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66U -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Google Patents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2466U KR20150002466U KR2020130010447U KR20130010447U KR20150002466U KR 20150002466 U KR20150002466 U KR 20150002466U KR 2020130010447 U KR2020130010447 U KR 2020130010447U KR 20130010447 U KR20130010447 U KR 20130010447U KR 20150002466 U KR20150002466 U KR 201500024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t
- support
- angle
- side wall
- gas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028318 Parapo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을 이용하여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든지 적은 힘을 들여서 기립 자세로 쉽게 프론 스탠더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프론 스탠더를 사용하는 도중에도 이런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러한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을 페달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발이나 손으로 페달을 눌러 기립 자세에 맞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어 보호자 혼자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랩 보드에 가스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하로 각도 조절을 할 때에 이 가스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랩 보드의 회전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러한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을 페달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발이나 손으로 페달을 눌러 기립 자세에 맞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어 보호자 혼자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랩 보드에 가스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하로 각도 조절을 할 때에 이 가스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랩 보드의 회전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프론 스탠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 락(Free Lock)으로 많이 알려진 가스 스프링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기립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랩 보드(Lapboard)의 상하 높이 조절 및 회전 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이나 재활 훈련자 등과 같이 스스로 혼자서 일어설 수 없는 이들이 재활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장치 중의 하나로 스탠더(Stander)를 들 수 있다. 엎드린 자세에서 세워주는 프론형 스탠더·누운 상태에서 세워주는 수파인형 스탠더·똑바로 선 자세로 고정하는 패라포디움 스탠더 등 자세별로 다양한 스탠더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다양한 스탠더 중에서 프론 스탠더에 대하여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훈련자의 키나 장애 정도에 따라 높이 조절할 때 조절 노브를 이완한 다음 상판이나 조절대 등을 누름에 따라 완충기가 완충작용과 함께 높이 조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면서도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완충기를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동식 액추에이터와 비교하여 전원소비가 없으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발판이 세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훈련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발을 발판에 올려놓게 하고, 그 다음 몸을 일으킬 수 있게 하여 누구라도 쉽게 훈련자를 기립시킬 수 있게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자의 장애 등의 상태에 따라 발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발을 올려놓게 되는 샌들이 전후좌우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상 정도라든가 장애 정도에 따라 위치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쉽게 기립할 수 있는 프론 스탠더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은 완충기를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비하여 전원소비가 없으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종래의 프론 스탠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대신하여 저렴한 완충 방식으로 교체하였으므로 비용 절감과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가스 방식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2) 즉, 가스의 유동이 있어야 높이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데에는 이러한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이 편리하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하려고 하는 순간에는 큰 힘이 필요하다.
(3) 특히, 프론 스탠더를 혼자서 조작하면서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체형과 장애 정도에 맞게 조절하는 데에는 많은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1인 이상의 보호자나 보조자가 있어야 조절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4) 또한, 조절하고자 하는 구성요소를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눌러서 높이조절을 하거나 손으로 회전시켜 조절해야 하므로 가스 방식의 액추에이터는 가스의 저항 때문에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을 이용하여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든지 적은 힘을 들여서 기립 자세로 쉽게 프론 스탠더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프론 스탠더를 사용하는 도중에도 이런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러한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을 페달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호자가 발이나 손으로 페달을 눌러 기립 자세에 맞게 자세를 조절할 수 있어 보호자 혼자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랩 보드에 가스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하로 각도 조절을 할 때에 이 가스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랩 보드의 회전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캐스터(110)를 갖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 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며, 한 면에 2개의 풋 시트(210)가 평면 위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갖춰진 회전 베이스(200); 상기 회전 베이스(200) 위에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며 그 사이에 연결대(310)로 연결하며, 이 연결대(310)와 베이스(100) 사이에 장착되어 페달로 작동하는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320)으로 회전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 두 개의 제1 측벽(300); 상기 각 제1 측벽(300)과 나란하게 