
상기 하우징(50)의 재4패널(60D)에 구비된 축부재(71)와 축부재(7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축설부(73), 이 축설부(73)와 결합된 연결부(75), 이 연결부(75)와 결합된 지지부(771)로 구성된 다리부재(77)와, 다리부재(77)의 지지부(771)에 구비된 후크(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50)의 제3 및 제4 패널과 제1 및 제2 캡에는 상호 연결된 리세스를 갖고, 리세스에는 상호 연결된 제1, 제2, 제3, 제4 바타입부재(57A)(57B)(57C)(57D)가 결합되어 있고, 제1바타입부재(57A)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부재(71)는 끼움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711)와, 제1클램프(711)와 연결되고 다리부재(77)의 축설부(73)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713)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79)는 각각 외주면에 정지돌기(791a)를 갖고 상호 이격된 두 탄성돌기(791b)를 하부에 구비한 후크(79)바디(60)와, 상기 다리부재(77)의 지지부(771)에 결합되고 정지돌기(791a)가 결합되어 단계적 멈춤이 가능한 복수의 환형 배열 요홈(793a)을 갖는 체결부(793A)를 구비한 링커(7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내지 도3을 통해 상기 거치수단(7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0)의 제3 및 제4패널(60D)과 제1 및 제2캡(63)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단 제4패널(60D)의 리세스에 결합되는 제1바타입부재(57A)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부재(71)의 제1클램프(711)와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축부재(71)의 제2클램프(713)에는 상기 다리부재(77)의 축설부(73)가 끼움 결합되고, 결합된 다리부재(77)는 하우징(50)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다리부재(77)는 축부재(7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거치 시 조명장치(A)의 집광판(30)이 전면으로 향하고 상기 제1바타입부재(57A)는 조명장치(A)의 하단에 위치하며, 다리부재(77)의 연결부(75)는 바닥에 밀착하여 조명장치(A)는 직립되고, 이를 다리부재(77)의 지지부(771)가 지탱하는 형태로 거치된다.
또한 하우징(50)의 좌우 측 상기 제1 및 제2캡(63)의 리세스에는 각각 제3바타입부재(57C)와 제4바타입부재(57D)가 결합되어 조명장치(A)의 측면부분의 완충역할을 하여 충격에 의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 도3을 통해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측 상기 제3패널(60C)의 리세스에는 제2바타입부재(57B)가 결합되고 제2바타입부재(57B)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핀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체결공은 제1 내지 제4바타입부재(57D)의 일부 또는 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이고 결합력의 필요를 가늠하여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2 및 도3에서는 하우징(50)의 후면 상측, 다리부재(77)의 지지부(771)에 구비된 후크(79)를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후크(79)의 링커(793)에 형성된 홈에 상기 지지부(771)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고, 또한 후크(79)의 링커(793)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배열 요홈(793a)을 갖는 체결부(793A)가 형성되어 있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79)바디(60)의 상호 이격된 두 탄성돌기(791b)가 상기 체결부(793A)에 결합되어 단계적 멈춤이 가능하게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후크(79)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조명장치(A)를 바 타입의 거치대에 걸어서 거치할 수 있고, 추가로 도3에서 확인 가능한 거치공이 형성되어 있어 라인 타입 거치대(예를 들면 빨래줄)에도 걸어서 거치 가능하기에, 다리부재(77)를 활용한 직립 거치 외에 다양한 상황에 맞는 거치가 가능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4에는 상기 집광판(30)의 집광렌즈(31)와 광원(11)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의 제공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도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핵심특징인 집광 또는 확산광의 제공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첩 배열된 집광판(30) 중 보다 전면에 배치된 집광판(30)을 외측 집광판 또는 제2집광판(30B)으로 명명하고, 내측에 배열된 집광판(30)을 내측 집광판 또는 제1집광판(30A)으로 명명한다.)
도4 [A]에는 집광렌즈(31)의 중첩 배열이 선택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광원(11)에서 조사되는 빛이 1차로 광원(11)의 전방에 배열된 제1집광판(30A)의 집광렌즈(31)를 거치면서 1차로 굴절되어 빛이 모인다. 이는 제2집광판(30B)의 집광렌즈(31)에 빛이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후 1차로 집광된 빛이 제2집광판(30B)의 집광렌즈(31)를 통과하면서 2차로 집광되어 보다 좁은 범위에 높은 광밀도를 가진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핀 조명과 같은 스포트라이트(Spot Light)로 활용하거나 야간 낚시에 활용되는 집어(集魚)용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다.
