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449A -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449A
KR20140147449A KR20130070730A KR20130070730A KR20140147449A KR 20140147449 A KR20140147449 A KR 20140147449A KR 20130070730 A KR20130070730 A KR 20130070730A KR 20130070730 A KR20130070730 A KR 20130070730A KR 20140147449 A KR20140147449 A KR 2014014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ice
frame
primary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0241B1 (en
Inventor
구기형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241B1/en
Publication of KR2014014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stant food having rice as a main ingredient. In the method, rice and minor ingredients are put into a storage unit of an outer frame and pressed by a compression frame, and then the outer frame is removed to obtain a primary product. The primary product is put into an heating cabinet while put on a storage container and stored before secondary cooking, and when an order comes or meal distribution is started, the primary product stored in the heating cabinet is taken out, and such as seaweed flake, salted dry fish flake, and Japanese flake are sprinkled or an outer layer is formed by using egg to finish a secondary product. Accordingly, the time for manufacturing food having rice as a main ingredien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o rapidly provide lots of foods to an orderer, and an advantage of not having a problem of degradation of taste and problem of cold food caused by manufacturing foods in advance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밥으로 만든 즉석 음식물 제조 방법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밥으로 만든 즉석 음식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밥이나 계란밥과 같은 음식물을 신속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instant foods made of r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apidly producing foods such as rice goblets and rice paddies.

음식점이나 식당에서 음식물을 주문한 고객은 주문한 음식물이 가급적 신속하게 제공되기를 원한다. 이러한 주문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각종 패스트푸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패스트푸드의 경우 영양적 측면에서 신중히 고려되지 못한 재료를 반제품 상태로 제조한 후 즉석에서 음식물을 제조하고 있어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고 인식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웰빙(well-being)을 추구하는 최근의 경향에서는 선호되지 않고 있다.Customers who order food at a restaurant or restaurant want their food to be served as quickly as possible. Various fast food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uch an orderer. However, in the case of fast food, it is not beneficial to the health because the food is manufactured in a semi-finished state And is therefore not preferred in recent trends for pursuing well-being.

패스트푸드와는 달리 밥을 주재료로 함으로써 건강에 해롭지 않고 또한 신속하게 주문자에게 제공되어 부담없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물도 많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의 대표적인 예로서 김밥을 들 수 있는데, 김밥은 분식점이나 편의점 등에서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서 인기를 얻고 있다.Unlike fast food, rice is the main ingredient, which is not harmful to health, and is quickly available to the purchas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food, Kimbap is popular as a food that can be easily eaten in a short time at a food store or a convenience store.

그런데, 이러한 김밥과 같은 음식물도 대량 제작시 신속하게 주문자에게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예컨대 김밥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김밥에 들어갈 밥과 재료를 미리 조리해 두고 주문이 들어오면 김에 밥과 부재료를 얹어 김밥을 말고 자르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김밥 한 줄을 제조하는 데에 숙련된 조리사의 경우 대략 70초 내지 80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음식점에 많은 손님이 일시적으로 몰리게 되어 다량의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 또는 구내식당이나 학교의 급식 등과 같은 상황에서 배식 시간이 되자마자 다량의 음식물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김밥을 일시에 제공하여야 하는데, 주문 직후 김밥을 제작한다면 여러 명의 조리사가 작업을 하더라도 주문자의 대기 시간이 최대 수십 분에 이르게 된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food such as Kimbab to the purchaser promptly in mass production. In other words,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kimbap, it is necessary to cook rice and materials to be introduced into the kimbap first, and then, when the order comes in, the rice and the kimbap should be put on the kimbap to cut the kimbap. For a skilled cook at about 70 to 80 seconds. If a large number of customers are temporarily driven into a restaurant and a large quantity of orders is received, or when a large quantity of food is to be provided immediately after the meal time in a situation such as an on-site restaurant or a school lunch, If you cook Kimbap immediately after ordering, the waiting time of your order will be up to tens of minutes even if several cooks wor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밥을 미리 제작하여 두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김밥 완성품은 외부층인 김이 습기가 많은 밥과 접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밥의 습기에 의해 김이 단시간에 눅눅해진다. 따라서, 만약 미리 김밥을 제작해둔다면 눅눅해진 김에 의해 음식물의 식감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도 오래된 김밥인 것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미리 김밥을 다량 제작해두는 것은 주문자의 입장에서는 식음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preliminarily preparing Kimbap. However, since the outer layer of Kimbap finished product is in contact with the moisture-rich rice, the humidity of the rice causes the steam to become damp in a short time. Therefore, if you make kimbap in advance, the texture of the food will be lowered due to the dampness, and it will appear to be an old kimbap visually. Therefore, making a large amount of kimbab in advance has a problem that satisfaction of food and drink is very low in the case of the purchaser.

