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48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480A
KR20140146480A KR1020130069277A KR20130069277A KR20140146480A KR 20140146480 A KR20140146480 A KR 20140146480A KR 1020130069277 A KR1020130069277 A KR 1020130069277A KR 20130069277 A KR20130069277 A KR 20130069277A KR 20140146480 A KR20140146480 A KR 2014014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rame
substrate
fil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김영성
허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480A/ko
Priority to US14/293,907 priority patent/US20140368765A1/en
Priority to EP14171412.1A priority patent/EP2816398A1/en
Priority to CN201410269740.5A priority patent/CN104238180A/zh
Publication of KR2014014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필름(Supporting Film), 상기 지지필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필름(Supporting Film), 상기 지지필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Side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상기 광학층의 끝단과 상기 지지필름의 사이에는 빈 공간(Empty Space)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의 끝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Front Surface)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측면커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필름과 상기 측면커버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접근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을 갖는 지지필름(Supporting Film)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하고, 지지필름을 이용하여 광학층(Optical Layer), 광원(Light Source) 등을 지지함으로써,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52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3 내지 도 59는 브라켓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0 내지 도 7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1 내지 도 80은 지지필름을 프레임에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설면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가로방향(장변과 나란한 방향)을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세로 방향(단변과 나란한 방향)을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수직하는 방향을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3 방향(DR3)을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 하고,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수평방향이라는 것은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지지필름(Supporting Film, 400), 광학층(Optical Layer, 110), 프레임(Frame, 1600) 및 커버(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후면기판과 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층(110)의 후방에는 프레임(16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0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보드(Driving Board)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60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는 광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600)의 후방에는 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후면커버(130H)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측면커버(130V)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의 경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면 기판(101) 및 후면 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액정층을 밀봉하기 위한 실부(Seal Portion)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기판(101)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필터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 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기판(111)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기판(101)을 컬러 필터 기판이라 하고, 후면기판(111)을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은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액정 분자들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액정층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에 입사될 수 있다.
그러면, 컬러 필터에 의해 적어도 R, G, B 광이 구현됨으로써,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기판(101)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조 및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후면기판(111)에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배치되고, 전면기판(101)에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후면기판(111)을 컬러 필터 기판이라 하고, 전면기판(101)을 TFT 기판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A)를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 자세하게는 후면기판(111)의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B)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접착층(SFA)이 배치되어 지지필름(400)을 후면기판(111)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필름(4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Frame)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의 일부 영역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A)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에 부착되는 투명부분(First Part, 400TS)과 불투명부분(Second Part, 400BL)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지지필름(4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되는 투명부분(400TS)과 불투명부분(400BL)을 통칭하여 제 1 부분(First Part, 400A)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불투명부분(400BL)은 투명부분(400TS)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투명부분(400TS)의 광투과도는 불투명부분(400BL)의 광투과도보다 높을 수 있다. 불투명부분(400BL)은 투명부분(400TS)을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불투명부분(400BL)은 도시하지 않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이 표시영역(Display Area) 이외의 다른 영역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3의 (B)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의 투명부분(400TS)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영역(Active Area, AA)에 대응될 수 있고, 불투명부분(400BL)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영역(AA) 외곽의 더미영역(Dummy Area, DA)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의 불투명부분(400BL)은 광반사를 줄이기 위해 투명부분(400TS)에 비해 어두운 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필름(400)의 불투명부분(400BL)은 대략 검은색(Black)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불투명부분(400BL)은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B)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더미영역(DA)에 대응되는 부분에 염료가 포함되는 경우도 가능하고, 도 4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영역(AA)에 대응되는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 