장착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보조 측벽(410)으로 연결하며, 한쪽이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한 가스 스프링(420)과 연결된 두 개의 제2 측벽(400); 상기 보조 측벽(410)에 장착하여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을 조절하여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게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지지대(500); 상기 보조 측벽(410)에 상하로 움직이면서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종아리 지지대(600); 및 상기 보조 측벽(410)의 상부에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며, 일단이 보조 측벽(410) 또는 종아리 지지대(6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가스 스프링(710)의 지지를 받는 랩 보드(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 베이스(200)와 풋 시트(210)에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서로 엇갈리게 슬롯(201,211)이 형성되고, 이들 슬롯(201,211)에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하는 조절 노브(212)가 갖춰져서 풋 시트(210)의 평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벽(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33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벽(400)에는 이 슬롯(330)에 끼워져서 손으로 돌려 체결할 수 있는 조절 노브(430)를 체결 고정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측벽(410)에는 각 대퇴부 지지대(500)를 장착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슬롯(4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대퇴부 지지대(500)는 한쪽이 접혀서 상기 슬롯(411)과 엇갈리게 다른 슬롯(511)이 형성된 지지 브래킷(510); 및 상기 슬롯(411,511)에 끼워져서 손으로 체결 및 이완할 수 있는 조절 노브(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아리 지지대(60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보조 측벽(410) 아래로 돌출하도록 이 보조 측벽(410)에 장착한 프로파일(61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쪽이 바깥쪽으로 접혀 서로 나란하게 두 개의 플랜지(621)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로파일(610)과 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체결 구멍(622)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조절 브래킷(620); 상기 각 플랜지(621)에 형성된 슬롯(621a)에 나사 체결되어 바깥쪽으로 폭 조절되며, 종아리를 감싸주는 밴드(631)가 갖춰진 한 쌍의 지지 블록(630); 및 상기 슬롯(621a)에 끼워져서 손으로 돌림에 따라 각 지지 블록(630)을 체결 또는 이완하여 고정해 주는 조절 노브(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측벽(400)은 폭 방향으로 돌출부(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랩 보드(700)는 양쪽에 상기 돌출부(440)와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지지부(720)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720)에는 랩 보드(7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슬롯(721)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721)에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 및 이완할 수 있는 조절 노브(730)가 끼워져서 상기 돌출부(44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일명, 프리 락(Free Lock)이라고 불리는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을 적용하여 측벽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 보호자가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기립 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2) 특히, 이 가스 스프링은 페달 방식을 채택하여 손이나 발로 눌러서 작동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활 보조자가 한 손이나 한 발로 가스 스프링을 조절할 수 있어 이러한 기립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그리고 재활 보조자는 랩 보드를 지지하거나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를 지지한 상태에서도 쉽게 한 손이나 발로 가스 스프링을 조작할 수 있어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재활 보조자가 쉽게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를 조작할 수 있다.
(4) 이처럼 기립 상태의 각도 조절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를 사용하는 상태에서도 기립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5) 랩 보드에 가스 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랩 보드의 상하 각도 조절을 할 때 적은 힘으로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6) 특히 가스 스프링이 항상 랩 보드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 랩 보드를 아래로 회전할 때 적은 힘으로도 더 안정적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베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풋 시트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기립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프론 스탠더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측벽의 구성과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 제1 측벽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프론 스탠더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측벽에 대퇴부 지지대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라 대퇴부 지지대의 조절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프론 스탠더의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아리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아리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랩 보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베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풋 시트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기립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프론 스탠더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측벽의 구성과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 제1 측벽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프론 스탠더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측벽에 대퇴부 지지대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라 대퇴부 지지대의 조절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프론 스탠더의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아리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종아리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랩 보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맞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는, 도면과 같이, 베이스(100), 이 