이와 같은 사전 제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의점 등에서 소위 '삼각김밥'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김밥이 개발되었다. 삼각김밥은 삼각형 형태의 압착된 밥과 부재료의 외면을 김으로 둘러싼 김밥의 형태로 제작하되, 김 자체가 비닐 포장된 상태로 밥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비닐을 컷팅라인을 따라 절개를 하면 김이 밥을 둘러싼 상태는 유지하면서 비닐을 김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삼각김밥은, 밥과 김이 사이에 비닐이 개재됨으로써 밥과 김이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는 상태로 제작 후 유통되며, 사용자가 구매 후 밥과 김 사이의 비닐을 제거한 후 식음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통 과정에서 김이 밥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of pre-production, Kimbap sold at a convenience store or the like under the so-called "triangular kimbap" was developed. The triangular roasted r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iangular-shaped pressed ri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aw material in the form of a roasted kimbap surrounding the rice while the roasted rice itself is wrapped in a plastic wrap. If the user cuts the vinyl along the cutting line, the vinyl can be separated from the kim while keeping the rice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rice. In such a triangular rice gob, the vinyl is interposed between the rice and the kim so that the rice and the kim are not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a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After the user removes the vinyl between the rice and the kim, In the distribution process,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Kim becomes damp by direct contact with rice.

그러나 이러한 삼각김밥은 제작 후 식음까지의 유통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인하여 김밥 자체가 따뜻한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매자는 따뜻한 김밥을 식음할 수 없고 냉장 유통된 차가운 김밥만을 식음할 수 있으므로 김밥의 맛이 현저하게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차가운 김밥을 데우기 위해 편의점 등에 마련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김밥을 데우기도 하지만, 전자렌지에 데운 음식물은 부위에 따라 가열의 정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비닐을 씌운 상태로 전자렌지에 넣을 수밖에 없으므로 비닐의 가열에 의한 환경호르몬 발생으로 건강에 심각한 위해 요인이 되기도 한다.However, the gimp itself is not maintained in a warm state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distribution of the gimp after the preparation. Therefore, the purchaser can not eat warm kimbap and can only eat cold soup which is chilled and circulated. Therefore, the taste of kimbap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In order to warm up such a cold rice gimp, Kimbap is warmed in a short time by using a microwave oven provided at a convenience sto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heating varies depending on the portion of the food heated in the microwave oven. Because it is inevitable, the generation of environmental hormone by the heating of vinyl becomes a serious health ris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김밥 등과 같은 밥을 주재료로 하는 음식물의 제작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다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전 제작시의 단점인 식감의 저하와 음식물이 식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밥을 주재료로 하는 즉석 음식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providing a large quantity of food to a purchaser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producing food containing rice as a main ingredient such as Kimbap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stant food and beverage, the main ingredient of which is rice, which is a disadvantage of pre-production, and which does not cause a deterioration of texture and a problem of cooling of fo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소정 형태의 음식물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밥과 부재료를 넣는 단계; b) 상기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밥과 부재료를 가압틀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밥과 부재료가 상기 음식물 외형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외부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상기 음식물 외형을 이룬 상기 밥과 부재료로 구성된 1차 조리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1차 조리물을 보관용기에 올린 상태로 온장고에 넣어 2차 조리 전까지 보온 상태로 보관하는 단계; e) 상기 온장고에 보관된 상기 1차 조리물을 2차 조리를 위하여 꺼내는 단계; 및 f) 상기 1차 조리물의 외표면상에 소정의 식재료로 구성된 외부층을 형성함으로써 2차 조리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oking fo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lacing rice and a raw material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an outer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orm of food or beverage; b) pressing the rice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frame by using a press mold so that the rice and the raw material form the food outer shape; c) removing a part or the entirety of the outer frame to obtain a primary food consisting of the rice and the sub ingredient having the appearance of the food; d) placing the primary food in a storage container and storing it in a warmed state until the secondary cooking is completed; e) removing the primary food stored in the heating cabinet for secondary cooking; And f) completing the secondary food by forming an outer layer made of a predetermined food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food.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밥을 넣는 단계; a-2) 상기 밥 위에 부재료를 올려놓는 단계; 및 a-3) 상기 부재료 위에 밥을 올려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a) includes: a-1) inserting rice into the receptacle of the outer frame; a-2) placing a sub ingredient on the rice; And a-3) placing the rice on the ingredient.

