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459A -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459A
KR20140147459A KR1020130070767A KR20130070767A KR20140147459A KR 20140147459 A KR20140147459 A KR 20140147459A KR 1020130070767 A KR1020130070767 A KR 1020130070767A KR 20130070767 A KR20130070767 A KR 20130070767A KR 20140147459 A KR20140147459 A KR 20140147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party
portable terminal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400B1 (ko
Inventor
임새미
강두석
김건수
이창호
최보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00B1/ko
Priority to US14/298,155 priority patent/US9934253B2/en
Priority to EP14173277.6A priority patent/EP2816514A1/en
Publication of KR2014014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상대방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 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갤러리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또는 시간 등을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분류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 기능은 단순히 몇 가지 기준(휴대 단말기의 위치 또는 시간 등)을 기준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분류함으로써 동일한 위치 또는 동일한 시간에서는 동일한 순서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이 정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찾기 위해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도록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도록 전화 번호부와 최근에 실행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상대방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상대방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화 번호부와 최근에 실행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이동이 불편한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이 불편한 전자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101 화면과 같이, 카카오톡과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상대방들과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연락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마이 피플,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면, 연락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상대방 아이디(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대방들에 대응되는 얼굴 이미지들을 추출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내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만약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103 화면과 같이, 화면의 상단 영역(105)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단 영역(1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연락한 후, 2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연락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카오톡, 마이 피플,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락 애플리케이션이 카카오톡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01 화면과 같이, 사용자에게 두 명의 상대방과 그룹 채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2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면, 갤러리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는 2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2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에 대한 아이디(ID)를 확인하고, 전화 번호부 내에 확인된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전화 번호부는 상대방의 이름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상대방 ID와 상대방의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21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221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207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20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 후, 21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21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2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21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단 영역(1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에, 21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217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219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21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단 영역(1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301 화면과 같이, 페이스북과 같은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여기서, 연락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마이 피플,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면, 최근의 대화 로그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화 로그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한다. 여기서, 대화 로그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한 메시지의 내용과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내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들을 분석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303 화면과 같이, 화면의 상단 영역(305)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대화 로그로부터 추출된 단어가 '흰둥이' 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흰둥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가지는 두 개의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303 화면과 같이, 상단 영역(3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두 개의 이미지들의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연락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연락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카오톡, 마이 피플,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락 애플리케이션이 페이스북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301 화면과 같이, 사용자의 페이스 북에 사진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면, 갤러리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는 4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4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대화 로그들 중에서 최근에 저장된 대화 로그를 검색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대화 로그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 메시지의 내용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존재하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면, 휴대 단말기는 4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1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40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이와 달리,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휴대 단말기는 4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11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413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대화 로그로부터 추출된 단어가 '흰둥이' 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흰둥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가지는 두 개의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303 화면과 같이, 상단 영역(3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두 개의 이미지들의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501 화면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연결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이용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503 화면과 같이, 화면의 상단 영역(505)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5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단 영역(5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한 후, 6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6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면, 갤러리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는 6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6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연결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ID를 확인한 후, 6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대방 ID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대방 ID는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6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한 후, 609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전화 번호부에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와 달리,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메타 데이터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6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이와 달리,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휴대 단말기는 6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1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611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613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5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단 영역(5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701화면과 같이, 근접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한다)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면,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703 화면과 같이, 화면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만약에,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이름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703 화면과 같이, 화면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7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7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NFC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한 후, 8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8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의 사진 전송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 전송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면, 갤러리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진 전송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는 8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8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NFC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807 단계에서, 검색된 NFC 태그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검색된 NFC 태그 정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8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0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80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전화 번호부는 상대방의 이름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상대방 ID와 상대방의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8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2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82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811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81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19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813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 후, 81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81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81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81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7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7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에, 81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한 후, 82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82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82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82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7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7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901 화면과 같이,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한다)과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 System, 이하 'IPS'라 한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여기서, GPS는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며, IPS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을 이용하여 단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만약에, 휴대 단말기와 상대방 휴대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903 화면과 같이, 화면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이름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903 화면과 같이, 화면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9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9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GPS와 I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 