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91U - Air slab - Google Patents

Air sl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91U
KR20150003391U KR2020150004309U KR20150004309U KR20150003391U KR 20150003391 U KR20150003391 U KR 20150003391U KR 2020150004309 U KR2020150004309 U KR 2020150004309U KR 20150004309 U KR20150004309 U KR 20150004309U KR 20150003391 U KR20150003391 U KR 201500033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air
slab
air sla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채문
문찬호
권순웅
권일
Original Assignee
임채문
문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문, 문찬호 filed Critical 임채문
Priority to KR2020150004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391U/en
Publication of KR20150003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9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43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having elongated hollow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8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assembled of block-shaped elements, e.g. hollow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ir slabs.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an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slab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low cavities, the hollow comprising: a first hollow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both ends of the air slab; And a second hollow located in the remainder of the air slab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llows, wherein a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holl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slab and a thickness Wherein the region between the imaginary vertical plan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low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low is perpendicula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imaginary vertical plan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hollow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Region can be formed at a relatively high density.

Description

에어 슬래브{AIR SLAB}Air Slab {AIR SLAB}

본 고안은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 응력의 분포에 따라서 중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인 철근의 배근 없이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lab,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lab capable of increasing the size of a hollow slab by adjusting the size of a hollow in accordance with a distribution of internal stress without an additional reinforcement.

중공 슬래브 또는, 에어 슬래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으로, 재료의 절감 및 자중의 감소를 위하여 그 내부에 장변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슬래브를 의미한다. 즉 에어 슬래브는 슬래브의 휨 성능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부분의 콘크리트를 삭제하여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물량을 감소시켜서 전체 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The hollow slab or the air slab is made of precast concrete and means a slab in which a hollow is formed in the long side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material and reduce the weight. In other words, the air slab reduces the weight of the entire structure by decreasing the amount of concrete by forming voids by removing the concrete which has less influence on the bending performance of the slab.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를 보인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sla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 슬래브(10)는 기설정된 장변 길이, 단변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는, 그 단변 길이(l)가 1200mm 또는 그 이하의 규격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12)이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내부에는 장변 방향으로 다수개의 중공(1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air slab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ong side length, a short side length and a height. Normally, the air-side slab 10 has a short side length l of 1200 mm or less. In the air slab 10, a plurality of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12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 plurality of hollows (1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lab (10).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slab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의 에어 슬래브(10)는, 그 단변 길이(l)가 1200mm 이하의 값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구조물의 크기에 맞춰서 다수개의 상기 에어 슬래브(10)를 그 단변 방향으로 배열하여야 하므로, 시공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First, in the conventional air slab 10, its short side length l is made to be 1200 mm or less. Therefore,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the air slabs 10 must be arranged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tructur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이와 같은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2400mm의 단변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에어 슬래브(1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 환경에 따라서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 예를 들면, 휨모멘트 등에 저항하기 위하여 별도의 철근 등을 배근하거나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에어 슬래브(10)의 단변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재료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inconvenience, when the width of the air slab 10 is increased and the air slab 10 is formed to have a short side length of, for example, 2400 m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air slab 10 or to reinforce another reinforcing bar or the like in order to resist stress acting on the short side of the air slab 10, for example, bending moment. Thus, conventionally, the use of additional materials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air slab 10. [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slab which can be relatively increased in short side length.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변 길이의 증가를 위하여 소요되는 재료의 추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lab tha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addition of material required to increase the short side length.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an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slab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s, the hollow having a first hollow positioned at a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air slab; And a second hollow located in the remainder of the air slab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llows, wherein a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holl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slab and a thickness Wherein the region between the imaginary vertical plan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low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low is perpendicula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imaginary vertical plan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hollow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Region can be formed at a relatively high density.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1중공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일 수 있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hollow may be at least one-half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hollow, and at most 7/10.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중공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In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hollow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hollow.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2중공의 높이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hollow may be design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ollow.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000mm 이상의 단변 길이를 가진 에어 슬래브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air slab having a short side length of 2000 mm or mo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에어 슬래브의 단변 길이의 증가에 따라서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의 철근의 배근이나, 에어 슬래브의 두께의 증가 등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단변 길이가 2000mm 이상인 에어 슬래브의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reinforcing bars for reinforcing the bending moment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air slab, increase of the thickness of the air slab, and the lik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slab having a short side length of substantially 2000 mm or more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economical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슬래브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slab according to a prior art;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sla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 슬래브(100)는, 3개의 제1부분(101) 및 2개의 제2부분(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부분(101)은,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분(102)은, 상기 제1부분(101)을 제외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나머지에 위치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일부가 상기 제1부분(101)을 정의하고, 상기 제1부분(101)을 제외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부분(102)을 정의한다고도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분(101)(102)의 좌우폭,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길이(L)는 적어도 200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400mm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ir sla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first portions 101 and two second portions 102. The first portion (101)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both ends of the air slab (100). And the second portion (102) is located in the remainder of the air slab (100) except for the first portion (101). In other words, the center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air slab 100 define the first portion 101,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air slab 100 excluding the first portion 101 defines the second Quot; portion " 102 ".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01 and 102, that is, the short side length L of the air slab 100 may be at least 2000 mm or more, preferably, 2400 mm.

