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627A -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627A
KR20140144627A KR20130066830A KR20130066830A KR20140144627A KR 20140144627 A KR20140144627 A KR 20140144627A KR 20130066830 A KR20130066830 A KR 20130066830A KR 20130066830 A KR20130066830 A KR 20130066830A KR 20140144627 A KR20140144627 A KR 20140144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sell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석
Original Assignee
티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스트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627A/ko
Publication of KR2014014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측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 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판매자측 단말; 제1 태깅시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전송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Payment system us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결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물품판매기 및 휴대용 결제단말기 등의 판매자측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 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인판매기의 결제 시스템은 무인판매기에 결제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구매자에 의해 특정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전달받고, 네트워크를 통해 구매요청에 대한 결제를 결제 서버로 요청한다. 그런 다음, 무인판매기는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상품 토출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결제에 대한 영수증을 전송한다.
이러한 무인판매기의 결제 시스템은 무인판매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무인판매기의 제작 및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매자의 이동통신 단말이 NFC를 통해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 결과 정보를 NFC를 통해 판매자측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판매자측 단말; 제1 태깅시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전송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1-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1-2단계; 상기 결제서버에서, 구매정보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수행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1-3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결제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태깅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1-4단계; 및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획득된 결제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을 수행하는 1-5단계;를 포함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제가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판매자측 단말기가 네트워크와 연결될 필요가 없어 판매자측 단말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매하는 물품을 결제할 때 구매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이 없는 경우에도 판매자측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해 직접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판매자측 단말기로 결제 비밀번호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거나 저장될 필요가 없어 보안성이 높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원하지 않는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결제단말기의 경우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쉬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의 각 구성간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매자측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제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NFC 기술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RFID 기술 중 하나이지만, 태그(읽기/쓰기) 모드, P2P 모드 및 카드 에뮬레이션(emulation) 모드의 3가지 동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종래의 결제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결제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NFC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하, NFC 단말기라 함)는 예컨대, 결제 장치와 10cm 이하의 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FC 단말기는 태그 모드로서 동작을 하거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버스나 지하철 등과 같은 결제를 할 때, 또는 NFC 모듈(칩셋)에 저장된 결제수단(예컨대, 카드 에뮬레이터)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결제장치에 NFC 단말기를 소정의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행위 즉, 태깅(tagging)을 수행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FC 기술을 이용해 기존 판매자측 단말에서 진행하던 결제 프로세스를 사용자단말을 통해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결제 시스템은, 판매자측 단말(10), 사용자 단말(20) 및 결제서버(30)를 적어도 포함한다. 여기서, 판매자측 단말(10) 및 사용자 단말(20)은 NFC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 및 결제서버(30)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판매자측 단말(10) 및 사용자 단말(20)은 NFC 모듈을 각각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판매자측 단말(10)은, NFC 모듈을 구비하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판매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측 단말(10)이 무인물품판매기(일명, 자판기)일 경우, 구매자가 육안으로 물품을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물품이 진열되어 있거나 판매 가능한 물품 정보가 이미지로 출력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이때, 물품에는 가격이 함께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20)의 태깅이 이루어지는 결제 영역과, 구매자가 선택한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물품출구가 구비되고, 구매자가 선택한 물품의 결제를 완료하면 해당 물품이 물품출구로 낙하하여 구매자가 해당 물품을 가져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인물품판매기는 음료, 식품, 담배, 티켓, 신문, 잡지, 우표, 양말, 휴지, 위생용품 등과 같이 현재 이용되고 있는 여려 유형의 자판기에 적용 가능하다.
