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43U -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43U
KR20150003743U KR2020140002729U KR20140002729U KR20150003743U KR 20150003743 U KR20150003743 U KR 20150003743U KR 2020140002729 U KR2020140002729 U KR 2020140002729U KR 20140002729 U KR20140002729 U KR 20140002729U KR 20150003743 U KR20150003743 U KR 20150003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ting member
winder
lower cas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023Y1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2020140002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2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with a rotatable handle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는 길게 형성되어 일단에 모발 상부에 접촉되는 모발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힌지부와 힌지 조립되어 회동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모발누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발이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와인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주면 사이에 모발을 감겨져 가열되는 가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인딩공간부에 수평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 가장자리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부재 외면 일부를 감싸는 폭을 가지면서 내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의 양단 가장자리에 상기 모발을 모아서 나선형으로 감아 회전시키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의 외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공간부 내에서 상기 가열부재 위로 수용되는 모발을 걸어 상기 요홈부 쪽으로 모아서 나선 형태로 감아 상기 가열부재에 코일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와인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에 의해 파지되어 가열부재 위에서 사선 방향으로 안착되는 모발을 가열부재 주변을 정역 회전하는 와인더에 의하여 사용자 누구나 나선형의 헤어스타일을 손쉽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가열부재와 보조가열부재에 의해 나선형 모발을 성형하는 경우 와인더부재에 의해 감겨지면서 모발의 내,외측을 동시에 가열됨으로써 열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나선형 헤어 스타일링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효과를 함께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Winder rotary device of hair forming device}
본 고안은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식으로 개폐되는 상,하부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봉 형상의 가열부재를 축으로 하여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원주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는 와인더에 의해 모발의 중간을 걸어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열부재에 감아 가열함으로써 모발의 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나선 형태의 모발 성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감은 후에 자기가 원하는 스타일의 모발을 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드라이기 등을 이용해 모발을 건조한 후에 성형하거나 건조와 동시에 롤브러시를 이용해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드라이기와 롤브러시를 이용하는 방법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835호 ‘회전 장치가 구비된 스타일링 브러시’는 『모발 스타일링 장치(10)는 상호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소정 길이의 모발을 수용하도록 일반적으로 개방된 위치와 상기 소정 길이의 모발을 고정하도록 일반적으로 근접한 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인 작동을 하도록 적합화된 제1 및 제 2 부재(12, 14)와,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2, 14)에 대해 장착된 브러시(22)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22)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 운동하도록 적합화되어 제 1 및 제 2 부재(12, 14)가 근접한 조건에서 소정길이의 모발을 브러시한다. 제 1 및 제 2 부재(12, 14) 모두가 아니라도 적어도 하나는 소정 길이의 모발을 트리트먼트하도록 가열 요소(58)를 포함할 수 있다』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은 헤어 스타일링 작업시 별도의 드라이기와 롤브러쉬가 없어도 젖은 헤어를 건조시키면서 스트레이트닝(straightening), 컬링(curling), 브러싱 또는 빗질 등의 스타일링 작업 통하여 모발을 건조시키면서 안 말음, 겉 말음, 롤스트레이트 등의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나선형의 모발 성형 작업은 불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본 고안은 모발의 건조와 나선형 성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집게식으로 개폐되는 상,하부케이스를 이용하여 모발을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정,역회전 작동되는 와인더가 봉 형상의 가열부재를 축으로 하여 모발의 중간을 걸어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열부재에 감아 가열함으로써 모발의 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나선형의 모발 성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는, 길게 형성되어 일단에 모발 상부에 접촉되는 모발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힌지부와 힌지 조립되어 회동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모발누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발이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와인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주면 사이에 모발을 감겨져 가열되는 가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인딩공간부에 수평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 가장자리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부재 외면 일부를 감싸는 폭을 가지면서 내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의 양단 가장자리에 상기 모발을 모아서 나선형으로 감아 회전시키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의 외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공간부 내에서 상기 가열부재 위로 수용되는 모발을 걸어 상기 요홈부 쪽으로 모아서 나선 형태로 감아 상기 가열부재에 