상기 외부틀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바닥틀과 측면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외부틀의 제거는 상기 측면틀의 제거를 의미한다.The outer frame may include a bottom frame and a side frame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in the step c), removal of the outer frame means removal of the side fram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온장고 내에는 복수의 상기 보관용기가 순차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의 형상에 부합되어 제작된 보관틀이 구비되며,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보관틀상에 놓여진다.In the step d), the warming bowl is provided with a storage frame, which is manufactured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a plurality of the storage containers can be sequentially placed,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placed on the storage frame.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식재료는 김, 돌자반 또는 후리가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외부층은 가루 형태의 상기 식재료를 상기 1차 조리물의 외표면상에 뿌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p f), the predetermined foodstuff may be roasted, roasted or fried. At this time, in step f), the outer layer may be formed by spraying the powdered food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food.

한편,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식재료는 계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f) 단계는, f-1) 가열된 프라이팬에 노른자가 풀린 계란을 부어 익힘으로써 계란층을 마련하는 단계; f-2) 상기 계란층의 중앙 부위에 상기 1차 조리물을 올려놓는 단계; f-3) 상기 1차 조리물상에 상기 계란층의 일측을 접어 올려놓는 단계; 및 f-4) 상기 1차 조리물을 상기 계란층의 타측을 향해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in the step f), the predetermined food may be an egg. At this time, f) may include: f-1) preparing an egg layer by pouring a yolk-free egg into a heated frying pan; f-2) placing the primary foo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gg layer; f-3) folding one side of the egg layer on the first cooking product; And f-4) inverting the primary foo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egg layer.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헤 제조된 음식물이 제공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produc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밥을 주재료로 하는 음식물의 제작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다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주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음식물 사전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식감 저하와 음식물이 식는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of foods containing rice as a main ingredient rapidly and to provide a large quantity of food to the purchaser promptly, and there is no problem of deterioration of food texture and food coagulation,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에 사용되는 외부틀과 가압틀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의 전 공정 중에서 1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 은 완성된 1차 조리물을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보관용기에 수용된 1차 조리물을 온장고에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 은 보관용기에 수용된 1차 조리물을 보관틀에 수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 는 1차 조리물을 이용하여 2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는 완성된 2차 조리물을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9 는 1차 조리물을 이용하여 2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조리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들이 최종적으로 주문자에게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outer frame and a press frame used for manufacturing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1; Fig.
FIG. 3 to FIG.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eparing a primary food product in all the steps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leted primary food is housed in a storage container.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imary food contained in a storage container is stored in a warming oven;
FIG. 12 and FIG. 1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imary food contained in a storage container is housed in a storage frame.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producing a secondary cooking product using a primary cooking product;
Fig. 15 is a view showing a completed secondary cooking product; Fig.
Figs. 16 to 19 show another embodiment for producing a secondary cooked product using a primary cooking. Fig.
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fo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secondary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ltimately provided to the purchaser;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에서 1차 조리물 제조에 사용되는 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에 사용되는 외부틀과 가압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조리물 제조용 틀은 외부틀(10, 20)과 가압틀(30)로 구성되며, 외부틀(10, 20)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바닥틀(10)과 측면틀(20)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frame used for preparing the primary food in the foo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outer frame and a press frame used for manufacturing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10 and the outer frame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bottom frame 10 and a side frame 20 ).

바닥틀(10)은 직사각형의 판면을 주된 구성 부분으로 하며, 판면의 하부에는 받침부(12)가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frame 10 has a rectangular plate surface as its main constituent part, and a receiving part 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late surface.