베이스(100) 위에 장착하여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기립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베이스(200)·제1 측벽(300), 랩 보드(700) 및 그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측벽(400), 그리고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대퇴부 지지대(500) 및 종아리 지지대(6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은 기립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측벽(300)에 페달로 작동하는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320)을 구성함으로써, 보호자가 한 손이나 한 발로 페달을 눌러 쉽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프론 스탠더가 사용 중일 때에도 쉽게 조작하여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랩 보드(700)에도 가스 스프링(710)를 구성함으로써, 랩 보드(700)가 항상 소정의 힘으로 지지가 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도를 조절할 때에도 적은 힘으로 쉽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 즉 각 구성요소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에는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캐스터(11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터(110)는 적어도 3개를 장착하여 베이스(100)가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베이스(100)를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하고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4개의 캐스터(110)를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회전 베이스(2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베이스(100) 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의 회전은 경첩(220) 등을 이용한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 베이스(200)는 상술한 베이스(100)의 크기보다 작으나,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양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회전 베이스(200)는 한쪽 테두리 부분이 베이스(100)의 테두리 부분과 거의 겹쳐지게 놓인 상태에서 이 테두리와 대응하는 안쪽의 테두리 부분이 베이스(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가스 스프링(320)의 동작에 따라, 도 4와 같이, 바깥쪽 테두리 부분이 들리면서 기립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전 베이스(200) 위에는 실질적으로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발바닥 부분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2개의 풋 시트(210)를 장착한다. 풋 시트(210)는 발바닥 부분과 맞닿는 곳으로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회전 베이스(200)와 풋 시트(210)에는 서로 맞닿는 면에 각각 슬롯(201,211)을 형성한다. 이때, 이들 슬롯(201,211)은 엇갈리게 형성하고,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과 이완할 수 있는 조절 노브(212)를 설치한다. 이에 이 조절 노브(212)를 이완한 상태에서 풋 시트(2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회전함에 따라 원하는 위치대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고, 위치 조절한 상태에서 조절 노브(212)를 체결함에 따라 조절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측벽(300)은, 도 1·도 2·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회전 베이스(200) 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두 개가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한다. 그리고, 이 두 개의 제1 측벽(300)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면서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대(310)로 연결한다.
특히, 이 연결대(310)와 베이스(100) 사이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각각 가스 스프링(320)의 양쪽이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에 이 가스 스프링(320)이 신축 작동에 따라 연결대(310)로 연결한 두 개의 제1 측벽(300)이,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 베이스(200)와 함께 회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스프링(320)은 프리 락(Free Lock)이라고 잘 알려진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가스 스프링은 밀폐된 공간에 충전된 가스(공기 또는 질소)의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 등을 하는데, 이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은 페달 등을 이용하여 한 손이나 한 발로 신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측벽(300)에는, 도 5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330)을 형성한다. 이 슬롯(330)에는 후술할 제2 측벽(400)이 이 슬롯을 따라 움직이며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제2 측벽(400)은, 도 1·도 2·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바 형태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꺾인 형태로 돌출부(440)를 구성한다. 돌출부(440)는 후술할 랩 보드(700)를 지지하기도 하나, 이 랩 보드(7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이 같은 회전 각도의 조절에 대해서는 랩 보드(700)와 함께 설명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2 측벽(400)은, 도 7과 같이, 두 개가 각각 제1 측벽(300)과 맞닿으면서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한다. 이때, 제2 측벽(400)은 상술한 슬롯(330)에 끼워진 조절 노브(430)가 체결되게 구성함으로써, 이 조절 노브(430)를 이완하면 이 조절 노브(430)가 슬롯(330)을 따라 움직이게 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이 두 개의 제2 측벽(400) 사이에는, 도 1·도 7 및 도 8과 같이, 보조 측벽(410)을 구성하여 이들 측벽이 함께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다. 이 보조 측벽(410)에는 후술할 대퇴부 지지대(500)를 지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도 9와 같이, 슬롯(411)을 형성한다. 이때, 슬롯(411)은 쌍으로 구성하는 대퇴부 지지대(500)의 개수만큼 형성하는데, 도면에서는 두 쌍의 대퇴부 지지대(500)를 설치하기 위하여 4개의 슬롯(411)을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측벽(410)과 베이스(100) 사이에는 가스 스프링(42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스 스프링(420)은 보조 측벽(410) 및 이와 연결한 제2 측벽(400)이 슬롯(330)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때 급격하게 하강하거나 상승하지 않게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대퇴부 지지대(500)는, 도 1·도 8 및 도 9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보조 측벽(410)에 적어도 한 쌍을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두 쌍이 보조 측벽(410)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대퇴부 지지대(500)는 대퇴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지지 브래킷(510)과, 조절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절 노브(520)를 포함한다.