염료가 포함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필름(400)에서 제 1 부분(400A)이 아닌 다른 부분에도 염료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지지필름(400)에는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필름(400)의 적어도 제 1 부분(400A)에는 염료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편광필름(3400)과 후면편광필름(3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위한 전면 편광 필름(3400)이 배치되고, 후면기판(111)의 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면기판(1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을 통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후면 편광 필름(34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편광필름(3400)을 제 1 편광필름이라 하고, 후면편광필름(3410)을 제 2 편광필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은 후면편광필름(34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필름(400)과 후면편광필름(3410)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5의 (B)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과 후면편광필름(3410)의 사이에는 제 1 접착층(3410A)이 배치되고, 후면편광필름(3410)과 지지필름(400)의 사이에는 제 2 접착층(3410B)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후면편광필름(3410)의 제 1 면(First Surface, S1)이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제 1 접착층(3410A)에 의해 부착되고, 지지필름(400)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제 1 면(S1)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 S2)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접착층(3410A)과 제 2 접착층(3410B)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접착층(3410A)과 제 2 접착층(3410B)은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필름(400)이 광학층(110), 프레임(1600) 등을 지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제 2 접착층(3410B)은 제 1 접착층(3410A)보다 접착력이 더 강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접착층(3410B)의 단위 면적당 접착력은 제 1 접착층(3410A)의 단위 면적당 접착력보다 더 클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 2 접착층(3410B)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제 2 접착층(3410B)의 두께(W2)는 제 1 접착층(3410A)의 두께(W1)보다 더 두꺼운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은 제 1 부분(First Part, 400A) 및 수평방향(제 1 방향(DR1) 혹은 제 2 방향(DR2))으로 제 1 부분(400A)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부분(Second Part, 400B1, 4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의 사이에는 하프 커팅(Half Cutting)되는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A), (B)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의 일면을 소정 깊이 하프커팅하여 폴딩라인(Folding Line, FL)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폴딩 라인(FL)은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의 경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딩라인(FL)에 의해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이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6의 (C)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을 폴딩라인(FL)에 따라 접으면, 제 1 부분부분(400A)과 제 2 부분부분(400B1, 400B2)이 구분될 수 있다. 폴딩라인(FL)은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은 후면편광필름(3410)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부분(400A)의 폭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의 경우와 같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폭(L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편광필름(3410)의 적어도 일측 끝단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폭(L1)은 제 2 접착층(3410B)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2 접착층(3410B)의 폭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 1 접착층(3410A), 후면편광필름(3410), 제 2 접착층(3410B)을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법으로 후면기판(111)에 부착한 이후에, 지지필름(400)을 제 2 접착층(3410B)에 라미네이팅 공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편광필름(3410)의 제 1 면에 제 1 접착층(3410A)이 배치되고, 후면편광필름(3410)의 제 2 면에 제 2 접착층(3410B)이 배치되고, 제 1 접착층(3410A)에는 제 1 보호필름(3410P1)이 배치되고, 제 2 접착층(3410B)에는 제 2 보호필름(3410P2)이 배치되는 마더시트(Mother Sheet, MST)를 제작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롤러(500)를 이용하여 제 2 보호필름(3410P2)을 박피하고, 제 2 롤러(510)를 이용하여 제 1 보호필름(3410P1)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접착층(3410A)을 후면기판(11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9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3 롤러(520)를 이용하여 제 1 보호필름(3410P1)을 박피하고, 제 4 롤러(530)를 이용하여 지지필름(400)에 압력을 가하여 지지필름(400)을 제 2 접착층(3410B)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폭(L1)이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적어도 일측 끝단은 후면편광필름(3410)보다 소정 길이(L3, L4)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필름(400)의 내측 공간을 충분히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 영역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지지필름(400)에 얹히는 것으로서, 광학층(110)은 지지필름(400)에 밀착하고, 이에 따라 광학층(1100과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은 접촉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반사형 편광필름(Reflective Polarizer, 600), 수직 프리즘 시트(Vertical Prism Sheet, 610) 및 수평 프리즘 시트(Horizontal Prism Sheet,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평 프리즘 시트(620)와 반사형 편광필름(600)의 사이에 수직 프리즘 시트(610)가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수직 프리즘 시트(610)와 반사형 편광필름(600)의 사이에 수평 프리즘 시트(620)가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600)은 이중 휘도 향상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필름(600)은 광의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키거나 혹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정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은 반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배치된 편광필름에서 차단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수직/수평 프리즘 시트(610, 620)는 입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진행하도록 광의 진행경로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필름(600), 수직/수평 프리즘 시트(610, 620)에 대한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 이상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 12의 (B)의 경우와 같이, 반사형 편광필름(600)은 코어층(Core Layer, 601), 코어층(601)의 제 1 면에 위치하는 제 1 보호층(602), 코어층(601)의 제 2 면에 위치하는 제 2 보호층(6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상부에는 광원부(Light Source Part, 120)가 배치되고, 광원부(120)의 상부에는 프레임(Frame, 1600)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10) 및 광원부(120)를 통칭하여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0B)이라 할 수 있다.