측면틀(2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들로 구성된 틀로서, 중앙 부분이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부(22)가 형성되어 상방과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때, 수용부(22)의 평단면 형상은 바닥틀(10)의 판면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측면틀(20)을 바닥틀(10) 위에 놓으면 바닥틀(10)이 측면틀(20)의 수용부(22) 하부에 삽입되고 측면틀(20)의 하단부가 바닥틀(10)의 받침부(12) 위에 얹혀져 지지된다. 이에 따라 바닥틀(10)의 상면에 의해 수용부(22)의 바닥면이 구성되고 측면틀(20)의 내측면에 의해 수용부(22)의 내측면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용부(22)는 1차 조리물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22)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1차 조리물 또한 이러한 형상을 갖게 된다.The side frame 20 is a frame made up of side faces formed in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22 having a rectangular central shape at its center, and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When the side frame 20 is placed on the bottom frame 10, the bottom frame 10 is placed on the side frame 2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frame 20 is suppor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bottom frame 10 and suppor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 is constitu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 is constitu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frame 20. Since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rimary cookware,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primary cookware also has such a shape do.

가압틀(30)은 수용부(22)의 상부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판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상면에 손잡이부(32)를 구비한다. 가압틀(30)의 직사각형 판면은 수용부(22)의 상부에 삽입되어 수용부(22)에 수용된 밥과 부재료 등을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수용부(22) 형상의 1차 조리물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틀(30)의 판면의 형상은 바닥틀(10)의 판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pressing frame 30 is configured to have a rectangular plat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iving portion 22 and has a handle portion 32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rectangular plate surface of the pressing frame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2 to press and press the rice and the raw materials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 to form a primary cooking product in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22 .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press mold 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bottom mold 10. [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의 전 공정 중에서 1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기술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preparing a primary cooked product in all the steps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주재료인 밥을 준비한다. 이때, 밥에는 단무지, 소금, 참기름, 깨 등과 같은 각종 양념이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된 양념을 버무려 주재료인 밥의 준비가 완료된다.As shown in FIG. 3, rice, which is a main ingredient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prepared. At this time, various kinds of seasonings such as radish, salt, sesame oil, and sesame can be added to the rice, and the preparation of the main ingredient, rice, is completed by adding the added seasonings.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틀(10)과 측면틀(20)이 결합된 외부틀(10, 20)의 수용부(22)에 도 3 과 같이 준비된 밥을 넣어 고르게 펼친다. 그리고 나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틀(30)을 사용하여 외부틀(10, 20)의 상부에서 수용부(22) 내부를 가압한다. 가압된 밥 위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료인 각종 반찬(멸치, 햄, 시금치 등과 같은 반찬)을 올리고, 반찬 위에 다시 밥을 올려 넣어 고르게 펼친 후 도 7 과 같이 가압틀(30)을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수용부(22)를 가압한다.As shown in FIG. 4, the rice prepared as shown in FIG. 3 is put into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outer frame 10, 20 having the bottom frame 10 and the side frame 20 joined together and evenly spread. Then, as shown in Fig. 5, the presser frame 30 is used to pres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from the top of the outer frame 10, 20. 6, various kinds of side dishes (side dishes such as anchovies, ham, spinach and the like) are put on the pressurized rice, and rice is put back on the side dishes and spread evenly. Then, using the press mold 30 as shown in FIG. 7,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is pressed again.

그리고 나서, 도 8 과 같이 가압틀(30)을 제거한 후에 측면틀(2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바닥틀(10)로부터 분리한다. 측면틀(20)의 분리는 조리자가 엄지손가락으로 가압된 밥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양손으로 측면틀(20)을 들어올림으로써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틀(20)이 분리된 상태가 도 9 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로써 외형틀(10, 20)에 의해 의도된 음식물 외형을 구비하는 1차 조리물(F1)이 완성된다.Then, after removing the press mold 30 as shown in FIG. 8, the side mold 20 is moved upward and separated from the bottom mold 10. The separation of the side frame 20 can be easily accomplished by the cooker lifting the side frame 20 with both hands while slightly pressing the pressurized rice with the thumb.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frame 20 is separated, whereby the primary food F1 having the food contour intended by the contour molds 10 and 20 is completed.