코일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와인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열부재의 외주면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인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더부재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모발의 외측면을 가열하도록 내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보조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와인더부재는 상기 회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중심으로 상기 가열부재가 설치되고, 그 주변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의 양측에 맞물려 구동하는 한 쌍의 유성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내치링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내치링기어에 상기 회전링이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와인더부재가 상기 고정히터를 주변을 정,역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열부재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은 상기 유성기어와 직교되는 상,하측에 형성되는 전선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가열부재 및 보조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와인더부재가 정역으로 회전 작동된 후 항상 정위치에 복귀하도록 회전 위치를 체크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연동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가열부재 주변을 정역 회전하는 와인더부재에 의하여 나선형의 모발을 손쉽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가열부재와 보조가열부재에 의해 나선형 모발을 성형하는 경우 와인더부재에 의해 감겨지면서 모발의 내,외측을 동시에 가열됨으로써 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나선형 모발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며, 특히 나선형 헤어 스타일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효과를 함께 발휘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장치가 적용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외관사시도들,
도 2a 및 2b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장치가 적용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요부확대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나선형 모발 성형 전,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부재와 가열부재 상에 모발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부재의 정,역 회전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모발 파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장치가 적용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외관사시도들, 도 2a 및 2b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장치가 적용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요부확대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나선형 모발 성형 전,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부재와 가열부재 상에 모발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와인더 부재의 정,역 회전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모발 파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모발의 건조와 나선형 모발 성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회전형모발성형장치의 구성이 전체적인 형태가 집게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더장치가 구비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기본 구성을 먼저 설명하면, 각각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부(13.23)로 결합된 한 쌍의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된 설명에서 일단부는 힌지부(12,23)와 반대되는 쪽을 의미하는 것이며, 타단부는 힌지부(13,23)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길게 형성되어 일단에 모발 상부에 접촉되는 모발누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힌지부(13)와 모발누름부(11) 사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발누름부(11)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이 모발이 수용되어 감겨지도록 3차원 곡면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상기 상부케이스(1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손잡이(12)와 대응되는 손잡이부(22)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타단부는 힌지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힌지부(13)와 조립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0) 일단부에는 상기 모발누름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발이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와인딩공간부(21)가 형성되어 이 와인딩공간부(21)에 모발을 나선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가열부재(3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구성이다.
가열부재(30)는 압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전,후면에는 전방마감캡(30a) 및 후방마감캡(30b)이 조립되어 폐쇄된 구성이며, 특히 후방마감캡(30b)에는 히터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시 좌측케이스(24)와우측케이스(25)로 구성되어 조립됨으로써 내측으로 후술된 상기 가열부재(30)와 와인더부재(50)가 수용되고 모발이 감겨질 수 있는 와인딩공간부(2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인딩공간부(21) 양측에는 제1파지부(70)와 제2파지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70)는 상기 와인딩공간부(21) 전방 쪽의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만나는 경계 부위에 제1미세파지홈(73)이 형성되어 두피(D) 쪽의 모발을 파지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파지부(80)는 상기 와인딩부재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에 감겨지는 모발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파지부(70)의 대각 방향으로 상기 와인딩공간부(21) 후방 쪽의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만나는 경계부위에 제2미세파지홈(83)이 형성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미세파지홈(73)의 간격은 상기 미세파지홈(83)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모발누름부(11) 양측에 형성된 제1파지부(70) 및 제2파지부(80)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0,20)가 