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70U -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 Google Patents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70U
KR20150003570U KR2020140002224U KR20140002224U KR20150003570U KR 20150003570 U KR20150003570 U KR 20150003570U KR 2020140002224 U KR2020140002224 U KR 2020140002224U KR 20140002224 U KR20140002224 U KR 20140002224U KR 20150003570 U KR20150003570 U KR 20150003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ductor
terminal
subcomponen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570U/en
Publication of KR20150003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7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하위 구성 부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하위 구성 부품에 인가되도록 통전로를 제공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를 연결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다. 이에 의해, 버스바와 터미널 간의 조립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공정수 및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A sub-component housed in the housing; A bus bar mounted inside the housing, the bus bar providing an energizing path such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subcomponent; And a terminal portion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bus bar, the terminal portion connecting the bus and a conductor of the lower component part. As a result, the assembling process between the bus bar and the terminal is eliminated, so that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rocess number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본 고안은 터미널 일체형 버스바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terminal-integrated bus bar.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되는 자동차이다.An electric vehicle is an automobile which is driven by rotating electric motors accumulated in a battery.

본 명세서에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연료전지차(FCV),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FCHEV) 등 광의의 개념의 전기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of a broad concept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FCV), a fuel cell hybrid electric vehicle (FCHEV) .

일반적으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배터리 차단 유닛이 탑재될 수 있다.Generally, a battery cut-off unit can be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BDU, Battery Disconnect Unit)은 배터리와 모터를 연결하는 통전로 상에 배치되어, 배터리를 모터 등과 같은 부하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battery disconnecting unit (BDU) is disposed on an energizing path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motor, so that the battery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load such as a motor.

또한,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은 배터리로부터 이상 전압이 모터에 인가되는 경우 이를 적절히 차단할 수 있다.Also, the battery cut-off unit can properly shut off the abnormal voltage from the battery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mo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차단유닛의 사시도로서, 상기 배터리 차단유닛(1)은 하우징(2)의 상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메인릴레이(3), 프리차지 릴레이(4), 프리차지 저항(5), 전류센서 등 하위 구성 부품(8)들을 구비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ut-off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battery cut-off unit 1 includes a main relay 3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a pre-charge relay 4, 5, a current sensor, and the like.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1)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로서 하우징(2) 내부에 버스바(6)가 제공될 수 있다.A bus bar 6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 as one of the core parts constituting the battery cut-off unit 1. [

상기 버스바(6)는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us bar 6 may serve to energize the battery.

또한,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1)의 하위 구성 부품(8), 즉 메인릴레이(3), 프리차지 릴레이(4), 프리차지 저항(5) 등은 터미널(7)을 통해 버스바(6)와 연결됨으로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main relay 3, the precharge relay 4, the precharge resistor 5 and the like of the battery cut-off unit 1 are connected to the bus bar 6 through the terminal 7, And is electrically energized to receive battery power.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차단 유닛(1)의 하위 구성 부품(8)을 조립함에 있어서, 터미널(7)들은 버스바(6)와 우선 결합된 후 배터리 차단 유닛(1)의 하위 구성 부품(8), 예를 들어 릴레이(8)의 전도체(9)와 또 다른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립공정수가 증가하며, 이에 따른 조립공정 시간 연장 및 터미널(7) 부품 누락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assembling the subcomponent 8 of the battery cut-off unit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terminals 7 are first combined with the bus bar 6, 8, for example, the conductor 9 of the relay 8, the number of assembling steps increases, which may lead to problems such as extension of the assembly process time and omission of parts of the terminal 7.

또한, 상기 터미널(9)의 내부에 버스바(6) 및 하위 구성 부품(8)의 전도체(9)가 끼움맞춤으로 결합되는 바, 버스바(6) 및 하위 구성 부품(8)과 터미널(7) 간의 조립치수에 대한 관리가 어려우며, 이들의 조립치수에 대한 관리 부재로 조립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들의 결합이 설계 의도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저항이 상승하며, 배터리 차단 유닛(1) 내부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차량 화재의 위험성이 내재되고 있다.The bus bar 6 and the conductor 9 of the subcomponent component 8 are fitted into the terminal 9 so that the bus bar 6 and the subcomponent component 8 and the terminal 9 7 are difficult to be controlled, and when assembly tolerances are generated by the control members relative to their assembling dimensions, their coupling is not achieved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ion,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is increased, The risk of vehicle fire is inherent.

