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59A -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59A
KR20150000559A KR20130072650A KR20130072650A KR20150000559A KR 20150000559 A KR20150000559 A KR 20150000559A KR 20130072650 A KR20130072650 A KR 20130072650A KR 20130072650 A KR20130072650 A KR 20130072650A KR 20150000559 A KR20150000559 A KR 2015000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way
upper plate
gear
float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8876B1 (en
Inventor
서승일
김정국
강동훈
임재용
홍순만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876B1/en
Publication of KR2015000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63B35/53Floating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leveling method of a floating marine runway comprised of an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runway, a plurality of pillars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a load which is provided to the pillars from the upper plate, includes: a fixed means of the floating marine runway; an extension iron wir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pillars and the sea floor and settles down the floating marine runway with the tensile force in the sea; and a plurality of load cells attached to the pillars and calculating the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marine runway; and an air tank installed at the pillars.

Description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 레벨조정수단 및 그 레벨조정방법{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runway, a leveling means, and a leveling means,

본 발명은 육지와 해상의 섬, 또는 해상의 섬과 섬 사이에 시공하여 항공기 등의 활주로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단부의 단부구속특성을 개선하고 단부의 플로팅 레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한 개선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runway that can be used as a runway of an aircraft or the like by being installed between an island of land and an island of the sea or an island of the s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floating runway that is improved to be able to control the floating level of the end portion.

해상활주로는 육상의 초대형 구조물과 대비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스케일이 큰 초대형구조물로서, 종래에 해안을 흙으로 매립하거나 간척사업을 통하여 얻은 토지를 공항으로서 사용하거나, 육지와 해상의 섬 또는 해상의 섬과 섬 사이에 항공기의 활주로로 사용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초대형구조물이다.A marine runway is a very large structure that can be compared to or over a very large structure on the land. It can be used as an airport for land previously acquired through land reclamation or land reclamation, Is an extra large structure constructed for use as an aircraft runway between islands and islands.

이와 같은 해상활주로는 지상에서 건조한 철판 유닛이나 콘크리트 유닛을 해상에서 조립하고 이를 계류시설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의 해상활주로는 계류시설에 연결되는 해상활주로 구조물의 양단이 일종의 자유단(free end)이고 파일이나 케이스 등으로 정착시키는 계선돌핀(mooring dolphin)법에 의하여 설계되고 시공되었다. 자유단은 단부에서 축력, 전단력, 모멘트에 대하여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므로, 해상활주로 구조물 자체가 마치 해상의 선박처럼 바다의 파도나 간만의 차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경우 파력과 같은 자연력에 의한 인공적인 통제와 지지력이 현저히 부족하고 간만의 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해상활주로의 레벨을 조정하는 능력 역시 현저히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marine runway is generally constructed by assembling a steel plate unit or a concrete unit from the ground at sea and connecting it to a mooring facility. In the conventional marine runway, both ends of the marine runway structure connected to the mooring facility are connected to a free- (free end), and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mooring dolphin method which fixes by file or case. Since the free end does not caus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axial force, shear force, and moment at the end, the marine runway structure itself naturally flows along the sea wave or the tidal difference like an oceanic ship.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artificial control such as wave power and lack of bearing ability were remarkably lacking, and the ability to actively cope with the tidal car and adjust the level of the marine runway was also insufficient.

한편,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작용하는 파력이나 간만의 차를 검토함에 있어서 특별히 고려할 점은 파력이나 간만의 차는 상대적으로 변동의 주기나 폭이 크고 경우에 따라서 예측범위를 크게 벗어남에도 불구하고, 해상구조물에 있어서는 일상적으로 작용한다는 특수성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wave or tidal difference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it is important to take special consideration that the wave or tidal difference is relatively large in the period or width of the fluctuation, In the sense that it works on a daily basis.

그렇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있어서는 고층건물이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초대형 구조물 또는 특수시설에서 지진력이나 풍력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 통계기법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통계적 수단에만 의존해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Therefore, for floating floating runways, the desired purpose can not be achieved by relying solely on statistical means such as the use of statistical techniques in estimating seismic or wind forces in very large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or nuclear power plants or special facilities .