후, 100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GPS는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며, IPS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을 이용하여 단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GPS와 I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기재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10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조건은 휴대 단말기와 상대방 휴대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조건과, 현재 시간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스케쥴 시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확인 결과,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휴대 단말기는 10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0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10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할당된 고유 번호로, 예를 들면,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화 번호부는 상대방의 이름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상대방 ID와 상대방의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10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미지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만약에, 1007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10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01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100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 후, 101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101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10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101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101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1017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101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9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9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1101 화면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갤러리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제1이미지(1103)와 제2이미지(1105)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면, 제1이미지(1103)와 제2이미지(1105)가 동일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동일한 얼굴 이미지가 포함되면,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동일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109 영역에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하고, 1111 영역에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109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갤러리의 실행이 요청되면,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12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12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되면,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는 12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12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로부터 얼굴 이미지들을 추출한 후, 1207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12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을 비교함으로써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2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0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1209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과 동일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12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121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109 영역에 검색된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1111 영역에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1109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301)와 표시부(1303)와 입력부(1305)와 메모리부(1307)와 RF부(1309)와 데이터 처리부(1311)와 음향 처리부(1313)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RF부(1309)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RF부(1309)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11)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1311)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처리부(1313)는 데이터 처리부(131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31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130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표시부(1303)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3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에, 표시부(130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부(1305)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3)는 입력부(1305)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1307)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307)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전화 번호부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ID와 공유 로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화 번호부는 상대방의 이름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 프로그램에서의 상대방 ID와 상대방의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ID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맥 어드레스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대방 ID는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대화 로그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 메시지의 내용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는 메타 데이터 내에 특정 단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와 근접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는 제어부(1301)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통신부(미도시)는 제어부(1301)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NFC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301)는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부(130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1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연락한다. 여기서, 연락 애플리케이션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카카오톡, 마이 피플,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락 애플리케이션이 카카오톡인 경우, 제어부(1301)는 101 화면과 같이, 사용자에게 두 명의 상대방과 그룹 채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면, 갤러리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제어부(1301)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에 대한 ID를 확인하고, 전화 번호부 내에 확인된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전화 번호부는 상대방의 이름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상대방 ID와 상대방의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제어부(1301)는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기법은 이미지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 변화 등을 기반으로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법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 후, 2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상대방 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상단 영역(1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연락한다. 예를 들면, 연락 애플리케이션이 페이스북인 경우, 제어부(1301)는 301 화면과 같이, 사용자의 페이스 북에 사진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연락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대화 로그들 중에서 최근에 저장된 대화 로그를 검색한다. 여기서, 대화 로그는 연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 메시지의 내용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존재하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에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존재하면, 제어부(1301)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1)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301)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대화 로그로부터 추출된 단어가 '흰둥이' 인 경우,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흰둥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가지는 두 개의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303 화면과 같이, 상단 영역(3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두 개의 이미지들의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3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의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사진 표시가 요청되면, 제어부(1301)는 연결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ID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방 ID는 상대방 제어부(1301)의 맥 어드레스 또는 상대방 제어부(1301)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1)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제어부(1301)와 연결된 경우, 상대방 ID는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에서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전화 번호부에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제어부(1301)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검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와 달리,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메타 데이터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공유 로그는 상대방 ID와 상대방 ID에 대응되며 상대방 ID와 이미 공유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301)는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식별자가 상대방 ID에 대응되는 공유 이미지 식별자 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확인 결과,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전에 상대방과 공유된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301)는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검색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공유되지 않은 이미지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대화 로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5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상단 영역(505)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4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NFC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의 사진 전송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전송이 요청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업로드가 요청된 경우에 사진 전송이 요청된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사진 전송이 요청되면, 제어부(1301)는 수신된 NFC 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NFC 태그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검색된 NFC 태그 정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달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7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7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또는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7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7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5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GPS와 I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여기서, GPS는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며, IPS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을 이용하여 단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GPS와 I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대방 제어부(1301)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기재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조건은 휴대 단말기와 상대방 휴대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조건과, 현재 시간과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스케쥴 시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확인 결과, 미리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할당된 고유 번호로, 예를 들면,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1)는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출하고,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의 얼굴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전화 번호부 내에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메타 데이터 내에 상대방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가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만약에,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903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여섯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903 화면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여섯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6실시 예에서, 제어부(1301)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갤러리의 실행이 요청되면,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되면,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된 것으로 결정한다.
