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87U - 카드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87U
KR20150000687U KR2020130006560U KR20130006560U KR20150000687U KR 20150000687 U KR20150000687 U KR 20150000687U KR 2020130006560 U KR2020130006560 U KR 2020130006560U KR 20130006560 U KR20130006560 U KR 20130006560U KR 20150000687 U KR20150000687 U KR 20150000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ase
storage case
groove
guide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근
황인용
Original Assignee
이선근
황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근, 황인용 filed Critical 이선근
Priority to KR2020130006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687U/ko
Publication of KR20150000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카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카드 수납 케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된 제1홈과, 이 제1홈의 외곽에 형성되어 카드(20)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으면서 제1홈보다 높게 형성된 가이드 단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 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가 상기 카드 안착부에 위치할 때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 수납 케이스 {CONTAINER CASE FOR CARD TYPE DEVICE}
본 고안은 카드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 타입의 매체(이하, “카드”라 약칭한다)를 수납하기 위한 카드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 직불카드, 교통카드 등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카드 타입의 매체(이하, “카드”라 약칭한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는 일반적으로 카드 발행사에서 종이에 카드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에 카드 모서리를 끼워서 수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우편 등을 통하여 카드 신청인에게 배송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카드 수납 방식은 비교적 고가이면서 진열대 등에 진열되어 판매되는 카드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00358호에는 IC칩이 부착된 IC 신분카드를 수납하는 IC 신분카드 수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진열대 등에 진열되어 판매되는 카드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여러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카드 수납 케이스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8-0000358호(1998.03.30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 요망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카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된 제1홈과, 이 제1홈의 외곽에 형성되어 카드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으면서 제1홈보다 높게 형성된 가이드 단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 안착부; 및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가 상기 카드 안착부에 위치할 때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카드 안착부 및 걸림턱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평탄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외곽에 상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 상기 상부면에 대응하는 평탄한 하부면 및, 하부면의 외곽에 하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단차는 카드의 양 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부 가이드 단차와, 카드의 하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a)과 같은 면을 이루면서 상기 가이드 단차와는 카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카드가 상기 카드 안착부에 위치할 때 카드의 양 측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걸림턱과, 카드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단차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카드를 잡기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카드 안착부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입구 쪽에 제2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될 때 접착부재를 매개로 그 하부면을 외부 커버에 접착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부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고안의 카드 수납 케이스에 따르면, 카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으므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 C-C선, D-D선 및 E-E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F-F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6의 F-F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지는 상태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가 펼쳐진 상태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가 벌려져서 세워진 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하여 2013년 5월 9일자 특허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3-0052228호(발명의 명칭: NFC 태그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에서 채택 가능한 것으로서 NFC 태그정보가 저장된 NFC 칩을 탑재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매체의 한 형태인 NFC 카드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구성이다. 이 NFC 카드는 NFC 리더기가 장착된 장치(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등)에 근접시켜 음원 등과 같은 오디오컨텐츠, 뮤직비디오와 영화 등과 같은 비디오컨텐츠, 사진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 등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장치(스마트폰, 스마트TV, 컴퓨터 등)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각각 도 1의 A-A선, B-B선, C-C선, D-D선 및 E-E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20)는 베이스(a,b,c,d)와 카드 안착부(11,12,17)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3,14,15)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카드 수납 케이스(20)는 예를들면 고강도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와 알루미늄 및 동 등을 포함하는 금속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a,c)는 평탄한 상부면(a)과, 상부면(a)의 외곽에 예를 들면 1~4mm 정도로 상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c), 상부면(a)에 대응하는 평탄한 하부면(b) 및, 하부면(b)의 외곽에 예를 들면 3~7mm 정도로 하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c)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두리(c,d)의 형상은 사각 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카드 안착부(11,12,17)는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2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의 상부면(a)보다 낮게 형성된 제1홈(11)과, 이 제1홈(11)의 외곽에 형성되어 카드(20)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상부면(a)보다 낮으면서 제1홈(11)보다 높게 형성된 가이드 단차(1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단차(12,17)는 카드(20)의 양 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부 가이드 단차(12)와, 카드(20)의 하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단차(1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3,14,15)은, 베이스의 상부면(a)과 같은 면을 이루면서 카드(20)가 카드 안착부(11,12,17)에 위치할 때 카드(2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 단차(12,17)와는 대략 카드(20)의 두께에 대응하는 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걸림턱(13,14,15)은 카드(20)가 카드 안착부(11,12,17)에 위치할 때 카드(20)의 양 측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걸림턱(13,14)과, 카드(20)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3 걸림턱(17)을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턱의 형태와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부 가이드단차(17)에서 카드(20)의 양 측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걸림턱(13,14)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드(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부(18;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걸림턱(13,14,15)의 하부는 트여진 홀(1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드(20)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카드를 잡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카드 안착부에서 카드(20)가 삽입되는 입구 쪽에 제2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인 11a는 제1홈의 하부면, 12a는 가이드 단차의 하부면, 13a는 제1 걸림턱의 하부면, 14a는 제2 걸림턱의 하부면, 15a는 제3 걸림턱의 하부면, 17a는 하부 가이드 단차의 하부면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으므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의 배면도이며, 도 8(a)는 도 6의 F-F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6의 F-F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지는 상태의 사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에 카드가 끼워진 상태의 사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가 펼쳐진 상태의 사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가 벌려져서 세워진 상태의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그 도면부호를 생략하였으며,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돌출부(32,32a)가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부착돌출부(32,32a)는 도 8a의 단면구성과 같이 상부가 홈(32)이고 그 하부면(32a)가 하부 테두리(d)의 하단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착돌출부(34)는 도 8b의 단면구성과 같이 상부가 상부면(a)과 같은 면을 이루고 그 하부가 하부 테두리(d)의 하단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부착돌출부(32,32a)(34)는 카드 수납 케이스(30)가 외부 커버(40)에 부착될 때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그 하부면을 외부 커버(40)에 접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 수납할 수 있으므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구매자가 구매 후에 보관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10: 카드 수납 케이스 11: 제1홈
12: 측부 가이드 단차 13: 제1걸림턱
14: 제2걸림턱 15: 제3걸림턱
16: 홀 17: 하부 가이드 단차
18: 테이퍼부 20: 카드
30: 카드 수납 케이스 40: 외부 커버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된 제1홈과, 이 제1홈의 외곽에 형성되어 카드의 착탈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보다 낮으면서 제1홈보다 높게 형성된 가이드 단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 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하며 카드가 상기 카드 안착부에 위치할 때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카드 안착부 및 걸림턱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평탄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외곽에 상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 상기 상부면에 대응하는 평탄한 하부면 및, 하부면의 외곽에 하방 돌출 형성된 상부 테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단차는 카드의 양 측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부 가이드 단차와, 카드의 하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과 같은 면을 이루면서 상기 가이드 단차와는 카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갭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카드가 상기 카드 안착부에 위치할 때 카드의 양 측부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걸림턱과, 카드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단차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분에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카드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카드를 잡기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카드 안착부에서 카드가 삽입되는 입구 쪽에 제2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드 수납 케이스가 외부 커버에 부착될 때 접착부재를 매개로 그 하부면을 외부 커버에 접착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부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수납 케이스.