지지 브래킷(510)은, 도 9와 같이, 한쪽이 꺾여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술한 보조 측벽(410)과 맞닿는 면에는 슬롯(511)을 형성한다. 이때, 이 슬롯(511)은 상술한 슬롯(411)과 엇갈리게 형성한다. 그리고, 각 지지 브래킷(510)에 형성하는 슬롯(511)은 적어도 2개를 형성하여 이 지지 브래킷(51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노브(520)는, 도 9와 같이, 상기 슬롯(411,511)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끼워서 장착한다. 이때, 이 조절 노브(520)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과 이완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이에, 상기 대퇴부 지지대(500)는, 도 10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조절 노브(520)를 이완한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510)을 슬롯(411)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하 높이조절을 하고, 지지 브래킷(510)을 다른 슬롯(511)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대퇴부 지지대(500) 사이의 폭을 조절한다.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530"은 상기 지지 브래킷(510)을 덮는 커버 블록을 각각 나타낸다.
종아리 지지대(600)는, 도 2·도 11 및 도 12와 같이, 보조 측벽(410)에 장착하는 프로파일(610), 이 프로파일(610)에 높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하는 조절 브래킷(620), 조절 브래킷(620)에 장착하여 실제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630), 그리고 지지 블록(630) 사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노브(640)를 포함한다.
프로파일(610)은, 도 12와 같이, 막대 형태로 형성하며, 양쪽 측면 또는 각 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가이드 홈(611)을 형성한다. 가이드 홈(611)은 그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로 부분에 가이드가 끼워져서 움직이게 하고, 그 세로 부분을 통해 끼워진 조절 노브(612)가 가이드에 체결하면 가이드와 가이드 홈(611) 사이가 압착하면서 고정되고, 조절 노브(612)를 이완하더라도 가이드가 가이드 홈(6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파일(610)은 한쪽이 보조 측벽(410)의 아래로 돌출되게 장착한다.
조절 브래킷(620)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띠편 형상의 부재를 "ㄷ"자 형태로 절곡하고, 그 양단을 다시 바깥쪽으로 꺾어 서로 나란하게 두 개의 플랜지(621)를 갖게 형성한다. 특히, "ㄷ"자 형상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체결 구멍(622)을 형성하고, 상기 각 플랜지(621)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621a)을 형성한다.
지지 블록(630)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실질적으로 장애인이나 재활 환자의 종아리 부분과 맞닿는 부분으로 종아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밴드(631)를 구성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630)은, 도면과 같이, 상기 슬롯(621a)에 끼워진 조절 노브(640)가 체결된다.
조절 노브(640)는, 도면과 같이, 손으로 돌려서 체결과 이완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노브를 이용한다. 이 조절 노브(640)는 상술한 슬롯(621a)에 끼운 상태에서 지지 블록(630)에 체결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종아리 지지대(600)는, 상기 조절 노브(612)를 풀어낸 다음 다른 체결 구멍(622)에 끼워서 프로파일(610)의 가이드 홈(611)에 끼워진 가이드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 블록(630)을 프로파일(610)의 폭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 노브(612)를 이완한 상태에서 가이드 홈(611)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인 다음 다시 체결함에 따라 지지 블록(6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절 노브(640)를 이완하여 슬롯(621a)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지지 블록(630) 사이의 폭 조절을 할 수 있다.
