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03U -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03U
KR20150002703U KR2020140004901U KR20140004901U KR20150002703U KR 20150002703 U KR20150002703 U KR 20150002703U KR 2020140004901 U KR2020140004901 U KR 2020140004901U KR 20140004901 U KR20140004901 U KR 20140004901U KR 20150002703 U KR20150002703 U KR 201500027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female screw
lower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철
Original Assignee
전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철 filed Critical 전병철
Publication of KR20150002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파티션용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있어서, 팜너트를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를 돌출시키고, 숫나사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 와 상기 받침대의 숫나사부를 나선결합시키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Adjustable height of the lower frame}
본원 고안은 파티션용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있어서, 팜너트와 받침대의 나사결합으로 파티션용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사각의 프레임의 양면에 다수개의 패널이 결합 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이 서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사무실 등의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또한, 파티션의 중간 부분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판을 설치하여, 이 상판을 책상의 용도로 사용하게 되며, 책상의 하부에는 각종 칸막이나 서랍장 등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파티션의 하단부에는 내부로 각종 배선을 하거나 소켓 등을 달기 위한 하부커버가 결합 되고, 상기 사각의 프레임 하단에 받침대가 결합 되어 파티션이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파티션을 설치하는 사무실의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은 아무리 시공을 잘한다고 해도 그 바닥면의 수평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여 요철이 생긴다. 이런 바닥면에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하면 수평을 맞추기 어렵고, 파티션 패널이 움직여서 트러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조립식 파티션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수평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하여, 종래는 파티션용 하부 커버를 떼어내고 사각의 프레임 하단에 설치된 받침대를 회전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부재를 삽입하여 수평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별도의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 별도의 판지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별도의 판지가 임의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팜너트를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를 돌출시키고, 숫나사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 와 상기 받침대의 숫나사부를 나선결합시켜 높이 조절을 하는 새로운 구조의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티션용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암나사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팜너트;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용 패널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파티션용 패널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내향 절곡된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받침대는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숫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결합된 암나사부를 수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파티션용 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핀이 관통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파티션을 다수개로 배치하는 경우 높낮이 편차로 인하여 측면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여 파티션들의 수평 맞춤 및 측면 연결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티션용 패널 과 하단 프레임이 결합시 팜너트 와 받침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나사선이 보이지 않으므로 주변환경에 미적 공간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단면도.
도 5는 받침대의 회전에 의하여 암나사부를 수용하는 커버의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서 파티션용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C'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단면도, 도 5는 받침대의 회전에 의하여 암나사부를 수용하는 커버의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서 파티션용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C'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티션용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상의 플레이트(100),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암나사부(210)가 돌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팜너트(200),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평판상의 플레이트(100)에 팜너트(200)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팜너트(200)의 암나사부(21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었으며, 상기 암나사부(210)에 받침대(300)가 수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팜너트(200)를 구비한다. 구비된 상기 팜너트(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면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암나사부(210)가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300)를 구비한다. 구비된 상기 받침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받침대(300)는 중앙에 숫나사부(310)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부(31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숫나사부(310)와 결합되는 상기 암나사부(210)를 수용하는 커버(3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상기 받침대(300)는 상기 숫나사부(310)와 상기 암나사부(21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본 고안의 하단 프레임이 바닥에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의 양측에서 파티션용 패널(400)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내향 절곡된 측벽(110)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10)은 일정부분의 높이를 가지게되어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하부가 수용되었을 때, 수용된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이 앞뒤로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500)에 고정핀(51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핀(510)이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하부 단부면에 삽입되게 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와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A-A'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팜너트(200)가 상기 플레이트(100)의 내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부(210)가 돌출되고, 상기 받침대(300)의 숫나사부(310)가 상기 암나사부(210)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받침대(300)는 중앙에 숫나사부(310)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부(310)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일정높이를 가지는 커버(330)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300)의 하부를 잡고 회전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300)는 회전수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00)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암나사부(210)를 상기 커버(330)가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와 근접 하게되면 상기 암나사부(210)가 상기 숫나사부(310)의 하단과 거리가 줄어들게되므로, 결합력이 증대되어 상기 플레이트(1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팜너트(200)와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3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나 이상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받침대(300)를 회전하여 높낮이를 맞추면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파티션(P)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파티션용 패널(400)을 양측에 내향 절곡된 측벽(110)이 형성된 평판상의 플레이트(100)에 수용하여 한 쌍의 파티션(P)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으로 형성된 상기 파티션(P)을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대(300)의 상기 숫나사부(310)가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상기 팜너트(200)의 상기 암나사부(2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300)의 중심축에 형성된 숫나사부(31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내측에서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과 상기 플레이트(100)가 결합할 때 밀착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도 6의 B-B'를 종방향으로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은 상기 숫나사부(310)와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하부 단부면과 맞닿는 부분에 수용홈(600)을 형성하여,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이 상기 플레이트(100)에 수용되어 밀착될 때 상기 숫나사부(310)가 상기 수용홈(600)에 수용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은 도 6의 C-C'를 종단시킨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0)에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을 수용하여 밀착시키고, 상기 플레이트(100)의 적당한 위치에 중공된 고정공(500)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0)의 외측에서 고정핀(51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공(500)에 삽입시킨다. 삽입된 상기 고정핀(510)은 상기 플레이트(100)에 밀착된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하부면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와 상기 파티션용 패널(400)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한 쌍의 파티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상기 파티션(P)은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사무실 공간을 구획할 때, 서로 인접하여 맞닿은 상기 파티션(P)은 상기 받침대(300)를 회전하여 높이를 조절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플레이트 110 : 측벽
200 : 팜너트 210 : 암나사부
300 : 받침대 310 : 숫나사부
320 : 커버 400 : 파티션용 패널
500 : 고정공 510 : 고정핀
600 : 수용홈