상기 힌지부(13,2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닫힌 다음 모발이 와인더부재(50)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에 외측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질 때 제1파지부(70)는 제1미세파지홈(73)에 의해 두피(D) 쪽의 모발이 와인딩공간부(21)로 끌려 들어 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파지부(80)는 제2미세파지홈(83)에 의해 모발 중간부터 끝부분 모발이 가열부재(30)에 잘 감겨지도록 모발을 정렬해주는 안내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0,20)가 서로 포개져 닫혀진 상태에서 모발이 제1파지부(70)와 제2파지부(80)에 안내되어 상기 모발누름부(11)와 와인딩공간부(21) 및 후술된 가열부재(30) 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지런히 얹혀져 수용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0)의 개구된 상부 일측에는 곡면을 이루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지지부(27)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0)가 회전하여 합쳐질 때 모발누름부(11) 내측면이 누름지지부(27)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파지부(70)는 단턱부(71)와 누름돌부(72)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제1미세파지홈(7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단턱부(71)는 상기 가열부재(30)의 선단부에 인접된 상기 하부케이스(20)에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71)에 의하여 사용자가 적당량의 모발을 잡고 두피(D) 쪽의 모발을 단턱부(71)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를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누름돌부(7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턱부(7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돌부(72)가 상부케이스(10)가 하부케이스(20)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합쳐질 때 단턱부(71)와 형합됨으로써 상기 제1미세파지홈(73)에 의해 두피(D) 쪽의 모발 부위를 눌러 파지하게 하여 모발의 중간부위가 와인더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가열부재(30) 외측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질 때 두피(D)쪽의 모발을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파지부(80)는 모발안내홈부(81)와 모발안내돌부(82)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제2미세파지홈(8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모발안내홈부(81)는 "U"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케이스(20) 후단부에 상측이 개방되게 인입 형성된다.
그리고, 모발안내돌부(82)는 상기 상부케이스(10)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발안내홈부(81)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에 제2미세파지홈(8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발안내홈부(81)에 수용된 모발을 함께 눌러 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발안내홈부(81)와 모발 두께에 대응되는 제2미세파지홈(8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미세파지홈(83)은 상기 모발안내돌부(82)의 일측면이 라운드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모발안내홈부(81) 일측의 직각 모서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모발이 안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미세파지홈(83)은 와인딩공간부(21)로 끌려 들어 갈때 서로 엉키지 않고 모발의 결 방향대로 가지런하게 정리되면서 끌려 들어가도록 대략 1~3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미세파지홈(83) 일면에는 모발을 가지런히 빗어주기 위한 빗살(미도시)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모발안내홈부(81)와 모발안내돌부(82)에 의하면 상기 제1파지부(70)에 파지된 두피(D)쪽의 모발이 상기 가열부재(30) 위로 대각선 방향으로 사용자가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잡은 적정량의 모발은 상기 가열부재(30) 위를 대각선 방향으로 안착됨으로써 와인더부재(50)가 회전하면 가열부재(30)의 외측으로 나선형태로 보다 용이하게 감겨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70)는 상기 가열부재(30)의 중심선과 동일 선상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파지부(80)는 상기 가열부재(30) 중심선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파지부(70)가 제1파지부(70)와 단차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모발을 가열부재(30)의 대각선 방향으로 안착시키게 되면 안착된 모발의 중간 부분이 상기 가열부재(30)에 더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와인더부재(50)가 회전을 하게 되면 가열부재(30) 위에 대각선 방향으로 얹혀진 모발이 상기 와인더부재(50)의 걸이부(52)가 보다 용이하게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작동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에는 상기 가열부재(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내주면 사이에 모발을 감겨져 가열되기 위한 가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인딩공간부(21)에 수평으로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부재(30)는 바람직하기로 모발이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가열되어 성형되었을 때 가장 보기 좋은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적합한 직경(대략 20mm~30mm)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가열부재(30)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PTC히터 또는 세라믹 히터를 장착하고, 이러한 히터(T)의 열을 가열부재(30) 외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시키는 알루미늄이나 동판 재질로 이루어진 열확산부재를 가열부재(30) 내주면에 밀착시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가열부재(30)의 내주면에 필름히터를 밀착되게 조립하여 열확산부재가 필요없이 가열부재(30)의 외면 전체에 발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부재(3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PTC히터 또는 세라믹히터의 온도제어는 가열부재(30) 내주면에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제어할 수 있으나, 특히 세라믹히터의 경우 가열부재(30)가 모발을 가열 성형하는 동안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즉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여 온도제어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필름히터는 300도 이상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필름사이에 히터저항체를 인쇄하여 성형된 것으로서 가열부재(30) 외면 전체의 균일한 온도의 