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518U - 가구용 바지 걸이대 - Google Patents

가구용 바지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518U
KR20150002518U KR2020130010568U KR20130010568U KR20150002518U KR 20150002518 U KR20150002518 U KR 20150002518U KR 2020130010568 U KR2020130010568 U KR 2020130010568U KR 20130010568 U KR20130010568 U KR 20130010568U KR 20150002518 U KR20150002518 U KR 20150002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free fall
pants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202013001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518U/ko
Publication of KR20150002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장에 바지를 걸기위해 사용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측면 프레임의 후측단에 일체로 연접 성형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인출구가 동일선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수납장의 내벽에 고정되는 후방프레임; 측면 프레임에 수평방향 이동과 절첩 때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가로바; 제1 가로바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프레임에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제1 가로바와 연동되는 제2 가로바; 및 서로들 균등 간격으로 제1, 제2 가로바와 교차 결합되며 그 일단부가 후방프레임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걸이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바지를 걸지 않을 때에, 한번의 절첩 동작만으로 바지가 걸려지는 걸이바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게 하여,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바지 걸이대{Pants hanger for furniture}
본 고안은 예컨대, 장롱이나 옷장 등과 같은 수납장의 내측벽 또는 후벽에 설치되어 바지 등을 구김없이 깔끔하게 걸어서 정돈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바지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장의 내벽에 설치된 걸이대를 지면에 대해 수직편심이나 유동이 없도록 수평상태로 안전하게 락(lock)을 유지시켜 바지 등을 깔끔하게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또 걸이대를 사용치 않은 시에는 한번의 절첩 동작만으로도 락상태의 걸이대를 수납장의 내벽에 대해 수직상태가 되도록 해지 전환시켜, 수납장의 한정된 공간에서의 바지걸이 외에 기타 다른 의류등을 깔끔하게 접어 적층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활용의 다양성과 절첩구조의 간편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옷장 등과 같이 한정된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장 내에 바지를 걸기 위해 일반 삼각형태의 옷걸이나 집게가 달린 "T"자형의 옷걸이를 사용하여 수납장 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마련된 가로바에 걸어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보관방법은, 바지를 옷걸이에 반으로 접어 걸거나 또는 집게에 물린 상태에서 다시 옷걸이를 수납장의 가로바에 걸어야 할뿐 아니라 가로바에 걸려진 바지를 꺼내기 위해서는 일일이 걸려진 바지들을 들쳐 보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옷걸이의 집게에 물린 부분이나 폭이 좁은 옷걸이에 접혀져 걸린 부분에 구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별도의 옷걸이를 사용치 않고 수납장 내에 직접 바지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종류의 가구용 바지 걸이대들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바지 걸이대는 대부분 서로들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형상태로 배열된 다수의 걸이바가 하나의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수납장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된 구조이거나 또는 바지 걸이대의 걸이바를 수납장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이러한 형태의 바지 걸이대들에 있어서는 별도의 옷걸이를 사용치 않고서도 바지를 수납장의 걸이바에 바로 걸수가 있으므로 바지의 구겨짐이 방지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된다 할 수는 있으나, 이는 수납장의 내측벽으로부터 바지 걸이대의 걸이바가 바지 걸이의 사용과 무관하게 횡방향으로 돌출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바지 이외의 다른 의복, 예컨대 접어서 적층 보관하더라도 구김이 생기지 않는 스웨터나 운동복, 내복 등과 같은 의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좁아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 의류등을 보관함에 있어 상당한 공간 제약을 받게 되는 또다른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걸이대의 사용여부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바지 걸이대를 수직 및 수평상태로 락시켜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또 바지가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흘러내림이 없도록 잡아주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들이 다양한 형태로 많이 안출되어 실시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 가구용 바지 걸이대의 예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131497호(1998. 12. 15. 공고) 및 등록실용신안 제0222532호(2001. 05. 02. 공고)의 명세서는 수납장의 내측벽에 수직방향으로 절첩 또는 수납장의 내부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바지 걸이대를 설치하여, 좁은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제0131497호의 바지 걸이대는, 장롱의 측벽에 결합요부와 상향 개구된 수직안내홈이 형성된 장방형의 본체 전면에 받침각과 개구부 및 받침홀을 갖는 다수의 지지판을 형성하여, 바지가 걸려지는 다수의 걸이대를 각각의 지지판과 회동 절첩이 가능하도록 개별적으로 결합한 구조이다.
