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843A -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843A
KR20140146843A KR1020130069669A KR20130069669A KR20140146843A KR 20140146843 A KR20140146843 A KR 20140146843A KR 1020130069669 A KR1020130069669 A KR 1020130069669A KR 20130069669 A KR20130069669 A KR 20130069669A KR 20140146843 A KR20140146843 A KR 2014014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fitness
estimation
subjec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811B1 (ko
Inventor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박성빈
형준호
진문섭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9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은, 기초체력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체력을 평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피측정자의 평가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체력평가요소에 대해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통해 체력 수준을 평가하고, 기초체력평가 결과를 응용함으로써 운동처방에 필요한 지표들을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exercise prescription present method on network using of estimation of physical fitness and the system}
본 발명은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체력평가요소에 대해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통해 체력 수준을 평가하고, 기초체력평가 결과를 응용함으로써 운동처방에 필요한 지표들을 추정할 수 있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이 점점 윤택해지고 편해지는데 비례하여 신체활동이 감소하면서 운동부족과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어, 신체기능의 약화를 방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그러나 바쁘고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시간이 부족하거나 운동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갖춘 스포츠 센터나 헬스클럽이라고 하는 곳을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곳에는 다리, 허리, 복부, 등, 가슴, 팔, 목 등 신체의 근력을 부위별로 증가시키는 여러 가지 운동장비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비는 사용자의 성별, 숙련도, 체력 수준에 따라서 각각 사용하는 훈련중량을 달리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에 알맞게 적당한 횟수로 운동을 하여야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인체는 같은 종목의 운동을 하여도 작용하는 부하량이 너무 가벼우면 근력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부하량이 너무 무거울 경우에는 과운동으로 근육이나 인대 등에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에는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최적의 운동량을 결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건강한 성인에게도 고강도 운동 시 갑작스러운 심장사고의 발생율은 연간 1 : 15,000 ~ 18,000명으로 평가되는데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은 45세를 초과한 남성과 55세를 초과한 여성에게 1개 이상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를 가진 사람들을 중등도 위험군 혹은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고강도 운동 시 반드시 참여 전 운동검사를 권고할 수 있다.
이에 운동 검사는 사전 운동평가, 운동부하검사, 체력측정으로 구성되며 이는 건강과 관련한 현재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운동프로그램 적용 시 위험요소를 사전에 배제하고 적절한 운동강도를 선택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운동 검사 방법으로는 목표심박수법(THR, Target Heart Rate)이 적용되고 있으며, Karvonen이 처음 고안하여 Karvonen 법이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220에서 나이를 뺀 값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단일 목표 심박수보다는 범위를 지정하여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40세 남성의 경우 최대심박수는 180으로서 60~70% 강도일 경우, 심박수는 108~126bpm의 범위에서 운동할 것을 권고한다. 만일 최대심박수 예비량을 고려할 경우 안정시 심박수와의 차이로 정의되며 이때는 최대심박수 예비량을 계산하여 선정한다.