본 고안은 기존의 터미널과 버스간의 조립을 단순화하여 조립공정수가 축소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인 조립시간 단축 및 터미널 부품 누락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eliminating the existing problem of shortening the assembling time and omitting the terminal parts by simplifying the assembly between the existing terminal and the bus, have.

또한, 버스바 및 하위 구성 부품과 터미널 간의 조립치수에 대한 관리가 불필요하며, 기존의 터미널과 버스바 간 접촉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eliminates the need for management of assembly dimensions between a bus bar and subcomponent parts and a terminal, and can overcome the problem of overheating, It is a technical task.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 하위 구성 부품,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housing, subcomponent parts, and a bus bar.

상기 하우징은 배터리 차단기 유닛의 외형 및 골격을 이룰 수 있다.The housing may form the external shape and skeleton of the battery breaker unit.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sub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버스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bus bar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상기 버스바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하위 구성 부품에 인가되도록 통전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bus bar may provide an energizing path so that an externally supplied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subcomponent components.

여기서,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 터미널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bus bar.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를 연결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may connect the bus and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일 실시예로서, 상기 터미널부는, 돌출부 및 벤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a protrusion and a bending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도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bus bar so as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conductor.

상기 돌출부 내측으로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가 삽입될 수 있다.And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벤딩부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벤딩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may be bent at an end of the protrusion.

이로 인해, 상기 벤딩부의 끝단부는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 일 면에 접촉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end of the bending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일 실시예로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벤딩부의 끝단부에서 둥글게 말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formed in a rounded shape at an end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이에 의해, 상기 접촉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에 밀착되게 조여짐으로, 버스바와 터미널 간의 조립치수에 대한 관리가 불필요하다.Thereby, the contact portion is tightly fitted to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component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manage the assembling dimension between the bus bar and the terminal.

일 실시예로서, 상기 터미널부의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 양쪽 측면에서 상기 전도체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from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bus bar.

또한, 상기 터미널부의 벤딩부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bus bar.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은 릴레이, 저항,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lay, a resistor, and a current senso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에 의하면, 버스바와 터미널 간의 조립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공정수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blocking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process between the bus bar and the terminal is eliminated, so that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number of processe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기존 대비 터미널과 버스바 간의 억지끼움부의 조립치수에 대한 관리가 불필요하며, 터미널 등 부품의 누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control the assembling dimensions of the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us bar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one, and the problem of omission of components such as terminals can be solved.

또한, 터미널과 버스바 간 접촉저항을 극소화시킴으로, 기존의 터미널과 버스바 간 접촉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us ba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overheating due to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existing terminal and the bus ba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차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차단 유닛의 하위 구성 부품과 터미널 및 버스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차단 유닛의 하위 구성부품과 버스바 간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일체형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평면도
도 7은 도 4에서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가 터미널부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disconnecting uni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components of the battery cut-off unit, the terminal and the bus bar in Fig. 1; Fig.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between a bus bar and sub-components of the battery cut-off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integrat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is a plan view taken along the line VI-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ductor of a lower component part is inserted into a terminal part in Fig. 4.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버스바와 터미널 간의 조립성 향상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assembling performance between bus bars and terminals is improved and assembly time is shortened.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은 하우징, 하위 구성 부품, 전원단자인입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cutoff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subcomponent parts, a power terminal inlet unit, and the like.

상기 하우징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되게 배치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부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may be assembled to cover the opening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이 수납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housing,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단자인입부는 전원단자인입부와 부하단자인입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pull-in portion may include a power terminal pull-in portion and a load terminal pull-in portion.

상기 전원단자인입부는 상부하우징의 상부면 일측에 이격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상기 전원단자인입부 중 적어도 하나는 (+) 전기선에 의해 배터리의 (+)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of the battery by a positive (+) electric wire.

또한, 상기 전원단자인입부 중 다른 하나는 (-) 전기선에 의해 배터리의 (-)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one of 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by a negative (-) electric wire.

