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527A -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527A
KR20140145527A KR20130161875A KR20130161875A KR20140145527A KR 20140145527 A KR20140145527 A KR 20140145527A KR 20130161875 A KR20130161875 A KR 20130161875A KR 20130161875 A KR20130161875 A KR 20130161875A KR 20140145527 A KR20140145527 A KR 20140145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resource
resource configuration
signal
addition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999B1 (ko
Inventor
홍성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480058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84491B/zh
Priority to US15/032,651 priority patent/US10362615B2/en
Publication of KR2014014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처리에 실패했을 경우 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figuring a dual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처리에 실패했을 경우 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을 위해서 소형 셀을 활용하여 단말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즉, 적어도 둘 이상의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에 무선자원을 제공하여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해서 다른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하고 통신을 개시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또한, 단말이 다른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무선자원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는 절차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처리 방법 및 단말의 빠른 통신 복구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가 요구된다.
전술한 요구에 따라서, 제 1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가 요구된다.
또한,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을 통한 통신이 가능함에도 불필요한 연결 해제 동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연결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제어부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송신부 및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경우에 기존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하더라도 기존의 무선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을 시도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되지 않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되지 않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단말)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단말(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모바일 트래픽 폭증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저전력 노드를 사용하는 스몰셀이 고려되고 있다. 저전력 노드는 일반적인 매크로 노드에 비해 낮은 송신(Tx) 전력을 사용하는 노드를 나타낸다.
3GPP Release 11 이전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 기술에서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내에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안테나인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를 사용하여 스몰셀을 구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CA 기술 적용을 위해 매크로 셀과 RRH 셀은 하나의 기지국의 제어 하에 스케줄링 되도록 구축되며, 이를 위해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는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 구축이 요구되었다.
이상적인 백홀이란, 광선로(optical fiber), LOS 마이크로웨이브(Line Of Sight microwave)를 사용하는 전용 점대점 연결과 같이 매우 높은 쓰루풋(throughput)과 매우 적은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xDSL(Digital Subscriber Line), Non LOS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쓰루풋(throughput)과 큰 지연을 나타내는 백홀을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이라 한다.
복수의 서빙 셀들은 위에서 설명한 단일 기지국기반의 CA 기술을 통해서 병합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에 대해 복수의 서빙 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매크로 셀 노드와 RRH 간에 이상적인 백홀이 구축되는 경우 매크로 셀과 RRH셀이 함께 서빙 셀들로 구성되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기술이 구성될 때, 단말은 네트워크와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만을 가질 수 있다.
RRC 연결(connection) 설정(establishment)/재설정(re-establishment)/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 셀이 Non-Access Stratum(이하, 'NAS'라 함) 이동성(mobility) 정보(예를 들어, TAI: Tracking Area Identity)를 제공하며, RRC connection 재설정/핸드오버에서 하나의 서빙셀이 시큐리티 입력(security input)을 제공한다. 이러한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 한다. PCell은 단지 핸드오버 프로시져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단말 능력들(capabilities)에 따라 SCells(Secondary Cells)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 기술에서 SCell은 물리계층 상의 추가적인 무선 자원으로서만 서비스되며, PCell은 SCell에서 무선 링크 문제를 검출하기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와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SCell에 무선 링크 문제가 있다면 PCell은 SCell을 디액티베이트/제거할 수 있었기 때문에, SCell에 RLM(Radio Link Monitoring) 단말 프로시져는 적용되지 않았다.
전술한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 물리계층의 복수 캐리어 속성은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에만 영향을 주었다. MAC 계층은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서빙셀 마다 하나의 독립적인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개체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HARQ 개체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한다.
전술한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에서 SCell들의 추가(addition)와 제거(removal)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의해 수행된다. 새로운 SCell을 추가할 때, SCell의 모든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보내기 위해 데디케이티드(dedicated) RRC 시그널링이 사용된다. 즉, 연결(connected) 모드에서 단말은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를 직접 획득할 필요가 없다.
단말은 PCell로부터 수신된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SCell 추가 수정 리스트(sCellToAddModList)를 포함하면 SCell의 추가 또는 수정을 수행한다. 즉, 현재 단말 구성(configuration)의 파트가 아닌 SCell 추가 수정 리스트(sCellToAddModList)내에 포함된 각각의 SCell 인덱스(sCellIndex)에 대해 셀 식별자(cell Identification)에 상응하는 SCell을 추가한다.
