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88U - Container for Cooking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88U
KR20150003488U KR2020140002006U KR20140002006U KR20150003488U KR 20150003488 U KR20150003488 U KR 20150003488U KR 2020140002006 U KR2020140002006 U KR 2020140002006U KR 20140002006 U KR20140002006 U KR 20140002006U KR 20150003488 U KR20150003488 U KR 20150003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vent
cookin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8379Y1 (en
Inventor
요시치카 니타니
박형열
Original Assignee
박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열 filed Critical 박형열
Priority to KR2020140002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79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8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냉장고나 냉동고에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에 적합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용기부와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뚜껑부에는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이 통기부에는 선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tainer for storing foods in a refrigerator or a freezer, wherein a cooking vessel suitable for cooking using a microwave oven is provided.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ainer portion and a lid portion. The container portion has a coupling portion at an outer rim portion of the opening surface. The lid portion has a coupling portion at an outer rim portion at the back side, Wherein the lid portion is provided with a ventilating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body on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ventil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lit penetrating linearly.

Description

조리용기{Container for Cooking}[0001] Container for Cooking [

본 고안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조리나 해동에 적합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vessel suitable for heating and defrosting using a microwave oven.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는 최근, 다양한 식품의 요리에 이용되고 있다. 차가운 식품의 가열이나 냉동된 식품의 해동, 더 나아가서는 본격적인 가열조리에 이르는 다양한 조리에 이용된다.Cooking using a microwave oven has recently been used for cooking various foods. It is used for various cooking ranging from heating of cold food to thawing of frozen food, and further to full-scale heating cooking.

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에 적합한 용기로서 요구되는 특징은, 가열된 식품의 증기압에 의해 용기가 변형되거나, 용기 내의 식품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용기 내부의 팽창된 공기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구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As a container suitable for cooking using this microwave oven, a characteristic feature is that a container is deformed by the vapor pressure of the heated food or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expanded air or vapor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so that the food in the container does not overflow .

또, 일단 조리된 식품을 냉장고에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고에 냉동 보관하고, 그것을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용기채로 넣어서 조리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조리시의 요구에 추가해서, 냉장고나 냉동고에서 위생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밀폐성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cooked food is once stored in a refrigerator in a refrigerator or in a freezer whil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in a microwave oven.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 for cooking, the hermeticity is also required for hygienic storage in the refrigerator or the freezer.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조리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용기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개구부를 닫는 뚜껑을 구비하고, 뚜껑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끼워맞춤되어, 개구부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와 피결합부 중 어느 한 쪽에는, 결합부와 피결합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凸)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에는 볼록부가 끼워맞춤되는 형상으로 오목(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의 결합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밀폐상태로 개구부를 닫는 밀폐상태와,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지지 않고 결합부와 피결합부 중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쪽에 맞닿아서 결합부와 피결합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통기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본체의 피결합부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컨대, 이하 특허문헌 1).A cooking vessel satisfying such a demand has been proposed. The container has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id for closing the open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rim of the lid is fitted to the engaged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A convex portion for forming a gap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eable portion is formed on on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eable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Respectively. The engaging portion of the lid is in a hermetically closed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fitted to each other so as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in a closed stat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engaged portion,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below) in any state of a ventilation state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to be engaged.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02254호 [Patent Document 1]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202254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는, 식품을 보존할 때에는 밀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먼지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용기다.The containe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has a hermetic property when preserving food,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is a hygienically excellent container.

또,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는, 뚜껑을 분리하고 그 뚜껑을 180도 회전시켜서 다시 용기에 장착함으로써, 결합부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간극이 통기구 역할을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food is heated by the microwave oven, the lid is separated, and the lid is rotated by 180 degrees and then mounted on the container, whereby a gap can be formed in the joining portion. By this gap serving as a vent hole, the vapor inside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러나, 가열 전에 뚜껑을 분리하고 180도 회전시킨 다음 뚜껑을 닫는다고 하는 불편한 조작이 필요하며, 내부의 식품이 냉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열기가 힘들어서, 뚜껑의 개폐동작에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However, an inconvenient operation of closing the lid after removing the lid before heating is necessary, and when the food inside is frozen, it is difficult to open the lid, so that it may take time to open and close the lid.