발열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본 고안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모발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나선형 모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손잡이부(22) 내측에는 상기 가열부재(30)와 동일 선상으로 구동모터(M)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M)는 DC용 감속모터로 이루어지며, 후술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 또는 하부케이스(20)의 손잡이부(22)에 내장되어 가열부재(30)의 온도 및 구동모터(M)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와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 콘트롤부(42)의 조작에 의해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모터(M)의 전원 공급은 제어회로부(40)와 연동되는 AC/DC전원안정화회로부(41)를 통해 AC 전원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상기 가열부재(30)의 히터(T)에는 AC 전원을 그대로 공급하도록 하고, 감속모터에는 DC전원로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콘트롤부(42)는 가열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안면을 기준으로 특면 모발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나선형으로 감아 스타일링을 선택하기 위한 정역회전설정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재(30)에 모발이 나선형으로 감겨지면서 가열되는 작동과 함께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 시간을 8초, 10초, 12초, 등과 같이 설정하는 가온시간설정부를 구성하여 나선형으로 스타일링 된 모발의 형태가 강, 중, 약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설정된 가열 시간 동안 상,하부손잡이를 닫은 상태에서 기다렸다가 설정 시간이 완료되면 종료 시점을 신호음으로 알려주기 위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트롤부(42)의 조작키(43)는 하부케이스(20)의 우측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부(12,22)를 잡고서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재(30)에 감겨지는 모발의 외측면을 동시에 가열시켜 신속한 나선형의 스타일링을 완성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가열부재(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가열부재(31)는 상기 가열부재(30)의 외주면과 간격(32)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와인딩공간부(21)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가열부재(31)는 상기 와인더부재(50)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모발의 외측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가열부재(31)의 이면에는 그 중앙으로 상기한 PTC히터, 세라믹히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필름히터의 경우 보조가열부재(31) 이면 전체에 밀착되게 장착하여 보조가열부재(31)의 내주면 전체에 열이 고르게 발열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보조가열부재(31)와 상기 가열부재(30)의 간격(32)은 상기 가열부재(30) 외면에 모발이 최대로 감겨지는 두께를 감안하여 간격(32)이 유지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은 가열부재(3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모발을 감아 주는 와인더부재(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와인더부재(50)는 상기 가열부재(30)와 상기 보조가열부재(31)의 간격(32) 사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인더부재(50)는 80℃~ 250℃ 정도까지 발열되는 공간을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 와인더부재(50)는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더부재(50)의 와인더(51) 외측면은 상기 보조가열부재(31)와 거의 닿을 정도로 인접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와인더부재(50)는 상기 가열부재(30)를 축으로 하여 상기 가열공간부에서 정,역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M1)에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케이스(10,20)가 닫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인딩공간부(21)와 상기 모발누름부(11) 사이에 파지되는 상기 모발의 중간부터 끝단까지 나선형으로 감아서 상기 가열부재(30)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와인더부재(5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M1)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링(52)과, 상기 회전링(52) 가장자리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부재(30) 외면 일부를 감싸는 폭을 가진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이 가열부재(30)의 외주면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와인더(51)는 구동모터(M)의 정,역회전에 의해 가열부재(3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모발을 가열부재(30)의 선단부에서부터 내측 단부쪽으로 나선형태로 감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인더(51)의 양단 가장자리에 상기 모발을 모아서 나선형으로 감아 회전시키는 요홈부(5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53)의 외측 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공간부(21)에 수용된 모발 중간을 걸어서 상기 요홈부(53) 쪽으로 모아서 나선 형태로 감아 코일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걸이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54)는 상기 가열부재(30)의 외측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54)로부터 요홈부(53)는 직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54) 끝단부에서 부터 요홈부(53) 사이에 경사안내부(55)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발을 와인딩공간부(21)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부재(30) 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와인더(51)가 회전하게 되면 걸이부(54)가 모발을 걸어서 회전되는데, 이때 모발은 경사안내부(55)에 의해 상기 요홈부(53)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열부재(30)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와인더(51)에 의해 연속적으로 감겨지는 모발은 경사안내부(55)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기 가열부재(30)의 내측단부쪽으로 안내되면서 후속으로 감겨지는 모발이 가열부재(30)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모발의 길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보통 길이(200mm~300mm)의 모발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와인더(51)가 4-5회 정도 회전되지 않아도 모발은 이미 중간부터 끝까지 순간적으로 감기게 된다.
