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563A -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563A
KR20140147563A KR1020130071086A KR20130071086A KR20140147563A KR 20140147563 A KR20140147563 A KR 20140147563A KR 1020130071086 A KR1020130071086 A KR 1020130071086A KR 20130071086 A KR20130071086 A KR 20130071086A KR 20140147563 A KR20140147563 A KR 20140147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tridge
drug
biometric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512B1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7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정제 형태의 동일 약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외부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구성원별 약물 복용 시간마다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조제 대상 약물들이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약물을 배출시키되, 해당 구성원이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경우에만 약물을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한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를 대상으로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물 복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ement of taking medicine for group members}
본 발명은 약물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환자들이 복용 시간에 맞춰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일 회 복용 분량의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관리해줄 수 있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이 정해진 복용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전자투약 알림 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627호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이 전자투약 알림 장치는 투약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 설정부, 입력된 투약조건에 해당하는 투약조건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투약안내를 시각적으로 행하기 위한 램프부, 투약안내를 청각적으로 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현재 시각을 제공하는 타이머, 및 현재 시각이 투약조건을 만족하면 램프부와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여 시청각적으로 투약안내가 행해지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투약시간이 도래하면 환자에게 시청각적으로 투약이 안내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투약 알림 장치는 약봉지들을 수납하는 수납부들을 더 포함한다. 수납부들은 약 분류를 위하여, 아침약 수납부, 점심약 수납부, 저녁약 수납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투약이 안내되면, 안내된 시간에 복용해야 할 약을 구분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627호(2006년 6월 2일)
본 발명은 한 명의 환자가 아닌 다수의 환자들이 각각 정해진 복용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함은 물론, 복용해야 할 약을 자동 조제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카트리지들에 수용될 약물을 인증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카트리지별로 소정의 정제 형태를 갖는 약물만을 수용시키게 할 수 있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로 하여금 원격지에서 환자에 대한 약물의 효능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정제 형태의 동일 약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외부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구성원별 약물 복용 시간마다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조제 대상 약물들이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약물을 배출시키되, 해당 구성원이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경우에만 약물을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에 미수용된 약물의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식별코드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식별코드에 따라 그 약물을 수용할 카트리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카트리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트리지들은 표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카트리지의 표시부에 미수용된 약물을 수용할 카트리지임을 표시시킨다.
상기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들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수용된 약물이 상기 결정된 카트리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하되,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권한 있는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한다.
상기 제어부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여 지정된 목적지 주소를 갖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한다.
상기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내장 진단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외부 진단기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정제 형태의 약물들을 수용하되 동일 약물별로 구분 수용하기 위해 수용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며, 구획된 복수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물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카트리지, 외부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구성원별 약물 복용 시간마다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조제 대상 약물들이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약물을 배출시키되, 해당 구성원이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경우에만 약물을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한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를 대상으로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물 복용을 관리해줄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먼저 구성원을 인식한 후에 그 인식된 구성원이 복용해야 할 약을 배출하기 때문에, 약물의 안전한 관리를 보장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에 수용될 약물을 인증함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미수용된 약물을 수용해야 할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의사의 접근이 가능한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하므로, 의사로 하여금 환자의 약물 복용에 따른 생체 상태 변화를 통해 약물의 효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를 제외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약물 배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외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 구성원별 처방 데이터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단면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의사는 내원 환자를 진료하고, 진료 결과에 따라 처방전을 생성하여 관제 센터로 전달한다. 