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192U -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92U
KR20150001192U KR2020130007653U KR20130007653U KR20150001192U KR 20150001192 U KR20150001192 U KR 20150001192U KR 2020130007653 U KR2020130007653 U KR 2020130007653U KR 20130007653 U KR20130007653 U KR 20130007653U KR 20150001192 U KR20150001192 U KR 201500011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clamp
flange
insulated switchge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192U/ko
Publication of KR20150001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일단부 둘레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외함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접힘 또는 전개동작을 유도하는 힌지부; 및 상기 클램프 부재의 타 측에 구비되어, 서로 분리 혹은 접촉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간의 연결에 있어서 기존 볼트체결구조에서 클램프체결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볼트의 조립시간이나 조립 후 체결력 확인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CLAMP FOR FLANGED JOINTS OF GAS INSULATED SWITCHGEAR ENCLOSURE}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을 연결함에 있어서 조립성을 개선한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GIS : Gas Insulated Switchgear)는 차단기, 단로기 등의 개폐설비와 변성기, 피뢰기, 주회로 모선 등을 금속제탱크 내에 일괄 수납한 일체형 시스템으로 선로의 과부하나 지락, 단락 등의 사고로부터 발전, 변전설비 또는 부하 기기 등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정상상태에서 전기적 절연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외함 내부에 절연가스를 충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은 고압가스가 상시 충진되고, 밀폐압력용기의 기능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외함간의 연결에 있어서 플랜지를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직접적인 압력, 압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해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을 참조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1)은 원통형태이며, 단부쪽에 바깥쪽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모습이다. 상기 플랜지에 다른 외함의 플랜지와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와 접합하여 볼트로 결합하기 위한 볼트홀이, 플랜지 외주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볼트홀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끼리의 직접적인 볼트 및 너트로 결합, 압착하는 방식이 채용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A-A부분 단면도이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홀(3)은 상기 플랜지에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의 단면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볼트홀(3)의 사이즈는 미리 계산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이러한 볼트홀이 상기 플랜지에 복수개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플랜지의 두께는, 맞닿은 두 개의 외함이 서로 벌어지려는 힘을 볼트와의 전단력으로 버티므로, 그 전단력에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2)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에 볼트홀(3)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상기 볼트홀의 사이즈보다 더 긴 플랜지(2)의 길이가 필요하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함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며,이를 참조하면, 두 개의 외함의 플랜지가 서로 밀착해, 볼트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는 2개의 볼트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플랜지에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복수개의 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외함 단부와 원형의 외함 마감용 커버가 서로 맞닿아 있고, 상기 외함 마감용 커버(7)의 외주에는 상기 외함의 플랜지에 구비된 볼트홀(3)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볼트홀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대응되는 볼트홀에 상기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가 볼트로 연결된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함간 혹은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체결시 상기 플랜지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에는 복수개의 볼트홀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볼트홀에 볼트를 조립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볼트와 너트가 제대로 조여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을 점검하는 시간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체결방법은 볼트의 체결 및 그 체결력 확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플랜지에 직접적인 볼트체결 없이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간의 연결 또는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상기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는 볼트를 한 번만 체결함으로써, 외함간의 연결 또는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하는데, 그 작업성과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일단부 둘레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외함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접힘 또는 전개동작을 유도하는 힌지부; 및 상기 클램프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서로 분리 혹은 접촉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클램프가 외함의 일단부를 감싸면서 이웃하게 배치된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시킴으로써, 여러번 볼트체결을 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시간상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의 체결시 상기 클램프 부재는 링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단부는 원형의 형태이므로, 이를 감싸기 위해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외함의 단부는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외함의 일단부와 상기 외함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상기 외함의 일단부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가 접합삽입되는 내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외함의 일단부가 내주홈에 접합삽입됨으로써, 상기 접합삽입된 두 외함이 축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볼트홀을 통해 볼트로 체결,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클램프의 체결을 볼트로도 할 수 있다. 