1차 조리물(F1)이 완성되며, 1차 조리물(F1)을 보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즉, 완성된 1차 조리물(F1)은 도 10 과 같은 별도의 보관용기(40)에 담긴 후, 도 11 과 같이 온장고에 보온 상태로 보관된다. 1차 조리물(F1)의 보온 상태 보관은 2차 조리 전까지 지속된다. 여기에서 보관용기(4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에 제작된 1차 조리물(F1)을 보관하기 위해 제작된 용기로서, 1차 조리물(F1)의 외형이 수용되기에 적합한 크기와 형상의 수용부(42)를 구비하도록 제작된다.The first cooking product F1 is completed, and the process of storing the first cooking product F1 is performed. That is, the completed primary cooked food F1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40 as shown in FIG. 10, and then kept in a warm state as shown in FIG. Storing the first cooking (F1) at the warmed state continues until the second cooking. Here, the storage container 40 is a container made for storing the primary food F1 manufactured in the foo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size suitable for accommodating the outer shape of the primary food F1 Shaped accommodating portion 42. [0050] As shown in Fig.

한편, 도 11 에서는 보관용기(40) 자체가 온장고 내에 직접 수납되는 예를 기술하였으나, 여러 개의 보관용기(40)가 별도의 보관틀에 수납되고 이러한 보관틀이 온장고에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 은 보관용기(40)에 수용된 1차 조리물(F1)을 보관틀(60)에 수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관틀(60)은 여러 개의 보관용기(40)가 나란히 놓일 수 있도록 수용공간(62)을 구비하며, 수용공간(62)은 그 폭이 보관용기(4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그 길이가 보관용기(40) 여러 개를 나란히 놓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관틀(60)은 그 상부를 덮는 뚜껑(64)을 구비하고 있다.11, an exampl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40 itself is stored directly in the heating cabinet has been described. However,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40 may be housed in a separate storage frame, and such a storage frame may be housed in the warm storage box. 12 and 13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food F1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 is stored in the storage frame 60. The storage frame 60 has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40 And the accommodation space 62 is formed so that its width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storage container 40 and the length thereof corresponds to the width of arranging several storage containers 40 Respectively. Further, the storage frame 60 is provided with a lid 64 covering the upper portion thereof.

이러한 보관틀(60)을 이용하여 1차 조리물(F1)이 수용된 보관용기(40)를 수납한 후 온장고에 보관틀(60)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보관틀(60) 자체가 상방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적재 가능하게 되므로 온장고의 내부 보온 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더욱 많은 개수의 1차 조리물(F1)의 보관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60 in which the primary food F1 is stored by using the storage container 60 and then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60 in the heating warehouse, It is advantageous to utilize the internal warming space of the warming ware efficiently and to store a larger number of the primary cooking products F1.

보관틀(60)의 재질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보온 보관시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지 않고 온장고 내부의 온기가 내부의 1차 조리물(F1)에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storage frame 60.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frame 6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environmental hormones during heat preservation and to allow the warmth inside the heating cabinet to be transmitted to the primary food F1.

또한, 보관틀(60)은 그 내부에 보관용기(40)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받침대를 보관용기(40)의 높이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그 위에 1차 내부 뚜껑을 이용하여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내부 뚜껑과 2차 뚜껑(64)에 의한 2중의 보온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frame 60 may have a pedestal for fixing the storage container 40 therein. The pedestal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40, and a primary inner lid So as to be cover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double insul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primary inner lid and the secondary lid 64.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에서 상기와 같이 보관된 1차 조리물(F1)을 이용하여 2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 는 1차 조리물을 이용하여 2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는 완성된 2차 조리물을 도시한 도면이다.Next,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cooking product using the primary cooking product F1 sto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foo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secondary cooked product using a primary cooked food,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 completed secondary cooked food.

음식물에 대한 주문이 들어오거나 구내식당이나 급식 등의 상황에서 배식 시간이 돌아오면, 조리자는 온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1차 조리물(F1)을 보관용기(40)에 수용된 상태로 꺼낸다.When a food order comes in, or when a meal time comes back in the case of a cafeteria or a lunch, the cooker takes out the first cafeteria F1 stored in the heating cabinet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 [

그리고 나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조리물(F1)의 외표면상에 소정의 식재료로 구성된 외부층을 형성함으로써 2차 조리물(F2)을 완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식재료는 김 또는 돌자반이며, 나아가 김 또는 돌자반은 가루 형태로 사전에 준비되어 1차 조리물(F1)의 외표면에 뿌림으로써 2차 조리물(F2)이 완성된다.Then, as shown in Fig. 14, an outer layer composed of predetermined ingredient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cooked food F1 to complete the secondary cooked food F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food material is a roast or a sprig, and further, the roast or the roast pot is prepared in advance in the form of a powder and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oked food F1 to complete the second cooked food F2 do.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완성된 2차 조리물(F2)은 도 10 과 같은 상태로 보관용기(40) 자체에 수용된 상태로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식기에 옮겨져 주문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The secondary food F2 completed in this way may be supplied to the purchaser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 itself as shown in FIG. 10, or may be transferred to a separate tableware and provided to the purchaser.