이에 본 발명에서는 향후 새로운 해상교통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해상활주로를 위한 새로운 정착시스템을 제공하여 자연력에 대한 인공적 통제능력과 지지능력을 부여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간만의 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해상활주로에 육상의 활주로 못지 않게 안정성과 사용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settlement system for a marine runway that can be usefully used as a new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future, thereby enhancing structural stability by artificially controlling and restricting natural forces, and actively coping with tidal car To ensure stability and usability as well as on-land runways on marine runways.

또한, 본건발명에서는 시시각각 변동하는 파력이나 간만의 차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파력이나 간만의 차를 실시간 계측하여 그러한 실시간계측에 기초한 제어기법을 도입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e fluctuation of the wave or the t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ve and the tide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a control technique based on such real time measurement is introduc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은, 상기 상판과,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가 정착할 수 있는 계류시설물 사이에서 형성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 관통연결되는 수나사와; 상기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를 수용하여 상기 수나사를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갖는 하부홀더를 포함한다.The means for fixing the floating runway which is composed of the upper plate functioning as the runway, the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An upper holder formed between mooring facilities to which the floating floating runway can be fixed; A male screw connected through the upper holder; And a lower holder having a female screw engaged with the male screw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male screw and guiding the male screw upward and downward.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에서, 상기 하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가 상기 상판의 횡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홀더는 계류구조물의 일부로서 계류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ans for fixing the floating runway, a plurality of the lower holder and the upper holder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and the lower holder is a part of the moo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은, 앞서 설명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과; 상기 기둥과 해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를 해상에 정착시키는 인장철선과; 상기 기둥에 부착되어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작용하는 부력을 계산하는 다수의 로드셀과;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공기탱크를 포함한다.The level adjusting means of the floating runway which is composed of the upper plate functioning as the runway, the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Means of settlement of the offshore runway; A tensile steel wire install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sea bed to fix the floating runway to the sea by tension force; A plurality of load cells attached to the column to calculate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And an air tank installed in the column.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은,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부력에 따라서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 adjusting means of the floating runway may further include an air amou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amount of the air tank in accordance with the buoyancy measured by the load cell.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은,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수나사에 연결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ing means of the floating runway may include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shaft and a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male screw.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에서 상기 구동기어는, 모터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고 그 기어축이 계류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동축이면서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제4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rive gear includes a first gear connected to a motor drive shaft,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and having a gear shaft installed in the mooring structure, And a fourth gear coaxial with the driven gear.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에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구동축을 고정하기 위한 H파일이 상기 계류구조물에 매입될 수 있다.In the level adjusting means of the floating runway, an H file for fixing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may be embedded in the mooring structure.

본건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floating marine runway including means for the settlement of floating marine runways as described above.

본건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floating marine runway that includes the leveling means of such a floating marine runway.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방법은, 상기 기둥과 해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를 해상에 정착시키는 인장철선을 제공하고; 상기 기둥에 공기탱크를 제공하고; 상기 기둥에 로드셀을 부착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작용하는 부력을 계산하며;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부력에 따라서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량을 제어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the level of a floating runway that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runway,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a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Providing a tensioned wire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ea and fixing the floating runway to the sea by tensile force; Providing an air tank to the column; Attaching a load cell to said column to calculate buoyancy acting on said floating runway; And controls the air amount of the air tank according to the buoyancy measured by the load cell.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방법에서, 계류구조물과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사이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 전달되는 모터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나사를 제공하고, 상기 수나사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을 조정하며, 상기 수나사의 상하이동은 상기 기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만의 차이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level of the floating runway, the drive gear driven by the motor, the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driven by the motor drive force between the moored structure and the floating runway, The level of the floating runwa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ale screw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male screw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tide measured by the sensor installed on the column.

