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854U -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854U
KR20150001854U KR2020130009162U KR20130009162U KR20150001854U KR 20150001854 U KR20150001854 U KR 20150001854U KR 2020130009162 U KR2020130009162 U KR 2020130009162U KR 20130009162 U KR20130009162 U KR 20130009162U KR 20150001854 U KR20150001854 U KR 20150001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ad
pillar
urin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현
Original Assignee
이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현 filed Critical 이미현
Priority to KR2020130009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854U/ko
Publication of KR20150001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8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소변을 유도하며 소변을 흡수하도록 구현된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을 받쳐주는 받침대; 및 상기 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소변 시 소변을 흡수하도록 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Petite induction equipment for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소변을 유도하며 소변을 흡수하도록 구현된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부쩍 늘어 약 1000만명에 달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20%가 애완동물을 키우는 셈인데, 그 많은 가정에서 애완동물의 용변을 처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대부분의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에서는 애완동물의 소변을 처리하기 위해 기존의 애견용 용변기 받침대 위에 종이를 깔아놓고, 그 위에 소변을 보도록 훈련을 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038호(2012.06.11 등록)는 애완동물의 배뇨와 배변을 자동으로 세척 배수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세척실이 있고, 상기 세척실 일측에 배수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세척실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로울러가 있고, 상기 한쌍의 로울러에 감겨져서 모터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장방형의 배변벨트를 갖는 탑승배변수단과, 상기 배변벨트의 일측과 하측에서 물 세척되게 하는 다수의 물분사노즐과 벨트세척노즐을 구비하고, 탑승감지센서와, 상기 배변벨트 상에 있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배변감지센서를 각각 구비하여 배변벨트 상에서 애완동물이 내려가면 상기 탑승감지센서와 배변감지센서의 감지 여부 신호가 인가되어 모터구동수단과 워터펌프가 일정시간 동안 가동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8177호(2013.05.21 등록)는 배설물을 적시에 처리 격리하고 배설물 이동로를 세척하는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대변은 이송시키고, 소변은 빠져 흐르는 네트 형식에 벨트에 세척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어와; 복층구조로 상층은 상기 컨베이어와 비슷한 면적에 수평경사의 배수판으로 배수판 경사로 끝엔 댐과 바닥면엔 배수구가 있으며, 배수판 양측면에는 거치대가 있어 상기 컨베이어가 배수판과 근접하여 수평으로 안착된다. 기관실 덮개에는 상기 컨베이어를 바라보는 측면에 센서가 부착되어 애견을 감지하고 상기 애견화장실을 제어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애완동물의 소변을 유도하기 보다는 단순히 처리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으로서, 애완동물에게 별도의 소변훈련을 시킨 후에야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고, 훈련을 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한 쪽 다리를 들고 기둥이나 벽에 소변을 보는 습성을 지닌 수컷 애견의 경우, 기둥이 없는 평면에서 소변을 보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소변이 소변기 외부로 튈 확률이 높다. 애완동물이 받침대 위에 소변을 보더라도 잘못 위치하여 바닥에 흐르거나 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소변기 주변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70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68177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들이 전봇대와 같은 기둥에 영역표시를 하는 습성을 이용해 기둥형태로 패드가 부착된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을 받쳐주는 받침대; 및 상기 기둥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소변 시 소변을 흡수하도록 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둥은, 측면에 다수 개의 홀을 형성하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기둥; 및 상기 제1 기둥과 상기 제2 기둥 사이를 고정시켜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제2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홈; 상기 수용홈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기 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기둥을 고정하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을 받쳐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외부 바닥면에 흡착 고정하기 위한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눌러 상기 흡착부가 외부 바닥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드는, 외측면에 소변을 흡수하는 흡수패드; 및 내측면에 소변을 방수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드는, 일면이 상기 방수패드와 접착되며, 다른 일면이 상기 기둥과 접착되기 위한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드는 상기 기둥을 덮어씌우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패드는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애완동물들이 전봇대와 같은 기둥에 영역표시를 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기둥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애완동물들에게 별도의 소변훈련 없이 쉽게 소변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둥에 흡수가 잘 되는 패드를 부착하여 형성시켜 줌으로써, 애완동물들이 소변을 보더라도 흡수되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기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받침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받침대의 리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는, 기둥(100), 받침대(200), 패드(300)를 포함한다.
기둥(100)은,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둥으로서, 애완동물에게 별도의 소변훈련을 시키지 않아도 습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 예에서, 기둥(100)은, 작은 충격에 파손되거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기둥(100)의 파손 우려를 감소시켜 애완동물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둥(100)은, 하단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받침대(200)와 결합할 때에 해당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체결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둥(100)은, 측면에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패드(30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받침대(200)는, 기둥(100)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로서, 상단에 기둥(100)을 고정 설치하며, 기둥(100)과 결합하여 기둥(100)을 세워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200)는, 기둥(100)을 고정시켜 받쳐 주기 위해서, 원형이나, 기둥(100)을 지탱할 수 있는 다른 형태(예를 들어, 오각형, 육각형 등)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패드(300)는, 애완동물의 소변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한 패드로서, 기둥(100) 전체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기둥(100)이 오염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패드(300)는, 기둥(100)의 측면에 탈부착하거나, 기둥(100)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기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둥(100)은, 제1 기둥(110), 제2 기둥(120), 높낮이 조절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기둥(110)은, 애완동물의 크기나, 장소에 맞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 제2 기둥(120)을 내부로 삽입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둥(110)은 측면에 다수 개의 홀(112)을 형성하여 제1 기둥(110)과 제2 기둥(120) 사이를 고정시킬 때에 사용되도록 한다.