또한 볼트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서로 압착할 수만 있다면,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형성방향은, 상기 볼트홀에 볼트 체결시 상기 클램프 부재가 상기 외함 일단부의 둘레면과 압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체결부에 볼트를 조여서 강하게 체결할수록, 상기 클램프와 외함의 압접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상기 힌지부의 형성방향과 상기 체결부의 형성방향의 면이 90도 각도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볼트홀은 1개소이거나, 2개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볼트홀이 1개로서 충분히 외력을 견딜 수 있을 때에는 조립과 해체의 간편성을 제공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외력이 강하거나 볼트가 풀리거나 헐거워지는 등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2개소 이상의 볼트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힌지부가 2개소 이상의 클램프를 제공한다. 이러한 클램프는 접히는 개소가 많아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여 보관 및 이동에 편리하다. 또한, 상기 외함의 일단부의 반경이 커졌을 때에도 상기 일단부의 일부를 삽입하고, 그 후 나머지 부분을 삽입하면 되므로, 상기 클램프의 설치에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내주홈의 직경이 외함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클램프를 외함에 체결시 내주홈이 외함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음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외함을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측면들에 의하면,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간의 연결에 있어서 일단부(예를 들어, 플랜지)에 직접 볼트를 체결하는 구조에서 클램프를 이용한 체결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한 번 혹은 두 번 또는 세 번의 볼트체결로 외함간의 연결 또는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와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의 조립시간이나 조립 후 체결력 확인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체결부와 힌지부가 엇갈려 있음으로써, 상기 클램프에 볼트를 체결하면 접합 된 일단부가 서로 더욱 압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의 구조가 힌지부로 구성될 수 있어 대형 크기의 외함 일단부 간의 연결에도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의 보관에도 힌지부를 접어 보관함으로써 유리하다. 그리고 여러 개소의 힌지부가 있어,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더욱 용이하게 외함 일단부를 클램프의 내주홈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외함 일단부 모양과 같은 원형의 형상으로써, 더 안정적인 체결을 할 수 있고, 상기 일단부와의 틈이 적게 생기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직경이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음으로써 상기 볼트의 체결로써 강한 체결성과 결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함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플랜지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볼트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외함간의 연결을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연결을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플랜지 연결방식을 개선한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개선한 점을 살펴보면, 기존의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연결방식은 플랜지에 구비된 복수개의 볼트홀을 통해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그 체결시간 및 체결력 확인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본 고안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는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플랜지를 접합삽입 후 클램프에 구비된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하면 되므로 그 체결시간 및 체결력 확인시간이 줄어든다.
물론, 상기 클램프의 체결을 볼트가 아닌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용접이나 커플링 등과 같은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가스절연개폐장치 외함의 연결에 있어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볼트홀이 구비된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를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함의 일단부는 외함의 직경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플랜지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 플랜지쪽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외함(1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이다. 상기 외함의 내부직경은 외함의 중앙부에서 단부로 가면서 줄어든다. 그리고, 단부에는 원형의 개구부와 함께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의 플랜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동심을 이루는 5개의 크기가 다른 원 중, 가장 외곽의 선은 외함의 외면(11)이고, 그 바로 안쪽의 선은 외함의 플랜지(20)의 끝선(21)이며, 상기 끝선(21)의 안쪽의 두 줄의 선은 후술할 고무 링이 삽입되는 링홈(4)이다. 그리고, 그 안쪽의 선은 상기 외함 개구부(12)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외함은 플랜지에 볼트홀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기 링홈(4)은 외함의 플랜지끼리 맞닿는 경우, 외함 내부를 더욱 밀폐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로 된 링을 끼워넣는 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0)가 볼트홀을 구비하고 있지않은 것은,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외함과 외함간의 결합이 플랜지(20)에 구비된 볼트홀에 볼트(5)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후에 설명할 클램프에 구비된 체결부(48)를 통해 체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 플랜지와 비교하여, 상기 플랜지(20)에 볼트홀(50)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볼트홀의 직경만큼 플랜지(2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다만, 플랜지가 받는 압력에 따라 플랜지(20)의 두께 또는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20)는 종래의 고안과는 달리 볼트홀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볼트홀이 구비된 종래 외함의 플랜지와 비교하여, 플랜지에 단면손실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에 단면손실이 없으므로 상기 플랜지가 상기 클램프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단력을 받는 상황에서, 짧은 플랜지 길이로도 종래와 같은 크기의 전단력을 견딜 수 있다. 아울러, 종래보다 짧은 플랜지로 충분하므로 외함의 제작에 들어가는 재료가 적으며, 플랜지가 볼트홀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홀을 만드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전체적인 공정이 단순화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27)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27)는 힌지부(30)를 중심으로 2개의 클램프 부재(40)가 양쪽으로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40)는 플랜지가 인입될 수 있는 내주홈이 구비된 곡면을 이루는 몸체부(42), 볼트를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 부재(40)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48)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2)는 2개의 플랜지가 접합되어 인입될 수 있는 내주홈(44)과 상기 내주홈에 인입된 상기 플랜지를 내주홈 양측에서 지지하여 2개의 외함이(즉, 플랜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주홈벽(46)을 포함한다.