광원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Light Source)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B)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고,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미도시)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20)는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B)의 광원부(120)는 복수의 기판(211~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B)이 총 4개의 기판(211~214)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B)이 포함하는 기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를 살펴보면, 광원부(120)는 제 1 기판(211), 제 2 기판(212), 제 3 기판(213) 및 제 4 기판(2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 기판(211~214)을 서브 기판(Sub-Substrate)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서브 기판(211~214)이 모여 하나의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4 기판(211~214)에 각각 복수의 광원(220)을 배치한 이후에, 제 1~4 기판(211~214)을 나란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마더 기판(21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더 기판(210)이 복수의 기판(211~214)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판(211~214) 중 임의의 기판(211~214)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불량 기판(211~214)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정상인 기판(211~214)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량에 따른 재료 소모가 적어짐으로써 제조단가가 저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더 기판(210)이 복수의 기판(211~214)으로 분할되는 경우에 각각의 기판(211~214)에 커넥터(미도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넥터는 각각의 기판(211~21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구동회로(Driving Circuit)와 광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동회로가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광원(22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더 기판(210)이 복수의 기판(211~214)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판(211~214)을 나란하게 배치한 이후에 복수의 기판(211~214)의 상부에 반사층(미도시)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의 광원(220)이 배치되는 기판(210)이 프레임(1600)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2, 3, 4 기판(211~214)이 프레임(1600)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에는 기판(210)에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A) 및 (B)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에는 제 1 기판(211)에 대응되는 제 1 함몰부(1600H1), 제 2 기판(212)에 대응되는 제 2 함몰부(1600H2), 제 3 기판(213)에 대응되는 제 3 함몰부(1600H3), 제 4 기판(214)에 대응되는 제 4 함몰부(1600H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기판(211)은 제 1 함몰부(1600H1)에 배치되고, 제 2 기판(212)은 제 2 함몰부(1600H2)에 배치되고, 제 3 기판(213)은 제 3 함몰부(1600H3)에 배치되고, 제 4 기판(214)은 제 4 함몰부(1600H4)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에서 제 1 함몰부(1600H1)와 제 2 함몰부(1600H2)의 사이에는 제 1 돌출부(1600P1)가 형성되고, 제 2 함몰부(1600H2)와 제 3 함몰부(1600H3)의 사이에는 제 2 돌출부(1600P2)가 형성되고, 제 3 함몰부(1600H3)와 제 4 함몰부(1600H4)의 사이에는 제 3 돌출부(1600P3)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600)에 형성된 돌출부(1600HP1, 1600HP2, 1600HP3)와 광학층(110)의 사이에는 에어층(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제 1, 2, 3 돌출부(1600HP1, 1600HP2, 1600HP3)에 의해 제 1 기판(211)과 광학층(110) 및 제 2 기판(212)과 광학층(110)의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 7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학층(110)과 광원부(120)의 사이에는 에어갭(700)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7의 경우와 같이, 광학층(110)은 확산판(Diffusion Plate, 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630)은 프리즘 시트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630)은 광원(220)에서 발산된 광을 확산시켜 특정 영역에 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산판(630)으로 진입한 광은 확산판(630)을 통과하면서 산란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면이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광학층(110)에서 반사형 편광필름(600), 수직/수평 프리즘 시트(610, 620), 확산판(630)의 배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여기서는 광학층(110)이 총 4개의 시트로 이루어진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광학층(110)을 구성하는 시트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10B)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10B)은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이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에는 광원(220)이 배치되는 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과 광학층(110)의 사이에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800)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220)은 도광판(8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지지필름(400)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6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600H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수단(S100)이 지지필름(400)과 프레임(1600)의 함몰부(1600H5)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600)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되고, 지지필름(400)의 제 3 부분(Third Part, 400C)에는 제 2 홀(H2)에 대응되는 제 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S100)은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관통하여 프레임(1600)과 지지필름(400)의 제 3 부분(400C)을 체결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의 제 3 부분(400C)은 제 2 부분(400B)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부분(400A), 프레임(1600)의 후면(Back Surface)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부분(400C) 및 광학층(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부분(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필름(400)이 프레임(160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1600), 광원부(120), 광학층(110)이 지지필름(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에 전달되는 외력은 연성을 갖는 지지필름(4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의 끝단과 지지필름(400)이 사이에는 빈 공간(Empty Space, EMT)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의 끝단과 지지필름(400)이 제 2 부분(400B)의 사이에는 빈 공간(Empty Space, EMT)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광학층(110)이 팽창하여 폭이 증가하더라도 광학층(110)과 지지필름(40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광학층(110)의 끝단은 빈 공간(EMT)과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내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광학층(110)의 폭을 충분히 넓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온도변화에 따른 광학층(110)과 지지필름(400)의 충돌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1의 경우와 같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은 광학층(110)의 폭(L3)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폭(L1)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보다 크고, 후면편광필름(3410)의 폭(L2)은 광학층(110)의 폭(L3)보다 클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는 블랙층(Black Layer, BLK)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층(BLK)은, 도 22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블랙층(BLK)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층(BLK)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표시영역과 더미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블랙층(BLK)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빈공간(EMT)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아울러, 블랙층(BLK)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다.