상기 전기선의 일단부는 배터리의 단자와 연결되고, 전기선의 타단부는 전원단자인입부에 인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electric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

상기 전원단자인입부는 버스바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원단자인입부의 내부에 버스바의 일단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one end of the bus bar, and one end of the bus bar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은 메인릴레이, 프리차지릴레이, 프리차지 저항, 전류센서 등과 같은 전기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component may includ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a main relay, a precharge relay, a precharge resistor, a current sensor, and the like.

상기 전기소자들은 상부하우징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ic elements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또한, 상기 전기소자들은 하우징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mponents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housing.

상기 전기소자들은 메인릴레이 및 프리차지 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하우징을 분해하지 않아도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소자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mponents can include a main relay and a precharge relay, etc., and they can be easily accessed without disassembling the housing, thereby easily replac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 부하단자인입부는 상부하우징의 상부면 타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load terminal inlet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상기 부하단자인입부는 모터 등과 같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모터에 공급할 수 있다.The load terminal inle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oad such as a motor or the like, so that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the battery can be supplied to the motor.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고리형태의 결합부가 적어도 3곳 이상 형성되고, 이 결합부는 배터리 차단 유닛을 차량 내부에 장착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three annular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engaging portions can be used to attach and fix the battery interrupting unit inside the vehicle.

상기 결합부의 관통홀을 통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배터리 차단 유닛이 고정될 수 있다.The battery blocking unit can be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unit.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차단 유닛의 하위 구성 부품(100)과 버스바(120) 간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일체형 버스바(120)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lower component 100 and a bus bar 120 of the battery cut-off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integrated bus ba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여기서, 상기 배터리 차단 유닛의 하위 구성 부품에 배터리 전원을 통전시키기 위한 버스바가 결합될 수 있다.Here, a bus bar for energizing the battery pow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omponent parts of the battery cut-off unit.

상기 버스바(120)는 전기적 도체인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us bar 120 may be made of copper, which is an electrical conductor.

상기 버스바(120)는 일단부가 전원단자인입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하부하우징의 수납공간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us bar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power terminal inlet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exten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lower housing.

상기 버스바(12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입하기 위해 극성이 서로 다른 (+) 전원단자인입부와 (-) 전원단자인입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bus bar 120 may be connected to a (+) power source terminal input uni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and a (-) power source terminal input unit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o draw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상기 하위 구성 부품(100)은 예를 들어 릴레이일 수 있다.The subcomponent 100 may be, for example, a relay.

상기 하위 구성 부품(100)은 릴레이케이스(110)와, 릴레이케이스(1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전도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component 100 may include a relay case 110 and at least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conductors 11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ay case 110.

상기 전도체(111)는 버스바(120)에 연결되어, 버스바(120)로부터 하위 구성 부품(1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ductor 111 may be connected to the bus bar 120 to apply current to the subcomponent 100 from the bus bar 120.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일체형 버스바(120)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integrated bus ba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버스바(120)는 일단부가 릴레이의 전도체(111)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us ba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or 111 of the relay.

상기 버스바(120)의 일단부는 전도체(111)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하게 벤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us bar 120 may be bent vertically to facilitate assembly with the conductor 111.

이로 인해, 상기 버스바(120)의 일단부와 릴레이의 전도체(111)가 전기적 도체인 터미널부(12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us, one end of the bus bar 120 and the relay 11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rminal portion 121, which is an electrical conductor.

상기 버스바(120)와 릴레이의 전도체(111) 간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버스바(120)의 상단부에 터미널부(121)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A terminal portion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us bar 120 to improve assembling performance between the bus bar 120 and the relay conductor 111.

상기 터미널부(121)는 플레이트를 벤딩성형하여서 제작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121 can be manufactured by bending a plate.

첨부한 도 6은 도 5의 Ⅵ-Ⅵ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하위 구성 부품(100)의 전도체(111)가 터미널부(121)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FIG. 5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ductor 111 of the lower component 10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121 in FIG.

상기 터미널부(121)의 일단부가 버스바(120)의 상단부에서 측면(버스바(120)의 두께면)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는 돌출부(121a)와, 돌출부(121a)에서 버스바(120)의 상단부 일 면, 즉 전도체(111)가 삽입되는 면을 향하도록 벤딩되는 벤딩부(121b)로 구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erminal part 121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1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us bar 120 And a bending portion 121b that is bent so as to face a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111, that is, a surface on which the conductor 111 is inserted.