또한, 2개의 접합된 플랜지가 상기 클램프 부재(40)에 끼워져 상기 힌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클램프 부재를 가깝게 오므리는 경우, 즉 접는 경우, 상기 클램프 부재는 원의 형태(링의 형태)를 갖춘다. 이는, 외함 플랜지의 형상이 일반적으로 원형이므로 상기 플랜지를 강하게 압박하며 상기 내주홈 내부 공간으로 수납하기 위함이다.
힌지부(30)는 상기 클램프 부재(4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하나의 클램프 부재(40)를 다른 클램프 부재(40)와 힌지부(32)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30)는 원형이며, 상기 힌지부(30) 가운데에는 힌지부핀(32)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48)는 상기 클램프 부재(40)의 반대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48)는 상기 클램프 부재(40)가 이루는 원주의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형의 판상이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48)에는 볼트(5)가 삽입되는 볼트홀(5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홀(50)은 1개소일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가 받을 압력 등에 따라 2개소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종래의 외함 플랜지에 구비된 볼트홀의 개수보다 적으므로, 본 고안이 목적하는 효과인 조립성 및 작업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볼트홀(50)의 볼트 삽입방향은 상기 힌지부(30)에 힌지부(32) 삽입방향과 약 90도의 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부는 볼트로 체결시 상기 클램프 부재가 압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방향은 상기 체결부(48)에 볼트(5)를 넣고 너트(6)로 조이는 경우, 그 조이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내주홈(44)에 삽입된 외함의 플랜지(20)를 상기 내주홈벽(46) 또는 상기 내주홈(44)에 강하게 구속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 부재(40)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내주홈(44)이 일정한 깊이로 상기 클램프 부재(4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주홈은 두 개의 플랜지가 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주홈벽(46)는 삽입된 플랜지를 클램프 밖으로 벗어나, 두 플랜지가 이격되는 것을 막으며, 상기 플랜지가 압접되도록 지지한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볼트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27)로 외함간 또는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7)를 체결을 할 때, 상기 내주홈에 2개의 플랜지가 접하여 삽입되게 하고(미도시), 상기 체결부(48)에 구비된 볼트홀 1개소에만 볼트(5)를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조립과 분해시간이 줄어들고, 작업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외함간의 연결을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2개의 외함이 서로 플랜지를 맞대고 있으며, 상기 2개의 플랜지(20)는 상기 내주홈(44)에 삽입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를 이용한 상기 외함간의 체결을 설명하면, 2개의 접합된 상기 외함의 플랜지(20)를 상기 내주홈(44)에 일부 삽입 후,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상기 내주홈(44)에 상기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부재(40)를 오므린다.
이후, 상기 플랜지가 상기 내주홈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각 클램프 부재에 구비된 상기 체결부가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홀(50)에 볼트(5)를 삽입하여, 떨어져 있는 양쪽의 체결부가 체결시킨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두 플랜지를 상기 클램프(27) 내부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두 외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에 볼트 체결시, 상기 내주홈의 직경은 외함의 플랜지 직경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내주홈에 상기 2개의 플랜지를 접하여 삽입하고, 상기 클램프를 오므려 볼트를 체결하면, 상기 내주홈에 삽입된 플랜지가 상기 클램프 내부에 강하게 결합, 지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연결을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외함의 개구부에 외함 마감용 커버가 접하여 막고 있으며, 상기 외함의 플랜지(20)에 외함 마감용 커버(7)가 맞닿아 있다. 아울러, 상기 외함의 플랜지(20)의 외경과 외함 마감용 커버(7)의 외경은 길이가 같다.
