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69A -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69A
KR20150000769A KR20130073301A KR20130073301A KR20150000769A KR 20150000769 A KR20150000769 A KR 20150000769A KR 20130073301 A KR20130073301 A KR 20130073301A KR 20130073301 A KR20130073301 A KR 20130073301A KR 20150000769 A KR20150000769 A KR 2015000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water
hole
elastic member
wa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2013007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769A/ko
Publication of KR2015000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는 일단부가 온수매트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고, 타단부가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며,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몸체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재;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을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피트장치{FIT DEVICE FOR HOT 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 순환보일러의 물배관 연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매트 본체의 내부에 온수가 순환되는 소정 길이의 물배관이 내장되며, 상기 물배관(가요성 호스)의 양단(물이 입력되는 입력단 및 매트 본체를 순환한 물이 배출되는 배출단)은 매트 외부로 노출되어 소형 온수 순환보일러에 접속된다. 온수 순환보일러는 온수매트의 물배관의 입력단으로 온수를 공급하고, 배출단으로부터 물을 회수함으로써 물을 순환시킨다.
이와 같은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의 물배관의 양단은 순환보일러의 물배관 양단에 설치된 접속구에 각각 직접 접속된다. 즉, 온수매트의 물배관의 양단 내측으로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의 접속구가 삽입된다. 이 경우, 온수매트의 물배관의 양단이 상기 접속구에 직접 결합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온수매트의 물배관과 순환보일러의 접속구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온수매트의 물배관에 순환보일러의 접속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끈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스너(fastener)를 이용하여 온수매트의 물배관과 순환보일러의 접속구의 연결부분을 묶는다. 하지만 이 경우, 온수매트의 물배관을 순환보일러의 접속구로부터 분리할 때마다 묶어 놓은 파스너를 커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수매트의 물배관에 피트장치를 구비하여 온수매트의 물배관과 순환보일러의 접속구 간 결합 및 분리를 선태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피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된 피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부가 온수매트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고, 타단부가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며,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몸체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재;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을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몸체 타단부 측의 관통구멍을 직각으로 관통하며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이 관통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딩부; 및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구멍은 일부분이 상기 몸체의 관통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멍의 나머지 부분의 곡률은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탄력성을 가지는 덩어리 형상의 단일체 예를 들면,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공기가 충진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타단부 측의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몸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버튼부를 누르는 단순한 동작으로 통해 접속구와 견고한 결합은 물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덩어리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부에 공기로 충진된 고무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상의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가 순환보일러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의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의 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순환보일러의 연결구에 접속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순환보일러의 연결구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를 순환보일러의 연결구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10)는 순환보일러(1)의 물배관(2)의 설치된 한 쌍의 접속구(3a,3b)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피트장치(10)는 온수매트(미도시)에 설치되는 물배관의 양단(5a,5b)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 이 경우 순환보일러(1)의 각 접속구(3a,3b)에 접속된 피트장치(1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하나의 피트장치(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온수매트용 피트장치(10)는 몸체(20), 고정너트(25), 버튼부(30), 탄성부재(40) 및 마개(50)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몸체(20)는 일단부(20a)와 타단부(20b)를 관통하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되고, 타단부(20b)에는 상기 관통구멍(21)을 직각으로 관통하며 버튼부(4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21)은 일단부(20a) 내측에 형성된 제1 부분(21a)은 타단부(20b) 내측에 형성된 제2 부분(21b)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부분(21b)에는 순환보일러의 접속구(3a, 도 7b 참조)의 선단부(4)가 삽입된다.