상기 돌출부(121a)는 적어도 전도체(111)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1a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conductor 111.

이때, 상기 돌출부(121a)가 전도체(111)의 측면과 접촉될 필요는 없다.At this time, the projecting portion 121a does not have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ductor 111. [

또한, 상기 돌출부(121a)는 버스바(120)의 측단부에서 안쪽으로 만곡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21a may protrude from the side end of the bus bar 120 so as to be curved inward.

상기 돌출부(121a)의 만곡면과 버스바(120)의 일 면, 즉 전도체(111)가 삽입되는 면 사잇각은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예각). 예를 들어 돌출부(121a)의 만곡면에 대한 접선과 버스바(120)의 직선 사잇각이 70~90도 사이일 수 있다.The plane angl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a and one side of the bus bar 120, that is, the conductor 111, may be less than 90 degrees (acute angle). For example, the tangent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a and the straight angle of the bus bar 120 may be between 70 and 90 degrees.

상기 전도체(111)는 돌출부(121a)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conductor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21a.

이때, 상기 전도체(111)의 일 면이 버스바(120)의 상단부 일 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conductor 111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120.

상기 벤딩부(121b)는 돌출부(121a)의 끝단에서 대략 180도의 벤딩 각도로 벤딩될 수 있고, 돌출부(121a)와 벤딩부(121b)의 연결부위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121b may be bent at a bending angle of about 180 degrees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 121a an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rotrusion 121a and the bending portion 121b may be semicircular.

이로 인해, 상기 벤딩부(121b)의 끝단부는 전도체(111)의 다른 쪽 면에 접촉될 수 있다.Thus, the end of the bending portion 121b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conductor 111.

상기 벤딩부(121b)와 전도체(111) 간의 접촉저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터미널부(121)는 벤딩부(121b)의 끝단부에서 반원형으로 연장형성된 접촉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121 may have a contact portion 121c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hape at an end of the bending portion 121b in order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bending portion 121b and the conductor 111 as much as possible.

상기 접촉부(121c)는 버스바(120)의 일 면, 즉 전도체(111)가 삽입되는 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21c may be spaced apart from a surface of the bus bar 120, that is, a surface on which the conductor 111 is inserted.

상기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간의 간격은 전도체(111)의 두께보다 약간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111. [

예를 들어, 전도체(111)의 두께가 1~2mm 정도라면 상기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간의 간격이 대략 0.5~1mm 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111 is about 1 to 2 mm,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is preferably about 0.5 to 1 mm.

왜냐하면,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간의 간격이 0.5mm 미만인 경우에 전도체(111)가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사이의 틈새로 삽입이 불가능할 수 있고, 이들의 간격이 1mm 이상이면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간의 접촉이 설계 의도한 바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onductor 111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is less than 0.5 mm,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can not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intended design,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resistance.

상기 접촉부(121c)는 반원형의 정점에서 버스바(120)와 접촉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21c may contact the bus bar 120 at a vertex of a semicircular shape.

이때,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는 선 접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may be in line contact.

이에 의해,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사이의 접촉면적이 극소화됨으로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is minimized,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상기 접촉부(121c)는 고정된 돌출부(121a)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터미널부(121)의 자유단이 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121c extends integrally from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121a and can be made elastic to be a free end of the terminal portion 121. [

상기 돌출부(121a)는 적어도 전도체(111)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1a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both sides of the conductor 111.

상기 돌출부(121a) 및 벤딩부(121b)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버스바(120)의 상단부 양쪽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121a and the bending portion 121b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protrude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120. [

상기 돌출부(121a) 및 벤딩부(121b), 혹은 돌출부(121a), 벤딩부(121b) 및 접촉부(121c)는 버스바(1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121a and the bending portion 121b or the protruding portion 121a, the bending portion 121b and the contact portion 121c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bus bar 120.

이 경우 터미널의 접촉부(121c)와 하위 구성 부품(100)의 전도체(111) 간의 접촉지점은 적어도 2곳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re may be at least two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of the terminal and the conductor 111 of the subcomponent 100.