도4 [B]에는 집광렌즈(31)의 비중첩 배열이 선택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중첩 선택과 마찬가지로 LED 광원(11)에서 조사되는 빛이 제1집광판(30)의 집광렌즈(31)를 거치면서 1차로 굴절되어 빛이 모이고,
그대로 조사되어 중첩 선택 시 보다 넓은 범위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조명 또는 다용도 충전식 LED 랜턴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렌즈(31)를 대체하여 확산렌즈(35)(오목렌즈)의 도입도 가능한데, 도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렌즈를 도입한 경우에는 더욱 넓은 범위로 빛을 조사하되 광밀도가 낮은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어, 은은한 분위기의 실내등의 연출 또는 확산광을 이용한 사진촬영기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거치수단(70), 즉 지지대의 변형예를 도5를 통해 설명한다.
어떤 제품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지지대(80)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지지대가 돌출되어 구비되면 제품의 외관이 조잡해지고 돌출된 지지대는 우발적인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그래서 본 고안은 지지대가 미사용 중에는 하우징(50) 내측으로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50)의 외관이 깔끔하고 지지대(80)가 손상될 위험을 제거하였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50)의 측면 후방에 지지대(80)가 하우징(50)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홈(58)을 형성하고, 하우징(50)의 상부면에는 지지대(80)가 삽입되어 은폐되는 삽입홀(11)을 형성하였고,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하우징(50)의 안착홈(58)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하우징(5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착되는 다리부(81)와, 상기 다리부(81)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홀(59)로 삽입되어 은폐되며 인 출입되는 인출입부(8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80)의 인출입부(83)는 상기 하우징(50)의 삽입홀(5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하우징(5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인출입부(83)와 삽입홀(59)의 결합력이 약하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약한 외력이 가해져도 지지대(80)가 회전하여 무너지게 된다.
그래서 지지대(80)가 일정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결합력을 높여 웬만한 외력이 가해져도 조절된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 본원고안은 상기 인출입부(83)의 외주연 하부 측에 요철(851)을 갖는 돌출부(85)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59)의 내면에는 상기 인출입부(83)가 인출되었을 때 상기 요철(851)과 결합되는 톱니(미도시)를 구비하여서, 상기 요철(851)과 톱니(591)가 맞물려 결합되어 지지대(80)의 단계적인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가하는 외력이 아닌 웬만한 외력이 가해져도 요철(851)과 톱니(591)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59)로 삽입된 상기 인출입부(83)는 인출입범위 내에서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면서 삽입홀(59)에서는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삽입홀(59)을 형성하는 내벽의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85)에 의한 이동(즉, 인 출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개봉 구간이 끝나는 입구 측의 내벽에는 걸림부(593)가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85)가 걸려 인출입부(83)가 삽입홀(59)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85)에 의해 상기 인출입부(83)가 삽입홀(59)로 삽입되거나 삽입홀(59)에서 분리되는 것이 곤란하면, 지지대(80)의 하우징(50)에의 조립결합과 손상된 지지대(80)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593)의 하부는 절개부(미도시)를 가져 상기 돌출부(85)의 삽입홀(59)에의 강제통과(강제 삽입과 강제 분리)를 허용한다.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하우징(5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기에, 사용자가 안착된 지지대(80)를 인출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으로 상기 지지대(80)를 상기 하우징(50)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80)의 인출수단은 상기 삽입홀(59)에 내장되어 상기 인출입부(83)의 내면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95)과, 상기 인출입부(83)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831)과, 상기 걸림홈(831)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후크(833)와, 상기 걸림후크(833)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버튼(835)을 포함한다.
