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312U - Sort cable out roller - Google Patents

Sort cable out 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312U
KR20150002312U KR2020130010156U KR20130010156U KR20150002312U KR 20150002312 U KR20150002312 U KR 20150002312U KR 2020130010156 U KR2020130010156 U KR 2020130010156U KR 20130010156 U KR20130010156 U KR 20130010156U KR 20150002312 U KR20150002312 U KR 201500023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roller
suppor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1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희환
조영식
추길환
박주이
김동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312U/en
Publication of KR20150002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31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가이드 레일을 지닌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정리하는 롤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벽으로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길이변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지지바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케이블을 정리 및 고정하기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의 단축과 근골격계의 질병 예방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CLAIMS 1. A roller for arranging a cable installed in a cable tray having a guide rail, A body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A tight fitting part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variable in length; And a support roll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of the tightly coupled por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cables in the cable tray and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cables, Thereby preventing the disease.

Description

케이블 정리용 롤러{SORT CABLE OUT ROLLER}SORT CABLE OUT ROLLER}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으로 고정되어 배선된 선을 정렬시키는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device installed in a cable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fixing device for fixing a wire fixed to one side of a cable tray.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은 케이블 트레이의 상면으로 케이블을 안착시키고 이를 끌어당겨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때, 케이블이 트레이에 접촉하면 피목이 벗겨지거나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재작업을 요하게 된다. 또한, 포설된 케이블이 무질서하게 혼제되는 경우 정리 및 고정하는 작업을 추가로 요하게 된다.Generally, a method of installing a cable in a cable tray is to place the cable on the top surface of the cable tray and pull it to move it to a desired position. At this time, when the cab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y, the shade may be peeled off or torn, which requires rework. Further, when the installed cable is mixed in disorder, it is further necessary to arrange and fix the cable.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는 장시간 케이블 트레이의 상면으로 올라 가거나, 사다리등에 의존하여 포설된 케이블을 정리 및 고정해야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근골격계와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order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the operator must asc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le tray for a long time, or the cable installed and installed depending on the ladder or the like must be arranged and fixed, resulting in poor work efficiency and causing diseases such as musculoskeletal diseases.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하기 문헌 1과 2를 검토할 수 있다.As a metho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following documents 1 and 2 can be considered.

특허문헌 1은 케이블을 배선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와 양 특면 내부를 고정하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부와, 두 고정부의 폭을 조절하도록 한 폭 조절부와, 케이블의 연장방향을 자로지르며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able tray installed for wiring a cable. The cable tray includes a cable tray,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inside of both the special surfaces and facilitating detachment and attachment, a width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two fixing portion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 magnetic pol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and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또 특허문헌 2는 케이블 트레이의 특벽부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판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선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볼트체결공은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용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부가 마련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 또는 수평한 회동축을 가지면서 자유 회동 가능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plate-shaped base portion positioned inside a special portion of a cable tray; A fix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the bolt fastening hole being located in the base; And a guide roller capable of freely pivo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provided with the fixing plate portion and having a pivot axis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base portion.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30694호 “케이블 트레이 롤러”(2006년11월02일 등록)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0694 "Cable tray roller" (Registered on November 02, 2006) 2.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266938호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롤러 기구”(2013년05월16일 등록)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66938 entitled " Guide Roller Mechanism for Cable Tray for Cable Trays " (Registered on May 16, 2013)

그러나, 특허문헌 1과 2에 따라 제작된 케이블 고정 롤러의 경우 가이드롤러와 고정용 플레이트부가 판재 또는 고정부로 고정되기에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포설된 케이블을 일방향으로 밀착시켜 정리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able fixing roller manufactured according to Patent Documents 1 and 2, since the guide roller and the fixing plate are fixed by the plate material or the fixing portion, the length can not be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installed cable is closely contacted in one direction It is difficult.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정렬된 상태로 포설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소의 위치에서 수행하는 작업으로 인한 위험성을 배제하는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aying the cable in an aligned state on the cable tray, to eliminate the risk of work performed at the location of the complaint, and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a cable fixing roller.

가이드 레일을 지닌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정리하는 롤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벽으로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길이변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지지바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AIMS 1. A roller for arranging a cable installed in a cable tray having a guide rail, A body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A tight fitting part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variable in length; And a support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of the tightly coupled portion.

상기 본체는 가이드 레일 외벽의 두께에 맞게 조절 가능한 고정편과, 고정편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has a fixing piece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and a rail movably supporting the fixing piece.

상기 밀착부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ar is supported by an elastic force via an elastic member.

상기 지지롤러는 하부에 지지력을 더하기 위한 보조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upporting roller further includes a sub-bar for adding a supporting force to the lower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에 의하면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지지롤러를 구비하고 이를 고정하는 글램프 형식의 본체를 구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케이블을 정리 및 고정하기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의 단축과 근골격계의 질병 예방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roller that rotates about a support shaft and has a grommet type main body for fixing the support roller, so that a cable is installed in a cable tray,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for fixing, to shorten working time and to prevent disease of musculoskeletal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시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은 가이드 레일(10)을 지닌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정리하기 위한 고정 롤러에 대하여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의 공장이나 선박건조시 건물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케이블들이 천장이나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ixing roller for arranging a cable installed in a cable tray having a guide rail (10). Generally, a cable tray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cabl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side of a building or a building of a building when the ship is dried are supported along a ceiling, a floor, or a wall.