또한, 2차 조리물(F2)은 젓가락으로 낱개로 집기 좋도록 칼로 여러 조각으로 자른 후에 제공될 수도 있고, 도 10 과 같은 상태로 제공되어 숟가락으로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cooking utensil F2 may be provided after being cut into several pieces with a knife so as to be individually picked up with a chopstick, or may be provid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10 so as to be fed with a spoon.

이러한 과정에 의한 음식물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od manufacturing method by this process, there ar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김밥의 경우 한 개의 제작에 70 내지 80초의 시간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 준비 완료 후의 1차 조리물 제작과 2차 조리물 제작에 소요되는 모든 시간이(보관 시간을 제외하면) 약 30초 내지 40초 정도 소요된다. 따라서 전체 제작 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되어 단시간에 대량 제작이 가능하다.First, the cooking time is significantly shortened. As described above, it takes 70 to 80 seconds to produce one kimbap.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cooking material and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cooking material after comple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material It takes about 30 seconds to 40 seconds. Therefore, the total production time is reduced to less than half,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n a short time.

둘째, 주문 후 음식물 완성까지의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단시간에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1차 조리물 상태로 온장고에 보온 보관되므로, 1차 조리물까지만을 주문이나 배식 전에 다량으로 사전 제작해 놓은 상태에서 주문이 들어오거나 배식이 시작됨과 동시에 2차 조리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2차 조리물의 제작이 김가루나 돌자반 가루 또는 후리가케 등을 뿌려 외부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완성되므로, 2차 조리물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개당 수초 정도에 불과하여 신속하게 대량 배식이 가능하게 된다.Second, the cooking time until the completion of the food after the order is remarkably shortened,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n a short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oked food is kept in the warming warehous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econd cooked food at the same time that the order is received or the food is started, while only the first cooked food is preliminarily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y before ordering or feeding . At this time, since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cooking is completed by forming the outer layer by sprinkling the rice gruel or the rice gruel or the furigak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second cooking is only about several seconds, so that the food can be mass- .

셋째, 음식물이 보온된 상태로 제공된다. 1차 조리물이 온장고에 보온 보관되므로, 방금 조리한 것과 같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삼각김밥에서 차가운 상태로 식음을 하거나 전자렌지에 돌려 데우는 데에 따른 불편함과 환경호르몬의 문제점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Third, the food is kept warm. Because the primary food is kept warm in the hot sauce, it will maintain the same temperature as just cooked. Therefore, there is no inconvenience and environmental hormone problems in the traditional triangular kimbap when it is cooled in a cold state or warmed up in a microwave oven.

넷째, 음식물의 식감과 미감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는 2차 조리에 의해 김이나 돌자반의 외부층을 형성한 직후 배식되므로 외부층이 눅눅해지지 않아 식감이 개선되고 외관의 측면에서도 개선된 미감을 제공한다.Fourth, the texture and aesthetics of food are remarkably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layer of the outer layer is not dampened because the inner layer is formed after the outer layer of the roots or the stools is formed by the secondary cooking, the texture is improved and an improved aesthetic is provided in terms of the appearance.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조리물 제작시 일반적인 김밥의 제작과는 달리 틀을 이용하여 가압 제조하므로 밥과 부재료를 미리 모두 섞은 후에 1차 조리물 제작을 위해 틀에 넣을 수도 있고 밥과 부재료를 여러 번 번갈아가며 넣어 반찬의 여러 층을 구성함으로써 다층 샌드위치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완성된 음식물의 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다채로운 다종의 음식물 제작이 쉽게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식음자 입장에서도 다양한 미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general Kimbap,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cooked rice in the first cooking step and mix it with rice in advance, Can be folded into several layers to form a multi-layer sandwich. This allows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nished food to be easily mad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variety of foods and foods.

도 16 내지 도 19 는 1차 조리물을 이용하여 2차 조리물을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2차 조리물의 외부층을 구성하는 소정의 식재료로서 계란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계란으로 2차 조리물을 구성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Figs. 16 to 19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producing a secondary cooked product by using a primary cooked product, wherein an example of using an egg as a predetermined ingredient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of the secondary cooked product is shown .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econdary cooking with eggs is as follows.