또,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한 경우에, 용기는 밀폐상태이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발생한 증기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용기가 변형되거나 내부의 식품이 끓어 넘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 when the container is heated while forgetting to rotate the lid, since the container is in a clos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by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and the container is deformed or the food inside is boiled over.

또한, 통기구 역할을 하는 간극이, 용기와 뚜껑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전체를 기울인 경우에, 간극을 통해 식품이 넘쳐나올 위험성이 있다. 특히, 용기 내에 식품이 가득찬 상태라면, 조금만 기울여도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기 때문에, 식품을 취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Further, since the gap serving as the vent is formed in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there is a risk that the food overflows through the gap when the entire container is inclined. Particularly, if the container is full of foo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food because the inside food overflows even if it is tilted a little.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용기부와 상기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부에는 선(線)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portion and a lid portion, the container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at an outer rim portion of the opening surface, the lid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at an outer rim portion on the back surface side, Wherein the lid portion is provided with a ventilating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body on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slit is formed in the ventilating portion so as to penetrate the lid portion in a line shape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두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is concav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has a convex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기부가 설치되고,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portions formed of an elastic body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one ventilation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has a concave shape And the portion of the other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is convex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선 형상의 슬릿의 끝부분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linear slit formed in the vent portion is circula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통기부가 상기 뚜껑부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part is fitted and fixed to a vent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lid part.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보존시와 가열시에 뚜껑을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보존상태에서 과열상태로 원활하게 옮겨갈 수 있다. Since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unnecessary to rotate the lid during storage and heating, and can be smoothly transferred from the stored state to the overheated state.

또, 뚜껑을 열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이다.It is also hygienic because there is no need to open the lid.

게다가,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해도, 용기가 변형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지도 않는다.Moreover, even if the container is heated while forgetting to rotate the li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ontainer is deformed.

그리고, 가열시에 통기부의 슬릿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증기가 배출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vapo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slit of the vent portion at the time of heating, whereby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한편, 통기부의 슬릿은 선 형상으로 좁으며, 재질이 탄성체이므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거의 닫힌 상태로 있다. 따라서, 보존시에 이 슬릿을 통해서 먼지 등이 용기 내부로 들어오는 일은 거의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slit of the vent portion is narrow in a line shape, and the material is an elastic body, so that the slit is almost closed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herefore, dust and the like rarely enter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slit during storage.

또, 통기부가 뚜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약간 기울인 정도로는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지는 않는다. 게다가, 통기부의 슬릿은 과열상태 이외에는 거의 닫힌 상태이므로, 조리용기를 많이 기울인 경우에도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ventil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lid surface, the food inside does not overflow at a slight inclin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In addition, since the slit of the vent portion is almost closed except for the overheat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food from overflowing even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heavily tilted.

특히, 통기부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슬릿 형성부를 오목 형상 또는 볼록 형상으로 함으로써, 슬릿 형성부는 강한 압축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형성된 슬릿은 탄성력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강한 응력을 받고 있으므로, 증기의 방출과 같은 강한 힘이 발생한 경우에만 열리기 때문에, 용기를 기울였을 때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slit forming portion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vent portion is concave or convex, the slit forming portion is in a strongly compressed state. Therefore, the slit formed here is subjected to a strong stress in the closing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slit is opened only when a strong force such as the release of steam occurs, so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food from overflowing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용기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저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구멍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부에 설치된 통기부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container portion of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b) is a side view.
Fig. 2 shows a lid portion of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bottom view and (b) is a side sectional view.
Fig. 3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nt portion provided in the lid portion of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of a hole shape of a vent portion provided in a lid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of the vent portion provided in the lid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nt portion provided in the lid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 등에 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일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 고안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본 고안품의 재료나 치수 등은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그 밖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like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disclos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For example, the materials and dimen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are merely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and other possibilities are not denied.