본 발명에 따르면 향후 새로운 해상교통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해상활주로를 계류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정착 내지 고정시킬 수 있고, 부력의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해상활주로(해상활주로의 지지기둥)가 바다에 잠기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간만의 차이에 따라서 모터 구동식 레벨조정수단이 해상활주로의 레벨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or fix a marine runway which can be usefully used as a new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 a mooring structure in the future, and actively cope with fluctuation of buoyancy, so that a marine runway (supporting column of a marine runway) The locking height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motorized level adjustment means can actively change the level of the runwa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단순히 해상에 떠 있는 해상활주로와 달리,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양단을 실질적으로 고정단으로 설계하여 계류구조물에 정착되도록 하고, 그러한 고정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계류구조물에 정착성능이 현저히 상승하여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발생하는 각종 외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arine runway which is conventionally floated on the sea, both ends of the floating runway are designed to be substantially fixed ends and fixed to the mooring structure, and the stress generated by the fixed ends is supported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ntrol various external forces generated in the floating runw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고정)시스템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시스템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가새와 수평 브레이싱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fixing) system of floating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settlement system for a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floating runway including a lateral bracing and horizontal brac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건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대략적인 형상 및 구조를 설명한다.1, 2, and 5, the approximat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건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1)는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2)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3)과 상판(2)으로부터 기둥(3)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4)으로 구성된다.The float type floating runwa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plate 2 functioning as an runway and a plurality of columns 3 supporting the upper plate 2 and a top plate receiving a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2 to the column 3 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4.

상기 상판은 육상에서 유닛단위로 제작되어 해상에서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철재강판, 콘트리트, 프리스트레스 콘트리트, 하이브리드 콘트리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3)과 그 기둥을 지지하는 하판(4) 역시 강재나 콘트리트가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상판(2)과는 달리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바다에 잠기기 때문에 부식저항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계열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으로부터의 하중을 하판(4)으로 전달하는 기둥(3)은 상판(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열되며 그러한 연속적 기둥의 배열이 상기 상판(2)의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존재한다. 따라서, 그러한 다수개 열의 기둥(3)에 대응되게 하판(4)도 상판(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되게 된다. 도 5에서는 기둥(3)의 열과 하판(4)이 예를 들어 2개 배열된 것을 보여준다. 물론 상판(2)의 폭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의 기둥열과 하판이 시공될 수도 있다.The top plate is generally manufactured on a unit-by-land basis and assembled at sea, and can be manufactured from steel sheet, concrete, prestressed concrete, hybrid concrete, or the like. The column 3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4 supporting the column can also be made of steel or concrete. However, unlike the upper plate 2, all or a part thereof is immersed in the sea,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them in series. A plurality of columns 3 for transmitting the load from the upper plate 2 to the lower plate 4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 There are a plura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the lower plates 4 corresponding to the columns 3 of the plurality of row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plates 4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Fig. 5, for example, two columns of the column 3 and the lower plate 4 are arranged. Of course,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2, three or more columns and a lower plate may be constructed.

또한, 상기 하판(4)은 상판(2)과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의 유닛으로 육상에서 제작되어 해상에서 조립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유닛의 길이는 상판(2)의 길이에 대응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late 4 is manufactured on the land as a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ssembled at sea as in the case of the upper plate 2.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4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upper plate 2 There is no need to match.

한편, 도 5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판(2)으로부터 기둥(3)으로 하중전달을 하면서 바람과 같은 횡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횡방향 가새(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새(5)는 기둥(3) 각각에 설치될수도 있으며, 구조계산 결과에 따라서 별도로 산정된 간격으로 상판(2)과 기둥(3)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횡방향 가새(5)는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와 같은 서로 마주보는 횡방향 가새(5)와 가새(5) 사이에서 수평방향 브레이싱(6)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가새(5)와 1개의 수평방향 브레이싱(6)이 대략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lateral bracing 5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load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op plate 2 to the column 3 while effectively resisting the lateral force such as wind. The bracing 5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columns 3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op plate 2 and the column 3 at a separately calculated interv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calculation. The lateral bracings 5 are generally arranged so that two of them face each other and a horizontal bracing 6 can be provided between the lateral bracings 5 and the bracings 5 facing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wo braces 5 and one horizontal bracing 6 form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한편, 상기 상판(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가 이륙 및 착륙시 고속으로 활주하는 고속부(10)와 사람이나 화물을 싣고 내리는 저속부(11)로 구성되는데, 상기 저속부(11)와 고속부(10) 사이에 경사를 형성하고 그 경사가 저속부(11)에서 고속부(10)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륙시에는 자연스럽게 경사면을 타고서 가속이 될 수 있으며, 착륙시에는 반대로 경사면에 의하여 감속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속부(11)에는 비행기의 격납고와 터미널과의 연계설비등이 마련되도록 고속부(10)에 비하여 폭을 넓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he upper plate 2 is composed of a high speed section 10 that slides at high speed when the aircraft takes off and land and a low speed section 11 that loads and lowers people or cargo. 11 and the high-speed portion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slope decreases from the low-speed portion 11 toward the high-speed portion 10. The reason is that when taking off, it can naturally accelerate on an inclined plane, and when landing, it can be decelerated by the inclined plan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 speed portion 11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high speed portion 10 so that a hangar of an airplane and a linkage facility with a terminal are provided.