그리고 하위 계층에 SCell을 디액티베이트 상태로 고려되도록 구성한다. 현재 단말 구성(configuration)의 파트인 SCell 추가 수정 리스트(sCellToAddModList) 내에 포함된 각각의 SCell 인덱스(sCellIndex)에 대해 SCell 구성을 수정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가/수정된 SCell의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디액티베이트된 SCell이 액티베이트(activate) 되어야 한다. 즉, SCell 추가(addition) 단계와 분리된 액티베이션 단계를 통해 SCell의 캐리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SCell 추가를 구성하는 동안, SCell 무선 링크의 실패로 인해 SCell 추가 실패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종래의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 기술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무선자원 구성은 PCell에서 SCell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통해 수행되고 별도의 액티베이션 단계를 통해 구성된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SCell 무선자원 구성 과정에서 SCell 무선 링크 실패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다만,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본 발명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구성에서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단말이 추가 구성할 경우 추가 구성되는 셀의 무선링크 실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 기술과는 달리 이중 연결 기술은 RRC 연결(connected)에서 비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들(일 예로,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일 예로, 이중 연결은 단말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 각각에 연관된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로 단말의 고속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 무선자원을 추가/수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선링크 실패 문제 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에서의 각 단어들의 의미는 CA에서의 의미와 일부 다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과 RRC 연결을 형성하고, 핸드오버의 기준이 되는 PCell을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S1-MME를 종단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서 모빌리티 앵커(mobility anchor)역할을 하는 기지국을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마스터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스몰 셀 간의 이중 연결 상황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한편, 이중 연결 구성에서 마스터 기지국과 구별되어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기재한다.
제 1 기지국(마스터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세컨더리 기지국)은 각각 단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서 무선자원을 제공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기재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스몰 셀이라 기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몰 셀 클러스터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도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매크로 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통칭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또한, 스몰 셀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 각각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전체 셀을 통칭하는 의미로 기재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몰 셀 클러스터와 같이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기지국의 셀은 다른 스몰 셀 또는 또 다른 스몰 셀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전술한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 및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 중 전술한 PCell 기능을 하는 특정 셀을 제 1 기지국 PCell로 기재할 수 있으며,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 중 특정 셀을 제 2 기지국 PCell로 기재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 PCell은 전술한 PCell의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셀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CA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기지국들이 비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경우, 서로 다른 네트워크 포인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없었다. 특히, 기존 단일 기지국 기반의 CA 기술에서는 SCell 구성 과정에서 SCell 무선 링크 실패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 구성에서 비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세컨더리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세컨더리 기지국 무선 링크 상에 실패 발생이나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프로시져를 제공한다. 특히,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세컨더리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 실패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 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이중 연결 네트워크 구성의 각 전개 시나리오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110)이 제공하는 매크로 셀(102)과 제 2 기지국들(132, 134, 136)이 제공하는 스몰셀들(예를 들어, 스몰셀 클러스트, 101)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F1을 가질 수 있다.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110)과 각각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132, 134, 136)은 비 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스몰셀들은 중첩된(overlaid) 매크로 셀(102)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다. 실외(outdoor) 스몰셀 환경과 스몰셀 클러스터(101)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은 스몰셀 클러스터(101) 내에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여 복수의 서빙셀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기지국(110) 및 제 2 기지국(132, 134, 136)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202)과 스몰 셀들(201)은 서로 다른(different)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F1 및 F2를 가질 수 있다.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제 1 기지국(210)과 각각의 스몰 셀을 제공하는 제 2 기지국(232, 234, 236)은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스몰 셀들은 중첩된(overlaid) 매크로 셀(202) 네트워크 내에 구축된다. 실외(outdoor) 스몰 셀 환경과 스몰 셀 클러스터(201)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은 스몰 셀 클러스터(201) 내에서 매크로 셀 및 스몰 셀과 이중 연결을 통하여 복수의 서빙 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빙 셀의 주파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및 F2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몰 셀들이 스몰 셀 클러스터(301)를 형성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310, 312, 314) 간에는 비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을 통해 연결된다. 실내(Indoor) 스몰 셀 환경과 스몰 셀 클러스터(301)가 고려된다.
도 3의 경우, 스몰 셀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이 제 1 기지국이 될 수 있으며, 제 1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여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의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제 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사용자 플래인(User plane)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시나리오에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Data Radio Bearers)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한 단말은 비이상적인 백홀로 연결된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도 1 및 도 2의 시나리오에서 제 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제 1 기지국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또는 도 3의 시나리오에서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 협력을 통해, 제 1 기지국만으로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거나, 제 2 기지국만으로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 플래인(control plane)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하나의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며, 제 1 기지국만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제 2 기지국만을 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RBs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추가하여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402)은 단말(401)의 측정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410). 단말(401)은 제 1 기지국(402)으로부터 수신한 측정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401)은 측정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의 채널 품질,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의 채널 품질 등을 측정한다.
단말(401)은 측정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제 1 기지국(402)으로 전송한다(S420). 측정 보고는 측정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시점에 전송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 1 기지국(402)은 단말(401)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여 단말(401)의 오프로드(offload) 여부를 결정한다(S430). 예를 들어, 단말(401)의 데이터 요구 및 측정 보고에 포함된 각 채널 품질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단말의 오프로딩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기지국(402)이 단말(401)의 데이터 처리 중 일부의 오프로딩을 결정하면, 제 2 기지국(403)으로 오프로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40). 제 2 기지국(403)은 단말(401)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여 단말의 데이터 처리 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으로 제 1 기지국(402)이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403)은 제 1 기지국(402)으로부터 오프로드 요청을 수신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450).
