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09U -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509U
KR20150001509U KR20130008356U KR20130008356U KR20150001509U KR 20150001509 U KR20150001509 U KR 20150001509U KR 20130008356 U KR20130008356 U KR 20130008356U KR 20130008356 U KR20130008356 U KR 20130008356U KR 20150001509 U KR20150001509 U KR 201500015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vibration
vibration damper
connection fram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08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509U/ko
Publication of KR20150001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2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기용 방진기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냉각기 하부에 설치되는 접속프레임; 상기 접속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냉각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는 방진기; 및 상기 방진기 하부와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chilled water unit a anti vibrator}
본 고안은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각기용 방진기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기는 밀폐된 용기 속의 온도를 그 주위의 온도보다 낮추는 장치로서, 기계적인 작업이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기는 저온 쪽에서 고온 쪽으로 열을 이동시키는 열펌프의 역할을 하며, 열을 운반하는 유체를 냉매(冷媒)라 한다. 냉매로는 이산화탄소·암모니아·염화메틸 등을 주로 사용하며 최근까지 사용하던 프레온은 오존층 파괴 문제로 사용되지 않는다. 기본원리는 기화하기 쉬운 냉매를 액체로 만들고, 그것이 기화할 때 주위로부터 기화열을 빼앗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냉각기는 증기압축식 냉동기로, 이것은 압축기·응축기·증발기·팽창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전동기로 압축기를 운전하여 기체상태인 냉매를 압축해서 응축기로 보내고, 이것을 냉각기 밖에 있는 물이나 공기 등으로 냉각해서 액화한다. 이 액체상태로 된 냉매가 팽창밸브에서 유량이 조정되면서 증발기로 분사되면 급팽창하여 기화하고, 증발기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용기 속을 냉각한다. 기체로 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돌아와서 압축되어 액체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반복되는 압축·응축·팽창·기화의 4단계 변화를 냉동사이클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냉각기는 지면 상에 설치될 경우 냉각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방진기(anti vibrator)가 설치된다.
종래의 냉각기에 설치되는 방진기 설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냉각기에 설치되는 방진기의 모습을 나타낸 종래의 도면이다.
도면을 보는 바와 같이, 냉각기(1) 하부에 접속프레임(2)이 설치되고, 상기 접속프레임(2)에 방진기(3)가 결합되며, 지면에 설치된 스터드볼트(4)에 방진기(3)가 볼팅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냉각기(1)에의 접속프레임(2)에 방진기(3)를 설치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스터드볼트(4)에 방진기(3)를 위치시켜 결합하고 있는데, 미리 설치된 스터드볼트(4)와 방진기(3)의 볼트홀(3a)을 정확히 맞춰서 결합하기기 어렵고, 스터드볼트(4)의 위치가 방진기(3)의 볼트홀(3a)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시 크레인으로 냉각기(1)를 리프팅(lifting)한 상태에서 스터드볼트(4)를 제거하고 다시 지면에 스터드볼트(4)를 설치한 후에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어 이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3694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각기의 방진기를 지면에 설치하는데 있어 빠른시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냉각기 하부에 설치되는 접속프레임; 상기 접속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냉각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는 방진기; 및 상기 방진기 하부와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진기는, 양측은 아래쪽을 향하고 중심부는 상측으로 솟은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접속프레임과 볼팅결합되는 관통부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방진부재;와 상기 방진부재의 볼트홀에 삽입 결합되는 스터드볼트가 구비된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패드는 지면에 용접 고정되고, 방진기의 플레이트는 패드 상부에 용접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방진부재를 냉각기에 설치되는 접속프레임에 설치하고, 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터드볼트에 방진부재의 볼트홀을 체결하여 일체화된 방진기를 지면 상에 설치되는 패드에 부착하여 용접함으로써 방진기를 지면 상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진기를 지면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냉각기에 설치되는 방진기의 모습을 나타낸 종래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요부를 확대한 분리상태의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요부를 확대한 분리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는 크게, 접속프레임(110), 방진기(120), 패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프레임(110)은 냉각기(1)와 방진기(120)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접속프레임(110) 일측은 냉각기(1) 하부에 부착 설치되고 타측 아래쪽에는 볼팅결합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속프레임(110)은 냉각기(1)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최소 4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기(1)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접속프레임(110)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방진기(120)는 냉각기(1)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진기(120)는 접속프레임(110)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방진기(120)는 양측이 아래쪽을 향하고 중심부는 상측으로 솟은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홀(121b)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접속프레임(110)과 볼팅결합되는 관통부(121a)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완충부재(121c)가 설치된 방진부재(121)와 상기 방진부재(121)의 볼트홀(121b)에 삽입 결합되는 스터드볼트(122a)가 구비된 플레이트(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터드볼트(122a)가 방진부재(121)의 볼트홀(121b)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21c)는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기(1)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지면까지 전달되기 전에 진동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각기(1)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완충부재(121c)가 비틀림되면서 최초 진동을 점차적으로 상쇄시켜 진동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진부재(121)의 관통부(121a)를 접속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공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키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볼팅결합함으로써 접속프레임(110)과 방진부재(121)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진부재(121)의 양측의 볼트홀(121b)에 플레이트(122)에 부착된 스터드볼트(122a)를 삽입한 후 너트로 고정하여 방진부재(121)와 플레이트(122)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패드(130)는 방진기(120)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패드(13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방진기(120)의 플레이트(122)의 크기와 같거나 크도록 형성한다.
먼저 패드(130) 하부면이 지면에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설정한 뒤 지면과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용접을 통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방진기(120)의 플레이트(122) 하부면이 패드(13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패드(130)의 상부면과 플레이트(122)의 하부면의 모서리 부분에 용접으로 패드(130)에 플레이트(122)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패드(130)는 지면에 용접 고정되고, 방진기(120)의 플레이트(122)는 패드(130) 상부에 용접고정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설명한 냉각기용 방진기가 설치되는 순서 및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을 이용하여 냉각기(1)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띄운 상태로 유지한다.
그 다음, 냉각기(1) 하측으로 4군데 모서리에 접속프레임(110)을 설치한다.
그 다음, 방진부재(121)의 볼트홀(121b)에 플레이트(122)의 스터드볼트(122a)를 삽입하여 플레이트(122)와 방진부재(121)를 일체화시킨다.
그 다음, 방진부재(121) 중앙에 설치된 관통부(121a)와 접속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공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를 설정한 뒤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접속프레임(110)에 방진부(1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그 다음, 패드(130)는 방진기(120)가 설치될 위치에 해당하는 지면 상에 용접으로 부착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패드(130) 상부에 방진기(120)의 플레이트(122) 하부면이 맞닿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지면 상에 방진기(120)가 설치된 냉각기(1)를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추후에 방진기(120)를 유지보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접속프레임(110)과 방진부재(121)의 관통부(121a)에 결합된 볼트를 분리함으로써 냉각기(1)와 방진기(120)를 분리시킬 수 있어 방진기(120)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방진부재(121)를 냉각기(1)에 설치되는 접속프레임(110)에 설치하고, 플레이트(122)에 설치된 스터드볼트(122a)에 방진부재(121)의 볼트홀(121b)을 체결하여 일체화된 방진기(120)를 지면 상에 설치되는 패드(130)에 부착하여 용접함으로써 방진기를 지면 상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방진기(120)를 지면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10: 접속프레임 120: 방진기
121: 방진부재 121a: 관통부
121b: 볼트홀 121c: 완충부재
122: 플레이트 122a: 스터드볼트
130: 패드