이후 상기 가열부재(30)에 감겨진 모발은 와인더(51)와 가열부재(30) 사이에서 와인더(51)가 회전하면서 설정된 8초 내지 12초 사이의 시간 동안 가열 작용에 의해 건조 및 스타일링 되는 것이다.
이때, 모발의 내측면은 가열부재(30)에 의해 컬링이 되면서 나선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고, 모발의 외측면은 감겨진 모발 량이 많은 경우 상기 보조가열부재(31)와 직접 접촉되어 모발 외측면이 가열된다.
그리고, 모발량이 적어 직접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가열부재(31)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어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면서 나선형 모발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와인더(51)는 모발을 감아 줌과 동시에 가열부재(30)에 이미 감겨진 모발의 주변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설정된 작동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와인더(51)의 내주면은 가열부재(30)에 이미 감겨져 있는 모발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설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마찰에 의한 빗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더(51)는 보조가열부재(31)의 복사열에 의해 대략 70도 내지 90도 정도의 열이 축열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와인더(51)가 모발의 외면과 미끄럼접촉하여 회전함에 따라 모발은 보다 신속하게 건조 및 나선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와인더부재(50)의 와인더(51)는 모발과 직접 접촉하면서 회전되는 것이므로 와인더(51)를 내열용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발에 좋은 영향을 제공하는 원적외선 방출 물질 예를 들어 토르말린 음이온 분말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성분을 사출시 혼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인더(51)를 열전도율이 양호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세라믹코팅층을 형성하거나 경질 또는 연질의 아노다이징을 처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인더부재(50)의 와인더(51)와 회전링(52)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금속재질과 합성수지 재질로 서로 분리하여 인써트 성형하거나 별도로 조립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인더부재(50)는 상기 회전링(5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a) 중심으로 상기 가열부재(30)가 설치되고, 그 주변으로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M1)의 양측에 맞물려 구동하는 한 쌍의 유성기어(57)와 맞물려 회전되는 내치링기어(56)가 구비된다.
상기 내치링기어(56)에 상기 회전링(52)이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와인더부재(50)가 상기 고정히터를 주변을 정,역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M)의 선단에는 상기 좌측케이스(24)와 우측케이스(25)에 조립되는 고정하우징(58)이 구비되어 이 고정하우징(58)에 상기 유성기어(57)가 상기 구동기어(M1)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고정하우징(58)에 회전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57)는 내측단부가 구동기어(M1)와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고, 외측 단부는 고정하우징(58)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조립됨으로써 내치링기어(56)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치링기어(56)는 상기 유성기어(57)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고정하우징(58)과 나사 체결되는 고정링(5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고정하우징(58) 중앙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링(59)의 중앙을 관통하여 내치링기어(56)의 전면부와 나사 체결되는 상기 와인더부재(50)가 가열부재(30)를 축으로하여 고정하우징(58) 전방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와인더부재(50)의 회전링(52)은 내치링기어(56)과 함께 상기 가열부재(30)를 주변을 회전하면서 모발을 나선형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부(40)에서 공급되는 AC전원을 상기 가열부재(3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은 상기 유성기어(57)와 직교되는 상,하측에 형성되는 전선통과홀(H)을 통과하여 상기 가열부재(30) 및 보조가열부재(3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0)의 저면에는 누름돌기(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누름돌기(16)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하부케이스(20)에는 누름돌기(16)에 의해 작동하여 제어는 스위칭부재(17)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0)가 하부케이스(20)와 닫혀지게 되면 누름돌기(16)가스위칭부재(17)를 눌러줌으로써 스위칭부재(17)는 제어회로부(40)에 신호를 송출하여 구동모터(M)를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을 온 시키게 되면 온도제어부에 의해 가열부재(30)에는 설정된 온도만큼 발열되는 상태에서 일정량의 모발을 와인딩공간부(21)에 위치시켜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를 닫는 순간 구동모터(M)가 작동하여 와인더(51)가 회전하게 된다.