다른 예를 들어, 판매자측 단말(10)이 주차요금정산기일 경우, 구매자가 육안으로 자신의 차량번호, 입출입 시간 및 주차요금을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입력수단 및 표시수단과, 사용자 단말(20)의 태깅이 이루어지는 결제 영역이 구비되고, 구매자가 주차요금의 결제를 완료한 후 태깅을 통해 이를 주차요금정산기로 전달하면 이를 승인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측 단말(10)은 주차요금정산기뿐만 아니라, 셀프주유기, 셀프정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판매자측 단말(10)이 휴대 가능한 결제단말기인 경우, 구매한 물품의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수단과, 사용자 단말(20)의 태깅이 이루어지는 결제 영역이 구비되고,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의 결제를 완료한 후 태깅을 통해 이를 휴대용 결제단말기로 전달하면 이를 승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용 결제단말기의 경우 결제 승인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예를 들어, LED 램프 또는 스피커)을 구비하고, 구매정보를 POS로부터 태깅을 통해 획득하고, 구매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태깅을 통해 전달한 후 이에 대한 결제수행결과를 전달받아 결제 승인이 확인되면 결제승인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결제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구성이 간단해져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방문 판매자(또는 주유소의 주유원이나 식당의 좌석에서 결제를 할 경우의 종업원 등)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결제단말기를 소지한 채 구매자로부터 결제 승인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판매자측 단말(10)은, 무인물품판매기, 휴대용 결제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판매자측 단말(10)을 무인물품판매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결제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판매자측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구매물품에 대한 선택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판매자측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구매물품 목록, 구매가격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의 제1 태깅시 생성한 구매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이때, 구매정보는 결제서버(30)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될 수 있다. 본 암호화는 판매자측 단말과 결제서버 간 암호화이므로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에서 분석할 수 없다. 여기서,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는 설치된 지역과 지역 내의 기기번호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20)은, 획득된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서버(30)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판매자측 단말(10)은, 사용자 단말(20)의 제2 태깅시 구매정보에 대한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행한다. 이때, 판매자측 단말(10)은 결제 승인 내역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결제서버(30)와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하, 전자결제 응용 프로그램이라 함)이 구비되고, NFC 모듈을 구비하여 NFC를 통해 판매자측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전자지갑 구동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특정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에 의해 결제서버(30)와 접속할 수 있는 통신기기이며, 전자결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획득된 구매정보에 대한 전자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템플릿 PC 등 NFC 모듈을 구비하고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10)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한 후, 획득한 구매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30)로 전송하여 전자결제를 요청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LTE/3G 망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자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일 수 있고, 결제수단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카드 정보, 소액 결제를 위한 핸드폰 번호 및 인증번호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판매자측 단말(10)의 NFC 태그를 리딩하는 것에 의해 구매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단말(20) 및 결제서버(30) 간 암호화가 수행된 후 결제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30)에 연결되고,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서버(3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결제수행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자결제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결제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결제서버(30)로부터 수신한 결제수행결과를 판매자측 단말(10)과의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10)로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판매자측 단말(10)의 NFC 태그에 결제수행결과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수행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수행결과는 판매자측 단말(10)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암호화될 수 있다. 본 암호화는 판매자측 단말(10)과 결제서버(30) 간의 암호화이므로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에서는 분석될 수 없다.
또한, 결제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결제금액을 승인하고, 결제수행결과를 생성한다. 이때, 결제서버(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드사업자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금액에 대한 카드승인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수행결과로 사용자단말(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서버(30)는, 서비스사업자 서버이거나 부가가치통신망으로 공중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통신회선을 차용하여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으로 VAN(Value Added Network)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서비스사업자 서버와 VAN 서버를 모두 포함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NFC를 통해 판매자측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와 전자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판매자측 단말기의 제작 및 설치가 단순해지는 동시에, 결제 프로세스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번의 태깅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번의 태깅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판매자측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 제1 태깅시,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이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의 각 구성간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판매자측 단말이 물품을 판매하는 무인물품판매기(일명, 자판기)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서비스를 무인 판매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무선판매단말(10)의 진열대에 진열된 물품 또는 물품의 이미지가 출력된 화면으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이러한 물품 선택신호에 따른 주문정보의 구매요청이 무선판매단말(10)로 입력된다(①). 여기서 주문정보는 물품의 종류, 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판매단말(10)은, 입력된 주문정보에 따른 구매물품목록, 구매금액을 단말의 식별 정보에 추가하여 구매정보를 생성한다(②). 여기서, 단말의 식별 정보는 단말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로, 예를 들어, 설치된 지역과 지역 내의 기기번호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무선판매단말(10)은, 생성된 구매정보에 대해 판매자측 단말 및 결제서버간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구매정보가 결제서버(30)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다(③).