이때,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의 상면으로 끌어당기는 포설방법으로 인해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에 대한 정리와 고정을 포함한 유지보수를 요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고소 위치의 작업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 안전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covering method of the cable is damaged due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pulling the cab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le tray. As a result, it requires maintenance including maintenance and fixing of the cable, so that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safety is lowered due to the work performed in the high-altitude work place.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대하여 제안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is invention propos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able trays.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롤러의 본체(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main body 20 of the cable fixing 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제 1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10)의 외벽으로 고정되는 본체(2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제작되어 특별한 부재가 없이 가이드 레일(10)에 자체적으로 결합되어 일정이상의 결합력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해 본체(20)는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 고정편과 내측을 감싸는 내부 고정편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10. The main body 20 is manufactured to have an opening with its lower portion and is self-assembled to the guide rail 10 without any special member, and is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bonding force. To this end, the main body 20 is constituted by an outer fixing piec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cable tray and an inner fixing piece surrounding the inner side.

이때, 본체(20)는 가이드 레일(10)의 외벽에 다소 억지 끼움될 수 있으며, 각 규격에 맞도록 제작되는 가이드 레일(10)에 따라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지지바(32)가 전후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본체(20) 상에 관통하는 홈을 구비한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20 can be somewhat constrained to the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10, and can be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uide rails 10 manufactured to meet the respective specifications. Further, a support bar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with a groove penetrating on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back and forth movement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본체(20)에 길이변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밀착부(30)를 구비한다. 밀착부(30)는 본체(20)의 내부의 상면으로 구비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 가이드 레일(10)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요동을 흡수하며 안내하도록 길이변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tight fitting portion 30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to be variable in length. The tight fitting portion 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 And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so as to absorb and guide the oscillation of the cable installed in the guide rail (10).

본 고안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밀착부(30)는 탄성부재(34)를 개재하여 지지바(32)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바(32)는 일정이상의 길이를 지닌 막대의 형상으로 밀착부(30)의 내부로 형성되는 공간 내부를 관통하며 일측으로 가압편(36)을 구비한다. 가압편(36)은 탄성부재(34)와 밀착부(30) 사이에 개재되며, 후방으로 탄성부재(34)의 가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ght contact portion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ar 32 is supported by an elastic force via the elastic member 34. [ The support bar 32 has a shape of a rod having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and passes through a space formed inside the tight fitting portion 30 and has a pressing piece 36 on one side. The pressing piece 36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34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30 and is mounted so as to receive a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4 rearward.

이때, 밀착부(30)의 탄성부재(34)는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34)는 포설되는 케이블의 요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4 of the contact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tension spring or a compression spring. The elastic member (34) absorbs the shock caused by the swinging of the cable to be installed,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safety.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밀착부(30)의 지지바(32)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롤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롤러(40)는 밀착부(30)의 지지바(32)의 단부에 지지축(42)을 개재하여 회전운동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지지롤러(40)에 안내되므로 가이드 레일(10)에 직접 접촉하여 마찰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roller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32) of the tight fitting part (30). The support roller 4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bar 32 of the fastener 30 via a support shaft 42 so as to rotate. The cable is guided to the support roller 40 in the course of laying the cable, so that the cable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0 to prevent friction and damag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하면, 본체(20)는 가이드 레일(10) 외벽의 두께에 맞게 조절 가능한 고정편(22)과, 고정편(22)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24)을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편(22)은 케이블 트레이의 외벽을 가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레일(24)은 고정편(22)이 본체(20)의 개구된 공간상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고정편(22)의 일면은 밀착력을 더하도록 돌기 또는 패킹부재(26)를 형성할 수 있다. 패킹부재(26)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편(22)에 결합된다.3, the main body 20 includes a fixing piece 22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10, And a rail 24 may be provided. The fixing piece 22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pressing the outer wall of the cable tray and the rail 24 supports the fixing piece 22 so as to be reciprocatable on the open space of the main body 20. [ One surface of the fixing piece 22 may form a projection or a packing member 26 so as to increase the adhesion. The packing member 26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and is bonded to the fixing piece 22 using an adhesive.

한편, 고정편(2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고정부재(28)구비한다. 도 3처럼 고정부재(28)는 본체(20)의 외면에 구비되는 암나선홈에 결합하는 나비볼트를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piece 22, there is provided a fixing member 28 which can be operated without using a tool.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member 28 may be a butterfly bolt coupled to the female screw groov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롤러(40)는 하부에 지지력을 더하기 위한 보조바(5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보조바(52)는 지지롤러(4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본체(20)에 연결된다. 지지롤러(40)가 상단의 지지바(32)와 하단의 보조바(52)로 지지되면 보다 고하중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oller 4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ar 52 for adding a supporting force to the lower portion. The auxiliary bar (5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ller (40). When the support roller 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32 at the upper end and the auxiliary bar 52 at the lower end, the cable of higher load can be stably guided.