성형이 완료되는 음향을 듣고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를 벌리는 순간 누름돌기(16)와 스위칭부재(17)가 분리되면서 구동모터(M)의 작동이 멈추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와인더부재(50)가 정역으로 회전 작동된 후 항상 정 위치에 복귀하도록 회전 위치를 체크하는 감지센서(44)와 상기 감지센서(44)와 연동하는 센서부재(45)를 더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에서 상기 누름돌기(16)와 스위칭부재(17)가 분리되어 구동모터(M)가 바로 멈추게 되면 와인더(51)의 위치에 따라 다음 작업할 모발을 감을 때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와인더(51)를 항상 원래 위치 예를 들어 가열부재(30)의 하부에 정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44)와 센서부재(45)를 통해 구동모터(M)가 바로 정지하지 않고 정 위치까지 더 회전한 후 감지센서(44)와 센서부재(45)에 의해 정 위치가 감지가 되는 순간 상기 구동모터(M)의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재(45)는 구동모터(M)와 함께 회전되는 구성부품으로서 상기 회전링(52)의 가장자리가 원형으로 더 확장되어 센서홀(센서부재 부호 45를 혼용하기로 함)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홀(45)은 구멍 형상이거나 외측으로 개방된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포터커플러;44)로서 상기 센서부재(센서홀;45)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토커플러(감지센서 부호44를 혼용하기로 함)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와인더(51)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순간 구동모터(M)의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성형 작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술자는 적당량의 모발을 떠서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100)의 선단부가 벌려져 있는 쪽으로 넣어서 상,하부케이스(10,20) 사이의 와인딩공간부(21) 상으로 모발을 가열부재(30) 위에서 사선 방향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케이스(10,20)를 닫아 오무리면서 두피(D) 쪽의 모발은 제1파지부(70)의 단턱부(71)와 누름돌부(72) 사이의 제1미세파지홈(73)에 파지되며, 모발의 중간은 가열부재(30)의 사선방향으로 위치되면서 모발 끝 쪽은 제2파지부(80)의 모발안내홈과 모발안내돌부(82) 사이의 제2미세파지홈(83)에 파지되어 가지런하게 정렬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부케이스(10)의 누름돌기(16)는 스위칭부재(17)와 접촉되므로서 상,하부케이스(10,20)가 닫혀진 상태를 감지한 신호를 제어회로부(40)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회로부(40)는 구동모터(M)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M1)의 회전방향은 콘트롤부(42)의 정,역회전 방향을 사용자가 모발을 나선형으로 성형하는 방향에 맞게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M1)와 맞물려 회전되는 유성기어(57)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므로 내치링기어(56)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국 회전링(52) 및 와인더(51)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가열부재(30)와 보조가열부재(31)는 별도의 온도 조작이 없으면 콘트롤부(42)의 선택된 설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가지런히 정렬되어 파지된 상태의 모발 중간 부분은 상기 가열부재(30) 외측으로 회전하고 있던 와인더(51)의 걸이부(54)에 걸리게 되면서 경사부를 따라 요홈부(53) 쪽으로 이끌려 들어가면서 계속해서 회전되는 와인더(51)에 의해 가열부재(3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이때, 걸이부(54)는 모발 전체 길이의 중간부를 걸어 가열부재(30)에 감아 주게 되는 것이므로 모발의 하단부 쪽은 자연스럽게 와인더(51)의 회전에 의해 끌려 가면서 가열부재(30)에 나선형태로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두피(D) 쪽의 모발은 제1파지부(70)에 의해 파지된 상태이므로 와인딩공간부(21)로 끌려 들어가지 않게 됨에 따라 제2파지부(80) 쪽의 모발이 끌려 들어오면서 와인더부재(50)에 의해 나선형으로 가열부재(30) 외측으로 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파지부(80)의 모발안내홈과 모발안내돌부(82) 사이의 제2미세파지홈(83)에 의해 모발은 서로 엉기지 않으면서 모발의 결 방향대로 가지련하게 정렬되면서 안내되어 진다.