제 2 기지국(403)이 제 1 기지국(402)의 오프로딩 요청 승인을 결정하면, 오프로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 1 기지국(402)으로 전송한다(S460).
제 1 기지국(402)은 제 2 기지국(403)의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401)로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470).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401)은 제 1 기지국(402)으로부터 수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고 제 2 기지국 추가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480). 단말(401)이 제 1 기지국(402)으로 전송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단말이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선링크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 처리 방법 및 이전 무선자원 구성으로 돌아가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단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번호를 붙여서 이해의 편의를 돕도록 한다. 단, 각 단계의 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하나의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고,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하는 절차 및 방법.
1) 제 1 기지국은 단말 측정 절차(UE measurement procedure)를 구성한다.
2) 단말은 룰 셋에 의해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를 보내도록 트리거된다.
3) 제 1 기지국은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정보에 기반해 단말의 오프로딩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을 통한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제 1 기지국을 통한 사용자 플래인 데이터를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또는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을 통한 특정 DRB(s)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제 1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특정 DRB(s)를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4) 제 1 기지국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에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예로, AS-configuration, E-RAB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제 1 기지국은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 1 기지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를 보낼 때, 제 1 기지국은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를 시작한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를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 절차를 처리하는 최대 시간을 명시(specify) 및/또는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나타낸다.
제 1 기지국은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응답(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 2 기지국으로 진행중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취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5) 제 2 기지국에 의해 오프로드에 대한 승인이 제어(Admission Control)될 수 있다. 또는, 제 1 기지국에서 E-RAB QoS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오프로딩을 결정한 E-RAB(s)에 대해서 제 2 기지국은 승인 여부 결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6) 제 2 기지국은 L1/L2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준비한다. 일 예로, 수락된 E-RAB(s) 또는 오프로딩 요청된 E-RAB(s)에 대한 L1/L2 개체를 설정하거나 이를 준비한다.
제 2 기지국은 추가 무선 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응답(ACK)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는 일 예로 오프로드 요청 응답 메시지이거나, 오프로드 요청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추가 무선 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의 RRC 계층에 의해 생성하여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는 필요한 경우 데디케이티드 RACH 프리앰블(dedicated RACH preamble)과 필요한 다른 파라미터(일 예로. SIBs 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 요청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제 2 기지국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는 제 2 기지국 내에서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절차를 처리하는 최대 시간을 명시(specify)/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나타낸다.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는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정지될 수 있다.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 자원 구성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제 2 기지국에서 추가 무선 자원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하면, 제 2 기지국은 진행중인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신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를 보낸다.
만약,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 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실패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establish request 또는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실패표시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에 대한 실패 메시지(또는 취소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전술한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아래에 설명하는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제 1 기지국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진행 중인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취소 메시지)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제 2 기지국이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요청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 제 2 기지국은 전술한 RRC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의 RRC 계층에 의해 생성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2 기지국이 전술한 RRC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의 RRC 계층에 의해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 제 2 기지국은 단말을 위한 (추가지원) RRC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이 전술한 RRC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의 RRC 계층에 의해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 제 2 기지국은 단말을 위한 RRC 개체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에서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 자원을 구성할 RRC 메시지(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정보)를 생성할 때 RRC 개체를 생성한 후,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실패(또는 취소) 메시지를 받는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받은 제 1 기지국은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를 정지(stop)한다. 그리고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 자원 구성 타이머를 시작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 한 후 시작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는 제 1 기지국 내에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처리하는 최대 시간을 명시(specify)/제한하는 타이머를 나타낸다.
만약,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하면 제 2 기지국으로 진행중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취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일 예로,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단말로부터 수신된 성공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 2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E-RAB도 수락하지 않거나, 또는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 동안 실패가 발생하면, 제 2 기지국은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 실패 메시지(오프로드 실패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보낸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 실패 메시지는 적절한 값을 가진 원인 정보(Cause IE)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1 기지국에서 전술한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오프로드 요청 응답(ACK) 메시지)을 수신하지 못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진행중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하기 위해 원인 정보(Cause IE)에 대한 적절한 값을 가진 메시지(오프로드 취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준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준비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요청 메시지) 절차를 취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 및/또는 제 2 기지국은 단말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해서 각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관련 타이머를 동작시켜서 해당 절차를 취소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에서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무선 베어러를 베어러 분리(bearer split)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할 수 있다.
전술한 무선 베어러를 베어러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거나 제 1 기지국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DRB)를 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거나 제 2 기지국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지국은 다음의 기간 동안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여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누락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이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는 기간에 대한 일 예를 들면,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한 후,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1 기지국은 위의 기간 동안에 해당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는 대신 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계속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1 기지국은 PDCP 상태 보존을 위해 시퀀스 넘버 상태 트랜스퍼(SN STATUS TRANSFER)를 제 2 기지국으로 보내 해당 무선베어러(E-RABs)에 대한 업링크 PDCP SN 수신기 상태와 다운링크 PDCP SN 송신기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지국의 데이터를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만약,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무선 베어러를 베어러 분리(bearer split) 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계속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 1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DRB)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과 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위의 기간동안 제 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무선 베어러를 분리되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위의 기간 동안 해당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할 수 있다.