블랙층(BLK)은 제 1 끝단(First End, E1), 제 1 끝단(E1)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nd, E2)을 포함하고, 제 2 끝단(E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을 향하고, 제 1 끝단(E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층(BLK)의 적어도 제 1 끝단(E1)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광학층(110)과 중첩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의 끝단과 블랙층(BLK)의 제 1 끝단(E1) 사이의 간격을 제 1 간격(T3)이라 하고, 지지필름(400)과 광학층(110)의 끝단 사이의 간격을 제 2 간격(D1)이라 할 때, 제 2 간격(D1)은 제 1 간격(T3)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더미영역의 크기를 줄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영역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온도변화에 따른 광학층(110)과 지지필름(40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의 끝단과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 사이의 간격을 제 3 간격(T2)이라 하고,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끝단과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 사이의 간격을 제 4 간격(T1)이라 할 때, 제 1 간격(T3)은 제 3 간격(T2)보다 더 작고, 제 1 간격(T3)은 제 4 간격(T1)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프레임(1600)의 폭(L4)은 광학층(110)의 폭(L3)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광학층(110)과 지지필름(400)의 충돌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의 제 2 부분(400B)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블랙부분(Black Part, BLP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부분(BLP1)은 블랙테잎(Black Tape) 형태로 제 2 부분(400B)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제 1 장변 영역(First Long Side Area, LS1), 제 1 장변 영역(LS1)과 마주보는 제 2 장변 영역(Second Long Side Area, LS2), 제 1 장변 영역(LS1) 및 제 2 장변 영역(LS2)과 인접하는 제 1 단변 영역(First Short Side Area, SS1) 및 제 1 단변 영역(SS1)과 마주보는 제 2 단변 영역(Second Short Side Area,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0)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00)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은 제 1 단변 영역(SS1)에 위치하는 제 1 단변부분(400SP1), 제 2 단변 영역(SS2)에 위치하는 제 2 단변부분(400SP2) 및 제 1 장변 영역(LS1)에 위치하는 제 1 장변부분(400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변부분(400SP1)은 프레임(1600)의 제 1 단변영역(SS1)에서 프레임(1600)에 연결되고, 제 2 단변부분(400SP2)은 프레임(1600)의 제 2 단변영역(SS2)에서 프레임(1600)에 연결되고, 제 1 장변부분(400SP3)은 프레임(1600)의 제 1 장변영역(LS1)에서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부분(400SP1), 제 2 단변부분(400SP2) 및 제 1 장변부분(400SP3)은 각각 제 2 부분(400B) 및 제 4 부분(40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C1-C2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쪽 끝단 영역에서 지지필름(400)이 프레임(16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단변부분(400SP1)은 광학층(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1 부분(400B1) 및 프레임(16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1 부분(400C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단변부분(400SP2)은 광학층(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2 부분(400B2) 및 프레임(16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2 후면부분(400C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B1-B2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끝단 영역에서 지지필름(400)이 프레임(16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장변부분(400SP3)은 광학층(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3 부분(400B3) 및 프레임(16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3 부분(400C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를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프레임(1600)에는 제 1 프레임 홀(1600HS1)이 형성되고, 프레임 돌출부(1600PT)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에는 프레임(1600)의 제 1 프레임 홀(1600HS1)에 대응되는 제 1 필름 홀(400HS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에는 프레임 돌출부(1600PT)에 대응되는 제 1, 2 공통 홀(400HC1, 400HC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체결수단(S200)은 제 1 필름 홀(400HS1)과 제 1 프레임 홀(1600HS1)을 관통하여 지지필름(4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제 2 체결수단(S2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단변부분(400SP1)에 형성된 제 1 필름 홀(400HS1)과 프레임(1600)의 제 1 단변영역(SS1)에 형성된 제 1 프레임 홀(1600HS1)을 관통하여 지지필름(4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제 2 체결수단(S2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장변부분(400SP3)에 형성된 제 1 필름 홀(400HS1)과 프레임(1600)의 제 1 장변영역(LS1)에 형성된 제 1 프레임 홀(1600HS1)을 관통하여 지지필름(4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프레임 돌출부(1600PT)에는 제 2 프레임 홀(1600HS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00)의 제 1 장변영역(LS1)과 제 1 장변영역(SS1)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프레임 돌출부(1600PT)에 지지필름(400)의 제 1 단변부분(400SP1)에 형성된 제 2 공통 홀(400HC2)과 지지필름(400)의 제 1 장변부분(400SP3)에 형성된 제 1 공통 홀(400HC1)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의 제 1 단변영역(SS1)과 제 1 장변영역(LS1) 사이의 코너(Corner)부분에서 지지필름(400)의 제 1 단변부분(400SP1)과 제 1 장변부분(400SP3)은 서로 겹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프레임(1600)의 제 2 단변영역(SS2)과 제 1 장변영역(LS1) 사이의 코너부분에서 지지필름(400)의 제 2 단변부분(400SP2)과 제 1 장변부분(400SP3)은 서로 겹칠 수 있다.
