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970A -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970A
KR20150000970A KR20130073421A KR20130073421A KR20150000970A KR 20150000970 A KR20150000970 A KR 20150000970A KR 20130073421 A KR20130073421 A KR 20130073421A KR 20130073421 A KR20130073421 A KR 20130073421A KR 20150000970 A KR20150000970 A KR 2015000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valve
opening
tank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299B1 (ko
Inventor
진종근
김종열
노준식
Original Assignee
진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근 filed Critical 진종근
Priority to KR2013007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2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더라도 밸브의 최종 개폐상태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탱크 내부에 설치된 밸브에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탱크 내부에 설치된 밸브와 탱크 외부에 설치된 몸체부(10) 내부에 있는 투명관(31)에 관로를 이용하여 내부의 수위를 활인할 수 있는 유체를 채우고, 전면부 일측에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11)이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봉형상의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가로바(22)와 상기 회전축(2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가로바(23) 그리고 회전축(21)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동레버(24) 또는 유압작동기(25)로 형성되는 개폐상태조절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데,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관형상의 투명관(31)과 상기 투명관(31)을 내삽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표(32)로 형성되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BALLST TANK WATERING VALVE INDICATO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밸브인 앵글밸브, 글로브밸브, 게이트밸브, 버터플라이밸브, 볼밸브 등의 개폐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수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밸러스트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밸브가 수심 속에 잠겨서 탱크 내부에 설치되므로 밸브의 개폐상태를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형선박에는 선박의 평형 및 안전을 고려하여 일정량의 밸러스트수(水 : 이하 '평형수'라 칭함.)를 취수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평형수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선박용 밸러스팅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2011-018116호(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밸러스트 밸브를 제어하고,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레벨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밸러스트 밸브를 제어하게 되고, 오동작으로 인한 평형수의 잘못된 이송 등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차단밸브 및 디벨러스팅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밸러스트 밸브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서 파손 등에 대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131호(선박의 밸러스팅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밸러스팅 방법, 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계측기 및 선박의 흘수를 측정하는 흘수 계측기 및 선박의 특성을 측정하여 밸러스트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밸러스트 밸브에 대한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밸브의 오작동에 대한 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 1 또는 선행기술 2의 밸러스팅 시스템보다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밸러스트 밸브의 개폐상태 또는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은 밸브 구동부에서 유체의 이송을 이용하여 별도의 게이지를 통하여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유체의 이송량에 따라 게이지가 이동하게 되고, 밸브의 개폐상태와 상관없이 유체가 유출될 경우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은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는 선박의 선수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는 평형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되는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이 가능한 개폐상태조절부(20)와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표시부(30)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전면부 일측에 밸브 OPEN/CLOSE를 표시하는 표시창(11)이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봉형상의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가로바(22)와 상기 회전축(2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가로바(23)로 형성되는 개폐상태조절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데,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관형상의 투명관(31)과 상기 투명관(31)내부에 유체의 수위 변동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표(32)로 형성되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의 제1가로바(22) 및 제2가로바(23)에는 각각 자성체가 더 구비되어 표시부표(32)에 대응하도록 하며, 상기 제1가로바(22)와 제2가로바(23)는 일정각도 이상 이격되어 개폐상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 회전축(21)에서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일부분에는 수동으로 회동할 수 있는 수동레버(24) 또는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자주적으로 각도를 회동시킬 수 있는 유압작동기(25)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은 확인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상태조절부(20)와 표시부(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는 선수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고, 밸브의 오동작으로 인한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이 가능한 개폐상태조절부(20)와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선박의 선수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설치된 밸브와 관로가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상태에 따라 이송량이 달라지는 유체가 이송되는 표시부(3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관로 내부에는 유체로 채워져서 밸브의 개폐상태에 따라 유체의 이송량이 달라지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는 내측에 빈공간을 구비하고, 일측 전면부에는 눈금창(11)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눈금창(11)은 내부에 유입되는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3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개폐상태조절부(20)는 표시부(30)에 구비되는 표시부표(3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봉형상의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가로바(22)와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가로바(23)로 구성되고, 몸체부(10)의 외부로 일정부분 돌출되는 회전축(21)의 단부에는 회전축(21)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동레버(24)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동레버(24)에는 유압작동기(2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유압작동기(25)는 유압을 이용하여 회전축(21)을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가로바(22)와 제2가로바(23)의 일측 단부에는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자성체는 표시부(30)의 표시부표(3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로바(22)와 제2가로바(23)는 각각 일정각도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로바(22)와 제2가로바(23)의 배치를 일정각도 이상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은 회전축(21)을 회동시켜 제1가로바(21)와 제2가로바(23)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표시부(30) 표시부표(32)를 특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최고위치와 최저위치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밸러스트탱크에 취수되는 평형수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유체의 이송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는 표시부(30)의 표시부표(32)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시부표(3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밸브가 열리면 관형상의 투명관(31)에 유체의 수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표시부표(32)가 올라가서 제1가로바(22)에 대응하고, 반대로 밸브가 닫히면 관형상의 투명관(31)에 유체의 수위 하강에 따라 표시부표(32)가 내려가서 제2가로바(23)에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표시부(30)는 관형상의 투명관(31)과 상기 투명관(31)을 내삽하고 유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표시부표(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표(32)는 자성체에 반응하며 부력을 유지하는 것은 무엇이든 가능하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원형으로 도시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표시부표(32)는 투명관(31)을 기준으로 유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밸브의 개폐 정도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는 투명관(31) 내부의 유체 수위 변동에 따라 표시부표(32)의 위치가 결정되면, 개폐상태조절부(20)의 수동레버(24) 또는 유압작동기(25)를 회동시켜 회전축(21)을 회전시키게 되고, 투명관(31) 내부의 유체 수위 변동에 따라 회전축(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가로바(22)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2가로바(23)에 표시부표(32)가 대응하게 되며, 제1가로바(22) 및 제2가로바(23)에 구비되는 자성체에 결합되어 표시부표(32)의 위치가 밸브와 연결된 관로 내부에서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고정되어 있게 되어 최종적인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된 표시부표(32)는 항해가 끝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에 의해 점검되어지고, 최초 표시부표(32)의 고정된 위치와 투명관(31) 내부의 유체의 수위가 상이할 경우, 파손 또는 이상유무를 인지하여 이에 대한 대처를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부 11 : 표시창
20 : 개폐상태조절부 21 : 회전축
22 : 제1가로바 23 : 제2가로바
24 : 수동레버 25 : 유압작동기
30 : 표시부 31 : 투명관
32 : 표시부표