그런 다음, 판매자측 단말(10)은, 생성된 또는 암호화된 구매정보를 제1 NFC 태그에 기록한다(④). 즉, 판매자측 단말(10)은, NFC 모듈의 쓰기 모드를 통해 제1 NFC 태그에 구매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판매자측 단말(10)은, '사용자 단말을 태깅하시오'와 같은 요청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20)의 태깅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면, 판매자측 단말(10) 및 사용자 단말(20) 간 제1 태깅이 이루어지고, 즉, 제1 태깅시, 두 단말(10, 20) 간 제1 RW(Read/Write) 세션이 형성되고, 사용자 단말(20)은 제1 RW 세션을 통해 제1 NFC 태그에 기록된 구매정보를 리딩하여 획득한다(⑤). 즉, 사용자 단말(20)은, 구비된 NFC 모듈의 읽기 모드를 통해 제1 NFC 태그에 기록된 구매정보를 읽어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20)은, 획득된 구매정보에 사용자 식별 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추가하여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한다(⑥). 이때, 생성된 결제요청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20) 및 결제서버(30) 간 암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은 생성된 또는 암호화된 결제요청정보를 결제서버(30)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⑦).
그러면, 결제서버(30)는 수신된 결제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한다(⑧). 이때, 결제서버(30)는 전자결제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추가정보를 사용자단말(20)로 요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20)로 비밀번호, 인증번호, 결제승인과 관련된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결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프로세스와 관련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결제서버(30)는 전자결제를 진행한 결제수행결과에 대해 판매자측 단말 및 결제서버 간 암호화와, 사용자단말 및 결제서버 간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⑨), 이후, 사용자 단말(20)로 결제수행결과를 전송한다(⑩).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20)은, 결제서버(30)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수신하고, 이때, 사용자단말(20)은, '결제를 계속 진행하시겠습니까?' 또는 '사용자 단말을 태깅하시오'와 같은 문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결제 의사를 확인하고 사용자단말(20)의 태깅을 유도할 수 있다(⑪).
그러면, 사용자단말(20) 및 판매자측 단말(10) 간 제2 태깅이 이루어지고, 즉, 제2 태깅시 두 단말(10, 20) 간 제2 RW 세션이 형성되고, 사용자 단말(20)은 제2 RW 세션을 통해 결제수행결과를 판매자측 단말(10)로 전달한다(⑫). 즉, 사용자단말(20)은, 구비된 NFC 모듈의 쓰기 모드를 통해 판매자측 단말(10)의 제2 NFC 태그에 결제수행결과를 기록한다.
이어서, 판매자측 단말(10)은, 제2 태깅시 사용자단말(20)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최종 결제 승인을 수행한다(⑬). 즉, 판매자측 단말(10)은, 구비된 NFC 모듈의 읽기 모드를 통해 제2 태깅시 제2 NFC에 기록된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한 결제수행결과와 구매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결제 승인을 수행한다. 이때, 판매자측 단말(10)은 획득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판매자측 단말(10)은,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구매물품을 토출하여 사용자에게 인도한다(⑭).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번의 태깅 동작뿐만 아니라, 한 번의 태깅 동작으로 판매자측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 구매정보 및 결제수행결과를 획득 및 전달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 제1 RW 세션이 형성되고, 제1 RW 세션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제1 RW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 구매정보 및 결제수행결과를 각각 획득 및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매자측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판매자측 단말(10)은, 구매정보 생성부(101), NFC 모듈(102), 결제 승인부(103), 보안 수행부(104), 표시부(105), 입력부(106), 저장부(107)및 제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정보 생성부(101)는, 사용자의 물품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구매물품 목록, 구매금액, 기기의 식별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매정보를 보안수행부(104)로 전달한다. 그러면, 보안수행부(104)는 전달된 구매정보를 결제서버(30)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를 수행한 후 NFC 모듈(102)로 전달한다.
또한, 구매정보 생성부(101)는, 구매정보를 저장부(107)에 저장한다. 이후, 구매정보는 판매자측 단말 사업자가 물품의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NFC 모듈(102)은, 데이터의 읽기/쓰기 모드, P2P 모드를 지원하는 구성으로, 보안수행부(104)로부터 구매정보가 전달되면 쓰기 모드를 구동하여 전달된 구매정보를 제1 NFC 태그에 기록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은 제1 태깅시 제1 NFC 태그에 기록된 구매정보를 읽기 모드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서버(30)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수신하고, 제2 태깅시 수신한 결제수행결과를 NFC 모듈(102)의 제2 NFC 태그에 기록한다.