이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전도체(111)가 접촉부(121c)와 버스바(120)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에 접촉부(121c)가 전도체(111)의 두께방향으로 벌려지면서 탄성에 의해 전도체(111)에 밀착되게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conductor 111 of the relay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1c and the bus bar 120, the contact portion 121c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or 111 by elasticity while being sprea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ductor 111 Can be contacted.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부(121)가 버스바(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터미널을 버스바(120)에 조립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조립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portion 1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s bar 120,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the existing terminal to the bus bar 120,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또한, 버스바(120)와 하위 구성 부품(100)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정수의 축소로 조립시간 단축 및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assembling processes for assembly between the bus bar 120 and the sub-component parts 100 is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ing time and improving assembling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기존의 터미널과 버스바(120) 간의 조립공차로 인해 접촉저항의 상승에 따른 제품 내부에 과도한 열 발생을 막고, 차량 화재를 초래하는 위험적인 요소를 미연에 제거할 수 있다.Also, due to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conventional terminal and the bus bar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eat generation inside the product due to an increase in contact resistance, and to remove a dangerous element that causes a vehicle fire.

또한, 상기 접촉부(121c)의 탄성구조로 인해, 기존의 버스바(120)와 터미널간의 억지 끼워 맞춤을 위한 치수, 및 배터리 차단 유닛의 하위 구성 부품(100)의 전도체(111)와 터미널 간의 억지 끼워 맞춤을 위한 치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contact portion 121c, the dimension for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existing bus bar 120 and th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onductor 111 of the subcomponent 100 of the battery c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mension management for fitting is easy.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odified for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100 : 하위 구성 부품
110 : 릴레이케이스
111 : 전도체
120 : 버스바
121 : 터미널부
121a : 돌출부
121b : 벤딩부
121c : 접촉부
100: Subcomponents
110: Relay case
111: Conductor
120: Bus bar
121: Terminal section
121a:
121b:
121c:

Claims (5)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하위 구성 부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하위 구성 부품에 인가되도록 통전로를 제공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와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를 연결하는 터미널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housing;
A subcomponent mounted on the housing;
A bus bar mounted inside the housing, the bus bar providing an energizing path such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subcomponent; And
A terminal unit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bus bar and connecting the bus bar and a conductor of the lower component part;
Wherein the battery block un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도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끝단부가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 일 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벤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uni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us bar so as to surround the side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being inserted inward; And
A bending portion bending at an end of the protrusion so that an end portion thereof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Wherein the battery is a batte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벤딩부의 끝단부에서 둥글게 말린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의 전도체에 밀착되게 조여지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unit includes:
And a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round shape at an end of the bending portion and is tightened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or of the subcomponent component by an elastic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의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 양쪽 측면에서 상기 전도체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의 벤딩부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bus ba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uctor,
Wherein the bend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bus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구성 부품은 릴레이, 저항,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compon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lay, a resistor, and a current sensor.
KR2020140002224U 2014-03-20 2014-03-20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KR2015000357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24U KR20150003570U (en) 2014-03-20 2014-03-20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24U KR20150003570U (en) 2014-03-20 2014-03-20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70U true KR20150003570U (en) 2015-10-02

Family

ID=5434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24U KR20150003570U (en) 2014-03-20 2014-03-20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57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590B2 (en) 2017-11-06 2022-04-1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590B2 (en) 2017-11-06 2022-04-1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7151B2 (en) Electrical storage module
US8678842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KR101758415B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JP6162369B2 (en) Power supply
CN109952696B (en) Bus bar unit for electric motor
US20140342213A1 (en) Connector for battery unit, and battery unit provided with same
WO2011126140A1 (en) Fuse unit
JP2012164477A (en) Battery connector
US20130280928A1 (en) Power distribution box assembly
JP2009048795A (en)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WO2017047258A1 (en) Battery pack
JP6370586B2 (en) Battery connector and battery pack provided with the same
JP54377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junction box
JP553556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junction box,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junction box
JP6401656B2 (en) Wiring member
CN103972456A (en) Bus bar assembly and power supply device
EP2867914B1 (en)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66420B2 (en) Battery pack controller
KR20160039796A (en)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KR101977993B1 (en) Contact spr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50003571U (en)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KR20150003570U (en) Battery disconnect unit for hev
KR101758416B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cle
KR101717660B1 (en) Power relay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JP7281723B2 (en) Table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