예를 들어, 40대 남성의 경우 최대심박수가 180, 안정시 심박수가 75bpm, 목표심박수가 60~70% 강도일 경우 75+(180-75)*60%~ 75+(180-75)*70%이 되므로 138~149bmp의 범위에서 운동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
또한, 1RM(1 Repetition Maximum)은 최대반복 가능한 횟수로서 1회에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하며 직접법 혹은 간접법으로 측정하게 된다. 직접법은 자신의 체중을 기초로 무게를 증가시키면서 최대 1회만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까지 반복하는 방법으로 시간 소요가 많고 상해의 위험이 있고, 간접법은 임의의 무게를 선택하여 추정식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으로 최초 10회 반복을 넘기지 않을 수 있는 무게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운동강도의 결정은 목적에 따라 1RM 대비 %에 해당하는 무게로 선정하며 이때, 반복횟수, 세트, 빈도와 함께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초체력평가요소에 대해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통해 체력 수준을 평가하고, 기초체력평가 결과를 응용함으로써 운동처방에 필요한 지표들을 추정할 수 있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은, 기초체력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체력을 평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피측정자의 평가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체력평가요소는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평형능력, 심폐지구력에 대한 윗몸 일으키기, 악력, 제자리 멀리뛰기, 제자리 높이뛰기,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눈감고 외발서기 및 20m 왕복 달리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력수준평가 데이터는 백분위수를 2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산출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측정자에 대한 백분위수를 환산하여 해당 체력 등급을 부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는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록하고 기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체력 수준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평가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입력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고,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서버에서 상기 운동처방지표의 추정은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체력평가요소에 대해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통해 체력 수준을 평가하고, 기초체력평가 결과를 응용함으로써 운동처방에 필요한 지표들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요소 항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령대별 표준 신장 및 체중에 대한 자료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각 연령대별 기초체력평가에 대한 백분위수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i는 각 연령대별 기초체력평가에 대한 각 항목별 체력 등급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은, 먼저 기초체력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체력을 평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요소 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체력평가요소는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평형능력, 심폐지구력에 대한 운동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각 운동 유형에 따른 평가 항목으로는 윗몸 일으키기, 악력, 제자리 멀리뛰기, 제자리 높이뛰기,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눈감고 외발서기 및 20m 왕복 달리기를 포함하는 9가지 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강관련 체력요인(근력/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균형성)에 대한 평가요소 중 국민체력실태조사를 기반으로 선정된 9개 항목에 대한 체력을 평가하고 네트워크 기반 단말기에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력 및 근지구력에 대한 평가 요소는 윗몸 일으키기, 악력, 제자리 멀리뛰지, 제자리 높이뛰기 항목을 지정하고, 상기 유연성은 앉아 윗몸앞으로 굽히기, 신체 구성은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평형 능력은 눈감고 외발서기, 심폐지구력은 20m 왕복 달리기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령대별 표준 신장 및 체중에 대한 자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각 연령대의 성별 기초체력평가에 대한 백분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령대별로 신장 및 체중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연령대별 평균표준편차를 구하게 된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대부터 60대의 연령별 남자와 여자에 대한 상기 기초체력평가요소에 대한 백분위 데이터 값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도 3의 연령대별 표준 신장 및 체중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도 4a 내지 도 4e에 대한 각 연령대별의 기초체력평가를 위한 백분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피측정자에 대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백분위수 현황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백분위수를 환산하고 해당하는 체력등급을 하기 표 1를 기준으로 부여하게 된다.
Figure pat00001
도 5a 내지 도 5i는 각 연령대별 기초체력평가에 대한 각 항목별 체력 등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윗몸 일으키기에 대한 등급, 도 5b는 악력, 도 5c는 제자리 멀리뛰기, 도 5d는 제자리 높이뛰기, 도 5e는 20m 왕복 달리기, 도 5f는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도 5g는 체지방률, 도 5h는 복부지방률, 도 5i는 눈감고 외발서기이다. 각 항목별에 대한 체력 등급을 기준으로 피측정자에 대한 체력 등급을 평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측정자의 평가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3).
보다 구체적으로, 피측정자의 체력 등급과 평가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식에 적용하여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처방지표를 추정은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게 된다.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게 된다.
Figure pat00002
또한, 표 3과 같이,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게 된다.
Figure pat00003
그 다음으로,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4).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소 추정식 및 무산소 추정식에 의해 도출된 피측정자의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운동 프로그램 설계는 각 운동 항목별로 제공되는 기초운동요소를 기초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에 대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은,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록하고 기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체력 수준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평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입력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고,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피측정자에 대한 기초체력평가 데이터 값을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체력 평가를 수행한 후,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상기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게 되고,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유산소 운동의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기초체력평가요소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체력을 평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피측정자의 평가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체력평가요소는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평형능력, 심폐지구력에 대한 윗몸 일으키기, 악력, 제자리 멀리뛰기, 제자리 높이뛰기,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눈감고 외발서기 및 20m 왕복 달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력수준평가 데이터는 백분위수를 2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산출한 데이터이고, 상기 피측정자에 대한 백분위수를 환산하여 해당 체력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는 단계는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10. 피측정자의 기초체력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록하고 기 설치된 체력수준평가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측정자의 체력 평가를 비교하여 체력 수준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평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입력된 체력 수준에 대응하는 운동처방지표를 추정하고, 상기 운동처방지표 값을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운동처방지표의 추정은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의 추정식을 각각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소 운동은 최대심박수(HRmax) 및 최대 산소섭취량(VO2max)에 대한 추정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심박수(HRmax)는 남자는 205 - 0.723 * 연령 + 0.0624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193 - 0.594 * 연령 + 0.310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상기 최대 산소섭취량(VO2max)는 남자는 55.1 - 0.182 * 연령 - 0.203 * 체중 + 0.309 * 20m 왕복달리기, 여자는 6.08 - 0.166 * 신장 - 0.133 * 체중 + 0.428 * 20m 왕복달리기의 추정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 운동은 1RM(1 Repetition Maximum)의 7 종의 추정식을 적용하고, 7 종의 추정식은 체스트 프레스, 숄더 프레스, 렛 풀 다운, 암 컬,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에 대한 각각의 추정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시스템.