그리고 상기 제1부분(101)에는 각각 제1중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중공(1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부분(10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A first hollow 110 is formed in the first portion 101. The first hollow portion 110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101, that is, in the long-side direction of the air slab 100.

또한 상기 제2부분(102)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2중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중공(120)도, 상기 제1중공(110)과 유사하게, 상기 제2부분(102)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상기 제2중공(120)은 상기 제2부분(102)의 폭방향,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A plurality of second hollows 120 ar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02. Similarly to the first hollow 110, the second hollow 12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lab 100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102.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second hollows 120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re equidistant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102, that is,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air slab 10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중공(110)이 상기 제2중공(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에어 슬래브(100)가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 즉 상기 에어 슬래브(100)가 기둥이나 보 등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저장하는 재료, 즉 콘크리트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중공(110)의 단면을 상기 제2중공(120)의 단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값이 큰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중앙부 및 양단부, 즉 상기 제1부분(101)의 재료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부분(101)의 재료의 양만 증가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의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단변 길이의 증가에 따른 휨모멘트의 증가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중공(110)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120)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llow portion 11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cross section as compared with the second hollow portion 120. This is because when the air slab 100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that is, when the air slab 100 is supported by a column or a beam or the like, the bending moment acting substant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of the air slab 100 To increase the amount of material to be stored, that is, concret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hollow 11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hollow 120, the air slab 100 having a relatively large bending moment value, That is, the amount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portion 101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portion 101 is increased, the increase in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air slab 100 can be prevented, while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material required to manufacture the air slab 100 relatively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ist the increase of the bending moment according to the bending moment. For example,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hollow 110 may be determined to be at least one-half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120, but not more than 7/10.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중공(110)(120)의 크기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부분(101)(102)의 밀도차로 설명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부분(101)은, 상기 제2부분(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갖는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The difference in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110 and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explained by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01 and 102. That is, the first portion 101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density than the second portion 102.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100)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130)이 배근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 철근(130)이 상기 에어 슬래브(100)의 장변 및 단변 방향, 즉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상기 온도 철근(130)은, 상기 중공 슬래브(10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A plurality of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130 are disposed in the air slab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130 are arranged in the long and short sides of the air slab 100, that is, in a lattice shape. The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130 are intended to resist stresses due to temperature changes of the hollow slabs 100. [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슬래브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sla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 슬래브(200)는, 제1 및 제2부분(201)(20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201)(202)에는, 각각 제1 및 제2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 슬래브()에는 다수개의 온도 철근(230)이 상기 에어 슬래브(200)의 격자 형상으로 배근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ir slab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portions 201 and 202. In the first and second parts 201 and 202, first and second hollows are forme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emperature reinforcing bars 230 are laid on the air slabs in a lattice shape of the air slabs 200.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중공(220)의 단면 크기가, 상기 제1중공(210)또는 상기 제1부분(201)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즉, 상기 제2중공(220) 중 상기 제1중공(210)과 가장 인접한 상기 제2중공(221)에 비하여 상기 제1중공(2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이격되는 상기 제2중공(223)이 상대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갖는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슬래브(220)의 단변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제2중공(220)의 크기를 결정한 것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220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hollow portion 210 or the first portion 201. That is, the second hollow 223, which is relatively farthest from the first hollow 210, is located in the second hollow 220, as compared with the second hollow 221 closest to the first hollow 210. And has a relatively larger cross-section. Which substantially determines the size of the second hollow 220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bending moment acting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air slab 220.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0, 200 : 에어 슬래브 101, 201: 제1부분
102, 202 : 제2부분 110, 210 : 제1중공
120, 220 : 제2중공 130, 230 : 철근
221, 222, 223, 224, 225 : 제2중공
100, 200: air slab 101, 201: first part
102, 202: second part 110, 210: first hollow
120, 220: second hollow 130, 230: reinforcing bar
221, 222, 223, 224, 225: the second hollow