7) 제 1 기지국은 단말로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8)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는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에 포함된 타이머(일 예로, T304 타이머 또는 T304 타이머와 구별되는 ARRCtimer)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타이머 값은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구성된 값일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정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성공적 완료란,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송신, MAC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동기를 맞춤, 제 2 기지국과 성공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완료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약,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원래 제 1 기지국에서 사용되던 무선자원 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의 구성)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가 제 1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던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을 통해(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추가수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DRB) 구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가 제 1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던 무선 베어러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과 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추가수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해(제 1 기지국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DRB) 구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를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에 저장하거나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대한 표시 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 보낼 수 있다.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대한 표시 정보는 아래에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대한 동작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CA 기술과는 달리 이중 연결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 액세스 절차를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필요한 경우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전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동안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 한 이후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에 제 1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을 통해 베어러 분리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단말 구성의 일부분인 무선베어러 추가수정정보(drb-ToAddMod)에 포함된 각각의 DRB식별자(drb-Identity)에 대해, 만약 rlc-config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된 rlc-config에 따라 RLC 개체 또는 개체들을 재구성한다.
일 예로, rlc-config는 제 1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의 rlc-config, 제 2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개체의 rlc-config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를 재설정(re-establish)하고, 제 2 기지국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를 설정해서 수신된 제 2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의 rlc-config를 가지고 구성한다.
만약, logicalChannelConfig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된 logicalChannelConfig에 따라 논리채널을 재구성한다.
전술한 rlc-config 및/또는 logicalChannelConfig는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되지 않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이 PDCP 개체를 구성하고 RLC 개체 및 MAC 개체는 제 2 기지국에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는 베어러 분리되지 않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은 PDCP 개체, RLC 개체 및 MAC 개체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경우 무선 베어러를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을 통해 분리하는 베어러 분리 없이 각 무선 베어러가 제 1 기지국을 통해 또는 제 2 기지국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무선 베어러를 베어러 분리없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단말 구성의 일부분인 무선베어러 추가수정정보(drb-ToAddMod)에 포함된 각각의 DRB식별자(drb-Identity)에 대해, 만약 rlc-config(제 2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개체의 rlc-config)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된 rlc-config에 따라 RLC 개체 또는 개체들을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를 수신된 제 2 기지국 RLC 개체에 피어링되는 단말 RLC 개체의 rlc-config를 가지고 재설정한다. 만약 logicalChannelConfig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된 logicalChannelConfig에 따라 논리채널을 재구성한다. 전술한 logicalChannelConfig는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 구성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면,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하기 전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고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동안,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고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제 2 기지국과 다운링크 동기화를 수행하고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후, 제 1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제 2 기지국과 다운링크 동기화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동안 단말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이 구성되면,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를 완료하지 못한 상태라도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제 2 기지국과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하고 RACH를 통해 제 2 기지국에 액세스한 이후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고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제 2 기지국에 성공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경우에만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무선베어러 추가수정정보(drb-ToAddMod)에 따라 단말에 무선자원을 추가/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이 이미 구성되어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거나, 단말이 제 2 기지국과 성공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일 예로, 단말이 제 2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 RACH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제 2 기지국에 액세스를 시도하고,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RA response)메시지를 받는 경우)하는 경우에만 단말에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를 추가/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이 성공적으로 제 2 기지국에 액세스 하면,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제 1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은 이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를 보내고, 제 2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한다.
이상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과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 중 제 8 단계에서 단말이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 문제 발생에 따른 처리 절차 및 방법.
전술한 도 4 내지 도 7의 과정에서 단말이 기존의 CA 기술과 달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제 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문제 등이 발생하여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완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설정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한 기존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존 무선자원 구성의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802)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단말(801)로 전송한다(S810).
제 1 신호는 도 4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및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801)은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다(S820). 예를 들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베어러 분리 또는 베어러 비분리된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존 RLC 개체 등을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에 매핑된 RLC 개체로 설정하고, 제 2 기지국에 매핑된 RLC 개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801)은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전 또는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동안 또는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후에 제 2 기지국(803)과 랜덤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S830).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후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하기 전 또는 구성하는 동안에 시도하는 경우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S820 단계 및 S830 단계는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동일한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801)이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후에 제 2 기지국(803)과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801)은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단계(S820) 이후,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S830) 이전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만약 단말(801)이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후에 제 2 기지국(803)과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라도, 단말(801)은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단계(S820)와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S830)를 성공적으로 완료(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수신)한 후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단말(801)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함에 있어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실패하거나, 제 2 기지국(803)과의 접속에 실패가 발생하면(S840), 제 2 신호를 제 1 기지국(802)으로 전송한다(S85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에 실패와 관련된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식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링크실패 리포트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리포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신호는 단말(801)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아닌 새로운 RRC 메시지(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801)은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완료에 실패하는 경우에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60). S860 단계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S85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과의 무선자원 구성은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801)은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완료에 실패하는 경우에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말은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프로시져를 실행하는 경우, 임시적으로(temporary)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저장할 수 있다.