먼저, 도 16 과 같은 프라이팬(80)을 준비하여 약한 불로 가열하고 가열된 프라이팬(80)에 노른자가 풀린 계란(E)(계란말이를 할 때와 같은 상태의 계란)을 부어 익힘으로써 계란층(E)을 마련하고, 도 17 과 같이 계란층(E)의 중앙 부위에 1차 조리물(F1)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나서, 1차 조리물(F1)상에 계란층(E)의 우측을 도 17 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접어서 올려 도 18 과 같이 1차조리물(F1)의 외측면과 상면이 계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고, 다시 1차 조리물(F1)을 도 18 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좌측으로 굴려서 뒤집음으로써 도 19 와 같이 계란층(E)에 의해 1차 조리물(F1)이 둘러싸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계란층(E)이 외부층으로서 구성된 2차 조리물(F2)이 완성된다.First, a frying pan 80 as shown in FIG. 16 was prepared and heated with a weak heat to pour an egg E (egg in the same state as when making an egg) into a heated frying pan 80 to obtain an egg layer E And a primary cooking product F1 is plac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gg layer E as shown in Fig. Then, the right side of the egg layer E is folded up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17 on the first cooked food F1, and the out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oked food F1 are surrounded by the eggs And the primary food F1 is again rolled to the left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18 and inverted so that the primary cooking product F1 is surrounded by the egg layer E as shown in Fig. This completes the secondary cooking (F2) in which the egg layer (E) is formed as an outer layer.

이때 프라이팬(80)은 그 폭과 길이를 1차 조리물(F1)의 외형에 부합되도록 별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라이팬(80)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되, 그 폭을 1차 조리물(F1)의 길이와 같도록 구성하고 그 길이를 도 17 내지 19 의 과정에 의해 1차 조리물(F1)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계란층(E)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ying pan 80 is manufactured so that its width and length are conformed to the outer shape of the primary cooking product F1. That is, the frying pan 8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width of the frying pan 80 is set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primary cooking product F1, The length of the egg layer E which can be wrapped around the egg layer E.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2차 조리물 제작 과정에서의 장점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란으로 구성된 외부층의 형성 과정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비교하면 많은 시간을 소요하나, 2차 조리물 완성을 위한 외부층의 형성 공정이 1차 조리물의 사전 제작 후의 보온 보관 상태 후에 이루어지므로 실제 주문 후의 배식까지 시간은 외부층 형성 시간만 소요된다.Advantag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secondary food according to this alternative embodiment are also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 of forming the outer layer composed of eggs takes a lot of time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process of forming the outer layer for the completion of the secondary cooking is performed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after- It takes only time for the outer layer formation time until the actual post-order food distribution.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조리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들이 최종적으로 주문자에게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fo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secondary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ltimately provided to the purchaser.

별도의 용기에 주문자의 기호에 따라 주문된 사각김밥과 사각계란밥이 음료수 등과 함께 제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Square rice balls and square rice rice ordered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er's preference in a separate container are provided together with drinks and the like.

Claims (10)