또한, 활주로에서의 이착륙시 항공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활주로가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가면서 경사가 높아지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aircraft when taking off and landing on the run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runway has a slope rising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as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건발명의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정착구조를 설명한다. 부유식 해상활주로는 해상의 섬과 육지, 또는 섬과 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데 해상활주로(1)의 양단에는 계류구조물(7, 8)이 시공되며, 계류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콘트리트 구조물이다.Hereinafter,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loating runway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loating marine runways can be installed between islands and land, or between islands and islands. Mooring structures (7, 8) are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marine runway (1), and mooring structures are generally concrete structures.

그런데, 부유식 해상활주로(1)는 바다의 부력에 의하여 상하유동하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상하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활주로의 안정성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건발명에서는 다수의 체인과 같은 인장철선(9)을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기둥(3)과 해저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정착시킨다. 인장철선(9)의 인장력은 부유식 해상활주로(1)에 작용하는 부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며, 통상적으로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기둥(3)의 40% 가량이 잠길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으로 설계된다. 상기 인장철선(9)은 부유식 해상활주로(1)를 위한 일종의 계류식 앵커(anchor)이다. However, since the float type floating runway (1) flows upward and downward by the buoyancy of the sea,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up and down flow of the float type floating runway in the stability of the runwa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plurality of tensioning wires 9, such as chains, between the columns 3 of the floating runway 1 and the underside surface (not shown).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ed wire 9 is designed to offset the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1 and typically allows about 40% of the columns 3 of the floating runway 1 to be locked It is designed with tensile force. The tensile steel wire 9 is a kind of mooring anchor for the floating runway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철선(9)을 기둥(3)에 연결하기 위하여 기둥(3)에는 이로부터 돌출된 연결고리(12)가 마련되고 그 연결고리(12)와 인장철선(9)이 별도의 고리철선(13)을 통해서 연결된다. 5, the column 3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12 projecting therefrom in order to connect the tension wire 9 to the column 3 and the connection wire 12 and the tension wire 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wire 13.

상기 인장철선(9)은 일단 설치되면 그 자신의 인장력을 변경할수는 없기 때문에 변동하는 부력에 대응하여 부유식 해상활주로(1)가 바다에 잠기는 부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Since the tensile steel wire 9 can not change its tensile force once it is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eans for keeping the floating part of the floating runway 1 in the sea constantly in response to fluctuating buoyancy.

본건발명에서는 바다의 파력의 변화에 의해 부유식 해상활주로(1)에 작용하는 부력이 시시각각 변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기둥(3)에 다수의 로드셀(load cell)을 설치하여 부력을 측정하고, 기둥(3)에 공기탱크를 설치한다. 상기 공기탱크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판(4)의 길이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14는 하판에 설치된 공기탱크를 나타낸다. 따라서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부력에 따라서 하판(4)이나 기둥(3)에 설치된 공기탱크의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증감하는 부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부력의 증감에도 본건발명의 해상활주로(1)가 바다에 잠겨 있는 부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유동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ad cells are mounted on the column 3 of the floating runway 1 in consideration of fluctuations in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1 due to a change in the sea power. And the buoyancy is measured, and an air tank is installed in the column (3). The air tank may be installed selectively or addition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4.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n air tank installed in the lower plate.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air volume of the air tank installed in the lower plate 4 or the column 3 according to the buoyancy measured by the load cell, the marine runwa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in buoyancy, The floating amount of the floating runway 1 can be kept constant by keeping the locked part constant.

위와 같은 부력에 의한 유동량을 고려하여 해상활주로(1)의 활주로 상판(2)을 설계하며, 상판(2)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연결부에는 익스팬션 조인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익스팬션 조인트에 의하여 유동에 의한 변위나 내력이 어느정도는 상쇄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runway upper plate 2 of the runway 1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flow by the buoyancy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xpansion joint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each unit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2. [ By such an expansion joint, displacement or strength due to the flow can be canceled to some extent.