이러한 바지 걸이대의 구조는, 바지를 걸지 않은 걸이대만을 개별 선택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어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겠으나, 그 개별적으로 접기 위한 절첩구조가 약하고 매우 복잡하여 외부의 충격, 즉 바지를 걸거나 빼낼 때 마다 수직방향으로의 편심과 좌우 유동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걸이대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그 걸이대를 하나 하나씩 접어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0222532호의 바지 걸이대는, 그 명세서에서, 옷장의 내측벽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상, 하부 브라켓; 상기 상, 하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양단에 안내공이 각각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상, 하부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는 상, 하 안내부재; 상기 안내공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단의 타단이 다중 절곡되어 수직봉과 수평봉이 형성된 지지단, 상기 이동단과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봉에 일단부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바지 걸이단으로 이루어진 걸이부재; 및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 코너부 이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과 상기 걸이부재의 이면과의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타단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걸이부재가 수직상태에서 인출되어 수평상태로 전개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단으로 구성되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222532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바지가 걸리는 걸이부재가 옷장으로부터 수평으로 전개되어 인출되고, 옷장의 내측벽과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수납되어 보관됨으로써, 옷장의 공간활용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하겠으나 이는, 바지 걸이대에 바지를 걸거나 꺼낼 때 마다 전체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옷장 내부에 수납된 걸이부재를 옷장의 외부로 잡아당겨 인출하고, 또 그 수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걸이부재를 잡고 회동시키면서 다시 옷장의 외측으로 잡아당겨 주어야 만이 걸이부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바지를 걸수 있거나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지 걸이대는, 바지를 걸거나 꺼낼 때마다 잡아당김과 회동 및 잡아당김의 과정을 반복해 주어야 만이 걸이부재가 수평상태로 전개되어 바지를 걸거나 꺼낼 수가 있고, 수납 때에는 그 역순으로 밀어줌과 회동 및 밀어줌의 과정을 연속으로 조작해야 만이 걸이부재가 옷장 내에 수직상태로 수납되게 되어 있으므로, 바지를 걸거나 꺼낼 때마다 조작의 불편함이 있며, 다른 한편으로는 걸이부재에 걸린 바지가 계단식으로 나열되어 빈틈없이 밀착 보관되므로써, 바지와 바지 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치 않고 이것에 의해 습기가 많은 날, 특히 장마철 때 바지에 곰팡이 균이 발생할 수가 있다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장으로부터 바지를 걸거나 빼낼 때 걸이바의 수직편심과 좌우 유동이 없도록 수평상태를 유지시켜 바지를 빼내거나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고, 걸이대를 사용치 않은 시에는 한번의 절첩 동작만으로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게 하여,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바지 걸이대는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자유낙하 유도안내공과 인출장공 및 인출안내공을 갖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칭시켜 구비하고, 또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연동하는 제1, 제2 가로바에 다수의 걸이바를 균등간격으로 교차 결합시켜 상기 제1, 제2 가로바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수평이동과 수직상으로의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결합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 절첩구조의 단순화로 외부의 충격에 따른 걸이대의 편심과 파손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바지 걸이대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제1, 제2 가로바에 걸이바를 교차시켜 고정한 다음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제1, 제2 가로바를 이탈이 없도록 끼워 맞춤으로 결합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바지 걸이대에 의하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상부에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직각 절개된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이, 그리고 상기 수평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선단이 개방된 자유낙하 인출장공 및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의 하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인출안내공을 갖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후측단에 일체로 연접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인출구가 동일선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수납장의 내벽에 고정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에 수평방향 이동과 절첩 때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가로바; 상기 제1 가로바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에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로바의 자유낙하 때,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으로부터 인출된 후 수직상태로 자유낙하 하여 상기 인출안내공에 인입되는 제2 가로바; 및 서로들 균등 간격으로 상기 제1, 제2 가로바와 종방향으로 교차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의 인출구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걸이바;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출안내공의 후방 끝점을 상기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의 수직방향 끝점과 동일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의 수직방향 끝점과 상기 인출안내공의 후방 끝점과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제2 가로바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걸이바가 교차 결합된 제1, 제2 가로바를 서로 대칭되게 위치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 및 선단이 개방된 자유낙하 인출장공에 각각 끼우게 되면 상기 걸이바들의 단부가 후방프레임의 인출구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되므로 다수의 걸이바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걸이대를 접고자 할 때에는, 걸이바를 잡아당겼다 놓게 되면 제1 가로바는 수평이동을 하면서 수직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으로 자유낙하 되고 이와 연동되는 제2 가로바 역시 자유낙하 인출장공에서 인출되어 인출안내공으로 인입되므로, 결국 다수의 걸이바가 수납장의 내벽에 대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한 번의 조작에 의해 바지 걸이대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되어, 조작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또 절첩구조가 단순화하여, 외부의 충격에 따른 편심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가구용 바지 걸이대에 의하면, 다수의 걸이바가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제2 가로바에 균등 간격으로 교차 결합된 다수의 걸이바 중 어느 하나의 걸이바를 잡아 당겼다 놓게 되면 제1, 제2 가로바가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매개로 수평이동과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되어 다수의 걸이바를 수납장의 내벽에 대해 수직상태로 전환 유지시키게 됨으로써, 절첩 조작이 한층 더 편리함과 아울러 걸이바가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납장의 한정된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기타의 다른 의류를 적층시켜 보관 할 수가 있다.