a) 소정 형태의 음식물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밥과 부재료를 넣는 단계;
b) 상기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밥과 부재료를 가압틀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밥과 부재료가 상기 음식물 외형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외부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상기 음식물 외형을 이룬 상기 밥과 부재료로 구성된 1차 조리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1차 조리물을 보관용기에 올린 상태로 온장고에 넣어 2차 조리 전까지 보온 상태로 보관하는 단계;
e) 상기 온장고에 보관된 상기 1차 조리물을 2차 조리를 위하여 꺼내는 단계; 및
f) 상기 1차 조리물의 외표면상에 소정의 식재료로 구성된 외부층을 형성함으로써 2차 조리물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a) inserting rice and a raw material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an outer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food outer shape;
b) pressing the rice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frame by using a press mold so that the rice and the raw material form the food outer shape;
c) removing a part or the entirety of the outer frame to obtain a primary food consisting of the rice and the sub ingredient having the appearance of the food;
d) placing the primary food in a storage container and storing it in a warmed state until the secondary cooking is completed;
e) removing the primary food stored in the heating cabinet for secondary cooking; And
f) completing the secondary food by forming an outer layer of a predetermined ingredi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food;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외부틀의 상기 수용부에 밥을 넣는 단계;
a-2) 상기 밥 위에 부재료를 올려놓는 단계; 및
a-3) 상기 부재료 위에 밥을 올려놓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a)
a-1) inserting rice into the receptacle of the outer frame;
a-2) placing a sub ingredient on the rice; And
a-3) placing rice on the material;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틀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바닥틀과 측면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frame comprises a bottom frame and a side fram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외부틀의 제거는 상기 측면틀의 제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removing the outer frame from the side frame in the step 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온장고 내에는 복수의 상기 보관용기가 순차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의 형상에 부합되어 제작된 보관틀이 구비되며, 상기 보관용기는 상기 보관틀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d), the warming bowl is provided with a storage frame, which i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a plurality of the storage containers can be sequentially placed, and the storage container is placed on the storage frame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식재료는 김, 돌자반 또는 후리가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f), the predetermined foodstuff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asted vegetables, roots, and roasted vegetabl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외부층은 가루 형태의 상기 식재료를 상기 1차 조리물의 외표면상에 뿌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step (f), the outer layer is formed by spraying the food material in powder form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식재료는 계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f), the predetermined food material is an eg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가열된 프라이팬에 노른자가 풀린 계란을 부어 익힘으로써 계란층을 마련하는 단계;
f-2) 상기 계란층의 중앙 부위에 상기 1차 조리물을 올려놓는 단계;
f-3) 상기 1차 조리물상에 상기 계란층의 일측을 접어 올려놓는 단계; 및
f-4) 상기 1차 조리물을 상기 계란층의 타측을 향해 뒤집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f)
f-1) pouring a yolk-free egg into a heated frying pan to prepare an egg layer;
f-2) placing the primary foo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gg layer;
f-3) folding one side of the egg layer on the first cooking product; And
f-4) inverting the primary foo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egg layer;
≪ / RTI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식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식물.Food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30070730A 2013-06-20 2013-06-20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KR101540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30A KR101540241B1 (en) 2013-06-20 2013-06-20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30A KR101540241B1 (en) 2013-06-20 2013-06-20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49A true KR20140147449A (en) 2014-12-30
KR101540241B1 KR101540241B1 (en) 2015-07-31

Family

ID=526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30A KR101540241B1 (en) 2013-06-20 2013-06-20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2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162A (en) 2015-09-22 2017-03-30 양승기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oiled rice flake for instant rice conge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10Y1 (en) * 2003-12-26 2004-04-01 삼해상사주식회사 a modeling mold of triangle rice ball
KR20060011768A (en) * 2004-11-03 2006-02-03 조수현 Roll forming frame and roll for manufacturing roll using thereof
KR101155254B1 (en) * 2010-01-22 2012-06-13 주식회사 스타일푸드 Roll forming frame and roll for method manufacturing roll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241B1 (en)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2833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meal cake
CN101125001B (en) Method for preparing cooked meat food crisp meat
JP7372333B2 (en)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systems
KR101540241B1 (en) Method for making a food made of rice
CN102669665A (en) Convenient rice fast food and manufacture method of dish cake used in fast food
JP2008011841A (en) Method for producing pre-cooked frozen food and pre-cooked frozen food
JP3200307U (en) Grilled food
CN106889144A (en)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unit (plant) of hand-held Chinese meal
JP5802433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egg-baked container
US11998139B2 (en) System for preparing and presenting food
JP2010081897A (en) Half-cooked food
KR101416708B1 (en) Method for grilling the ribs and grilled ribs product for easy cooking prepared thereby
KR101263304B1 (en) Frozen rice ball foo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1991014370A1 (en) Fast food item
JP2021108625A (en) Providing system for baked food product including ingredient
KR20200001326U (en) How to make omelet rice in the form of rice balls
JPH04347111A (en) Heat radiator for cooker and cooker using it
Leupold Away to The Woods!
KR20210012593A (en) Method for preparing fried foods and fried foods prepared thereby
Rapposelli A Taste of the Hocking Hills
KR20130043417A (en) Cooking methods of korean dduck
KR20150087640A (en) Method for making rice ball coated with baked rice layer
Liberati The Basic Art of Italian Cooking: Holidays and Special Occasions
KR20010044944A (en) Instant seasoning rice bar manufacture method
Westmoreland et al. The Good Housekeeping Step-by-step Cook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