한편, 본건발명의 부유식 해상활주로(1)를 계류구조물(7, 8)에 정착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착수단(100)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정착수단(100)은 수나사(101),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홀더(102), 상부홀더(103)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수단(100)은 상판(2)과 계류구조물(7, 8)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상부홀더(103)는 상기 상판(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일단은 상판(2)에 고정되고 타단은 계류구조물(7, 8)에 고정되며, 상기 수나사(101)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부홀더(103)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판(2)의 횡방향으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서 수나사(101) 역시 상판(2)의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하부홀더(102)는 상기 수나사(10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04)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부(104)에 수나사(101)의 나사면과 계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수나사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수나사를 수용부(104) 내에서 안내하면서 하부홀더(102)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x the floating runway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the fixing means 100 as shown in Figs. 3 and 4 is adopted. The fixing unit 100 includes a male screw 101, a lower holder 102 having a female screw, and an upper holder 103. The fixing means 100 is arranged between the top plate 2 and the mooring structures 7, 8. The upper holder 103 extends from the upper plate 2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upper plate 2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and the male screw 101 is fixedly inserted . The upper holders 10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 so that the male screws 101 are also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 [ The lower holder 102 has a receiving portion 104 therein for receiving the male screw 101. A female screw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crew surface of the male screw 101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104 And is formed so as to be fixed to the lower holder 102 while guiding the male screw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4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ale screw.

상기 정착수단(100)의 하부홀더(102)는 상기 계류구조물(7, 8)의 일부로서 계류구조물(7, 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홀더(103)와는 달리 다수의 수나사(101)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구조체로서 형성되되 그 내부에 각각의 수나사(101)에 대응하는 수용부(104)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The lower holder 102 of the fixing means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as a part of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and may have a plurality of male threads 101, respectively, and a receiving portion 104 corresponding to each male thread 101 is formed in the same.

또한, 상기 정착수단(100)은 간만의 차에 따라서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레벨조절수단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나사(101)가 상기 하부홀더(102)의 수용부(104) 내에 수용되는 높이, 즉, 상기 수용부(104) 내의 암나사와 계합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일반적으로 모터(20)구동식이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21)와 이 제1기어(21)에 치합되는 제2기어(22)와, 제2기어(22)의 치합되어 수나사와 동축인 제4기어(24)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기어(24)는 제2기어(22)와 동축이며, 제2기어(22)의 기어축에 연결된 제4기어(24)가 제3기어(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기어는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20)에서 생성된 동력은 그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21) 내지 제1기어(21)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2기어(22)와 제4기어(24)를 통해서 상기 제3기어(23)에 전달되며, 상기 제3기어(23)에 전달된 모터(20)의 구동력은 그 상하에 각각 위치한 상부 지지판(25)과 하부 지지판(26)의 반작용에 의하여 수나사(101)를 수용부(104)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means 100 may also be used as a level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vel of the floating runway 1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the tid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at which the male screw 101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104 of the lower holder 102, that is, the height of engagement with the female screw in the receiving portion 104, is provided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eans is generally a drive type motor 20 and includes a first gear 21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a second gear 22 meshing with the first gear 21, a second gear 22, And a fourth gear 24 coaxial with the male screw. 3 and 4, the fourth gear 24 is coaxial with the second gear 22 and the fourth gear 24 connected to the gear shaft of the second gear 22 is connected to the third gear 23 . The first to fourth gears may be formed as spur gears.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2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21 through the second gear 22 and the fourth gear 24 through the second gear 22 and the fourth gear 24,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0 transmitted to the third gear 23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ear 23 via the upper support plate 25 and the lower support plate 26,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portion 104.