<실시예 1>&Lt; Example 1 >

먼저,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부(1)와 뚜껑부(2)로 구성된다.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the cook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portion 1 and a lid portion 2.

도 1(a)는 용기부(1)의 평면도이고, (b)는 측면도다. 용기부(1)는 수지, 특히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법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리를 이용해도 된다.Fig. 1 (a)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unit 1, and Fig. 1 (b) is a side view. The container portion 1 is preferably formed of a resin, particularly a heat-resistant resin, and is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or the like. Glass may also be used.

용기부(1)는 저면(11)과, 저면(11)의 상부에 형성된 통형상의 측면(12)과, 측면(1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3)로 이루어진다.The container portion 1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11, a tubular side surface 12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11 and a coupling portion 13 formed on the top of the side surface 12.

저면(11)과 통형상의 측면(12)에 의해 식품을 넣는 용기가 형성된다. 측면(12)의 상부가 개구면이 되며, 이 개구면을 통해서 용기에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A container for containing food is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1) and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12).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2 becomes an opening surface through which food can be put into and taken out of the container.

결합부(13)는 도 1에서 망 모양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측면(12)의 상부 전체 원주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다.The engaging portion 13 is a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net in FIG. 1 and extending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2.

이 결합부(1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뚜껑부(2)의 오목 형상의 결합부(22)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engaging portion 13 has a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concave engaging portion 22 of the lid 2 described below.

도 2(a)는 뚜껑부(2)의 저면도, 도 2(b)는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Fig. 2 (a) is a bottom view of the lid portion 2,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뚜껑부(2)는 뚜껑본체(21)와, 그 이면의 바깥 테두리 부근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부인 결합부(22)와, 뚜껑본체(21)의 결합부(22)의 내측에 형성된 통기부(23)로 이루어진다. The lid portion 2 includes a lid body 21 and a coupling portion 22 which is a concave portion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ear side of the rear face of the lid body 21 and a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22 of the lid body 21. [ And a base 23.

뚜껑본체(21)는 수지, 특히 내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법 등으로 형성된다.The lid body 21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particularly a heat-resistant resin, and is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or the like.

결합부(22)는 도 2에 망 모양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오목부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22)에 용기부(1)의 결합부(13)를 끼워맞춤으로써, 용기부(1)와 뚜껑부(2)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결합부(13)와 결합부(22)의 간극을 대략 밀폐상태로 할 수가 있다. The engaging portion 22 is a portion indicated by a mesh in Fig. 2, and is a concave portion. The container portion 1 and the lid portion 2 are securely fixed by fitting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container portion 1 to the engaging portion 22 and the engaging portion 13 and the engaging portion 22 Can be made substantially in a closed state.

뚜껑본체(21)에 있어서,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22)의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 통기부(23)를 끼워맞춤으로써, 통기구가 형성된다. 통기부(23)는 천연 고무, 실리콘, 이소프렌 고무 등의 탄성체다.In the lid body 21,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fitting the ventilation portion 23 to the through hole. The vent portion 23 is an elastic body such as natural rubber, silicone, or isoprene rubber.

도 3은 통기부(23)의 단면형상을 나타낸다. 통기부(23)의 바깥 테두리부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뚜껑본체(21)의 관통공의 외벽에 ㄷ자 형상 부분을 끼워넣음으로써, 통기부(23)를 뚜껑본체(2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3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nt portion 23. The vent section 23 has a U-shaped cross section at its outer edge and the vent section 2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id body 21 by fitting a U-shaped section into the outer wall of the through hole of the lid body 21 .

통기부(23)의 내부는 슬릿 형성부(232)이며,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슬릿 형성부(232)를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The inside of the vent portion 23 is a slit forming portion 232, and a linear slit as shown in Fig. 4 or 5 is formed. Figs. 4 and 5 are views of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viewed from above.