또한, NFC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20)의 제2 태깅시 제2 NFC 태그에 기록된 결제수행결과를 읽기 모드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결제수행결과를 보안수행부(104)로 전달한다. 이후, 부안수행부(104)는, 전달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가 수행된 결제수행결과를 결제승인부(103)로 전달한다. 여기서, 결제수행결과는 결제서버에서 판매자측 단말(10)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정보이다.
그리고, 결제 승인부(103)는, 복호화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행하고, 결제 승인 내용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05)에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승인 내용은 구매일시, 구매물품목록, 구매금액, 결제수단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수행부(104)는, 구매정보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구매정보가 결제서버(30)에서 판독가능한 형태로 암호화를 수행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획득된 결제수행결과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매물품목록, 구매금액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최종 결제 승인된 결제 승인 내용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06)는, 구매물품의 선택, 구매완료 확인 및 취소, 결제완료 확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버튼 형태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06)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표시부(105)와 입력부(106)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07)는, 최종 결제 승인 내용을 저장하고, 또한, 매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판매물품, 가격 등에 관한 데이터를 구매정보 생성부(101)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후, 저장된 결제 승인 내용 및 구매정보는 판매자측 단말 사업자가 매출관리, 손익관리, 재고관리 등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8)는, 각 부의 기능을 구동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품 선택이 완료되면 구매물품목록, 구매가격을 출력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구매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매정보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고, 구매정보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구매정보를 보안수행부(104)로 전달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암호화된 구매정보를 NFC 모듈로 전달하여 NFC 태그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NFC 모듈(102)에서 제2 태깅시 기록된 결제수행결과를 읽기 모드를 통해 획득하면 보안수행부가 획득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복호화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결제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보안수행부(104)를 제어할 수 있고, 결제 승인 내용을 출력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상품의 출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측 단말은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통신망과 연동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판매자측 단말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사용자 단말(20)은, NFC 모듈(201), 무선통신부(202), 전자지갑 구동부(203), 표시부(204), 보안수행부(205) 및 제어부(206)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사용자 단말(2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설명하며,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NFC 모듈(201)은, 읽기/쓰기 모드 및 P2P 모드를 지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판매자측 단말(10)의 결제 영역에 갖다대는 것을 통해 제1 태깅 및 제2 태깅이 이루어지고,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20)의 제1 NFC 태그로부터 읽기 모드를 통해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20)의 제2 NFC 태그에 쓰기 모드를 통해 결제수행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부(202)는,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30)로 구매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결제서버(30)에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한 결제수행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결제수단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20)과 결제서버(30)는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결제를 진행하게 되는데, 전자결제 진행 과정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지갑 구동부(203)는, 사용자에 의해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카드 정보가 미리 등록되고, 대표 결제 카드가 미리 지정될 수 있으며, 제1 태깅시 미리 지정된 대표 결제 카드를 이용한 전자 결제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지갑 구동부(203)는, 제1 태깅시 대표 결제 카드 정보를 결제수단 정보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에 추가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구매정보와 함께 결제서버(30)로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202)로 전달한다. 이때, 결제수단 정보는 미리 지정된 대표 결제 카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미리 등록된 카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전자지갑 구동부(203)는, 이후, 결제서버(30)와 전자 결제를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결제서버(30)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무선통신부(202)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결제수행결과는 보안수행부(205)를 통해 복호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04)는, 획득한 구매정보를 확인하도록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미리 등록된 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결제 진행 과정을 확인 및 입력할 수 있도록 전자 결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수행부(205)는,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결제서버(30)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하고, 또한, 결제서버(30)로부터 송신되는 결제수행결과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6)는, 각 부의 기능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태깅시 구매정보가 획득되면 전자지갑 구동부(203)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획득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대한 암호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획득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송신하여 전자결제가 진행되도록 무선통신부(202) 및 전자지갑 구동부(203)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결제서버(30)로부터 결제수행결과가 수신되면 수신된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보안수행부(205)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결제수행결과를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10)의 제2 NFC 태그에 기록되도록 NFC 모듈(2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판매자측 단말과 NF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구매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함으로써 판매자측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전자 결제를 진행할 수 있어 원하지 않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고, 결제 과정에 대한 신뢰도 및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제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결제서버(30)는, 통신모듈(301), 결제처리모듈(302), 보안모듈(303) 및 제어모듈(3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데, 전자결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301)은, 사용자 단말(2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가 진행된 결제수행결과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보안모듈(303)은 수신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 