KR1020130069669A 2013-06-18 2013-06-18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69A KR101534811B1 (ko) 2013-06-18 2013-06-18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69A KR101534811B1 (ko) 2013-06-18 2013-06-18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843A true KR20140146843A (ko) 2014-12-29
KR101534811B1 KR101534811B1 (ko) 2015-07-08

Family

ID=5267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669A KR101534811B1 (ko) 2013-06-18 2013-06-18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18A (ko) * 2019-02-22 2020-09-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KR20220065510A (ko) * 2020-11-13 2022-05-2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페그보드를 이용한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 평가 방법
KR20230030688A (ko) * 2021-08-25 2023-03-07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운동 처방 알고리즘을 이용한 운동 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173B1 (ko) 2016-04-06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73553B1 (ko) * 2019-09-26 2020-11-03 주식회사 베니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능동형 맞춤 운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07B1 (ko) * 2009-08-27 2013-10-08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운동 처방 시스템 및 운동 처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18A (ko) * 2019-02-22 2020-09-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치매예방운동 지원 서비스 장치
KR20220065510A (ko) * 2020-11-13 2022-05-2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페그보드를 이용한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 평가 방법
KR20230030688A (ko) * 2021-08-25 2023-03-07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운동 처방 알고리즘을 이용한 운동 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811B1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anco et al. A systematic review to determine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field-based test batteries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fitness in adolescents–The ASSO Project
US11024412B2 (en) Method for preparing a customized exercise strategy
Seco et al. A long-term physical activity training program increases strength and flexibility, and improves balance in older adults
Cc et al.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young healthy males
KR101534811B1 (ko)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6309627A (ja) 健康運動処方システム
Mollaoglu et al. Association analyses of depression, anxiety, and physical fitness parameters in Turkish obese adults
Sengupta et al. Evaluation of health status of fishers: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fitness and anaerobic power
Chan et al. Cardiopulmonary demand of 16-kg kettlebell snatches in simulated Girevoy Sport
Nakagata et al. Estimating energy cost of body weight resistance exercise using a multistage exercise test
Avsiyevich et al.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age in the control system of training process of young men in powerlifting
KR101470593B1 (ko)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McAnulty et al. Tai Chi and Kung-Fu practice maintains physical performance but not vascular health in young versus old participants
KR10106959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González-Ramírez et al. Bilateral index, power, force, and velocity during bench press with different loads in male handball players
Longo et al. V˙ O2max assessment in athletes: A thorough method comparison study between Yo-Yo test and direct measurement
Miller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tness of Collegiate Dancers as compared to Collegiate Volleyball and Softball Players.
US202301655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 vo2max measurement
KR20170140858A (ko) 형태검사와 기초체력검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Tarabrina Psychophysiological assessment of law students’ health
RU2288689C2 (ru) Способ сбережения здоровья учащихся
Sengupta et al. Health-rel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itness in connection with nutritional, socio-economic status, occupational workload of tea garden workers
Nawarycz et al. Evaluation of health-related fitness using fuzzy inference elements
KRANICK THE EFFECT OF LIMB LENGTH OR TOTAL BODY HEIGHT ON MAXIMAL MUSCLE STRENGTH.
Avinash Effect of skipping on VO2Max among the females in rural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