랩 보드(700)는, 도 4 및 도 13면과 같이, 보조 측벽(41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의 회전은 경첩과 같은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이 랩 보드(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벽(300)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측벽(410)도 회전하여 경사지게 위치하므로 랩 보드(700)를 다시 평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랩 보드(700)에는, 도 13과 같이, 바닥면에 두 개의 회전 지지부(720)를 형성한다. 특히, 각 회전 지지부(720)는 상술한 돌출부(440)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그리고, 각 회전 지지부(720)에는 랩 보드(7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위에 슬롯(721)을 형성하는데, 이 슬롯(721)은 상기 돌출부(440)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랩 보드(700)는 상기 슬롯(721)에 끼워진 조절 노브(730)를 돌출부(440)에 체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조절 노브(730)를 이완한 다음 랩 보드(700)를 돌린 뒤에 다시 조절 노브(730)를 체결함에 따라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랩 보드(700)는 상기 보조 측벽(410) 또는 종아리 지지대(600) 사이에 가스 스프링(710)을 장착하여 회전 지지를 받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랩 보드(700)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절 노브(730)를 이완하더라도 이 가스 스프링(710)이 랩 보드(700)를 어느 정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는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을 이용함으로써, 한 발이나 한 손으로도 쉽게 기립과 랩 보드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프론 스탠더는 랩 보드에 가스 스프링을 구성하여 이 랩 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 노브를 이완하더라도 이 랩 보드가 이 가스 스프링의 지지로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캐스터
200 : 회전 베이스 201, 211, 330, 411, 511, 621a : 슬롯
210 : 풋 시트 212, 430, 520, 612, 640, 730 : 조절 노브
300 : 제1 측벽 310 : 연결대
320, 420 : 가스 스프링 400 : 제2 측벽
410 : 보조 측벽 440 : 돌출부
500 : 대퇴부 지지대 510 : 지지 브래킷
600 : 종아리 지지대 610 : 프로파일
611 : 가이드 홈 620 : 조절 브래킷
621 : 플랜지 622 : 체결 구멍
630 : 지지 블록 631 : 밴드
700 : 랩 보드 710 : 가스 스프링
720 : 회전 지지부 721 : 슬롯
200 : 회전 베이스 201, 211, 330, 411, 511, 621a : 슬롯
210 : 풋 시트 212, 430, 520, 612, 640, 730 : 조절 노브
300 : 제1 측벽 310 : 연결대
320, 420 : 가스 스프링 400 : 제2 측벽
410 : 보조 측벽 440 : 돌출부
500 : 대퇴부 지지대 510 : 지지 브래킷
600 : 종아리 지지대 610 : 프로파일
611 : 가이드 홈 620 : 조절 브래킷
621 : 플랜지 622 : 체결 구멍
630 : 지지 블록 631 : 밴드
700 : 랩 보드 710 : 가스 스프링
720 : 회전 지지부 721 : 슬롯
Claims (6)
-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캐스터(110)를 갖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 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며, 한 면에 2개의 풋 시트(210)가 평면 위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갖춰진 회전 베이스(200);
상기 회전 베이스(200) 위에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며 그 사이에 연결대(310)로 연결하며, 이 연결대(310)와 베이스(100) 사이에 장착되어 페달로 작동하는 락을 갖춘 가스 스프링(Lockable Gas Spring)(320)으로 회전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 두 개의 제1 측벽(300);
상기 각 제1 측벽(300)과 나란하게 장착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보조 측벽(410)으로 연결하며, 한쪽이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한 가스 스프링(420)과 연결된 두 개의 제2 측벽(400);
상기 보조 측벽(410)에 장착하여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을 조절하여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게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대퇴부 지지대(500);
상기 보조 측벽(410)에 상하로 움직이면서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종아리 지지대(600); 및