상기 제1기어 내지 제4기어 이외에 추가의 기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중간의 기어를 생략하거나, 또는 기어의 치열수를 조정하여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나사(101)의 상하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22)와 제4기어(24)는 동축의 기어축에 연결되되 그 기어축이 계류구조물(7, 8) 내에 매설된 H파일(27)에 고정될 수 있다. 계류구조물(7, 8)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H파일(27)을 평행하게 설치하면 H파일(27)에 고정되는 기어축의 높이도 일정해지므로 그 기어축에 연결된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상기 제2기어(22)와 제4기어(24)의 높이도 일정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나사(101)의 레벨조절도 각 위치별로 일정해질 수 있다.The vertical moving speed of the male screw 101 can be adjusted by using additional gears in addition to the first to fourth gears, omitting intermediate gears, or adjusting the number of teeth by adjusting the number of rotations. The second gear 22 and the fourth gear 24 are connected to a coaxial gear shaft and the gear shaft thereof can be fixed to the H file 27 embedded in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 When the H files 27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oring structures 7 and 8 are installed in parallel, the height of the gear shaft fixed to the H file 27 becomes constant, The height of the second gear 22 and the fourth gear 24 can be made constant. The level adjustment of the plurality of male screws 101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be made constant for each position.

한편, 상기 수나사(101)의 레벨조절은 앞서 설명한 로드셀과는 별도의 센서를 기둥(3)에 설치하여 간만의 차이에 따른 본건발명의 부유식 해상활주로(1)의 필요 높이조절량을 산정하여 이뤄진다. 따라서, 간만의 차이에 대한 능동적이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The level of the male screw 101 is adjusted by setting a sensor separate from the load cell described above on the column 3 to calculate a required height adjustment amount of the floating runwa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tide .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actively and promptly respond to the difference of the tid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케일에 따라 도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확대 및 축소하여 도시되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hown not to scale but to partially enlarge and reduce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부유식 해상활주로
2: 상판
3: 기둥
4: 하판
5: 횡방향 가새
6: 수평방향 브레이싱
7, 8: 계류구조물
9: 인장철선
10: 고속부
11: 저속부
12: 연결고리
13: 고리철선
14: 공기탱크
20: 모터
21: 제1기어
22: 제2기어
23: 제3기어
24: 제4기어
25: 상부지지판
26: 하부지지판
27: H파일
100: 정착수단
101: 수나사
102: 하부홀더
103: 상부홀더
104: 수용부
1: Floating marine runway
2: Top plate
3: Column
4: Lower plate
5: transverse brace
6: Horizontal bracing
7, 8: Mooring structure
9: Tension wire
10: High speed part
11: Low speed section
12: Connection ring
13: Hook wire
14: Air tank
20: Motor
21: First gear
22: Second gear
23: Third gear
24: Fourth gear
25: upper support plate
26: Lower support plate
27: H file
100: fixing means
101: Male thread
102: Lower holder
103: upper holder
104:

Claims (9)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으로서,
상기 상판과,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가 정착할 수 있는 계류시설물 사이에서 형성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에 관통연결되는 수나사와
상기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를 수용하여 상기 수나사를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갖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
There is provided a fixation means for a floating runway which comprises an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runway,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a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An upper holder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a mooring facility capable of fixing the floating runway,
A male screw threadedly connected to the upper holder,
And a lower holder having a female screw engaged with the male screw and having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male screw and guiding the male screw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는 상기 상판의 횡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수나사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홀더는 계류구조물의 일부로서 계류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older and the upper holder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and the lower hold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oring structure as a part of the mooring structure Means of settlement of offshore runways.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정착수단과,
상기 기둥과 해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를 해상에 정착시키는 인장철선과,
상기 기둥에 부착되어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작용하는 부력을 계산하는 다수의 로드셀과,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공기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
There is provided a leveling means for a floating runway runway comprising an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runway,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a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A means for fixing the floating runway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ensile steel wire install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bottom of the sea so as to fix the floating runway on the sea due to a tensile force,
A plurality of load cells attached to the column to calculate a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And an air tank installed on the colum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부력에 따라서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량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ir volum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ir volume of the air tank according to buoyancy measured by the load cell.
제3항에 있어서,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수나사에 연결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
The method of claim 3,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shaft,
And a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male screw.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모터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고 그 기어축이 계류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동축이면서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제4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e gear
A first gear connected to a motor drive shaft,
A second gear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having its gear shaft installed in the mooring structure,
And a fourth gear coaxial with the second gear and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구동축을 고정하기 위한 H파일이 상기 계류구조물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수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H file for fixing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is embedded in the mooring structure.
활주로로서 기능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기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방법으로서,
상기 기둥과 해저면 사이에 설치되어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를 해상에 정착시키는 인장철선을 제공하고,
상기 기둥에 공기탱크를 제공하고,
상기 기둥에 로드셀을 부착하여 상기 부유식 해상활주로에 작용하는 부력을 계산하며,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되는 부력에 따라서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방법.
A level adjustment method of a floating runway runway comprising an upper plate functioning as a runway,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eceiving a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o the column,
And a tensile steel wire install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sea bed to fix the floating runway in the sea by a tensile force,
Providing an air tank to said column,
Attaching a load cell to the column to calculate buoyancy acting on the floating runway,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tank according to the buoyancy measured by the load cell.
제8항에 있어서,
계류구조물과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사이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 전달되는 모터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수나사를 제공하고,
상기 수나사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을 조정하며,
상기 수나사의 상하이동은 상기 기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간만의 차이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활주로의 레벨조정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 drive gear driven by a motor, a driven gear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a male screw moving up and down by a motor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between the mooring structure and the floating runway,
The level of the floating runway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male screw,
Wherein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male screw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difference between tides measured by a sensor installed on the column.
KR1020130072650A 2013-06-24 2013-06-24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KR101498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50A KR101498876B1 (en) 2013-06-24 2013-06-24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50A KR101498876B1 (en) 2013-06-24 2013-06-24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59A true KR20150000559A (en) 2015-01-05
KR101498876B1 KR101498876B1 (en) 2015-03-06