이때, 보조바(20)와 본체(20)의 연결시 하부지지부(50)를 개재하는 것이 좋다. 하부지지부(50)는 전술한 가압편(36)과 탄성부재(34)의 구성처럼 완충의 역할도 수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auxiliary bar 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it is preferable to interpose the bottom support portion 50 therebetween. The lower support portion 50 also serves as a buffer, 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piece 36 and the elastic member 34 described above.

한편, 지지바(32)와 보조바(52)는 상부지지편(46) 및 하부지지편(48)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편(46)과 하부지지편(48)은 지지축(42) 대신 지지롤러(40)의 단부에 직접 설치되는 베어링 구조로서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하는데 유리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ar 32 and the auxiliary bar 52 are coupled via the upper support piece 46 and the lower support piece 48. The upper support piece 46 and the lower support piece 48 are advantageous in absorbing greater impact as a bear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end of the support roller 40 instead of the support shaft 42. [

작동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10) 상에 설정된 간격으로 케이블 정리용 롤러를 고정한 다음 케이블의 선단을 당겨서 포설하면, 각각의 케이블은 지지롤러(40)의 안내를 받아 원활하게 전진한다. 포설과정에서 다음의 케이블이 진입되면 지지바(32)가 후퇴하면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In operation, when the cable arranging roller is fixed at intervals set on the cable tray 10 and then the cable ends are pulled out, each cable is guided by the support roller 40 and smoothly advances. When the next cable is introduc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the support bar 32 is retracted and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이드레일 20: 본체
22: 고정편 24: 레일
26: 패킹부재 28: 고정부재
30: 밀착부 32: 지지바
34: 탄성부재 36: 가압편
40: 지지롤러 42: 지지축
44: 상부지지편 46: 하부지지편
50: 하부지지부 52: 보조바
10: guide rail 20:
22: Fixing piece 24: Rail
26: packing member 28: fixing member
30: tight contact portion 32: support bar
34: elastic member 36: pressing piece
40: Support roller 42: Support shaft
44: upper support piece 46: lower support piece
50: lower support portion 52: auxiliary bar

Claims (4)

가이드 레일을 지닌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정리하는 롤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벽으로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길이변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지지바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롤러.
CLAIMS 1. A roller for arranging a cable installed in a cable tray having a guide rail,
A body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A tight fitting part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variable in length; And
And a support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이드 레일 외벽의 두께에 맞게 조절 가능한 고정편과, 고정편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롤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main body comprises a fixing piece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outer wall of the guide rail, and a rail movably supporting the fixing pie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롤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ight contact portion supports the support bar with an elastic force via an elastic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하부에 지지력을 더하기 위한 보조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롤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supporting roller further comprises a sub-bar for adding a supporting force to the lower portion.
KR2020130010156U 2013-12-09 2013-12-09 Sort cable out roller KR2015000231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56U KR20150002312U (en) 2013-12-09 2013-12-09 Sort cable out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56U KR20150002312U (en) 2013-12-09 2013-12-09 Sort cable out 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12U true KR20150002312U (en) 2015-06-18

Family

ID=5351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156U KR20150002312U (en) 2013-12-09 2013-12-09 Sort cable out 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31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49Y1 (en) 2020-05-11 2021-01-21 이은상 Cabel guide device for cabel t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49Y1 (en) 2020-05-11 2021-01-21 이은상 Cabel guide device for cabel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4125A1 (en) Hidden electric power elevating stand structure
KR100876102B1 (en) Spacer Pass-Through Space Car
KR200492811Y1 (en) Guide elbow for cable transfer
US10309154B2 (en) Height actuated self-activating safety gate
KR102194391B1 (en) Blind hanger bracket
CN107428496B (en) Elevator operating board
WO2006023740A3 (en) Vertical track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fixtures thereon
KR101775329B1 (en) Socket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power cable tra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power cable tray
KR20150002312U (en) Sort cable out roller
KR101436431B1 (en) Plate of fixing for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line
CN205858030U (en) A kind of bus rapid transit safety door driving means
CN205521429U (en) Lion dance robot
JP2016050448A (en) Waterproof device of opening
KR101234865B1 (en) A guide rail fix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door
KR20140002497U (en) Cable guide
KR200428811Y1 (en) A fixing bracket for window frame
JPWO2012046289A1 (en) Elevator car room and elevator car
CN105538319A (en) Lion dance robot
KR101946709B1 (en) Parapet of two-stage in have hanging banner
KR101744946B1 (en) Self-assembly dryer for balcony in building
JP5137731B2 (en) Elevator installation equipment
JP6306138B1 (en) Elevator guide rail fixing device
CN206053426U (en) A kind of Military Shelter
CN104456280A (en) LED spotlight
CN205087748U (en) Boots guiding mechanism is led to luggage rack formula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