상기 보조 측벽(410)의 상부에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며, 일단이 보조 측벽(410) 또는 종아리 지지대(6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가스 스프링(710)의 지지를 받는 랩 보드(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200)와 풋 시트(210)에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서로 엇갈리게 슬롯(201,211)이 형성되고, 이들 슬롯(201,211)에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하는 조절 노브(212)가 갖춰져서 풋 시트(210)의 평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33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벽(400)에는 이 슬롯(330)에 끼워져서 손으로 돌려 체결할 수 있는 조절 노브(430)를 체결 고정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측벽(410)에는 각 대퇴부 지지대(500)를 장착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슬롯(4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대퇴부 지지대(500)는 한쪽이 접혀서 상기 슬롯(411)과 엇갈리게 다른 슬롯(511)이 형성된 지지 브래킷(510); 및 상기 슬롯(411,511)에 끼워져서 손으로 체결 및 이완할 수 있는 조절 노브(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지지대(600)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보조 측벽(410) 아래로 돌출하도록 이 보조 측벽(410)에 장착한 프로파일(610);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양쪽이 바깥쪽으로 접혀 서로 나란하게 두 개의 플랜지(621)가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로파일(610)과 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체결 구멍(622)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조절 브래킷(620);
상기 각 플랜지(621)에 형성된 슬롯(621a)에 나사 체결되어 바깥쪽으로 폭 조절되며, 종아리를 감싸주는 밴드(631)가 갖춰진 한 쌍의 지지 블록(630); 및
상기 슬롯(621a)에 끼워져서 손으로 돌림에 따라 각 지지 블록(630)을 체결 또는 이완하여 고정해 주는 조절 노브(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400)은 폭 방향으로 돌출부(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랩 보드(700)는 양쪽에 상기 돌출부(440)와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 지지부(720)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720)에는 랩 보드(7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슬롯(721)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721)에는 손으로 돌려서 체결 및 이완할 수 있는 조절 노브(730)가 끼워져서 상기 돌출부(44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447U KR20150002466U (ko) | 2013-12-16 | 2013-12-16 |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447U KR20150002466U (ko) | 2013-12-16 | 2013-12-16 |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2466U true KR20150002466U (ko) | 2015-06-25 |
Family
ID=5351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447U KR20150002466U (ko) | 2013-12-16 | 2013-12-16 |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246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52927A (zh) * | 2018-05-24 | 2018-10-16 | 王小华 | 一种儿科用于儿童站立康复的治疗装置 |
CN108671466A (zh) * | 2018-05-24 | 2018-10-19 | 张纯玲 | 一种多功能护理行走恢复器 |
-
2013
- 2013-12-16 KR KR2020130010447U patent/KR2015000246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52927A (zh) * | 2018-05-24 | 2018-10-16 | 王小华 | 一种儿科用于儿童站立康复的治疗装置 |
CN108671466A (zh) * | 2018-05-24 | 2018-10-19 | 张纯玲 | 一种多功能护理行走恢复器 |
CN108671466B (zh) * | 2018-05-24 | 2020-07-31 | 吉林大学第一医院 | 一种多功能护理行走恢复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37218A1 (en) | Massage Apparatus | |
CN109846619B (zh) | 一种骨科患者康复用护理器械 | |
US9302150B2 (en) | Training apparatus | |
WO2009081935A1 (ja) | 運動補助装置 | |
JP2019187719A (ja) | 上肢リハビリ支援装置 | |
KR20080017891A (ko) | 윗몸일으키기 | |
US20200060927A1 (en) | Adjustable muscle massage board | |
MX2014003070A (es) | Banco para baño con extension de transferencia lateral. | |
US10470969B2 (en) | Body roller apparatus | |
KR101007518B1 (ko) |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 |
KR20150002466U (ko) | 기립 및 랩 보드의 각도 조절이 쉬운 프론 스탠더 | |
WO2024125553A1 (zh) | 一种健身椅 | |
KR200422843Y1 (ko) | 연동식 스트레치 휘트니스 기구 | |
JP2001000485A (ja) | 足の鍛練装置 | |
KR101527593B1 (ko) | 전보행 재활 훈련기 | |
KR20160053862A (ko) | 회전의자를 이용한 운동기구 | |
TWM530165U (zh) | 電動倒立機 | |
KR100757046B1 (ko) | 운동 기구 | |
CN114392030B (zh) | 一种用于脑瘫儿童的躯干姿势纠正机构 | |
JP2013240477A (ja) | 歩行補助器具 | |
JP2005296237A (ja) | 健康器具 | |
RU208082U1 (ru) | Массажёр | |
KR200227882Y1 (ko) | 다기능 복근 운동 기구 | |
KR100995095B1 (ko) |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 |
KR102683751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