Claims (4)

다수개의 중공을 포함하는 에어 슬래브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에어 슬래브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중공; 및
상기 제1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슬래브의 나머지에 위치되는 제2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과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중공에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은, 상기 에어 슬레브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중공의 중심을 각각 지나는 한쌍의 가상의 수직면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는 에어 슬래브.
An air slab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lows, comprising:
The hollow,
A first hollow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both ends of the air slab; And
And a second hollow located in the remainder of the air slab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low space,
An area between a virtual vertical surfac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holl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sleeve and a virtual vertical surface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low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sleeve, Air slabs are formed at a relatively high density relative to a region between a pair of imaginary vertical surfaces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second hollow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sleev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의 단면은,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1/2 이상 7/10 이하인 에어 슬래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hollow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2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중공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는 에어 슬래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ollow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hollow.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의 높이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계되는 에어 슬래브.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eight of the second hollow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ollow.
KR2020150004309U 2015-06-26 2015-06-26 Air slab KR2015000339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en) 2015-06-26 2015-06-26 Air sl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en) 2015-06-26 2015-06-26 Air slab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919A Division KR20150032358A (en) 2013-09-16 2013-09-16 Air sla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91U true KR20150003391U (en) 2015-09-14

Family

ID=5434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09U KR20150003391U (en) 2015-06-26 2015-06-26 Air sl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39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039B1 (en) Corrugated steel web box girder bridge, and continuous support structure thereof
KR20080020067A (en) Structure for steel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JP2011184969A (en) Method for setting support spacer for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JP518483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ynthetic steel slab girder bridge
KR102632017B1 (en) Structural system for replacing a standard bea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eof
KR20110052101A (e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slab for cable bridge
KR101518854B1 (en) Composite Girder with Heating-Reinforcing Steel-Truss Member and Concrete Member
KR20150003391U (en) Air slab
KR20160101258A (en) slab integrated arch bridge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JP2006118162A (en) Seismically reinforced concret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35567A (en) Hollow core slab having difference of level joint for enhanced unified body
KR102061515B1 (en) Synthetic girders with increased flexural stiffness and section modulus, temporary structures and bridges using composite girders
JP5722093B2 (en) Structural wall crack control structure
JP2014227827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wall board and method thereof
KR101051475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with cross section area of bottom flange changing continuously
JP6374712B2 (en) Reinforced structure and reinforcing unit for reinforced concrete foundation beams
KR101300490B1 (en) Hollow girder having upper flange of different material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for the same
KR20150032358A (en) Air slab
KR20120028198A (en)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foam block structure
KR102204901B1 (en) Shear wall reinforced with steel plate
KR101532430B1 (en) Methods for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of hybrid-type rib slab having increased rib height
JP2017115472A (en) Lamination block, lightweight banking structure using lamination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lightweight banking structure
JP6449805B2 (en) Synthetic deck deck plate
JP7453837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s
KR101136851B1 (en) Stud for protecting a bu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