상기 해제버튼(835)은 상기 하우징(50)의 상부면에 돌출되지 않되 사용자가 손톱 등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되고, 또 다른 스프링(87)으로 탄성 지지되어 승강되고, 사용자가 손톱 등으로 누르면 하강하여 상기 걸림후크(833)의 후단을 눌러서 걸림후크(833)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단이 상기 걸림홈(831)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인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해제버튼(835)을 누르면 걸림후크(833)가 걸림홈(831)에서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595)에 의해 인출입부(83)가 인출되고, 사용자는 인출된 지지대(80)의 다리부(81)를 잡고 돌려 원하는 각도로 하우징(50)을 조정하여 고정하고, 지지대(80)를 인입시킬 때에는 다리부(81)를 회전시켜 바로 세운 상태에서 인출입부(83)를 삽입홀(83)로 밀어 넣으면 걸림홈(831)에 걸림후크(833)에 걸림 결합되어 지지대(80)에 간편하게 하우징(50)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PCB의 회로구성, 탄성 관련 소재 등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A)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조명장치 11: 광원
20: 전지 30: 집광판
31: 집광렌즈 33: 스윙축
35: 확산렌즈 50: 하우징
51: 제1장착부 52: 제2장착부
53: 제3장착부
57A, B, C, D: 제1내지 제4바타입부재
58: 안착홈 59: 삽입홀
60: 바디 61: 중공부
60A, B, C, D : 제1 내지 제4패널
62: 제1캡 62: 제2캡
70: 거치수단 71: 축부재
711: 제1클램프 713: 제2클램프
77: 다리부재 79: 후크
80: 지지대 81: 다리부
83: 인출입부 831: 걸림홈
833: 걸림후크 835: 해제버튼
85: 돌출부 851: 요철

Claims (4)

  1. 광원을 구비한 PCB;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상기 광원 전방에 중첩 배열되는 집광렌즈와 스윙축을 구비한 집광판; 및
    PCB를 위한 제1장착부, 전지를 위한 제2장착부, 집광판을 위한 제3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제3장착부는 집광판의 스윙축이 결합되는 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집광판의 집광렌즈와 광원의 중첩 또는 비중첩 선택을 통한 집광 또는 확산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장착부를 위한 전면 제1패널과,
    제1패널과 상하 각 제3 및 제4 패널을 통하여 연결된 후면 제2패널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2장착부를 위한 중공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중공부 양측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좌우 제1 및 제2 캡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재4패널에 구비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축설부, 이 축설부와 결합된 연결부, 이 연결부와 결합된 지지부로 구성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구비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3 및 제4 패널과 제1 및 제2 캡에는 상호 연결된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에는 상호 연결된 제1, 제2, 제3, 제4 바타입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제1바타입부재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는 끼움부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와, 제1클램프와 연결되고 다리부재의 축설부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는
    각각 외주면에 정지돌기를 갖고 상호 이격된 두 탄성돌기를 하부에 구비한 후크바디와,
    상기 다리부재의 지지부에 결합되고 정지돌기가 결합되어 단계적 멈춤이 가능한 복수의 환형 배열 요홈을 갖는 체결부를 구비한 링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KR2020140003916U 2014-05-22 2014-05-22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KR201500042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16U KR20150004296U (ko) 2014-05-22 2014-05-22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16U KR20150004296U (ko) 2014-05-22 2014-05-22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96U true KR20150004296U (ko) 2015-12-02

Family

ID=550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916U KR20150004296U (ko) 2014-05-22 2014-05-22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2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946B2 (en) Illumination device
US7524080B2 (en) Illumination assembly
CA2857896C (en)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9464796B2 (en) Illumination device
JP6588451B2 (ja) 照明装置
CN101495803A (zh) 电池供电的照明器具
WO2006020687A1 (en) Led utility light
TW201013091A (en) Portable lighting devices
US11988343B2 (en) Rugged all purpose lighting cube
WO2020040997A1 (en) Flashlight with rear-facing signal light and modular integrated mount system
CN106030960A (zh) 云台及供电设备与外接供电装置
US202203166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lighting device
CN106594578B (zh) 光栅镜片转动结构和镭射灯
KR20150134586A (ko) 집광 및 확산광 선택형 조명장치
KR20150004296U (ko) 스윙운동을 하는 집광판을 구비한 조명장치
KR20110009084U (ko) Dslr 카메라용 led 링 라이트 장치
KR20180131216A (ko) 휴대폰 조명용 집광 및 색광 장치
JP3673943B2 (ja) 短焦点レンズ集光型発光ダイオード照明装置
JP6887111B2 (ja) 照明器具
JP2006309966A (ja) 照明器具
JP6789605B2 (ja) 前方を向いた照明装置と後方を向いた照明装置とを有する携帯用照明装置
JP2006140067A (ja) 非常用照明器具
CN220471399U (zh) 一种带多投影照明灯
EP1521031A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liance and light emitting diode emergency light using the same
TWI393987B (zh) 燈具之投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