상기 가열부재(30) 외측으로 나선형태로 감겨진 모발은 그 내측면이 가열부재(3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건조됨과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보조가열부재(3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모발의 외측면도 함께 가열됨으로써 신속한 건조와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건조 및 성형되는 동안에도 와인더(51)는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8초 10초 12초) 동안 계속해서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나선형으로 와인딩된 방향으로 와인더(51)가 회전하면서 그 내주면이 모발의 결 방향대로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윤기 있는 상태로 모발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와인더(51)의 내측면에 토르말린이나 세라믹 코팅이 되어 표면 조도가 양호한 경우 모발 표면은 최대의 윤기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설정된 가열 신호가 완료되면 신호음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호음을 듣고서 상하케이스를 벌리게 된다.
이때, 상,하부케이스(10,20)가 벌어지면서 누름돌기(16)가 스위칭부재(17)와 분리되면서 발생되는 오프 신호는 구동모터(M)에 전달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인더(51)가 항시 정위치에서 정지되는데, 포토커플러와 회전링(52)에 형성된 센서홀(45)을 통하여 그 위치를 확인할 때까지 구동모터(M)는 작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와인더(51)는 상,하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고 있다가 센서부재(센서홀;45)에 의해 감지센서(포토커플러;44)의 감지신호에 의해 항상 정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와인더의 정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더부재(50)의 양측의 걸이부가 가열부재(30) 위로 올라오지 않고 평행상태를 유지한 상태를 말한다.
만약 와인더 후방의 둥근 부분이 가열부재(30) 위로 위치된 상태에서 다음 모발을 성형하기 위해 가열부재(30) 상으로 사선 방향으로 안착시키면 와인더 후방 둥근 부분에 모발이 함께 회전되면서 와인더(51)의 걸이부가 모발을 제대로 걸어줄 수 없게 되어 와인딩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서 모발이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모발의 성형 작동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두피(D) 쪽의 모발을 잡고 회전형 모발성형장치(100)를 천천히 잡아당기거나 상,하부케이스(10,20)를 벌리면 가열부재(30)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던 모발은 가열부재(30)에서 풀리면서 아래로 늘어지게 된다.
이때, 나선형으로 성형된 모발은 코일 스프링 처럼 상,하 방향으로 늘어지면서도 탄력적인 상태로 늘어짐으로써 우아하고 럭셔리한 나선형 헤어스타일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와인더(51)가 모발과 접촉하여 회전되면서 모발의 결 방향으로 빗질하는 것과 유사한 마찰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모발은 신속한 건조와 성형이 이루어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표면에 윤기와 광택이 나면서 나선형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성형이 완료된 나선형 모발은 늘어뜨려 놓고 볼 때 탄력이 양호하여 탁월한 볼륨감으로 성형 되는 것이며, 나선형 모발 성형 후에도 지속력 오래 유지되고 쉽게 늘어지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케이스 11: 모발누름부
12,22: 손잡이부 13,23: 힌지부
14: 모발통과홈 15: 가압돌부
16: 누름돌기 17: 스위칭부재
20: 하부케이스 21: 와인딩공간부
24,25: 좌,우측케이스 26: 걸림턱부
27: 누름지지부
30: 가열부재 31: 보조가열부재
32: 간격
40: 제어회로부 41: AC/DC전원안정화회로부
42: 콘트롤부 43: 조작키
44: 감지센서(포토커플러) 45: 센서부재(센서홀)
50: 와인더부재 51: 와인더
52: 회전링 52a: 관통공
53: 요홈부 54: 걸이부
55: 경사안내부 56: 내치링기어
57: 유성기어 58: 고정하우징
59: 고정링
70: 제1파지부 71: 단턱부
72: 누름돌부 73: 제1미세파지홈
80: 제2파지부 81: 모발안내홈부
82: 모발안내돌부 83: 제2미세파지홈
100: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M: 구동모터
M1: 구동기어 T: 히터
H: 전선통과홀 D: 두피

Claims (5)

  1. 길게 형성되어 일단에 모발 상부에 접촉되는 모발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힌지부와 힌지 조립되어 회동 가능하며, 일단에 상기 모발누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발이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와인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주면 사이에 모발을 감겨져 가열되는 가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와인딩공간부에 수평으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가열부재;