관제 센터는 전달된 처방전을 약국으로 전달하고, 약국은 전달된 처방전에 따라 조제 대상 약물들을 동일한 종류별로 포장하여 물류 센터로 전달하며, 물류 센터는 이를 환자의 가정으로 배송한다. 환자는 배송된 약물들을 수령하여 약제 복용 관리 장치에 담아 사용한다. 한편, 관제 센터는 약제 복용 관리 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지는 그룹별로 구성원들의 처방 데이터를 관리하며, 약제 복용 관리 장치로부터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를 제외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약물 배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외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본체(100) 및 본체(1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트리지(200)들을 포함한다. 본체(100)에는 카트리지(200)들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이 마련되며, 이 장착 공간에 카트리지(200)들이 장착된다.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케이스(210) 및 카트리지 베이스(220)로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베이스(220)는 본체(100)에 고정 장착되며, 카트리지 케이스(210)는 카트리지 베이스(220)에 장착되는데 손쉽게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210)는 정제 형태를 갖는 어느 한 종류의 약물을 수용하며, 각각의 카트리지 케이스(21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물을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베이스(220)는 카트리지 케이스(210)에 수용된 약물을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 베이스(220)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에 장착되어 후술할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210)에 수용된 약물을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카트리지 베이스(220)는 카트리지 케이스(210)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 제어뿐만 아니라 카트리지(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카트리지 케이스(210) 및 카트리지 베이스(220)로 구성되는 카트리지(200)는 널리 잘 알려진 약제 포장 장치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카트리지(200)들을 본체(100)에 배치하기 위한 구조에 따라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도 2나 도 5와 같이 카트리지(200)들이 본체(100)에 2열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6과 같이 카트리지(200)들이 본체(100)에 1열로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도 7과 같이 카트리지(200)들이 본체(100)에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으로 예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카트리지(200)들이 적층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는 카트리지(200)들로부터 배출된 약물들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출구(101)를 포함한다. 외부 배출구(101)로의 배출을 위해, 본체(100)에는 카트리지(200)들로부터 배출된 약물들을 외부 배출구(101)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 통로(10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카트리지(200)들을 덮는 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2)는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서만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권한 있는 사용자만이 커버(102)를 개방시켜 카트리지(200)들에 약물들을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키 버튼과 같은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마이크와 스피커 및 카메라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생체 인식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0)는 RFID 리더나 NFC 리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0)는 하나 이상의 생체 진단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생체 진단기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체(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와 입출력부(120)와 외부 통신부(130)와 저장부(140)와 생체 인식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본체(100)에 장착된 카트리지(200)들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이다. 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카트리지(200)들 또한 본체(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구성과 사용자 출력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20)는 입력 수단으로서는 물리적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과,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수단으로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앰프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과 출력을 함께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통신부(130)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로서,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용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저장부(140)에는 약물 복용 관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그룹 구성원들에 대한 처방전 데이터가 저장된다. 처방전 데이터에는 그룹 구성원별로 복용 시간 및 복용 시간별 조제되어야 할 약물들에 부여된 식별코드들이 포함된다. 이 같은 그룹 구성원들의 처방전 데이터는 외부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라 함은 상술한 관제 센터일 수 있으며, 그룹별로 복용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 그룹 구성원들의 처방전 데이터를 도 9에 예시하였다. 