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86U -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 Google Patents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86U
KR20150003486U KR2020140001972U KR20140001972U KR20150003486U KR 20150003486 U KR20150003486 U KR 20150003486U KR 2020140001972 U KR2020140001972 U KR 2020140001972U KR 20140001972 U KR20140001972 U KR 20140001972U KR 20150003486 U KR20150003486 U KR 20150003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container
biodegradable res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은룡
이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산하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산하토건(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Priority to KR2020140001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86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외주벽 상부 영역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공이 형성된 겉화분과,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분흡수부재가 삽입된 속화분과,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식재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속화분의 표면에 마련되는 멀칭부재로 이루어진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있어서, 상기 겉화분의 급수공 직하부에서 상기 겉화분의 외벽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지름은 상기 겉화분의 외벽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부지름은 상기 외벽지름보다 크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통공을 갖고 외벽의 하부면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된 급수받이와; 금속과 비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멀칭부재를 상기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겉화분과 급수받이를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시 성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멀칭부재를 별도 제작된 고정태로서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함으로써 차폐가 견고하고 차폐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Bio-degradable sub-irrigation plant container on sterile land}
본 고안은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돌서렁(talus) 등과 같은 척박지에 설치되어, 생장의 멈춤이 없이, 빠른 속도로 각종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도록 한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272482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의 설치방법 및 그 용기"에서 식물식재용기를 개량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멀티부재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등과 같은 척박지에는 식물의 생장이 이루어질 수 없다. 그 이유는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만큼의 물과 흙이 없고 폐석 또는 암석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및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이용한 식물재배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이들 모두는 실내 및 특수한 환경에서 국한되어 사용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는, 흙과,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제1용기와, 제1용기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물을 수용하는 제2용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은 수분흡수부재에 의해 제1용기에 담긴 흙 또는 나무를 포함한 식물에 공급되는 형태이다.
또한, 종래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부 저면에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실을 형성하고, 물 수용실 상부에는 격벽을 두고 흙을 담아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물은 역시 수분흡수부재를 통해 흙과 식물에 물을 공급되는 구성의 채용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들은, 그 구성의 특징으로 볼 때, 실내 및 특수한 환경에서 국한되어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들 종래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는,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만큼의 물과 흙이 없고, 폐석 또는 암석만 존재하는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등과 같은 척박지에서는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는 나무를 포함한 식물을 생장시키는 물이 소모되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지 않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관리자가 일일이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관리자가 없는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등과 같은 척박지에서는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나무를 포함한 식물생장이 지속으로 이루어지면 나무를 포함한 식물 뿌리들이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등과 같은 척박지의 암면에 활착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는 오랜 기간에도 분해되지 않고 최초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뿌리가 폐석사면, 암절토비탈면 등과 같은 척박지의 암면에서 뿌리의 활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장을 멈추고 고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안되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공고일자:2013. 06. 10) 특허등록 제10-1272482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의 설치방법 및 그 용기"에서의 식물식재용기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표면이 개구되고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에 수분흡수부재가 설치되며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된 식물식재용기와, 적어도 하나의 식재공을 가지고 상기 식물식재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 및 잡초의 생장을 차단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식물식재용기의 상부 외벽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공의 하부방향인 상기 식물식재용기의 상부 외벽 둘레방향에 급수받이가 형성되며 부석, 돌,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가 일정량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식물식재용기의 저면이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접촉되도록 한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된 관수용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부석, 돌,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허등록 제10-1272482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의 설치방법 및 그 용기"에서의 식물식재용기는, 급수공을 갖는 관수용기와 급수받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조시 성형이 용이치 않으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식물식재용기에 나무 또는 식물을 식재한 후 상부에 별도 형성된 차폐부재를 설치하여 묶거나 또는 씌어두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폐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겉화분과 급수받이를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시 성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며, 차폐부재를 별도 제작된 고정태로로서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함으로써 차폐가 견고하고 차폐작업이 간편한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외주벽 상부 영역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공이 형성된 겉화분과,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분흡수부재가 삽입된 속화분과,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식재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속화분의 표면에 마련되는 멀칭부재로 이루어진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있어서, 상기 겉화분의 급수공 직하부에서 상기 겉화분의 외벽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지름은 상기 겉화분의 외벽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부지름은 상기 외벽지름보다 크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통공을 갖고 외벽의 하부면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된 급수받이와; 금속과 비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멀칭부재를 상기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겉화분과 급수받이를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시 성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멀칭부재를 별도 제작된 고정태로로서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함으로써 차폐가 견고하고 차폐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용기를 식혈에 안치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1)는, 겉화분(10)과, 상기 겉화분(10)의 외벽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급수받이(20)와, 상기 겉화분(10) 상측에서 상기 겉화분(10)의 개구(11)에 걸림되어 바닥면이 상기 겉화분(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속화분(30)과, 상기 속화분(30) 상면에 마련되는 멀칭부재(40)와, 상기 멀칭부재(40)를 상기 속화분(2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태(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겉화분(10)은, 상면이 개구(11)되어 있고, 저면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외주벽(12) 상부 영역 둘레방향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공(13) 직하부에서 상기 겉화분의 외벽 둘레방향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받이(20)는, 하부지름은 겉화분(10)의 외벽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지름은 외벽지름보다 크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통공(21)을 갖고 외벽(22)의 하부면이 상기 걸림턱(14) 윗면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속화분(30)은 상부에 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공(33)이 형성되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3)에 수분흡수부재(34)가 삽입되어 상기 겉화분(10) 상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멀칭부재(40)는 표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재공(41)이 형성되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속화분(30)의 개구(31)를 차폐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태(50)는 금속과 비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40)를 상기 속화분(30)의 상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1)는 도 2 또는 도 5와 같이 조립되어 겉화분(10)이 식재대상 지표면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형상과 깊이로 형성한 식혈(100)에 마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1)를 생분해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식물식재용기가 순차적으로 현장 분해되는 것으로서 나무를 포함한 식물뿌리가 척박지에 활착되어 생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겉화분(10)의 내부에는 부석 등과 같은 재질의 간격유지부재(200)가 채워지며, 속화분(30)의 내부에는 분토 및 인공부양토(300)가 채워지며 이에 식물(T)이 식재된다.
본 고안에 따른 겉화분(10)의 내부로의 급수는 겉화분(10)의 걸림턱(14)에 걸림되어 빗물 등을 받는 급수받이(20)에 물이 고이면 빗물 등은 급수공(13)을 통하는 겉화분(10)의 내부로 유입되면 물은 수분흡수부재(50)를 통하여 속화분(30)의 분토 및 인공부양토(300)에 공급되어 식물의 생장을 돕는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급수받이(20)를 겉화분(10)과 별도로 구성하여 겉화분(1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시 사출성형이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멀칭부재(40)를 속화분(3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테(50)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차폐가 견고하고 차폐작업이 간편해지며 결과적으로 멀칭부재(40)가 고정되어 잡초가 생장하는 것을 방지하고, 태양광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나무를 포함한 식물의 생장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식물식재용기
10 : 겉화분
11 : 개구
12 : 외주벽
13 : 급수공
14 : 걸림턱
20 : 급수받이
21 : 통공
30 : 속화분
31 : 개구
32 : 바닥면
33 : 관통공
40 : 멀칭부재
41 : 식재공
50 : 고정테