제2 기둥(120)은, 제1 기둥(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둥(120)은 제1 기둥(1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기둥(110)보다 둘레가 작은 사이즈로 제작해야 한다.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제1 기둥(110)과 제2 기둥(120) 사이를 고정시켜 높낮이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제1 기둥(110)을 상하로 움직여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로 한 후에, 제2 기둥(110)을 제1 기둥(110)의 홀(112)에 고정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애완동물의 크기나, 장소에 맞게 기둥(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소변 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높낮이 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수용홈(132), 탄성스프링(134), 누름스위치(136), 스토퍼(138)를 포함한다.
수용홈(132)은, 제 2기둥(12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스프링(134)을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탄성스프링(134)은, 일측이 수용홈(13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누름스위치(136)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기둥(110)을 상하로 움직여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고정시킬 때에,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누름스위치(136)를 제1기둥(110)의 홀(1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누름스위치(136)는, 사용자가 누르면 제1 기둥(110)의 홀(112) 내부로 들어가면서 제1 기둥(11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탄성스프링(134)이 팽창하여 제1 기둥(110)의 홀(112) 외부로 노출되어 제 1기둥(110)을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스위치(136)는, 일측이 탄성스프링(134)과 붙어있고 다른 일측이 제1 기둥(110)의 홀(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 기둥(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누름스위치(136)를 누르면, 누름스위치(136)가 홀(112)의 내부로 들어가 제1 기둥(11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138)는, 수용홈(132)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탄성스프링(134)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138)는, 누름스위치(136)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제1 기둥(110)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어 제2 기둥(120)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볼트와 너트, 밴딩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한 형태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받침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대(200)는, 본체부(210), 결합부(220), 흡착부(23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상단 부분에 결합부(220)를 설치하고 하단 부분에 흡착부(230)를 설치하여, 기둥(100)을 바닥으로부터 지탱해 주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210)는, 기둥(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기둥(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동, 철 등과 같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220)는, 본체부(21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어, 기둥(100)과 받침대(200)를 연결시켜 기둥(100)과 받침대(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220)는, 가운데 부분을 암나사로 제작하고, 기둥(100)의 하단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나사 결합을 통해 기둥(100)과 받침대(200)를 결합시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해 준다.
흡착부(230)는, 본체부(210)의 하단 부분에 형성되며, 바닥에 흡착되어 받침대(200)를 바닥에 고정시켜 애완동물용 소변유도 기구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흡착부(230)는, 바닥면에 잘 흡착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흡착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과 같은 다른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받침대의 리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대(200)는 리브(240)를 더 구비한다.
리브(240)는, 바닥면 쪽으로 반원호 형태로 움직이게 되면서 흡착부(230)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압박하여, 받침대(200)(즉, 본체부(210))를 바닥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200)는, 내부에 있어서, 흡착부(230) 위에 나사산 형태의 스프링(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시켜 흡착부(230)를 보다 더 견고하게 바닥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200)는, 바닥에 흡착시키기 위해서, 리브(240)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과 해당 스프링 하측에 고무로 된 흡착부(230)가 압박을 받아, 흡착부(230)의 안쪽이 바닥과 진공상태가 되면서 바닥에 달라붙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200)는, 바닥에서 떼어내려면, 리브(240)를 상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과 반대로 움직여, 흡착부(230)를 눌러주고 있던 힘이 없어지면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무로 된 흡착부(230)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흡착부(230)에 가해지는 힘은 없어지고, 이에 진공상태가 해제되면서 흡착부(230)가 바닥과 떨어지게 되어 쉽게 탈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드(300)는, 흡수패드(310), 방수패드(320), 접착부재(330)를 포함한다.
흡수패드(310)는, 패드(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소변을 흡수시키기 위해 흡수가 잘되는 재질(예를 들어, 극세사 천, 면 등)의 패드로 소변이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방수패드(320)는, 패드(300)의 흡수패드(310)와 접착부재(330) 사이에 형성되며, 방수가 잘 되지 않는 재질(예를 들어, 비닐 등)의 패드로 흡수패드(310)에 의해 흡수된 소변이 기둥(100)에 묻지 않도록 방지한다.