뚜껑본체(21)의 관통공에 통기부(23)를 끼워넣어서 고정하면, 통기부(23)는 이 관통공의 외벽에서부터 압축응력을 받으면서 선 형상의 슬릿도 압축응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통기부(23)는 탄성체이므로, 이 압축응력에 의해 선 형상의 슬릿은 거의 닫힌 상태가 된다. When the vent portion 23 is fitted and fix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lid body 21, the vent portion 23 is subjected to compressive stress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a linear stress is applied to the linear slit. Since the vent portion 23 is an elastic body, the linear slit is almost closed due to this compressive stress.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형성부(232)를 위에서 보아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즉, 뚜껑본체(21)의 통기공에 통기부(23)를 끼워넣어서 고정할 때에, 뚜껑을 위에서 보면, 슬릿 형성부(232)는 아래로 오목한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is formed into a concavely curved shape as viewed from above. That is, when the vent portion 23 is fitted and fixed to the vent hole of the lid body 21,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is recessed downward when viewed from above the lid.

이와 같이 슬릿 형성부(232)를 위에서 보아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로는 아래의 2가지가 있다. There are the following two reasons why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is formed into a concavely curved shape as viewed from above.

첫째, 슬릿 형성부(232)가 만곡된 형상이면, 슬릿 형성부(232)에 강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기 쉽고, 선 형상의 슬릿은 더욱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된다. 슬릿이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되면 될수록 밀폐성은 높아지며, 외부에서 용기 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위생적이다. 또,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도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잘 넘쳐나오지 않는다. 한편, 가열시에 용기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했을 때는, 용기 내부와 외부의 큰 압력차에 의해 슬릿에 큰 힘이 가해지면서 슬릿이 열려 통기구로서 충분히 기능한다. First, if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has a curved shape, strong compressive stress tends to be applied to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and the linear slit is more strongly closed. As the slit becomes more strongly closed, the airtightness becomes higher, and it is sanitary since dust and the like do not enter the container from the outside. Also,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a lot, the food in the container does not overflow well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when steam is generated in the vessel during heating,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slit due to a larg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ssel, and the slit opens to function sufficiently as a vent.

둘째, 뚜껑을 위에서 보면 슬릿 형성부(232)는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용기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슬릿이 열리기는 어려우며,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에도, 추가로 용기 내의 식재료가 외부로 넘쳐나오기 어렵다. Secondly, since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is concave when seen from above, the slit is difficult to open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even when the container is heavily tilted, the food material in the container hardly floats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이라도, 본 고안에 따른 특징에는 변함이 없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described above, but the fea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ain unchanged even in other configurations as described below.

가령, 조리용기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둥근 형상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반드시 저면과 측면이 명확하게 구별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다.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ooking container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but may be another shape such as a round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 결합부(13)를 볼록부, 결합부(22)를 오목부로 하였으나, 역으로 결합부(13)를 오목부, 결합부(22)를 볼록부로 해도 되며,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Although the engaging portion 13 is the convex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22 is the concave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13 may b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the convex portion. Conversely, Any shape may be used.

또한, 오목부에 패킹 등을 끼워 결합부(13)와 결합부(22)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보다 완전한 밀폐구조로 해도 된다. In addition, a gap or the lik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3 and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eliminated by inserting a packing or the like into the recessed portion, thereby providing a more complete sealing structur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손바닥 등으로 결합부(13)에 결합부(22)를 밀어서 끼워넣었으나, 가령 뚜껑부(2)의 양측에 힌지로 잠금판을 설치하고, 이 잠금판을 용기부(1)의 측면을 향해서 밀어넣음으로써, 지렛대 원리로 결합부(13)에 결합부(22)가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22 is push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3 with a palm or the like. Alternatively, a locking plate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d 2 with a hinge, 1,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push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3 by the leverage principle.

뚜껑부(2)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통기부(23)를 형성하였으나, 1개 내지 3개라도 되며, 5개 이상이라도 된다. 조리용기의 내부용적이나 슬릿의 길이 등에 따라서 통기부(23)의 개수는 적절히 최적의 개수로 하면 된다. In the case of the lid portion 2, although four vent portions 23 are formed in this embodiment, one to three or five or more vent portions 23 may be used. The number of the vent portions 23 may be appropriately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the inner volume of the cooking container or the length of the slit.