KR2020130006560U 2013-08-07 2013-08-07 카드 수납 케이스 KR20150000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60U KR20150000687U (ko) 2013-08-07 2013-08-07 카드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60U KR20150000687U (ko) 2013-08-07 2013-08-07 카드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87U true KR20150000687U (ko) 2015-02-17

Family

ID=5304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560U KR20150000687U (ko) 2013-08-07 2013-08-07 카드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6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93U (ko) * 2018-07-03 2020-01-13 이용환 카드 보관함
KR102377738B1 (ko) * 2020-10-08 2022-03-23 박현준 카드 홀더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93U (ko) * 2018-07-03 2020-01-13 이용환 카드 보관함
KR102377738B1 (ko) * 2020-10-08 2022-03-23 박현준 카드 홀더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397B1 (en) Retail phone package
US8725222B2 (en) Payment-enabled mobile telephone assembly
WO2007041528A3 (en) Automated broadcast advertising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WO2008144671A3 (en) Data brokerage system for mobile marketing
US9165237B2 (en) SIM card adapter
KR20150012671A (ko) 카드 수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50000687U (ko) 카드 수납 케이스
US8448869B2 (en) Microcircuit card in several parts
US11219288B2 (en) Gift card box with slanted tray and slit
US8590784B1 (en) Credit card swipe sleeve and method
US8181883B1 (en) Magnetic strip protecting assembly and method
WO2005026901A3 (en) Payment method for in-flight entertainment device rentals having self-contained audio-visual presentations
US20160316874A1 (en) Earring display system
US202302448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storing valuable articles with anti-counterfeiting function
JP2007099484A (ja) 商品管理用タグ
US7930868B1 (en) Optical disc advertising label and method
CN104412279B (zh) 芯片卡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9129139A (ja) シート状対象物に取付可能な、クリップ付きrfidタグ
KR100779218B1 (ko) 커버박스를 채용한 포장용 박스
KR20160003666U (ko) 절취형 속지가 부착되는 판촉용 수첩커버
KR20100094138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알에프아이디 태그 부착 방법 및 도서 정보 초기화 방법
KR20130001301U (ko) 신용카드
CN216245103U (zh) 食材识别装置、柜门以及制冷设备
KR200474706Y1 (ko)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US20150242738A1 (en) Plug-in portable data carrier with semi-detachable token 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