상기 외함과 외함 마감용 커버의 결합방법은 상술한 외함간의 결합방법과 다르지 않다. 상기 외함의 플랜지(20)와 외함 마감용 커버(7)를 상기 내주홈(44)에 삽입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오므린다. 그 후 상기 볼트홀(50)에 볼트(5)를 삽입해 상기 클램프(27)를 고정시킨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27)에는 상기 힌지부(30)가 도면에 도시한 모습을 중심으로, 10시 방향과 2시방향 2개소를 포함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에는 양단이 힌지부로 이루어진 클램프 연결부재(41)가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외함의 직경이 커지면 상기 외함의 플랜지(일단부)의 직경이 커지므로, 하나의 힌지부(30)를 구비한다면 상기 내주홈(44)에 플랜지를 삽입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내주홈 안으로 한 번에 삽입해야하는 플랜지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소의 힌지부(30)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프에 상기 플랜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클램프에 의한 결합의 작업 난이를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클램프 연결부재(41)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2개소 이상의 힌지부는 상기 클램프를 접을 시, 더 적은 부피를 차지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램프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 더 작은 공간에서도 보관이나 운반이 가능하여, 보관과 운반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은 점선으로 표시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에는 9시, 12시, 3시 방향으로 3개소의 힌지부(30)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 연결부재(41)가 2개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힌지부가 1개소나 2개소인 클램프에 비하여 회동가능한 힌지부가 많으므로, 전술한 힌지부가 1개소나 2개소인 클램프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유연한 움직임을 제공한다. 따라서, 외함의 플랜지 크기가 커지거나 또는 플랜지의 크기가 커지지 아니하더라도 플랜지를 상기 클램프의 내주홈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일부씩 삽입하면 되므로, 더 용이한 조립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외함 : 10 플랜지 : 20
클램프 : 27 힌지부 : 30
클램프 부재 : 40 클램프 연결부재 : 41
몸체부 : 42 내주홈 : 44
내주홈벽 : 46 체결부 : 48

Claims (7)

  1.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일단부 둘레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외함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를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 부재의 접힘 또는 전개동작을 유도하는 힌지부; 및
    상기 클램프 부재의 타 측에 구비되어, 서로 분리 혹은 접촉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외함의 일단부와 상기 외함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상기 외함의 일단부 또는 외함 마감용 커버가 접합삽입되는 내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체결시 상기 클램프 부재는 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일단부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볼트홀을 통해 볼트로 체결,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형성방향은, 상기 볼트홀에 볼트 체결시 상기 클램프 부재가 상기 외함 일단부의 둘레면과 압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KR2020130007653U 2013-09-11 2013-09-11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KR201500011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53U KR20150001192U (ko) 2013-09-11 2013-09-11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53U KR20150001192U (ko) 2013-09-11 2013-09-11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92U true KR20150001192U (ko) 2015-03-19

Family

ID=5303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53U KR20150001192U (ko) 2013-09-11 2013-09-11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1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762A (ko) 2019-09-21 2021-03-31 최원석 휴대폰거치대를 포함한 유아용 식탁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762A (ko) 2019-09-21 2021-03-31 최원석 휴대폰거치대를 포함한 유아용 식탁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032B2 (ja) 固体絶縁断路器
EP1928065B1 (en) Medium voltage gas-insulated switch-disconnector
US20120138574A1 (en) Tank type vacuum circuit breaker
US9484729B2 (en)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a conductor mounting between two casing portions
CN102057548A (zh) 气体绝缘电气设备用绝缘间隔件
US8629367B2 (en) Plug-in primary power connections of two modules of a gas-insulated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US3061665A (en) Electrical bus structure
CN105391229A (zh) 用于接线盒和电机的紧固系统
KR20110005534A (ko) 분리가능한 초전도 케이블용 종단접속함의 단말 구조체
JPH11318011A (ja) 補償要素を備えたガス絶縁高圧開閉設備のカプセル装置
KR20150001192U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외함의 클램프
KR101289837B1 (ko) 가스로 절연된 센서 모듈
US20130161940A1 (en) Device for fastening a fluid transport circuit to an element of the structure of an aircraft and related aircraft
JP2014030282A (ja) 三相一括型ガス絶縁母線
US20130140929A1 (en) Explosion-proof, compound electric motor
WO2012080522A1 (es) Dispositivo de conexión entre equipos eléctricos de alta tensión
CN109478478B (zh) 开关设备装置
CN111181061B (zh) 用于气体绝缘金属封闭电器设备的可拆连接节及组合电器
CN102576622B (zh) 气体绝缘的中压开关设备
EP2961015A1 (en) A coupler member for coupling together the casings of two gas-insulated electrical elements
JP362477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207353750U (zh) 高压输变电母线与波纹管补偿器运输安装固定装置
WO2018146720A1 (ja) 着脱装置
KR20150048818A (ko) 기밀 방식으로 하우징 벽을 통해 도체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
CN217720272U (zh) 用于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的母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