예시된 바와 같이, 처방전 데이터에는 구성원별로 복용 시간에 복용해야 할 약물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카트리지 베이스(220)별로 약물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약물에 부여된 식별코드, 약품명 등에 대한 정보들이 대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카트리지(200)별로 수용되어야 할 약물들은 정해져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생체 인식부(150)는 구성원들을 생체 인식하는 생체 인식기로서, 지문 인식기나 홍채 인식기 등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확인하고, 구성원별로 정해진 약물 복용 시간에 도래하면 조제되어야 할 약물들에 부여된 식별코드들을 확인하며, 확인된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카트리지 베이스(220)들로 배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배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카트리지 베이스(220)들은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210)들에 수용되어 있는 일 회 복용 분량의 약물들을 배출시킨다. 그런데 약물 복용 시간이 도래하였다고 무조건 약물들을 배출시키면, 약물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약물들을 배출시켰으나 이를 수령할 구성원이 자리를 비우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출된 약물을 복용해야 할 구성원이 수령함을 보장하기 위해, 제어부(160)는 생체 인식부(150)를 통해 해당 구성원이 인식된 경우에만 조제 대상 약물들이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약물 복용 시간 도래시 해당 구성원에게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홍길동님, 약을 복용해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성원별 복용 시간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순차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식별코드 획득부(170)를 더 포함한다. 식별코드 획득부(170)는 카트리지(200)에 미수용된 약물들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코드 획득부(170)는 NFC 리더일 수 있으며, NFC 리더가 읽어들이는 식별코드는 미수용된 약물들이 포장된 포장용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포장용지에 함께 포장된 약물들은 동일 종류의 약물이어야 한다. 이 미수용된 약물들은 포장된 상태로 배송 가능하며, 이에 따라 환자들은 약국에 직접 가지 않고서도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물들을 배송받을 수 있게 된다. 약물들을 배송받으면, 사용자는 그 배송된 포장용지를 NFC 리더에 근접시킨다. 이에 NFC 리더는 식별코드를 읽어들여 제어부(160)로 전달하며, 제어부(160)는 읽어들인 식별코드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식별코드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해당되는 식별코드가 있으면, 제어부(160)는 그 식별코드가 부여된 미수용된 약물들을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40)에는 카트리지 베이스(220)별로 약물에 부여된 식별코드 혹은 약물들에 부여된 식별코드들이 대응되어 관리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60)는 이를 통해 미수용된 약물들을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200)를 결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가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그 결정된 카트리지(200)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빛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카트리지 베이스(220)들은 표시부(23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 LED) 디스플레이 유닛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디스플레이 유닛 등이 될 수 있다. 혹은 발광 유닛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결정된 카트리지 베이스(220)로 결정 사실을 알리며, 이에 카트리지 베이스(220)는 미수용된 약물을 수용할 카트리지임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정보를 표시부(2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수용된 약물들을 수용해야 할 카트리지(200)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구별된 카트리지(200)에 약물들을 넣게 된다.
한편, 카트리지 베이스(220)들은 카트리지 케이스(210)들에 수용된 약물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약품명 등을 표시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카트리지 베이스(220)들은 약물들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자체 관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60)는 생체 인식부(150)를 통해 인식된 생체 데이터가 권한 있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커버(102)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카트리지(200)들에 수용된 약물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즉, 약물들의 안전한 관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권한 있는 사용자라 함은 그룹 구성원들이 될 수 있으며, 그 외에 보호자나 간호사 등도 될 수 있다. 이들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미리 등록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식별코드 획득부(170)에 의해 획득된 식별정보에 따라 결정된 카트리지(200)의 표시부(230)를 발광 제어함과 동시에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생체 인식을 요청하며, 이에 사용자는 생체 인식에 필요한 행동을 취하게 된다. 사용자가 권한 있는 자로 인식되면, 제어부(160)는 커버(102)를 잠금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60)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여 지정된 목적지 주소를 갖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한다. 여기서 지정된 목적지 주소를 갖는 외부의 통신 기기는 상술한 관리 서버일 수 있다.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 획득을 위해,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내장 진단기(180)와 외장 진단기(300)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1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장 진단기(180)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에 내장된 생체 진단기로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외장 진단기(300)는 연결 포트(190)에 연결되는 외장형 생체 진단기이다. 생체 진단기로는 혈당 측정기, HbA1c 측정기, 콜레스테롤 측정기, 간질환 측정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또한 심혈관질환 진단기, 암질환 진단기, Realtime PCR, 분자진단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심전도 측정기, 가정용 내시경 등도 예로 들 수 있다. 내장 진단기(180) 또는 외장 진단기(300)에 의해 얻어진 생체 상태 데이터는 제어부(160)로 전달되며, 제어부(160)는 이를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내장 진단기(180) 또는 외장 진단기(300)로부터 획득된 구성원별 생체 데이터를 누적한 후, 누적된 생체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사는 누적된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약물 반응이나 부작용, 효능 등을 모니터링하여 처방을 변경하거나 중단하는 등의 처치를 할 수 있다.