또, 통기부(23)의 형상이나 슬릿의 형상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The shape of the vent portion 23 and the shape of the slit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other shapes.

다음에, 본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가열시에 통기부의 슬릿을 통해서 증기가 배출되므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시에 용기가 변형되거나 식품이 끓어 넘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가열후에 냉각된 상태에서 용기 내부가 저온으로 됨으로써, 공기가 수축되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First, since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slit of the vent portion at the time of heating, the rise of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ontainer is deformed or the food boils over during heating. Further, sinc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cooled down in a cooled state after heating,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air is shrunk and the lid is not opened.

또한, 가열 후에 곧바로 뚜껑을 연 경우에도 내부에서 증기가 뿜어져 나오지 않으므로, 화상 등을 입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lid is opened immediately after heating, steam can not be emitted from the inside,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without being burned.

둘째, 보존시와 가열시에 뚜껑을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보존상태에서 가열상태로 원활하게 옮겨갈 수 있다. 즉, 조리용기를 냉장고나 냉동고에서 꺼내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넣을 수 있다. 이 때, 뚜껑을 열 필요가 없으므로, 먼지 등이 들어가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다.Second, it is unnecessary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rotating the lid at the time of storage and heating,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from the storage state to the heating state. That is,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or the freezer and put in the microwave oven as it is. At this tim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lid, dust does not enter and it is sanitary.

게다가, 뚜껑을 회전시키는 것을 잊고서 가열해도 용기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도 없다. Moreover,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ontainer is deformed even if it is forgotten to rotate the lid and heated.

세째, 통기부가 뚜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약간 기울인 정도로는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지 않는다.Third, since the ventil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lid surface, the food inside does not overflow at a slight inclin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그리고, 통기부의 슬릿은 선 형상으로 좁으며, 재질이 탄성체이므로, 압축응력이 가해져서 거의 닫힌 상태로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를 많이 기울인 경우에도 용기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slit of the vent portion is narrow in a line shap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an elastic body, compression stress is applied and the slit is almost closed. Therefore, even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heavily tilted,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또, 보존시에 이 슬릿을 통해 먼지 등이 용기 내부에 들어오는 일이 거의 없어 위생적이다. In addition, it is hygienic that dust and the like do not enter the container through the slit at the time of storage.

게다가, 슬릿 형성부를 위에서 보았을 때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보다 강하게 슬릿이 닫힌 상태가 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식품이 넘쳐나오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위생면에서도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lit forming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ely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slit is more strongly closed so that overflow of food in the container can be further suppressed. It can also be improved in terms of hygiene.

넷째, 통기부가 뚜껑본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가능하며, 세정시에는 뚜껑부를 분리해서 뚜껑부를 깨끗이 닦아낼 수 있다.Fourth, since the ventilation part is fitt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lid, it can be separated, and when cleaning, the lid part can be removed and the lid part can be wiped cleanly.

또, 통기부가 탄성 열화(劣化)된 경우에도, 통기부만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색이 다른 복수의 통기부를 준비해 두고, 용기를 바꿔가면서 사용함으로써, 칼러 배리에이션(color variation)을 즐길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ventilation portion is deteriorated elastically, it is economical because only the ventilation portion can be replaced. In addition, color variations can be enjoyed by preparing a plurality of vent portion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using the container while changing the container.

게다가, 통기부를 뚜껑본체의 관통공에 끼웠을 때는 관통공 외벽으로부터 압축응력을 받으므로, 슬릿이 보다 강하게 닫혀서 식품이 넘쳐나오거나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nt portion is fit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lid body, the slit is more strongly closed since it receives compressive stress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rough hole,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overflow of food or dust.