또한, 절첩구조가 단순하고 바지가 걸리는 걸이바에 두 개의 가로바가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 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해 줌으로써, 바지가 걸리는 다수의 걸이바가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게 되어 바지의 무게에 의해 걸이바가 지지력을 상실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미연에 차단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구용 바지 걸이대가 적용된 수납장의 전개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가구용 바지 걸이대를 나타내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가구용 바지 걸이대를 나타내어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이 실시된 가구용 바지 걸이대의 작동상태의 흐름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가구용 바지 걸이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 5a는 걸이바가 접혀져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걸이바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으로 전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바지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바지 걸이대(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장(170) 내의 후벽이나 측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바지 걸이대(10)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과, 일정 두께를 가지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함께 "ㄷ"자 단면형을 갖도록 그 후측단에 일체로 연접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인출구(120a)가 동일선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수납장(170)의 내벽에 고정되는 후방프레임(120)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에 수평방향 이동과 절첩 때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가로바(130)와, 제1 가로바(130)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에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제1 가로바(130)와 연동되는 제2 가로바(140)와, 바지를 걸수 있도록 서로들 균등 간격으로 제1, 제2 가로바(130)(140)와 교차 결합되며 일단부가 후방프레임(120)의 인출구(120a)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걸이바(150) 및 다수의 걸이바(150)의 타단부에 끼워져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해 주는 캡(16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면 프레임(100)(1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서, 상부의 후단에서부터 중앙부위까지 수평방향으로 절개되고, 그 중앙부위에서 다시 수직방향으로 연속적하여 직각 절개된 "┓"자 단면형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을 갖는다.
그리고, 전술한 측면 프레임(100)(110)의 상부 타측에는 수평방향으로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되어, 전술한 제2 가로바(140)가 수평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선단이 개방되어진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가로바(140)가 수직으로 자유낙하되어 수평상태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상태로 대칭을 이루는 선단이 개방된 인출안내공(100c)(110c)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가로바(130)가 끼워지는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과 제2 가로바(140)가 끼워지는 인출안내공(100c)(110c)의 후방 끝점을 수직상에서의 동일선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또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과 인출안내공(100c)(110c)의 후방 끝점과의 이격 간격을 제1, 제2 가로바(130)(140)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과 인출안내공(100c)(110c)과의 사이를 수직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출안내공(100c)(110c)의 개방된 선단을 수직상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되게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후에 설명될 걸이바(150)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 또는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할 때, 제2 가로바(140)가 인출안내공(100c)(110c)으로부터 걸림 방해를 받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되어 수직방향으로 완만하게 면접되면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전술한 후방프레임(1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금속재질의 직사각형태로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과 동일한 두께 및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과 함께 "ㄷ"자 단면형을 갖도록 측면 프레임(100)(110)과 일체로 성형 제작되며 상부에는 걸이바(150)들의 일단부가 자유롭게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다수의 인출구(120a)가 동일선상으로 배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제1 가로바(130) 및 제2 가로바(140)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둥근관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방프레임(120)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가로바(130)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과 절첩 때 수직방향으로의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제2 가로바(140)는 제1 가로바(130)와 일정간격, 즉 다시말해서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과 인출안내공(100c)(110c)의 후방 끝점과의 간격만큼 동일한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 및 인출안내공(100c)(110c)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전술한 다수의 걸이바(150)는 걸려진 바지의 무게에 의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재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납장(170)의 폭에 맞게 재단되어 성형된다.