한편, 약제 복용 관리 장치는 LCD와 카메라와 마이크와 스피커 및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환자와 전문가 간의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상담사, 의사, 약사 등의 전문가에게 상담이나 도움을 요청하거나 응급 요청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약제 복용 관리 장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공용 장치로서, 소형 병원, 전문 병동, 다인 병실, 양로원, 요양원, 군 의무실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홈 헬스케어(home healthcare) 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약물 복용 관리 장치는 단일의 카트리지(400)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8의 약물 복용 관리 장치와 구별된다. 카트리지(400)는 정제 형태의 약물들을 수용하는데, 동일 약물별로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복수로 구획된다. 즉, 하나의 수용 공간에는 동일한 약물들이 수용되며, 수용 공간별로 서로 다른 약물들이 수용되는 것이다. 이 중 일부의 수용 공간은 동일한 약물들을 수용할 수 있다. 즉, 특히 수용해야 할 양이 많은 약물의 경우에는 둘 이상의 수용 공간에 나누어 수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카트리지(400)는 제어부(160)의 배출 제어에 따라 복수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물들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킨다. 선택적 배출을 위해, 카트리지(400)는 수용 공간별로 대응되게 배출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400) 외의 기술적 특징들은 도 8을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카트리지(400)가 하나이므로, 저장부(140)에는 카트리지별로 약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대신에 수용 공간 혹은 배출 드럼별로 약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표시부(230)들이 카트리지(200)마다 구비되었으나, 도 10의 예에서는 수용 공간 혹은 배출 드럼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약물 복용 관리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카트리지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카트리지(400)는 카트리지 케이스(410)와 카트리지 베이스(4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케이스(410)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상부에는 복수의 수용 공간에 약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홀(4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베이스(420)는 그 상부에 홀(411)들에 대응되게 배출 드럼(421)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 드럼(421)의 회전에 따라 약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삽입 홈(422)들이 형성된다. 삽입 홈(422)에는 하나의 정제만이 삽입될 수 있다. 배출 드럼(421)별로 삽입 홈(422)들은 폭과 높이가 상이할 수 있는데, 그 폭과 높이는 수용된 약물의 정제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카트리 케이스(410)에는 복수의 개구부(412)들이 형성되며, 개구부(412)들에는 스토퍼 커버(450)들이 끼워진다. 스토퍼 커버(450)의 내측에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슬롯들이 형성되며, 어느 한 슬롯에 스토퍼(440)가 끼워진다. 스토퍼 커버(130)가 개구부(412)에 끼워지면, 스토퍼(440)는 삽입 홈(422)들 중 어느 하나의 상부를 막을 수 있게 소정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출 드럼(421)이 회전하면, 삽입 홈(422)들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출 통로(423)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위치되어 삽입 홈(422) 내의 정제가 배출된다. 이때, 스토퍼(440)는 배출 통로(423)에 위치되는 삽입 홈(422)의 상부를 막고 있으므로, 삽입 홈(422)에 삽입된 정제만이 배출 통로(423)를 통해 외부 배출구(101)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홀(411)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홀 차단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홀 차단부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410)의 상부를 덮는 커버(45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홀 차단부는 삽입 홀(111)들을 개폐하는 회전 셔터일 수도 있다. 이 같은 홀 차단부는 키 수단 등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카트리지(400)가 본체(100)에 장착시 홀 차단부와 본체(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0)의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상의 카트리지(400)는 본체(100)와 분리형이 아니라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410)와 카트리지 베이스(420)도 분리형이 아니라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외부 배출구
102 : 커버 103 : 배출 통로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입출력부
130 : 외부 통신부 140 : 저장부
150 : 생체 인식부 160 : 제어부
170 : 식별코드 획득부 180 : 내장 진단기
190 : 연결 포트 200 : 카트리지
210 : 카트리지 케이스 220 : 카트리지 베이스
230 : 표시부

Claims (13)

  1. 정제 형태의 동일 약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외부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구성원별 약물 복용 시간마다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조제 대상 약물들이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약물을 배출시키되, 해당 구성원이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경우에만 약물을 배출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미수용된 약물의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식별코드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식별코드에 따라 그 약물을 수용할 카트리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카트리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들은 표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카트리지의 표시부에 미수용된 약물을 수용할 카트리지임을 표시시키는 약물 복용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들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수용된 약물이 상기 결정된 카트리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하되,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권한 있는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여 지정된 목적지 주소를 갖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내장 진단기;