도 29에서 제 2 체결수단(S200)은 앞선 도 19의 제 1 체결수단(S100)에 대응디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필름 홀(400HS1)은 제 1 홀(H1)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프레임 홀(1600HS1)은 제 2 홀(H2)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을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을 구분하기 위해 하프커팅 방법을 적용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 2 부분(400B)과 제 3 부분(400C)의 사이에도 하프커팅을 실시하여 폴딩라인(FL)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1 내지 도 52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을 살펴보면, 후면기판(111)에 후면편광필름(3410)이 부착되고, 후면편광필름(3410)에 지지필름(400)이 부착되는 경우에,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가장자리에는 수지층(Resin Layer, 90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지층(900)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에 접하고, 지지필름(4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900)은 탄력성과 신축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수지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수지층(900)은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900)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블랙층(BLK)과 중첩할 수 있다.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이 후면편광필름(3410)보다 더 연장되는 구조에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후면기판(11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900)의 형성방법에 대해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2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후면편광필름(3410)을 부착하고, 후면편광필름(3410)에 지지필름(400)을 부착한 상태에서,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영역에서 지지필름(4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 공간에 디스펜싱 장치(1000)를 이용하여 수지재질을 디스펜싱(Dispensing)할 수 있다.
이후, 도 32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펜싱된 수지재질에 광 발산 장치(1010)를 이용하여 소정의 광, 예컨대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면, 수지재질이 경화되어 수지층(9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층(900)은 감광성 재질, 예를 들면 광 경화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수지재질이 충분히 빠른 시간 내에 경화되는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소지층(900)은 감광성 재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2에서와 같이, 지지필름(400)을 후면편광필름(341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수지층(90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33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기판(111)에 후면편광필름(341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에 수지재질(901)을 디스펜싱할 수 있다.
이후, 도 33의 (B)의 경우와 같이, 수지재질(901)이 디스펜싱된 상태에서 지지필름(400)을 후면편광필름(3410)에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33의 (C)의 경우와 같이, 수지재질(901)에 자외선 등의 소정의 광을 조사하여 수지층(9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수지층(900)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보다 소정 길이(S1) 만큼 더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층(900)의 일측 끝단은 후면기판(111)의 끝단과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끝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5를 살펴보면,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에 접하는 부분 및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 사이의 하프 커팅되는 부분, 즉 폴딩라인(FL)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부분(400A)과 제 2 부분(400B) 사이의 하프커팅된 부분이 수지층(900)에 의해 덮이면 지지필름(40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도 36의 경우와 같이,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에 접하는 부분 및 제 2 부분(400B)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지층(900)의 형성공정에서 디스펜싱되는 수지재질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7의 경우와 같이, 수지층(900)은 후면기판(111)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의 (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A3-A4라인(장변(LS1, L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38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에 제 1 수지층(900S1)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에 제 2 수지층(900S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9의 (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A5-A6라인(단변(SS1, S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39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제 3 수지층(900L1)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는 수지층(90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 수지층(900)이 형성되지 않는 이유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는 지지필름(400)의 제 2 부분(400B)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0을 살펴보면, 제 1 수지층(900S1), 제 2 수지층(900S2), 제 3 수지층(900L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과 제 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서 제 3 수지층(900L1)과 제 1 수지층(900S1)은 이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단변(SS2)과 제 1 장변(LS1)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서 제 3 수지층(900L1)과 제 2 수지층(900S2)은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도 41의 경우와 같이, 제 3 수지층(900L1)은 제 1 수지층(900S1) 및 제 2 수지층(900S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2를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의 비표시 영역(Dummy Area)에 패드전극(Pad Electrode, 14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기판(101)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패드전극(400)을 전극 단자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패드 전극(400)은 후면기판(111)의 적어도 일측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패드 전극(400)이 전면기판(101)에 형성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기판(101)의 제 2 장변(LS2) 영역에 패드전극(4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패드 전극(400)은 소정의 트랜지스터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2 내지 도 4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보드(1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보드(1500)에는 커넥터(Connector, 1510)가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전극을 포함하는 연결기판(1410)의 일단은 커넥터(1510)에 연결되고, 연결기판(1410)의 타단은 패드 전극(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보드(1500)와 패드 전극(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보드(1500)에서 공급하는 소정의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3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01은 액정층이다.