다섯째, 뚜껑부의 상면에 통기부가 나와 있는 경우, 탄성체로 만들어진 통기부의 마찰력이 크며, 조리용기를 겹쳐 쌓을 때는 용기가 잘 미끄러지지 않아 안정적이다. 즉, 복수의 조리용기를 냉장고 등에 겹쳐 쌓아서 보관할 때, 안정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미사용시 선반 등에 보관할 때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Fifth, in the case where the vent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vent portion made of the elastic body is large, and the container does not slip smoothly when stack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are stacked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or the like, they can be stored in a stable state.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is not used, it can be stored in a stable state even when it is stored in a shelf or the like.

또, 뚜껑부를 뒤집어서 테이블이나 싱크대에 올려놓았을 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통기부는 유연하므로 테이블 등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d is turned over and placed on a table or a sink, slippa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air vent is flex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on the table or the like.

<실시예 2>&Lt; Example 2 >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조리용기와 비교하여 통기부의 형상이 다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 통기부(24)의 형상은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venting part.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hape of the vent portion 24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vex when viewed from above.

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열시에 식품에서 나오는 증기를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6에 있어서 아래에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슬릿이 상부로 열리기 쉽기 때문이다. By configuring in such a shape,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discharge the steam coming out from the food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heating. This is because, in Fig. 6, the slit is liable to be opened upward by the pressure generated below.

가열시에 슬릿부는 반복해서 상하로 개폐되므로, 통기부(24)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기 쉽다. 그러나, 슬릿이 상부로 열리기 쉬운 형상이므로, 개폐동작은 무리없이 이루어지며, 개폐동작에 의한 손상은 적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열화도 최소화되도록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slit portion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at the time of heating, the vent portion 24 is liable to deteriorate over time. However, since the slit is easy to open at the to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unreasonable,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sm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terior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to be minimized.

한편, 실시예 1의 통기부(23)에 비해서,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넘쳐나오기 쉬워진다. 그러나, 슬릿 형성부(242)도 만곡된 형상이므로, 슬릿 형성부(242)에 의해 강한 압축응력이 가해지기 쉬우며, 슬릿 형성부(232)와 마찬가지로, 선 형상의 슬릿은 강하게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용기를 많이 기울였을 때에도 용기 내의 식품이 외부로 넘쳐나오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a lot, the food in the container tends to overflow to the outside as compared with the vent portion 23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since the slit forming portion 242 also has a curved shape, a strong compressive stress is likely to be applied by the slit forming portion 242, and the linear slit is strongly closed similarly to the slit forming portion 232 .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a lot, the food in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실시예 3>&Lt; Example 3 >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조리용기는 복수개의 통기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적어도 1개씩 갖고 있다.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vent portions. There is at least one vent portion 23 shown in Fig. 3 and at least one vent portion 24 shown in Fig.

이와 같이 다른 형상의 통기부를 가짐으로써, 용기 내로부터의 배기와, 용기 내로의 흡기가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By having the vent portion having such a different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both the exhaust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intake into the container are smoothly performed.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할 때는, 용기의 변형이나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서 생기는 증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필요가 있다. 또, 가열후 냉각시에는 용기 내의 증기가 수축됨으로써 용기 내부가 부압(負壓)으로 되거나, 뚜껑을 여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급기하여 부압 상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흡기와 배기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시 용기가 변형되거나 끓어 넘치는 것과, 냉각시 뚜껑이 분리되는 것 모두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food is heated by using the cooking vessel, it is necessary to exhaust the steam generated inside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r boiling of the vessel. Further, when cooling after heating, the vapor in the container is shrunk,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comes negative pressure or it becomes difficult to open the l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y from outside to relieve the negative pressure. Therefore, both the intake and exhaust are smoothly performed, so that the container is deformed or boiled over heating, and the lid is separated during cooling can be more reliably ensured.