확인 결과,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선택되면, 제어부(1301)는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로부터 얼굴 이미지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을 비교함으로써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301)는 메모리부(1307)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추출된 얼굴 이미지들과 동일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1109 영역에 검색된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1111 영역에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1)는 공유 로그를 기반으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1)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1)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1)는 공유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한 촬영 기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검색된 이미지들 중에서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1107 화면과 같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열두 개인 경우, 제어부(1301)는 1109 영역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까지 최근 촬영 시간 순으로 열두 개의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화 번호부와 최근에 실행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최소한의 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301: 제어부 1303: 표시부
1305: 입력부 1307: 메모리부
1309: RF부 1311: 데이터 처리부
1313: 음향 처리부

Claims (22)

  1.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상대방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대화 로그를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검색된 최근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아이디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접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근접 통신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 번호부로부터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접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근접 통신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 번호부로부터 상기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 확인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 확인인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스케쥴 시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로부터 동일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동일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 번호부에 저장된 상대방 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연락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연락 애플리케이션의 최근 대화 로그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검색된 최근 대화 로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아이디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아이디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접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근접 통신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 번호부로부터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근접 통신 연결인 경우,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근접 통신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 번호부로부터 상기 이메일 주소에 대응되는 상대방 이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 확인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지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최근 이벤트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위치 확인인 경우, 현재 시간과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이름이 포함된 스케쥴 시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전화 번호부에서 상기 상대방 이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이전에 공유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이미지들로부터 동일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추출된 동일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0130070767A 2013-06-20 2013-06-20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9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67A KR102099400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US14/298,155 US9934253B2 (en) 2013-06-20 2014-06-0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in mobile terminal
EP14173277.6A EP2816514A1 (en) 2013-06-20 2014-06-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67A KR102099400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59A true KR20140147459A (ko) 2014-12-30
KR102099400B1 KR102099400B1 (ko) 2020-04-09

Family

ID=5103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67A KR102099400B1 (ko) 2013-06-20 2013-06-20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4253B2 (ko)
EP (1) EP2816514A1 (ko)
KR (1) KR102099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923B1 (ko) * 2016-10-28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보호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970A (ja) * 1995-10-06 1997-04-15 Omron Corp 画像検索方法および画像検索装置
KR20080067585A (ko) * 2007-01-16 2008-07-21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휴대 단말 장치
JP2012114492A (ja) * 2010-11-19 2012-06-14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105679A (ko) * 2011-03-16 201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20265703A1 (en) * 2011-04-13 2012-10-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d hoc social network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8554B1 (en) * 2003-03-03 2011-03-15 Aol Inc. Modifying avatar behavior based on user action or mood
EP1788809A1 (en) * 2004-09-09 2007-05-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4753801B2 (ja) * 2006-06-07 2011-08-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670597B2 (en) * 2009-08-07 2014-03-11 Google Inc. Facial recognition with social network aiding
JP5503921B2 (ja) * 2009-08-21 2014-05-28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情報端末、情報端末の情報制御方法及び情報制御プログラム
US8577872B2 (en) 2009-10-13 2013-11-05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of photos based on tagging history
KR101138822B1 (ko) 2009-11-19 2012-05-10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진들에 첨부된 인물들의 이름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95263B1 (ko) 2009-12-03 2016-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앨범 관리 방법 및 장치
US8606776B2 (en) 2011-02-18 2013-12-10 Google Inc. Affinity based ranked for search and display
JP5693369B2 (ja) * 2011-05-13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07136B1 (ko) * 2012-01-27 2018-10-1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유무선 웹을 통한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A2867786C (en) * 2012-03-23 2017-09-05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ntent relevant to text
US8606576B1 (en) * 2012-11-02 2013-12-10 Google Inc. Communication log with extracted keywords from speech-to-text processing
KR102027899B1 (ko) * 2013-05-21 2019-10-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970A (ja) * 1995-10-06 1997-04-15 Omron Corp 画像検索方法および画像検索装置
KR20080067585A (ko) * 2007-01-16 2008-07-21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및휴대 단말 장치
JP2012114492A (ja) * 2010-11-19 2012-06-14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105679A (ko) * 2011-03-16 201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20120265703A1 (en) * 2011-04-13 2012-10-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d hoc social netwo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400B1 (ko) 2020-04-09
US20140379749A1 (en) 2014-12-25
US9934253B2 (en) 2018-04-03
EP2816514A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6150B (zh) 一种屏幕截图和读取的方法及终端
CN107464557B (zh) 通话录音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180181B (zh) 精彩时刻视频的截图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9179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incoming/outgoing information and managing contacts
CN108684206B (zh) 一种搜索方法及装置
CN104221025A (zh) 控制给便携式终端中的应用的权限的装置和方法
CN107317689B (zh) 一种消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
US20230388407A1 (en) Device Recommend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4371803B (zh) 操作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5002742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이름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00303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106503023B (zh) 提示附近好友的方法及装置
CN110928425A (zh) 信息监控方法及装置
CN110334559B (zh) 一种扫码识别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45227B (zh) 一种地图信息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90064B (zh) 清单记录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6647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66544B (zh) 一种信息管理方法及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10166B (zh) 操作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10209940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595007A (zh) 操作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3672301A (zh) 应用程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171775B (zh) 图片合成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705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im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112115109B (zh) 一种文件分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