여기서, 연결기판(1410)은 TCP(Tape Carrier Packag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을 갖는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기판(1410)을 연성기판(Flexible Substrate)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기판(1410)을 패드 전극(400)에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전면기판(101)은 후면기판(111)보다 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서는 수지층(600)이 지지필름(4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는 수지층(600)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도 45의 경우와 같이, 수지층(9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선, 도 44 및 도 45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은 후면기판(111)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도 46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전면기판(101)이 후면기판(111)보다 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수지층(900)의 끝단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끝단과 후면기판(111)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7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기판(111)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보다 더 연장되는 경우에도 수지층(900)이 전면기판(101)을 덮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편광필름(3410)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보다 더 연장되는 경우에는 수지층(900)은 후면편광필름(3410)의 후면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49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편광필름(3410)이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보다 더 연장되는 경우에는 수지층(900)은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후면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0의 (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A7-A8라인(단변(SS1, S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50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에 제 3 수지층(900L1)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는 제 4 수지층(900L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 4 수지층(900L2)은 앞선 도 44 내지 도 49에서 설명한 수지층(900)의 내용에 대응될 수 있다.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4 수지층(900L2)의 폭(R2)은 제 3 수지층(900L1)의 폭(R1)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제 4 수지층(900L2)의 폭(R2)은 제 1 수지층(900S1) 및 제 2 수지층(900S2)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51을 살펴보면, 제 4 수지층(900L2)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는 패드전극에 연결되는 연결기판(141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면기판(101)의 패드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기판(1410)은 제 4 수지층(900L2)에 의해 덮이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제 4 수지층(900L2)은 불투명한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4 수지층(900L2)이 패드전극 및 연결기판(1410)을 가릴 수 있어서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에 제 4 수지층(900L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수지층(9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에서는 수지층(900)이 연결기판(1410)을 덮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부분에서는 수지층(9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연결기판(141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도 지지필름(400)이 적어도 제 2 부분(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2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은 제 1 단변영역(SS1)에 위치하는 제 1 단변부분(400SP1), 제 2 단변영역(SS2)에 위치하는 제 2 단변부분(400SP2), 제 1 장변영역(LS1)에 위치하는 제 1 장변부분(400SP3) 및 제 2 장변영역(LS2)에 위치하는 제 2 장변부분(400SP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장변부분(400SP4)도 제 2 부분(400B) 및 제 3 부분(400C)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3 내지 도 59는 브라켓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전면기판(101)이 후면기판(111)보다 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전면기판(101)의 노출된 부분에 브라켓(Bracket, 110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면기판(101)과 브라켓(1100)의 사이에는 브라켓(1100)을 전면기판(101)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100)에는 접착층(1110)이 형성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함몰부(1101)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기판(111)의 측면과 브라켓(1100)은 소정거리(W6) 이격될 수 있다.
도 54를 살펴보면, 지지필름(400)은 브라켓(1100)의 상부에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은 브라켓(1100)과 전면기판(101) 사이의 공간을 가릴 수 있다.
도 55를 살펴보면, 브라켓(1100)은 지지필름(4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6을 살펴보면, 브라켓(1100)과 후면기판(111)의 사이에 완충부(1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130)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고, 브라켓(1100)과 후면기판(111)이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7을 살펴보면, 전면기판(101)에는 패드전극(미도시)이 형성되고, 패드전극에는 연결기판(14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100)은 연결기판(141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기판(1410)은 패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도 브라켓(1100)과 전면기판(10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00)은 연결기판(1410)이 지나는 홈(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100)은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브라켓(1100)이 전면기판(10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58의 경우와 같이, 연결기판(1410)이 브라켓(1100)의 홈(1102)을 지나 후면기판(111) 쪽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9를 살펴보면, 브라켓(1100)에는 연결기판(1410)이 지나는 홈(110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1102)은 접착층(1110)이 적용되는 함몰부(1101)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함몰부(1101) 및 접착층(1110)은 홈(1102)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접착층(1110)이 적용되는 함몰부(1101)를 제 1 홈이라 하고, 연결기판(1410)이 지나는 홈(1102)을 제 2 홈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0 내지 도 7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층(110), 프레임(1600) 및 지지필름(400)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60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측면커버(Side Cover, 130V)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H)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커버(130H)와 측면커버(130V)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 방식으로 측면커버(130V)와 후면커버(130H)를 포함하는 커버(1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30)의 후면커버(130H)는 프레임(16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커버(130)의 측면커버(130V)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 및 광학층(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내측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 등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Surface)의 가장자리(Edge)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는 전면기판(101)에 부착되는 전면편광필름(34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는, 전면기판(101)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경우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대부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 영역이 보다 커져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커버(130)의 측면커버(130V)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130V)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지필름(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측면커버(130V)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을 직교하여 관통하는 직선을 제 1 직선이라고 가정할 때, 측면커버(130V)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방으로 갈수록 제 1 직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편광필름(3410)과 인접한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1)은 프레임(1600)에 인접한 영역에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전면기판(101)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3)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후면기판(111)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4)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광학층(110)이 팽창하거나 혹은 지지필름(400)이 팽창하더라도 광학층(110) 및/또는 지지필름(400)이 측면커버(130V)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은 