일단부(20a)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온수매트의 물배관 단부(5a, 도 7b 참조)에 삽입된다. 이 경우 일단부(20a)는 물배관(5a)에 삽입이 용이하며, 한번 삽입하면 물배관(5a)으로부터 분리가 어렵도록 일단부(20a)의 외주에 복수의 걸림돌기(22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일단부(20a)에는 온수매트의 물배관 단부(5a)와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너트(25)가 체결되는 나사부(22b)가 형성된다. 고정너트(25)는 내측에 나사부(22b)와 나사결합된는 나사산(25b)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너트(25)는 온수매트의 물배관 단부(5a)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6)에도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이 몸체(20)의 일단부(20a)는 상술한 복수의 걸림돌기(22a)와, 일단부(21)의 나사부(22b)와, 고정너트(25)와, 온수매트의 물배관 단부(5a)의 나사부(6) 간의 체결을 통해 온수매트의 물배관 단부(5a)와 견고한 결합을 이룸으로써 분리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몸체(20)는 일단부(20a)와 타단부(20b)의 대략 경계부분에 마개부(50)의 연결고리(54, 도 2 참조)가 결합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20)의 타단부(20b)는 상측에 버튼부(30)의 누름부분(37)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26)이 형성되고, 제1 삽입홈(26) 내측에는 탄성부재(4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27)이 형성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버튼부(30)는 몸체(20)의 슬라이딩 구멍(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부분(31)과, 상기 수직부분(31)의 상단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분(37)을 포함한다.
수직부분(31)은 접속구(3a)의 선단부(4a)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32)은 상부(32a)가 몸체(20) 관통구멍(21)의 제2 부분(21b)의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하부(32b)가 접속구(3a)의 걸림홈(4c, 도 6 참조)의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3a)의 선단부(4a)에는 한 쌍의 씨일링(7a,7b)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직부분(31)의 관통구멍(32)의 상/하부(32a,32b)가 서로 다른 곡률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속구(3a)의 선단부(4a)가 수직부분(31)의 관통구멍(32) 및 몸체(20) 관통구멍(21)의 제2 부분(21b)에 삽입될 때 수직부분(31)의 하부(32b)가 접속구(3a)의 걸림홈(4c)에 삽입될 수 있다(도 7b 참조). 이에 따라 접속구(3a)는 몸체(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분(31)은 양측에 한 쌍의 걸림돌기(35)가 형성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걸림돌기(35)는 수직부분(31)이 몸체(20)의 슬라이딩 구멍(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20)의 결합구멍(23)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28) 걸림에 따라 버튼부(30)가 결합구멍(23)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8b 참조).
누름부분(37)은 몸체(20)의 제1 삽입홈(26)에 삽입되며, 누름부분(37)의 하부가 탄성부재(40)이 상부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즉, 누름부분(37)은 탄성부재(40)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상기 누름부분(37)은 접속구(3a)를 몸체(20)에 결합하거나 반대로 몸체(20)로부터 분리할 때 눌러서, 수직부분(31)에 의한 접속구(3a)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40)는 몸체(20)의 제2 삽입홈(27)에 안착되며, 버튼부(30)의 누름부분(37)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40)는 탄력성을 가지는 덩어리 형상의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탄성부재(40) 내부에 형성된 챔버(미도시)가 형성되고, 챔버 내에 공기가 충진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40)의 재질 자체도 탄성력을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챔버 내 공기압에 의한 탄력을 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부재(4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비해 고장이 적고 내구력이 크기 때문에 버튼부(3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개부(50)는 피트장치(10)를 접속구(3a)로부터 분리시킬 때, 온수매트의 물배관(5a)에 장입된 물이 몸체(20)의 관통구멍(21)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개부(50)은 선단부(51)가 몸체(20) 관통구멍(21)의 제1 부분(21a)에 억지 끼움되고, 후단부(52)는 몸체(20) 관통구멍(21)의 제2 부분(21b)에 억지 끼움된다. 이 경우 후단부(52)에는 연결띠(53)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티(53)의 타단에는 고리(54)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리(54)는 몸체(20)의 결합홈(24)에 결합됨에 따라, 마개부(50)의 선/후단부(51,52)가 항상 몸체(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용 피트장치(10)를 순환보일러(1)의 접속구(3a)에 접속하는 경우, 먼저 버튼부(30)의 누름부분(37)을 F 방향(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접속부(3a)의 선단부(4a)를 몸체(20)의 관통구멍(21)과 버튼부(30) 수직부분(31)의 관통구멍(32)에 삽입한 후, 버튼부(30)의 누름부분(37)에 F 방향으로 가한 힘을 제거하면, 도 7a 내지 도 8b와 같이 버튼부(30)의 수직부분(31)의 하부(32b)가 접속구(3a)의 걸림홈(4c)에 삽입되어 접속구(3a)는 몸체(20)로부터 견고하게 결합된다.