Claims (3)

  1. 냉각기(1) 하부에 설치되는 접속프레임(110);
    상기 접속프레임(11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냉각기(1)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는 방진기(120); 및
    상기 방진기(120) 하부와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패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기(120)는,
    양측은 아래쪽을 향하고 중심부는 상측으로 솟은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홀(121b)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접속프레임(110)과 볼팅결합되는 관통부(121a)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완충부재(121c)가 설치된 방진부재(121);와
    상기 방진부재(121)의 볼트홀(121b)에 삽입 결합되는 스터드볼트(122a)가 구비된 플레이트(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130)는 지면에 용접 고정되고, 방진기(120)의 플레이트(122)는 패드(130) 상부에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KR20130008356U 2013-10-10 2013-10-10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KR201500015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356U KR20150001509U (ko) 2013-10-10 2013-10-10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356U KR20150001509U (ko) 2013-10-10 2013-10-10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09U true KR20150001509U (ko) 2015-04-20

Family

ID=5303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356U KR20150001509U (ko) 2013-10-10 2013-10-10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50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000B1 (ko) * 2019-08-01 2019-11-07 채희순 휀 유닛
KR102440477B1 (ko) * 2022-04-01 2022-09-06 (주)파워엔텍 지진억제장치 일체형 방진 앵커 브라켓
KR20220149998A (ko) * 2021-05-03 2022-11-10 (주)파워엔텍 방진 장치 일체형 내진 앵커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000B1 (ko) * 2019-08-01 2019-11-07 채희순 휀 유닛
KR20220149998A (ko) * 2021-05-03 2022-11-10 (주)파워엔텍 방진 장치 일체형 내진 앵커 브라켓
KR102440477B1 (ko) * 2022-04-01 2022-09-06 (주)파워엔텍 지진억제장치 일체형 방진 앵커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773A (ko) 압축기의 요동방지장치
US10780900B2 (en) Compressor modul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and compresso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20150001509U (ko) 냉각기용 방진기 설치구조
JP2009185775A (ja) 冷却ユニット
JP2018193130A (ja) 給油装置
JP2009018602A (ja) 冷凍装置
CN201843748U (zh) 压缩机的限位紧固装置
CN202531395U (zh) 压缩机的限位装置
JP2017044282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KR101085909B1 (ko) 압축기의 결합 구조
CN214891931U (zh) 风冷螺杆变频式冷水机组
CN102032146A (zh) 压缩机的限位紧固装置
JP2020122437A (ja) 圧縮機及びこれを有する機器及び冷蔵庫
US20200011588A1 (en) Supporte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208983714U (zh) 抗震车载冰箱
JPH0719169A (ja) 圧縮機等の固定装置
KR100782882B1 (ko) 배관 연결구조
EP3686429B1 (en) Transport refrigerating machine
KR200256448Y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진동 흡수장치
KR20040083724A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CN210718269U (zh) 一种冰箱
KR10062104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080103686A (ko) 압축기 지지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7339846A (zh) 压缩机、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200241187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