지지필름(400)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지지필름(400)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1, X2)은 전면기판(101)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3) 및 후면기판(111)과 측면커버(130V) 사이의 간격(X4)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61을 살펴보면, 측면커버(130V)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다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에 접근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커버(130V)는 제 1 측면부분(130Va)과 제 2 측면부분(130V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면부분(130Vb)은 제 1 측면부분(130Va)과 후면커버(130H)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측면부분(130Va)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제 2 측면부분(130Vb)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측면부분(130Va) 사이의 최단 간격(X6)은 제 1 측면부분(130Va)과 제 2 측면부분(130Vb)의 연결부분과 지지필름(400) 사이의 간격(X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 측면부분(130Va)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중첩하고, 제 2 측면부분(130Vb)은 프레임(1600)과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측면부분(130Va)과 제 2 측면부분(130Vb)의 연결부분은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광학층(110), 광원부(120) 및 프레임(1600)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측면부분(130Va) 사이의 최단 간격(X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제 1 측면부분(130Va)과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측면부분(130Va) 사이의 최단 간격(X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끝단과 지지필름(400)의 제 1 부분(400A)의 끝단 사이의 간격(T4)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제 1 측면부분(130Va) 사이의 최단 간격(X6)은 지지필름(400)과 광학층(110)의 끝단 사이의 간격(D1)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62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하는 직선(PL)을 기준으로 제 1 측면부분(130Va)은 제 1 각도(θ1)만큼 기울어지고, 제 2 측면부분(130Vb)은 제 2 각도(θ2)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관찰자의 관점에서 베젤 영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각도(θ1)는 충분히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방에서는 영상을 시청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각도(θ2)는 상대적으로 커도 관계없다. 이에 따라, 제 1 각도(θ1)는 제 2 각도(θ2)보다 더 작은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각도(θ1)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조공정 시에 지지필름(400)이 측면커버(130V)에 충돌하거나 혹은 온도변화에 따라 지지필름(400)이 측면커버(130V)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각도(θ1)는 5ㅀ(도) 내지 8ㅀ(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3을 살펴보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측면커버(130V)의 끝단, 즉 제 1 측면부분(130Va)의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보다 소정 길이(Y1)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측 전면이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도 64를 살펴보면, 측면커버(130V)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130BLK)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30BLK)는 탄력성과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130BLK)는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30BLK)는 측면커버(130V)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충돌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130BLK)는 빛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완충부(130BLK)는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완충부(130BLK)는 측면커버(130V)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부(130BLK)는 테잎 형태로 제작되어 측면커버(130V)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5의 (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B10-B11라인(장변(LS1, L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65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영역 및 제 2 단변(SS2) 영역에 측면커버(130V)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커버(130) 중 후면커버(130H)는 프레임(1600)에 제 3 체결수단(S3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6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도 66의 (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B12-B13라인(단변(SS1, S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66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영역에는 측면커버(130V)가 배치되고, 제 2 장변(LS2) 영역에는 하부커버(Bottom Cover, 1200)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부커버(1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백라이트 유닛(10B) 및 프레임(160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커버(1200)는 후면커버(130H) 및 프레임(16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6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6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2 장변(LS2) 영역에서는 하부커버(1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가려질 수 있다.
한편, 커버(130)에서 측면커버(130V)와 후면커버(130H)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8의 경우와 같이, 측면커버(130V)와 후면커버(130H)는 제 4 체결수단(S4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측면커버(130V)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9의 (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B14-B15라인(장변(LS1, L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69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SS1) 영역 및 제 2 단변(SS2) 영역에 측면커버(130V)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 5 체결수단(S500)에 의해 후면커버(130H), 측면커버(130V) 및 프레임(1600)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도 70의 (A)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B16-B17라인(단변(SS1, SS2))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70의 (B)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장변(LS1) 영역에는 측면커버(130V)가 배치되고, 제 2 장변(LS2) 영역에는 하부커버(Bottom Cover, 1200)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1 내지 도 80은 지지필름을 프레임에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설면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프레임(1600)에 연결되는 압박 플레이트(Pressure Plate, 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S100)은 지지필름(400)과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제 6 체결수단(S600)은 압박 플레이트(2000)와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박 플레이트(2000)에는 제 1 압박 홀(1100H1)이 형성되고, 프레임(1600)에도 제 10 프레임 홀(1600H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6 체결수단(S600)은 제 1 압박 홀(1100H1)과 제 10 프레임 홀(1600H10)을 관통하여 압박 플레이트(2000)와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압박 플레이트(2000)에는 제 2 압박 홀(1100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압박 홀(1100H2)은 제 1 체결수단(S10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체결수단(S100)은 제 2 압박 홀(1100H2) 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체결수단(S100)의 헤드부분(Head Portion)은 제 2 압박 홀(1100H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압박 플레이트(2000)는, 도 72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에 압력을 가하여 지지필름(400)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은 압박 플레이트(200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2를 살펴보면, 제 2 압박 홀(1100H2)을 통해 제 1 체결수단(S100)이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압박 홀(1100H2)의 직경은 제 1 체결수단(S100)의 헤드부분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압박 플레이트(20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혹은 프레임(1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100P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압박 플레이트(2000)의 함몰부(1100P3)에 대응하여 프레임(16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600HW2)가 마련될 수 있다.
압박 플레이트(2000)의 함몰부(1100P3)와 프레임(1600)의 함몰부(1600HW2)의 사이에 지지필름(400)을 위치시키면 지지필름(400)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600), 지지필름(400) 및 압박 플레이트(2000)는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3의 경우와 같이, 압박 플레이트(2000)에는 제 1 압박 홀(1100H1)이 형성되고, 지지필름(400)에는 제 1 압박 홀(1100H1)에 대응하는 제 12 필름 홀(400H12)이 형성되고, 프레임(1600)에는 제 10 프레임 홀(1600H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6 체결수단(S600)은 제 1 압박 홀(1100H1), 제 12 필름 홀(400H12) 및 제 10 프레임 홀(1600H10)을 관통하여 압박 플레이트(1100), 지지필름(400) 및 프레임(1600)을 체결할 수 있다.