반대로, 순환보일러(1)의 접속구(3a)로부터 온수매트용 피트장치(10)를 분리시키는 경우, 버튼부(30)의 누름부분(37)을 F 방향(하측 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온수매트용 피트장치(10)를 접속구(3a)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간편하게 분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몸체(2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버튼부(30)를 누르는 단순한 동작으로 통해 접속구(3a)와 견고한 결합은 물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3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덩어리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부에 공기로 충진된 고무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상의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몸체 21: 관통구멍
23: 슬라이딩 구멍 25: 체결너트
28: 걸림턱 30: 버튼부
31: 수직부분 32: 관통구멍
35: 걸림돌기 37: 누름부분
40: 탄성부재 50: 마개부

Claims (8)

  1. 일단부가 온수매트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고, 타단부가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며,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몸체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재;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을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몸체 타단부 측의 관통구멍을 직각으로 관통하며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이 관통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딩부; 및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결합구멍은 일부분이 상기 몸체의 관통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의 나머지 부분의 곡률은 상기 순환보일러의 물배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력성을 가지는 덩어리 형상의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공기가 충진된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타단부 측의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KR20130073301A 2013-06-25 2013-06-25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KR20150000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301A KR20150000769A (ko) 2013-06-25 2013-06-25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301A KR20150000769A (ko) 2013-06-25 2013-06-25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69A true KR20150000769A (ko) 2015-01-05

Family

ID=5247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301A KR20150000769A (ko) 2013-06-25 2013-06-25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652A (zh) * 2017-03-13 2017-05-10 恭城瑶族自治县恭城中学 多功能饮料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652A (zh) * 2017-03-13 2017-05-10 恭城瑶族自治县恭城中学 多功能饮料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32123B2 (en) Connecter assembly, male connecter, and female connecter
US10573436B2 (en) Liquid-tight strain relief
KR10170381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ATE487251T1 (de) Verbindungssystem, insbesondere elektrisches verbindungssystem
KR101599159B1 (ko) 플러그형 커넥터 하우징용 로킹 장치
US20150280362A1 (en) Fastening device of plug-socket combination
KR20150000769A (ko) 온수매트용 피트장치
US8037558B1 (en) Wash basin drain structure
KR20170062488A (ko) 주름 튜브를 위한 연결 조립체
KR101503030B1 (ko) 센서 교체가 용이한 워터 센서 프로브
CN104822235B (zh) 柔性盒紧固钩以及由所述钩紧固的元件
TW202024468A (zh) 具有易拆裝結構之屏幕導線調控裝置
CN201823142U (zh) 支气管堵塞管固定器
KR200460063Y1 (ko) 전등 커버의 고정장치
KR200467901Y1 (ko) 엘이디 조명
CN212381898U (zh) 一种宠物笼专用饮水器
CN204300058U (zh) 一种连接组件
KR200476951Y1 (ko) 통발연결구
US20150191301A1 (en) Bucket
US10161437B2 (en) Retaining element
KR100994157B1 (ko) 진공식 튜뷰를 이용한 통신라인 연결 보조기
CN108991926B (zh) 耦合器组件的安装结构及饮水设备
KR20200057935A (ko) 케이블 글랜드
KR20160000195U (ko) 파이프 연결구
CN208923805U (zh) 油田井下测试电缆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