    를 더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외부 진단기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
    를 더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8. 정제 형태의 약물들을 수용하되 동일 약물별로 구분 수용하기 위해 수용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며, 구획된 복수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약물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카트리지;
    외부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별 처방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룹 구성원별 약물 복용 시간마다 처방전 데이터에 따른 조제 대상 약물들이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약물을 배출시키되, 해당 구성원이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경우에만 약물을 배출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미수용된 약물의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식별코드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코드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식별코드에 따라 그 약물을 수용할 수용 공간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수용된 약물이 해당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하되, 상기 생체 인식부를 통해 권한 있는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만 상기 커버를 잠금 해제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여 지정된 목적지 주소를 갖는 외부의 통신 기기로 전달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내장 진단기;
    를 더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그룹 구성원들의 생체 상태를 진단하는 외부 진단기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
    를 더 포함하는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KR1020130071086A 2013-06-20 2013-06-20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KR10157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86A KR101573512B1 (ko) 2013-06-20 2013-06-20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86A KR101573512B1 (ko) 2013-06-20 2013-06-20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63A true KR20140147563A (ko) 2014-12-30
KR101573512B1 KR101573512B1 (ko) 2015-12-01

Family

ID=5267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086A KR101573512B1 (ko) 2013-06-20 2013-06-20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6366A (zh) * 2020-10-15 2021-01-12 刘明 一种基于物联网的药品智能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10130030A (ko) * 2020-04-21 2021-10-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약 시기에 따라 설정된 약재를 배출하는 투약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3090919A1 (ko)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제형 디스펜서
WO2023096300A1 (ko) * 2021-11-26 2023-06-01 카멜로테크 주식회사 한약 자동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34B1 (ko) * 2006-09-22 2007-04-16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수납 캐비닛
KR101164013B1 (ko) * 2010-07-14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품 보관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030A (ko) * 2020-04-21 2021-10-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약 시기에 따라 설정된 약재를 배출하는 투약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2216366A (zh) * 2020-10-15 2021-01-12 刘明 一种基于物联网的药品智能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216366B (zh) * 2020-10-15 2021-06-18 刘明 一种基于物联网的药品智能管理设备及其控制方法
WO2023090919A1 (ko)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제형 디스펜서
WO2023096300A1 (ko) * 2021-11-26 2023-06-01 카멜로테크 주식회사 한약 자동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512B1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57596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tracking medication usage
KR101164793B1 (ko) 약상자
KR101164792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US10285904B2 (en) Medic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5084828A (en) Interactive medication delivery system
KR101233799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ES2939191T3 (es) Gestión de medicamentos a pie de cama
US11464710B2 (en) Automated and secure methods for dispensing medication
KR101573512B1 (ko)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WO2016141102A1 (en) System and device for dispensing medications and remotely monitoring health systems
US20170147784A1 (en) Electronic Drug Dispenser System
US11160730B2 (en) Smart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190047566A (ko)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US20210398635A1 (en) Medication compliance device
US2011023101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 dispensing of prescription medications
KR101868114B1 (ko) 복합 기능성 혈압 관리 시스템
KR101562338B1 (ko) 약제 관리 장치 및 약제 관리 장치용 카트리지
US20220280391A1 (en)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and system
KR20140137239A (ko) 개인용 약제 관리 장치
EP4011349A1 (en) Drug-dosing device
KR101147996B1 (ko) 개인용 투약 장치
KR101579293B1 (ko) 의료 자동화 지원 장치
CN113855569A (zh) 结合处方笺的智能供药方法及装置
KR20240031349A (ko) 스마트 알약 디스펜서 처방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