Claims (4)

  1. 선박 밸러스트 탱크에 사용되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전면부 일측에 눈금을 표시하는 눈금창(11)이 구비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봉형상의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가로바(22)와 상기 회전축(2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가로바(23)로 형성되는 개폐상태조절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관형상의 투명관(31)과 상기 투명관(31)에 내삽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표(32)로 형성되는 표시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의 제1가로바(22) 및 제2가로바(23)에는 각각 자성체가 더 구비되어 표시부표(32)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바(22)는 제2가로바(23) 사이의 각도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상태조절부(20)의 회전축(21)은 몸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일부분에 수동레버(24) 또는 유압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유압작동기(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KR20130073421A 2013-06-26 2013-06-26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KR10151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421A KR101512299B1 (ko) 2013-06-26 2013-06-26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421A KR101512299B1 (ko) 2013-06-26 2013-06-26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70A true KR20150000970A (ko) 2015-01-06
KR101512299B1 KR101512299B1 (ko) 2015-04-15

Family

ID=5247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421A KR101512299B1 (ko) 2013-06-26 2013-06-26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30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지노스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스마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107Y1 (ko) * 1984-09-13 1987-03-23 김용학 보일러의 수위감지 장치
KR960024204U (ko) * 1994-12-05 1996-07-22 소광민 탱크의 액체내용물 레벨 검출장치
KR100840972B1 (ko) 2007-02-28 2008-06-24 세메스 주식회사 공정 물질 저장 장치
KR20120061526A (ko) * 2010-12-03 2012-06-13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수위 판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299B1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8795A (en) Liquid level gauge and valve
US9567736B1 (en) Toilet fill valve auxiliary shutoff mechanism
US8534313B1 (en) Toilet fill valve auxiliary shutoff mechanism
US9228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calibration and function verification of fluid level sensor
JP6054226B2 (ja) 喫水計測装置、及び喫水計測方法
NO20110541A1 (no) Bronnhode-ventilsystem for justering av stromningen med integrert flerfase-stromningshastighetsevne
GB2473073A (en) Fuel level sensing device
US6988406B1 (en) System and method of liquid level detection
KR101512299B1 (ko)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US20100229964A1 (en) Service valve assembly having a stop-fill device and remote liquid level indicator
US20090145218A1 (en) Fluid level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JP2009543078A (ja) サイフォン容器内の加圧液体の液面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059668B2 (ja) バルブ開閉装置
KR101183613B1 (ko) 강우량 측정기
WO2010007237A3 (fr) Chasse d ' eau aec dispositif de mise en securite
WO2014096472A1 (es) Sonda para determinar el nivel de la fase líquida de gases licuados del petróleo y otros gases licuados, acondicionados en botellas presurizadas
CN210953035U (zh) 一种胶囊储油柜油位测量装置
KR20140001277U (ko) 레벨 측정장치 시운전용 지그
CN203727990U (zh) 一种罐内液位的测量装置
EP1832855B1 (en) Level indicator for containers, particularly containers intended to hold liquefied gases
CN107238423B (zh) 磁感式液位测量装置及液体储罐
RU2028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допущения попадания нефти из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на очистные сооружения
US20100146692A1 (en) Leak prevention fill valve control system for toilet tank
CN204514439U (zh) 新型磁性浮块液位计
CN217953626U (zh) 利用外部水源完成检定的磁翻板液位计现场检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