접착부재(330)는, 방수패드(320) 후면에 위치하며, 접착테이프, 자석, 핀 등과 같은 연결체를 구비하여 패드(300)를 기둥(100)의 측면에 탈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패드(300)는, 소변이 기둥(100)에 묻지 않도록 내측면에 방수패드(320)를 형성하기 때문에 패드(300)만 교체하면 기둥(100)은 따로 세척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드(300)는, 흡수패드(310)와 방수패드(320) 사이를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로 접착시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드(300)는, 방수패드(320)가 기둥(100)과 접착되도록 형성되어 부착할 수 있다. 즉, 기둥(100)에 부착할 때 흡수패드(310)가 외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소변을 흡수하도록 하고, 방수패드(320)는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흡수된 소변이 방수되어 기둥(100)에 묻지 않도록 방수패드(320) 후면에 형성된 접착부재(300)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드(300)는, 기둥(100)의 겉면을 기둥(100)의 하단부까지 덮어씌우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패드(300)를 접착부재(300)를 이용하지 않아도 기둥(100) 표면에 덮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패드(300)는, 기둥에 덮어씌울 때 흡수패드(310)가 외부방향으로 향하고, 방수패드(320)가 내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애완동물의 소변을 흡수하고, 내부에서는 흡수된 소변이 기둥(100)에 묻는 것을 방수패드(32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패드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패드(300)는, 애완동물의 소변 양이 많아 소변이 모두 흡수되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고 오목한 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소변이 흡수되지 않더라도 패드(300)의 하단의 오목한 부분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바닥에 흐르지 않아 위생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패드(300)는, 소변이 흐르는 경우 받침대(200)까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둥(100)의 하단부까지 내려오며, 패드(300) 하단부가 넓게 펼쳐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기둥
110 : 제1 기둥
112 : 홀
120 : 제2 기둥
130 : 높낮이 조절부재
132 : 수용홈
134 : 탄성스프링
136 : 누름스위치
138 : 스토퍼
200 : 받침대
210 : 본체부
220 : 결합부
230 : 흡착부
240 : 리브
300 : 패드
310 : 흡수패드
320 : 방수패드
330 : 접착부재

Claims (10)

  1.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둥(100);
    상기 기둥(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100)을 받쳐주는 받침대(200); 및
    상기 기둥(1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소변 시 소변을 흡수하도록 하는 패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0)은,
    측면에 다수 개의 홀(112)을 형성하는 제1 기둥(110);
    상기 제1 기둥(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기둥(120); 및
    상기 제1 기둥(110)과 상기 제2 기둥(120) 사이를 고정시켜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상기 제2 기둥(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홈(132);
    상기 수용홈(132)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34); 및
    상기 탄성스프링(134)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34)에 의해 상기 홀(112)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기둥(110)을 고정하는 누름스위치(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130)는,
    상기 수용홈(132)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1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기둥(100)을 받쳐 지지하는 본체부(210);
    상기 본체부(2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100)과 결합하는 결합부(220); 및
    상기 본체부(2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외부 바닥면에 흡착 고정하기 위한 흡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본체부(210)에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눌러 상기 흡착부(230)가 외부 바닥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리브(2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0)는,
    외측면에 소변을 흡수하는 흡수패드(310); 및
    내측면에 소변을 방수하는 방수패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0)는,
    일면이 상기 방수패드(320)와 접착되며, 다른 일면이 상기 기둥(100)과 접착되기 위한 접착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0)는,
    상기 기둥(100)을 덮어씌우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0)는,
    소변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KR2020130009162U 2013-11-07 2013-11-07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KR201500018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162U KR20150001854U (ko) 2013-11-07 2013-11-07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162U KR20150001854U (ko) 2013-11-07 2013-11-07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854U true KR20150001854U (ko) 2015-05-15

Family

ID=5343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162U KR20150001854U (ko) 2013-11-07 2013-11-07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8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26U (ko) * 2020-06-22 2021-12-29 노영범 반려동물의 대변 수거용 봉투 보관홈이 구비된 반려동물 소변전용 공중 화장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26U (ko) * 2020-06-22 2021-12-29 노영범 반려동물의 대변 수거용 봉투 보관홈이 구비된 반려동물 소변전용 공중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US9737045B1 (en) Pet waste station and training device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KR101157038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KR101954771B1 (ko) 조립식 배변판 어셈블리
WO2006093568A2 (en) P-pole
WO1999047760A1 (en) Female urinal
KR20090039120A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KR20150001854U (ko) 애완동물용 소변 유도 기구
CN101919771A (zh) 自动护理床吸座总成
CN201790992U (zh) 自动护理床吸座总成
KR101358493B1 (ko) 소변기
CN204744708U (zh) 微电脑智能护理床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JP2007111521A (ja) オストメイト用汚物流しユニット
KR20160097533A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
KR101538508B1 (ko) 환자용 기저귀장치
CN213038491U (zh) 一种脚触发式洗手池
CN205322253U (zh) 一种马桶座圈
JP3217926U (ja) 介護負担軽減トイレマット。
CN211931928U (zh) 一种平轨移动式宠物冲便装置
JP2010063447A (ja) ペット排泄物のトイレ具
CN201794138U (zh) 一种座便器用防溅装置
JP3189052U (ja) 便器用吸液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