Claims (1)

  1. 상면이 개구되고 저면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고 외주벽 상부 영역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공이 형성된 겉화분과,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수분흡수부재가 삽입된 속화분과,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식재공을 갖도록 생분해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속화분의 표면에 마련되는 멀칭부재로 이루어진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에 있어서,
    상기 겉화분의 급수공 직하부에서 상기 겉화분의 외벽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턱과;
    하부지름은 상기 겉화분의 외벽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부지름은 상기 외벽지름보다 크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통공을 갖고 외벽의 하부면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된 급수받이와;
    금속과 비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멀칭부재를 상기 속화분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KR2020140001972U 2014-03-12 2014-03-12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KR201500034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72U KR20150003486U (ko) 2014-03-12 2014-03-12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72U KR20150003486U (ko) 2014-03-12 2014-03-12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86U true KR20150003486U (ko) 2015-09-23

Family

ID=5434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72U KR20150003486U (ko) 2014-03-12 2014-03-12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8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771A1 (ko) * 2016-07-04 2018-01-11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통기성 향상과 저면관수 상부방출방식으로 습기조절이 가능한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771A1 (ko) * 2016-07-04 2018-01-11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통기성 향상과 저면관수 상부방출방식으로 습기조절이 가능한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1983A (en) Water and fertilizer dispenser for plants
US20110162272A1 (en) Container gardening system
KR101778976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US20120227316A1 (en) Plant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US20160309670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JP2016093120A (ja) 植物栽培装置
JP5984071B2 (ja) 静止液法を栽培方式とした乾燥地でのジャガイモ露地水耕栽培の方法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101829989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150003486U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CN202104064U (zh) 韭菜种植箱
KR20150127326A (ko) 어류의 배설물을 비료로 이용하는 수평 구조의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US20090173003A1 (en) Plant care device
JP2014110766A (ja) 砂漠に於いて稲作を可能と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72482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용기의 설치방법 및 그 용기
KR101948754B1 (ko) 정원조성모델 가이드 프레임
JP2007138637A (ja) 播種育成緑化工法及びその播種育成用竹製ポット
EP2792233A1 (en) Transplantation cone for nurseries
RU2058713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2014090698A (ja) 砂漠を緑化する方法、及びポリ乳酸製発泡農業用箱、及びポリ乳酸製発泡農業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