Family

ID=5247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50A KR101498876B1 (en) 2013-06-24 2013-06-24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8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5800A (en) * 2021-10-25 2021-12-21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Water surface foldable emergency-manufacturing runw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21A (en) 2020-04-28 2021-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eveling contro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596U (en) * 1978-02-17 1979-08-29
JPH11263286A (en) * 1998-03-18 1999-09-28 Mitsubishi Heavy Ind Ltd Floating body type artificial ground
JP2004256084A (en) * 2003-02-24 2004-09-16 Toshiyuki Sasaki Offshore airport of megafloat
KR20050074344A (en) * 2005-04-07 2005-07-18 최정섭 Worktable for high and low adjustment possi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5800A (en) * 2021-10-25 2021-12-21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Water surface foldable emergency-manufacturing runway
WO2023071573A1 (en) * 2021-10-25 2023-05-04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Water surface foldable emergency run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876B1 (en)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86837B (en) Asymmetric anchoring system for supporting offshore wind turbine
CN102506012A (en) Semi-submersible anchoring type offshore wind generating set with integrated pedestal
ES2516590B1 (en) SUBMERSIBLE STRUCTURE OF ACTIVE SUPPORT FOR GENERATOR TOWERS AND SUBSTATIONS OR SIMILAR ELEMENTS, IN MARITIME FACILITIES
CN1894501B (en) Support system
EP2428443B1 (en) Installation method and recovery method for offshore wind turbine
CN101949146B (en) Offshore auxiliary construction platform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WO2014076477A3 (en) Submerged, tethered water turbine assembly
CN205399220U (en) Whole system of erectting of large -scale arched bridge over strait
CN105603881A (en) Integral erecting system for large sea-crossing arch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98876B1 (en) Fixed means, leveling means of Advanced Marine Floating Runway and method thereof
CN110466706B (en) Floating platform and photovoltaic power plant on water
CN203890855U (en) Sea floating bridge
CN102923261A (en) Sit-on-bottom type offshore wind turbine installation barge
CN201857573U (en) Cross-sea floating bridge with seabed hanging wire
CN201762699U (en) Offshore auxiliary construction platform device
CN101413474A (en) Equipment for power generation by sea wave
CN105216971B (en) Floating body guide pile
CN103552658B (en) Underwater floating body and buoyance device comprising same
CN103842245A (en) Submersible apparatus and methods of installing anchoring equipment
CN103754333A (en) Automatic lifting water floating platform without external force
KR20100010967A (en) The foundation a method of construction of sea the infrastructure which floats
CN201735489U (en) Floating fountain
CN107985520A (en) A kind of anchor structure of far water domain floating on water surface photovoltaic system
CN103516298A (en) Water surface floating body photovoltaic system
CN109112950B (en) Floating body box bridge pier type mortise-tenon beam connection offshore highway-railway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