도 74의 (A)를 살펴보면, 압박 플레이트(2000)에 완충부(1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압박 플레이트(2000)가 프레임(16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4의 (B)의 경우와 같이 완충부(2100)가 지지필름(400)을 고르게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2100)는 탄성 및 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압박 플레이트(2000)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5의 경우와 같이, 압박 플레이트(2000)는 지지필름(400)의 제 1 후면부분(400C1)에 대응하는 제 1 압박 플레이트(2000A), 제 2 후면부분(400C2)에 대응하는 제 2 압박 플레이트(2000B) 및 제 3 후면부분(400C3)에 대응하는 제 3 압박 플레이트(20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압박 플레이트(2000A)는 지지필름(400)의 제 1 후면부분(400C1)을 압박하고, 제 2 압박 플레이트(2000B)는 제 2 후면부분(400C2)을 압박하고, 제 3 압박 플레이트(2000C)는 제 3 후면부분(400C3)을 압박할 수 있다.
도 7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롤링 플레이트(Rolling Plate, 2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필름(400)은 롤링 플레이트(2200)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롤링 플레이트(2200)는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롤링 플레이트(2200)는 지지필름(400)에 의해 싸여진 상태에서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롤링 플레이트(2200)가 지지필름(400)에 의해 싸여짐에 따라, 도 77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은 롤링 플레이트(2200)의 제 1 면(First Surface, FS)에 위치하는 제 1 연결부분(1500) 및 롤링 플레이트(2200)의 제 1 면(FS)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 SS)에 위치하는 제 2 연결부분(15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롤링 플레이트(2200)의 두께(X1)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 롤링 플레이트(2200)에는 홈(HW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필름(400)은 롤링 플레이트(2200)의 홈(HW1)에 대응하는 제 10 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7 체결수단(S700)이 지지필름(400)의 제 10 홀(H10)과 롤링 플레이트(2200)의 홈(HW1)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필름(400)과 롤링 플레이트(2200)가 체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7 체결수단(S700)은 롤링 플레이트(2200)의 제 2 면(SS)에서 지지필름(400)의 제 2 연결부분(1510)과 롤링 플레이트(2200)를 체결할 수 있다.
또는, 도 78의 경우와 같이, 롤링 플레이트(2200)에는 제 12 홀(H12)이 형성되고, 지지필름(400)의 제 1 연결부분(1500)에는 제 11 홀(H11)이 형성되고, 지지필름(400)의 제 2 연결부분(1510)에는 제 10 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7 체결수단(S700)은 제 10 홀(H10), 제 12 홀(H12) 및 제 11 홀(H11)을 관통하여, 도 79의 경우와 같이, 지지필름(400)의 제 1 연결부분(1500), 롤링 플레이트(2200) 및 제 2 연결부분(151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7 체결수단(S700)의 헤드부분은 지지필름(400)의 제 2 연결부분(151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80의 경우와 같이, 제 7 체결수단(S700)의 헤드부분은 롤링 플레이트(220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600), 지지필름(400) 및 롤링 플레이트(2200)를 함께 체결하는 제 8 체결수단(S8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 방송신호 수신기(Broadcasting Signal Receiver)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폰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80Q)는 앞선 도 1 내지 도 80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부라고 칭할 수 있다.
도 8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0),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무선 통신부에 대응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Fram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필름(Supporting Film);
    상기 지지필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Optical Layer);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Side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는 후방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측면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상기 광학층의 끝단과 상기 지지필름의 사이에는 빈 공간(Empty Space)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끝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Front Surface)보다 더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측면커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필름과 상기 측면커버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접근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측면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69277A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6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77A KR20140146480A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US14/293,907 US20140368765A1 (en) 2013-06-17 2014-06-02 Display device
EP14171412.1A EP2816398A1 (en) 2013-06-17 2014-06-05 Display device
CN201410269740.5A CN104238180A (zh) 2013-06-17 2014-06-17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77A KR20140146480A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80A true KR20140146480A (ko) 2014-12-26

Family

ID=5267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77A KR20140146480A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4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007134B2 (en) Display device
EP2520968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chamfered edges
EP2681618B1 (en) Display device
EP2816398A1 (en) Display device
US951677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lm part which covers a display module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EP2570844A2 (en) Display apparatus
WO2019007113A1 (zh)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以及一种透明光学胶层结构
KR1022936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28693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736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6863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64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4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35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04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5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64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64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9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32918A1 (zh) 液晶显示模组、显示装置及制作方法
KR1017021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