이러한 다수의 걸이바(150)는 바지를 걸수 있도록 서로들 균등 간격으로 제1, 제2 가로바(130)(140)와 종방향으로 교차 결합되고, 그 단부는 후방프레임(120)의 인출구(120a)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5a와 같이, 제1 가로바(130)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에 형성된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에, 그리고 제 2 가로바(140)가 인출안내공(100c)(110c)의 수평방향의 후방 끝점에 끼워져 놓이게 됨으로써, 이에 교차 교합된 다수의 걸이바(150)는 후방프레임(120)에 대해 수직상태, 즉 수납장(170)의 내벽에 대해 수직상태로 접혀짐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이바(150)를 수평상태가 되게 하여 각 걸이바(150)에 바지를 걸어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장(170) 내부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수의 걸이바(150) 중에서 하나의 걸이바(150)를 잡아서 살짝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 가로바(140)는 제1 가로바(130)를 회동축으로 하여, 한 쌍의 측면 프레임(100)(110)의 인출안내공(100c)(110c)으로부터 선단쪽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그 인출안내공(100c)(110c)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인출안내공(100c)(110c)의 선단까지 인출이 완료되면 이때부터는 제2 가로바(140)가 인출안내공(100c)(110c)의 선단에 형성된 만곡부를 따라 면 접되면서 원활하게 수직 상승하게 된다.
한편, 제1 가로바(130)는 제2 가로바(140)가 만곡부를 따라 어느 정도 수직 상승할 때까지, 예컨대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과 인출안내공(100c)(110c)의 중간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에서 계속 제자리 회동만을 하면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가로바(140)가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과 인출안내공(100c)(110c)의 중간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제1 가로바(130)는 더 이상 회동을 않게 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로바(130)와 제2 가로바(140)가 동일선상에서 수평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제1, 제2 가로바(130)(140)가 동일선상에서 수평상태에 놓이게 되면, 사용자는 잡고있던 걸이바(150)를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서 제2 가로바(140)를 측면 프레임(100)(110)에 형성된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의 선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2 가로바(140)와 연동하는 제1 가로바(130)는 걸이바(150)를 매게로하여 제2 가로바(140)와 평행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가로바(130) 역시 수직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그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평방향 선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잡고있던 걸이바(150)를 다시 후방프레임(120) 쪽으로 밀어주면 제1 가로바(130)와 제2 가로바(140)는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수평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과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을 따라 후방쪽으로 수평이동하여, 도 5b와 같이, 그들의 끝점에서 멈추게 되고, 다수의 걸이바(150)는 도 4d 및 도 5b와 같이, 후방프레임(120)에 형성된 인출구(120a)에 원활하게 끼워져 수평상태의 락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그 걸이바(150)에 바지를 걸수 있게 된다. 이때 걸이바(150)에 걸린 바지는 캡(160)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4d 및 도 5b와 같이, 다수의 걸이바(15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지 걸이대(10)를 사용치 않을 경우,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걸이바(150)를 잡고 앞으로 당겨주면, 제1 가로바(130) 및 제2 가로바(140)는 수평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b) 및 자유낙하 인출공(100b)(110b)을 따라 선단쪽으로 수평이동하여 인출되는 데, 이때 제2 가로바(140)는 잡아당김에 의해서 도 4c와 같이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의 선단으로부터 인출되고, 제1 가로바(130)는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평방향 선단 끝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잡고 있던 걸이바(150)를 놓게 되면 도 4d와 같이, 다수의 걸이바(150)의 자중에 의해 제1 가로바(130)는 수직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가로바(140)는 제1 가로바(130)가 수직방향 끝점에 도달할 때까지 자유낙하 인출장공(100b)(110b)과 인출안내공(100c)(110c)의 중간지점까지 연동하여 수직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 가로바(130)가 자유낙하 유도안내공(100a)(110a)의 수직방향 끝점에 도달하는 순간 제2 가로바(140)는 제1 가로바(130)를 회동축으로 하여, 계속 만곡부를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인출안내공(100c)(110c)으로 인입되게 됨으로써, 도 4a와 같이 걸이바(150)가 접혀진 상태, 즉 수납장(170)의 내벽에 대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바지를 걸지 않을 때 기타 많은 의류등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어 수납장(17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110 : 측면 프레임 100a, 110a : 자유낙하 유도안내공