    상기 가열부재와 동일 선상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 가장자리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열부재 외면 일부를 감싸는 폭을 가지면서 내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의 양단 가장자리에 상기 모발을 모아서 나선형으로 감아 회전시키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의 외측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지게 하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공간부 내에서 상기 가열부재 위로 수용되는 모발을 걸어 상기 요홈부 쪽으로 모아서 나선 형태로 감아 상기 가열부재에 코일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걸이부로 이루어진 와인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의 외주면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와인딩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더부재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모발의 외측면을 가열하도록 내측면이 만곡지게 형성된 보조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더부재는 상기 회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 중심으로 상기 가열부재가 설치되고, 그 주변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의 양측에 맞물려 구동하는 한 쌍의 유성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내치링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내치링기어에 상기 회전링이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와인더부재가 상기 고정히터를 주변을 정,역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은 상기 유성기어와 직교되는 상,하측에 형성되는 전선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가열부재 및 보조가열부재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더부재가 정역으로 회전 작동된 후 항상 정위치에 복귀하도록 회전 위치를 체크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연동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KR2020140002729U 2014-04-03 2014-04-03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KR200479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9U KR200479023Y1 (ko) 2014-04-03 2014-04-03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29U KR200479023Y1 (ko) 2014-04-03 2014-04-03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43U true KR20150003743U (ko) 2015-10-14
KR200479023Y1 KR200479023Y1 (ko) 2015-12-10

Family

ID=5434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29U KR200479023Y1 (ko) 2014-04-03 2014-04-03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8971A (zh) * 2017-02-13 2022-03-04 欧莱雅 头发处理装置和美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803B1 (ko) * 2013-10-28 2014-05-07 박창수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KR101369011B1 (ko) 2013-11-11 2014-03-05 장성준 헤어 고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8971A (zh) * 2017-02-13 2022-03-04 欧莱雅 头发处理装置和美容方法
CN114128971B (zh) * 2017-02-13 2024-04-12 欧莱雅 头发处理装置和美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23Y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03B1 (ko)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CN102271550B (zh) 具有可旋转的柱体的头发造型工具
JP6184584B2 (ja) ヘアケア装置
JP5925986B2 (ja) ヘアカールおよび/またはヘアスタイリング用の装置
US5348030A (en) Retractable brush with upwardly angled teeth
US20110259356A1 (en) Hair styling implement
JP6678639B2 (ja) ワインダーを備えるヘアカールアイロン
CN102326941A (zh) 具有电动心轴的理发设备
US20130319450A1 (en) Hairstyling Tool With Automatically Reversing Cylinder
KR101576442B1 (ko) 나선형 헤어스타일 작업이 용이한 회전형 모발성형장치
JP748671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KR101506086B1 (ko) 회전형 롤 고데기
KR200479023Y1 (ko) 회전형 모발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
CN108378516B (zh) 一种卷发烫发方法
KR200429731Y1 (ko) 속눈썹 고대기
CN105639973B (zh) 烫发器
KR200270330Y1 (ko) 퍼머용 아이롱
KR200469817Y1 (ko) 퍼머 보조용 덮개
CN108991699B (zh) 自动卷发器
JP6888807B2 (ja) ヘアーアイロンブラシ
JP6962556B2 (ja) ヘアーアイロン
CN114424856A (zh) 毛发护理装置
KR101857727B1 (ko) 헤어 컬링 및/또는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장치
KR101436477B1 (ko) 헤어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링 세트
JPS63553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