S860 단계가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라도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단말(801)이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단계(S820) 이후,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S830) 이전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 2 기지국(803)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가 발생하면(S840), 단말은 제 2 신호를 제 1 기지국(802)으로 전송한다(S850).
제 2 신호는 단말(801)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랜덤 액세스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아닌 새로운 RRC 메시지(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빠른 복구를 위해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를 표시하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801)은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60). S860 단계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S85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S860 단계가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단말(801)은 제 2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는 단계 및 제 2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850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라도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는 프로시져를 실행하는 동안 임시적으로(temporary)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저장한 경우, 단말은 제 2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는 단계 및 제 2 신호를 전송한 이후에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802)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제 1 기지국(802)은 단말(801)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취소 메시지를 전송한다(S870).
제 2 기지국(803)은 제 1 기지국(802)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취소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801)과의 이중 연결 구성을 위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서 설명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에 대한 세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기지국은 단말로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제 1 신호의 구체적인 일 예로 도 4에서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예로 들어 7) 단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으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는 해당 신호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제 1 신호 또는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 및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가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로 구성하도록 하는 신호임을 인지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 표시 정보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각의 세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7) 단계 및 제 1 신호에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인 추가 무선자원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세부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세부 실시예: MobilityControlInfo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제 1 신호는 제 1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거나, 제 2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되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해 MobilityControlInfo 정보 요소에 새로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bilityControlInfo 정보 요소에 SeNBradioresourceconfig 필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해당 값이 true로 설정되면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SeNBradioresourceconfig 필드는 단말에 수신되는 제 1 신호(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가 제 2 기지국 무선자원을 추가로 구성하기 위한 신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 2 세부 실시예: SCellToAddMod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 포함하는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해 SCell 정보 요소에 새로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SCellToAddMod-r10 정보 요소에 SeNBradioresourceconfig 필드 및 ARRCtimer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SeNBradioresourceconfig 필드는 제 1 신호가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인지 여부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ToAddMod-r12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특정 셀인덱스(sCellIndex)를 가지는 셀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임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SeNBradioresourceconfig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sCellIndex-10과 구별되는 새로운 sCellIndex-12 필드를 정의하여 SCellToAddMod-r12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특정 셀인덱스(sCellIndex)를 가지는 셀이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인지 또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ARRCtimer 필드는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한다. ARRCtimer는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시작될 수 있다.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정지될 수 있다.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의 성공적 완료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MAC이 성공적으로 업링크 동기를 맞추는 경우, 성공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경우 및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 등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ARRCtimer가 만료되면, 단말은 원래 제 1 기지국에서 사용되던 무선 자원 구성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를 VarRLF-Report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ARRCtimer는 일 예로, T304 타이머일 수도 있고 T304 타이머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타이머 일 수도 있다.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ARRCtimer는 SCellToAddMod 정보에 포함되지 않거나 다른 정보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실패와 관련된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식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링크실패 리포트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리포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SeNBradioresourceconfig)대신, SCell추가수정정보(sCellToAddMod-r12)에 DRB 추가수정정보(DRB-ToAddMod)를 포함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 3 세부 실시예: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 포함하는 방법.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해 기존의 정보 요소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정보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또는 제 1 신호는 제 1 기지국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제 2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도 있다.
기존의 정보 요소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정보요소에 대한 몇 가지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eNBradioresourceConfig 정보 요소는 타켓 기지국(제 2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정보, 캐리어 주파수 정보, 캐리어 주파수 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새로운 정보 요소 구성의 또 다른 예는 도 12와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eNBIndex 필드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제 2 기지국 ID 또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eNBScellIndex 필드를 포함하고, SeNBScellindex 필드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의 셀 ID 정보 또는 셀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eNBScellIndex 정보는 특정 제 2 기지국 셀인덱스(SeNBScellIndex)를 가지는 셀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임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 2 기지국 셀인덱스(SeNBScellIndex)는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을 구별하기 위한 release-11이전의 ScellIndex와 구별되는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SeNBIndex 필드 또는 SeNBScellIndex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sCellIndex-10과 구별되는 새로운 sCellIndex-12 필드를 정의하여 SCellToAddMod-r12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특정 셀인덱스(sCellIndex)를 가지는 셀이 제 1 기지국에 연관된 셀인지 또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는, rach-ConfigDedicated 정보요소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표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ARRCtimer는 SCellToAddMod 정보에 포함되지 않거나 다른 정보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 중 일부 셀에 대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 필드를 포함하여 추가하려는 제 2 기지국의 셀과 관련한 무선자원 구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위에서 설명한 새로운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한 이후에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RRC 메시지를 통해 공통무선자원구성(radioResourceConfigCommon) 에 시스템 정보(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를 포함하여 수신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4 세부 실시예 : 무선자원구성전용(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 요소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필드 포함하는 방법.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이 단말로 보내는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해 무선자원구성전용(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 요소에 새로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제 2 기지국에 무선자원구성전용(radioResourceConfigDedicated)의 무선 베어러 추가수정정보에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베어러 설정 필드를 포함하면 단말은 제 1 신호가 추가 무선자원구성을 위한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SeNBIndex 필드는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위한 제 2 기지국 인덱스 정보 또는 ID 정보 또는 식별자 정보 또는 구분자(True or fals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eNBIndex 필드가 포함되면 DRB-ToAddMod에 포함되는 데이터 무선베어러가 제 2 기지국을 통해 구성되는 또는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선베어러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SeNBSCellindex 필드가 포함되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복수의 셀 중 단말에 추가 구성하기 위한 셀에 대한 인덱스 정보 또는 ID 정보 또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 1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에 대한 세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세부 실시예 각각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외에도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를 위한 정보 및/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제 1 신호(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는 제 1 신호의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에 포함된 타이머(위에서 예를 든, T304 타이머 또는 ARRCtimer)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타이머 값은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구성된 값일 수 있다.