100b, 110b : 자유낙하 인출장공 100c, 110c : 인출안내공
120 : 후방프레임 130 : 제1 가로바
140 : 제2 가로바 150 : 걸이바
160 : 캡

Claims (4)

  1.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상부에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직각 절개된 "┓"자 단면형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과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선단이 개방된 자유낙하 인출장공,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과 동일한 수직선상의 하부에 서로 평행상태로 대칭을 이루는 인출안내공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함께 "ㄷ"자 단면형을 갖도록 그 후측단에 일체로 연접 성형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인출구가 동일선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수납장의 내벽에 고정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에 수평방향 이동과 절첩 때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 가로바;
    상기 제1 가로바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에 수평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로바의 자유낙하 때, 상기 자유낙하 인출장공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인출안내공으로 인입되는 제2 가로바; 및
    서로들 균등 간격으로 상기 제1, 제2 가로바와 교차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의 인출구에 인입,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걸이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바를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제2 가로바가 수직방향으로 완만하게 면접되면서 안내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인출안내공의 선단을 수직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바가 위치하는 상기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의 수직방향 끝점과 상기 제2 가로바가 위치하는 상기 인출안내공의 후방 끝점이 동일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유낙하 유도안내공의 수직방향 끝점과 상기 인출안내공의 후방 끝점과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 제2 가로바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바지 걸이대.
KR2020130010568U 2013-12-19 2013-12-19 가구용 바지 걸이대 KR201500025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68U KR20150002518U (ko) 2013-12-19 2013-12-19 가구용 바지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568U KR20150002518U (ko) 2013-12-19 2013-12-19 가구용 바지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18U true KR20150002518U (ko) 2015-06-29

Family

ID=5351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568U KR20150002518U (ko) 2013-12-19 2013-12-19 가구용 바지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51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900B2 (en) Retractable multi-tiered lingerie hanger
SK285709B6 (sk) Úložná zostava s prispôsobiteľnou skriňou na dvoje zavesenie
US20160324312A1 (en) Wardrobe Hanging System
US20150342383A1 (en) Hanger
US1996552A (en) Article suspending rack
KR200458234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150002518U (ko) 가구용 바지 걸이대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180067381A (ko) 의류보관용 행거시스템
US9706837B2 (en) Compact folded garment storage display and dispensing device
KR102292588B1 (ko) 의류 세로 수납 장치
KR102502186B1 (ko) 의류 세로 수납 장치
US8430238B2 (en) Hanging, telescoping garment organizer
KR200461971Y1 (ko) 의류 수납장
KR101804754B1 (ko) 폭 조절 가능한 인출식 옷장 집게
JP2009247398A (ja) クローゼット
CN211354430U (zh) 一种内部可移动式储物衣柜
KR200219485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170085243A (ko) 코디용 보조걸이대를 구비한 옷장
US8820595B2 (en) Method for using a hanger system
KR20100000662U (ko) 바지걸이
KR200357807Y1 (ko) 수납장
CN214207647U (zh) 一种多功能衣柜
KR200493880Y1 (ko) 수납장치
CN214340946U (zh) 一种推拉门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