Claims (5)

  1. 파티션용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암나사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팜너트;
    상기 팜너트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용 패널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파티션용 패널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내향 절곡된 측벽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숫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결합된 암나사부를 수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용 패널과 결합하는 고정핀이 관통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 프레임.
KR2020140004901U 2013-12-27 2014-06-30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 KR2015000270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51 2013-12-27
KR20130010851 2013-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03U true KR20150002703U (ko) 2015-07-08

Family

ID=5379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01U KR20150002703U (ko) 2013-12-27 2014-06-30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7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739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내츄럴윈도우 조립식 건축 자재용 프레임
KR101884572B1 (ko) * 2017-09-07 2018-08-29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739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내츄럴윈도우 조립식 건축 자재용 프레임
KR101884572B1 (ko) * 2017-09-07 2018-08-29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602B2 (en) Furniture assembly
US20180274230A1 (en) Modular system
JP6050361B2 (ja) 引出し
KR101826487B1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US20170188703A1 (en) Reusable Piece of a Furniture
KR20150002703U (ko) 높이조절 가능한 하단프레임
KR200451966Y1 (ko)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JP6469614B2 (ja) 抽斗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101312790B1 (ko) 착탈식 책상칸막이
JP2007117232A (ja) 組立式収納家具
CN202375664U (zh) 组合柜
KR100934933B1 (ko) 칸막이 벽체의 티형 연결 조립장치
KR20045710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 캡
CN105054598A (zh) 一种悬臂式储藏架
CN107059349B (zh) 一种洗衣机
CN206469581U (zh) 一种内显顶灯结构及其冰箱
JP2009174582A (ja) 支柱連結構造
KR200231072Y1 (ko)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JP3097447U (ja) 収納棚
CN210902151U (zh) 一种拼接式智能组合家具
KR20200001091A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KR20130115936A (ko) 티 자형 스탠드
RU2793884C2 (ru) Система соединения и выравнивания частей мебели и элементов мебе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