단말이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고, 성공적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랜덤 액세스 성공을 수행하면 전술한 타이머는 종료되고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타이머가 종료되면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해서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설정/재구성하여 기존 제 1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따른 불필요한 동작을 감소시키고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단말의 MAC 개체가 성공적으로 제 2 기지국과 업링크 동기를 맞추거나,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한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마지막 무선자원 구성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기존 무선 베어러를 베어러 분리하여 또는 베어러 분리없이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구성을 진행한다. 만약, 제 2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절차가 실패하면, 단말은 해당 무선 베어러 각각에 대해 이전에 제 1 기지국을 통해 구성된 무선 베어러 구성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를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대한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제 1 기지국으로 보낼 수 있다.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제 2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failedSeNBId 또는 failedSCellId)를 통해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제 2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SCell)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failedSeNBId 또는 failedSCellId)는 가용한 경우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제 2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의 세컨더리 셀(SCell) 또는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또는 제 2 기지국의 대표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 그리고 그렇지 않다면 물리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와 캐리어 주파수를 세팅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의 SCell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failed제 2 기지국Id 또는 failedSCellId)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제 2 기지국 식별자 또는 제 2 기지국의 SCell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하기 전에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한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한 제 1 기지국 PCell 또는 제 1 기지국을 식별하기 필드(previousPCellId 또는 previousMeNBId)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PCell 또는 제 1 기지국을 식별하기 필드 (previousPCellId 또는 previousMeNBId)는 PCell 또는 제 1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 셀 또는 제 1 기지국의 대표 Cell의 글로벌 셀 식별자를 세팅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한 PCell 또는 제 1 기지국을 식별하기 필드 (previousPCellId 또는 previousMeNBId)는 제 1 기지국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는 timeConnFailure 필드를 통해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한 마지막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경과 시간을 세팅할 수 있다.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는 connectionFailureType 필드를 통해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실패 유형 또는 원인 값을 세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 간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한다(S16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고, 제 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S1620).
만약,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전술한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실패했음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한다(S1630).
만약,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전술한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어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가 세팅된 경우, 단말은 제 2 신호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630).
그리고, 단말은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과의 무선자원 구성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한다(S16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한다는 의미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베어러 구성 등을 취소하고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 베어러 구성 등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경우 실패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정보 및/또는 제 2 기지국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한다(S1710).
단말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고,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랜덤 액세스 절차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어느 하나가 우선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면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실패 관련 정보를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 완료 메시지(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MAC이 제 2 기지국과 성공적으로 업링크 동기를 맞추거나, 제 2 기지국과 성공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전에,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한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실패하면, 단말은 제 2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에 실패했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740).
즉, 단말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전술한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타이머가 만료되어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가 세팅된 경우 제 2 신호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제 1 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구성/재설정하여 재개한다(S1750). 즉,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전에, 단말의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제 2 신호에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정보가 가용하다는 표시 또는 실패 표시를 전송함으로써 제 1 기지국이 이전에 제 1 기지국에서 사용되던 무선 자원 구성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신호(일 예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정보가 가용하다는 표시는 기존 rlf-InfoAvailable 필드를 사용(일 예로, ENUMERATED {true})할 수 있다. 또는, 기존 rlf-InfoAvailable 필드를 확장하여 사용(ENUMERATED {cause1, cause2})할 수도 있다. 또는,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정보가 가용하다는 새로운 필드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구성 실패 정보가 가용하다는 새로운 필드의 일 예로, arrcf-InfoAvailable: additional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failure-infoAvailable(true)가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정보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말은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정보가 가용하다는 표시 및/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에 대한 실패 표시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이외의 다른 RRC 메시지를 통해서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RRC 메시지는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UEInformationResponse 또는 ULInformationTransfer 또는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메시지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구성 중 일부라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재구성 실패로 고려하여, 시큐리티가 활성화(activate)되지 않은 경우에는 RRC 연결 상태를 떠나는 동작(leaving RRC_CONNECTED )을 수행한다. 시큐리티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 절차를 개시해야 했다.