또,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여분으로 준비해 두고, 그들을 용도에 따라 바꿔가면서 사용해도 된다.The vent portion 23 shown in Fig. 3 and the vent portion 24 shown in Fig. 6 may be prepared in excess, and they may be used while changing them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가령, 통기부(24)는 배기에 적합하므로, 증기를 배출하기 쉬우며 식품을 장시간 가열할 때는 모든 통기부를 통기부(24)로 교체함으로써, 가열시 효율적으로 배기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vent portion 24 is suitable for venting, it is easy to discharge the steam. When the food is heated for a long time, all the vent portions are replaced with the vent portion 24, so that the vent can be efficiently exhausted when heated.

한편, 식품이 넘쳐나오기 쉬운 액체형상인 경우에는, 모든 통기부를 통기부(23)로 교체함으로써, 조리용기를 기울인 경우에도 내부의 액체형상의 식품이 넘쳐나오기 어렵게 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iquid-type food in which the food is likely to overflow, all of the vent portions can be replaced with the vent portion 23, so that the liquid food inside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even when the cooking vessel is tilted.

이와 같이, 조리용기 내의 식품의 성질이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등에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통기부(23)와 도 6에 도시한 통기부(24)를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3 and the vent portion 24 shown in Fig. 6 can be used alternately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the cooking temperature, the cooking time, etc., It is one of the great features of cookware.

1: 용기부 2: 뚜껑부
11: 저면 12: 측면
13, 22: 결합부 21: 뚜껑본체
23, 24: 통기부
1: container part 2: lid part
11: bottom 12: side
13, 22: engaging portion 21: lid body
23, 24:

Claims (6)

용기부 및 뚜껑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는 개구면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갖고, 상기 뚜껑부는 이면측 바깥 테두리부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가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용기부와 상기 뚜껑부가 일체로 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결합부보다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통기부에는 선(線) 형상으로 관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Wherei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lid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by engaging portions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lid portion, and the container portion has an engaging portion at an outer rim portion of the opening surface, In the cooking vessel,
Wherein the lid portion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body inside the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vent portion is formed with a slit passing through in a lin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두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rtion of the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is concave when viewed from a front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rtion of the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has a convex shape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통기부가 설치되고,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오목 형상이고,
다른 하나의 통기부에 있어 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뚜껑부의 표면측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ventilation portions made of an elastic body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A portion of the one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is concave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other vent portion where the linear slit is formed has a convex shape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형성된 선 형상의 슬릿의 끝부분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end portion of the linear slit formed in the vent portion is circula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뚜껑부의 본체에 형성된 통기공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vent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vent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lid portion.
KR2020140002006U 2014-03-13 2014-03-13 Container for Cooking KR2004783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en) 2014-03-13 2014-03-13 Container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en) 2014-03-13 2014-03-13 Container for Coo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88U true KR20150003488U (en) 2015-09-23
KR200478379Y1 KR200478379Y1 (en) 2015-09-24

Family

ID=5434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06U KR200478379Y1 (en) 2014-03-13 2014-03-13 Container for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79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008B2 (en) * 1998-11-20 2000-07-24 株式会社アイホー Side dish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79Y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826B2 (en)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JP3143343U (en) Suction cup lid
US9801488B2 (en) Steamer container system
KR100957882B1 (en)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US20190315538A1 (en)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US20030116572A1 (en)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CN107284857B (en) Ice cream machine
JP7265088B2 (en) food storage cooking container with valve
KR101242634B1 (en) the lid for shutting tightly
EP1157648B1 (en) Receptacle for cooking food
KR200478379Y1 (en) Container for Cooking
JP2012192081A (en) Microwave cooking container
JP3171600U (en) Lid
JP3190590U (en) Cooking container
JP2017114493A (en) Packaging container and container body used for the same
US9701452B2 (en) Vented storage container
KR200406689Y1 (en) Combined sealed container
KR200311485Y1 (en) A sealed bowl for heating a food in oven or storing a food in refrigerator
JP2007301000A (en)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cooking
JPH072442Y2 (en) Check valve for vacuum sealed food storage container
JP7362329B2 (en) container
CN214002670U (en) Container sealing cover
JP7213772B2 (en) container
KR102338728B1 (en) Vacuum pot
KR200473542Y1 (en) Container Having Steam Ejection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