그러나, 단말이 제 1 기지국을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제 2 기지국으로의 접속 실패 (일 예로, 제 2 기지국 랜덤 액세스 상의 문제 또는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할 제 2 기지국 서빙셀의 다운링크에 대한 동기를 맞추는 데 실패 또는 제 2 기지국 서빙셀의 물리계층에서 N310 consecutive out-of-sync indications 등의 경우)등으로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 구성실패가 발생했을 때 종래의 방법과 같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실패로 처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하더라도 제 1 기지국을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RRC 연결 상태에서 RRC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 후 다시 RRC 연결(Connection)을 설정하는 동작은 불필요한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에 따라서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SRB0(Signaling Radio Bearer 0)을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고, SCell을 해제하고 셀 선택을 다시 한 후, SRB1(Signaling Radio Bearer 1)을 재개하고,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 따라 DRB(Data Radio Bearer)를 재구성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제 2 신호 내에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에 대한 실패 표시 정보(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정보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에 대한 실패를 리포팅 하기 위한 새로운 실패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message)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정보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신호는 빠른 처리를 위해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를 표시하는 MAC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에 대한 새로운 RRC 실패 메시지(일 예로,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기존 제 1 기지국의 서빙 셀(들)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 실패로 인해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기존 제 1 기지국의 서빙 셀(들)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 request) 메시지의 재설정 원인(reestablishmentCause)정보에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구성실패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1 기지국이 전술한 VarRLF-Report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 리포트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구성 실패정보가 가용하다는 표시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실패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에서 진행중인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위한 준비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으로 진행중인 추가 무선 자원 구성 준비를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오프로드 취소 메시지)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의 단말 동작을 각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성공한 경우에 단말의 동작을 세부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성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 성공에 대한 정보를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세부 실시예: 제 1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단말은 제 1 기지국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5와 같은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통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경우,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과 제 2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을 구분하지 않고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6과 같이 제 1 기지국을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구성된 경우,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7과 같이 제 1 기지국을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구성된 경우 단말은 SRB가 설정된 제 1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제 1 기지국은 이를 제 2 기지국에 포워딩할 수 있다. 또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제 1 기지국은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대한 성공 메시지를 제 2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5와 같이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통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경우,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가 단말의 제 2 기지국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제 2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 포워딩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프로시져 등을 통해 추가 무선 자원 성공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세부 실시예: 제 2 기지국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 송신하는 방법.
단말은 제 2 기지국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5와 같이 베어러 분리된 추가 무선 자원 구성을 통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경우, 단말은 제 2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을 통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6과 같이 제 1 기지국을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구성된 경우라도, 단말은 제 2 기지국 상향 논리채널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가 도 7과 같이 제 1 기지국을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구성된 경우라도 단말은 제 2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이를 제 1 기지국에 포워딩할 수 있다.
제 3 세부 실시예: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으로 각각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 송신하는 방법.
단말은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단말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각각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일 예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단말이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각각으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면, 단말은 제 1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과 제 2 기지국 상향 전송채널에 각각을 통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 또는 제 2 기지국은 수신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제 2 기지국 또는 제 1 기지국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무선자원 구성이 실패한 경우 기지국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연결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 1 기지국)은 단말이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한다(S18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다.
제 1 기지국은 생성된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한다(S1820).
단말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고, 제 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다양한 세부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완료하지 못하거나,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하지 못하는 등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하면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830).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메시지)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정보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2 신호는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랜덤 액세스 실패)를 표시하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2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할 수 있다(S1840).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한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단말이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하면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한 무선 베어러 구성 이전의 구성을 재개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제 1 기지국)은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이용하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한다(S1910).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S1920).
단말이 제 1 신호에 기초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경우, 제 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한다(S1930). 제 2 신호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메시지)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신호는 기존의 메시지와는 다른 새롭게 정의된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이거나, 해당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2 신호는 단말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랜덤 액세스 실패)를 표시하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제 1 기지국은 제 2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940). 또한,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S1940 단계와 기존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어느 하나의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우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기지국은 단말과의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위한 모든 절차를 취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제 2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 실패 등으로 인해 추가적인 무선 자원 구성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단말과 제 1 기지국은 기존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단말은 불필요한 RRC 연결 재설정 단계 또는 SRB0을 제외한 나머지 SRB 해제 및 SCell 해제 단계 등을 거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2000)은 수신부(2010), 제어부(2020) 및 송신부(20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단말(2000)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10)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제어부(2020) 및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20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20)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20)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실패와 관련된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식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링크실패 리포트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리포트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신부(201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03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제 2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 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신부(20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0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이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구성하도록 제어하고, 실패하는 경우 기존의 제 1 기지국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20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더 전송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2100)은 제어부(2110), 송신부(2120) 및 수신부(2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이중 연결 구성을 제어하는 제 1 기지국(2100)은,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110)와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송신부(2120) 및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10)는 제 2 신호를 수신한 후,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은,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120)는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신호는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2120)는 제 2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기지국으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2130)는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메시지)에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또는 RRC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또는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21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에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구성하도록 하고, 실패하는 경우 기존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는 데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2120)와 수신부(21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한 경우에 기존의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에 실패하더라도 기존의 무선자원을 해제하고 새로 연결을 시도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은,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실패와 관련된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식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링크실패 리포트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리포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연결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은,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복수의 기지국과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및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 구성은,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하는 단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단말.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실패와 관련된 제 2 기지국 식별 정보, 제 2 기지국에 연관된 셀 식별 정보 및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링크실패 리포트 또는 제 2 기지국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리포트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9. 단말의 이중 연결 구성을 제어하는 제 1 기지국에 있어서,
    제 2 기지국을 통한 무선자원을 추가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신호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단말과의 무선자원 구성은,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기 전의 상기 제 1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전송되며, 상기 제 2 기지국을 통한 추가 무선자원 구성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을 취소하기 위한 메시지를 더 전송하는 기지국.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및 무선자원 연결 재설정 메시지와는 구별되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실패 메시지 또는 무선자원 연결 재구성 복구 요청 메시지에 상기 추가 무선자원 구성 실패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130161875A 2013-06-13 2013-12-23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0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8780.3A CN105684491B (zh) 2013-10-30 2014-10-27 用于在移动通信网络中配置双连接的方法及其装置
US15/032,651 US10362615B2 (en) 2013-10-30 2014-10-2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44 2013-06-13
KR20130068044 2013-06-13
KR1020130130408A KR20140145524A (ko) 2013-06-13 2013-10-30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130130408 201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527A true KR20140145527A (ko) 2014-12-23
KR101602999B1 KR101602999B1 (ko) 2016-03-11

Family

ID=526752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408A KR20140145524A (ko) 2013-06-13 2013-10-30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130161875A KR101602999B1 (ko) 2013-06-13 2013-12-23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408A KR20140145524A (ko) 2013-06-13 2013-10-30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40145524A (ko)
WO (1) WO20150649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23A1 (en) * 2016-09-22 2018-03-29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CN109600841A (zh) * 2017-09-30 2019-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网络节点和用户设备
WO2021025504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신뢰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무결성 검증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736989B2 (en) 2017-04-01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3671B (zh) 2014-12-30 2020-06-05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执行无senb变化的menb间切换的方法和装置
CN106332114A (zh) * 2015-06-19 2017-01-11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移动性优化的方法
KR101954495B1 (ko) * 2015-09-23 2019-03-07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52206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93293A1 (zh) * 2016-05-10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CN109076425B (zh) * 2016-05-11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控制rrc配置方法及相关设备
CN107690200B (zh) * 2016-08-05 2019-12-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及终端
US10973069B2 (en) 2017-08-07 2021-04-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DC configuration
CN113366916A (zh) 2019-03-25 2021-09-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通信的用户设备、无线电网络节点以及在其中执行的方法
KR102393333B1 (ko) * 2020-09-23 2022-04-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5g nr 추가설정을 차단하는 방법
CN113301510B (zh) * 2021-05-25 2022-06-28 浙江万消基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全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22A (ko) * 2008-03-14 200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KR20100034677A (ko) * 2008-09-24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20120026676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무선 자원 연결 방법
KR20120085833A (ko) * 2009-10-22 2012-08-01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반송파 결합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22A (ko) * 2008-03-14 200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KR20100034677A (ko) * 2008-09-24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20120085833A (ko) * 2009-10-22 2012-08-01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반송파 결합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20026676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무선 자원 연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23A1 (en) * 2016-09-22 2018-03-29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US10849178B2 (en) 2016-09-22 2020-11-24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US11736989B2 (en) 2017-04-01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dom access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CN109600841A (zh) * 2017-09-30 2019-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网络节点和用户设备
CN109600841B (zh) * 2017-09-30 2024-03-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网络节点和用户设备
WO2021025504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신뢰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무결성 검증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972A1 (ko) 2015-05-07
KR101602999B1 (ko) 2016-03-11
KR20140145524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999B1 (ko) 이동통신망에서 이중 연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10362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ual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9076383B (zh) 用于由终端配置双连接的方法及其装置
US11503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ACH-less mobility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2277B1 (ko)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US9832806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and device therefor
KR101954495B1 (ko)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278126B2 (en) Metho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small cell and apparatus therefor
US1014919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ser's plane data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US103625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pparatus for same
US1183212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EP2878157B1 (en) Method for use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2158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onnectivity operation
US20140349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link establishment
JP2013516869A (ja) 切替方法及び端末
KR20170114258A (ko)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WO2014059663A1 (zh) 切换方法和设备
US2024008979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KR20150109174A (ko) 듀얼 커넥티비티 하에서 무선 연결 재설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31538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077780B1 (ko)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37277A (ko) 무선자원 재설정/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930114B1 (ko) 업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975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31171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 제어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