후, 결제처리모듈(302)로 복호화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처리모듈(302)은, 수신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전자결제 프로세스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결제처리모듈(302)은, 전자 결제 프로세스의 진행에 따른 결제수행결과를 통신모듈(301)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때, 결제수행결과는 보안모듈(303)을 통해 판매자측 단말(10) 및 사용자단말(20) 각각에서 판독가능한 형태로 암호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304)은, 각 부의 기능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신모듈(301)을 통해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보안모듈(303)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복호화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하도록 결제처리모듈(30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결제처리모듈(302)의 결제 진행에 따른 결제수행결과에 대한 암호화를 진행하도록 보안모듈(303)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암호화된 결제수행결과를 사용자단말(20)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301)을 제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을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판매자측 단말 20. 사용자단말
30. 결제서버

Claims (22)

  1.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판매자측 단말;
    제1 태깅시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전송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측 단말은, 획득된 결제수행결과와 구매정보를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이며, 상기 결제수행결과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4.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NFC 모듈;
    상기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결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정보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진행된 결제에 대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정보를 상기 구매정보와 함께 결제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NFC 모듈은,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수행결과를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결제수행결과를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과 제1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과 제1 RW(Read/Write)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 RW 세션을 통해 구매정보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획득하고,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과 제2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2 RW 세션을 통해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번호, 구매물품목록,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고,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이며,
    상기 결제수행결과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구매정보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과의 제1 태깅시 생성된 구매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NFC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NFC 모듈은, 상기 제1 태깅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판매자측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 제1 태깅시 제1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구매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FC 모듈은, 판매자측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 제1 태깅시 제1 RW 세션을, 제2 태깅시 제2 RW 세션을 각각 형성하고,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구매정보를 전달하고, 제2 RW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생성된 구매정보를 상기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하고, 획득된 결제수행결과를 복호화하는 보안수행부;
    획득된 결제수행결과와 상기 구매정보를 비교하여 결제 승인을 수행하는 결제 승인부;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구매물품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
  12. 사용자 단말에서,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1-1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1-2단계;
    상기 결제서버에서, 구매정보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수행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1-3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결제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태깅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제2 태깅시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1-4단계; 및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획득된 결제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을 수행하는 1-5단계;를 포함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1단계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매자측 단말 식별 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상기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이며, 상기 결제수행결과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5.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2-1단계;
    획득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망을 통해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획득된 구매정보 및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된 결제의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2-2단계; 및
    상기 제1 태깅이 유지되는 동안 또는 제2 태깅시, 수신된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는 2-3단계;를 포함하는 NFC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이며, 상기 결제수행결과는 상기 판매자측 단말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1단계는, 상기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 및 사용자단말 간 제1 RW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부터 상기 구매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3단계는, 상기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결제수행결과를 상기 판매자측 단말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 및 사용자단말 간 제2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2 RW 세션을 통해 상기 결제수행결과를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19. 판매자측 단말의 식별정보, 구매물품목록 및 구매금액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생성하는 3-1단계;
    제1 태깅시 생성된 구매정보를 전달하는 3-2단계;
    상기 제1 태깅이 유지되는 동안 또는 제2 태깅시, 구매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결제가 수행된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는 3-3단계; 및
    획득된 결제수행결과를 구매정보와 비교하여 결제 승인을 수행하는 3-4단계;를 포함하는 판매자측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3-1단계는, 생성된 구매정보를 결제서버에서 판독가능하도록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3-2단계는, 제1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 및 사용자단말 간 제1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생성된 구매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3-3단계는, 상기 제1 RW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거나, 제2 태깅시 판매자측 단말 및 사용자단말 간 제2 RW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2 RW 세션을 통해 결제수행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측 단말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30066830A 2013-06-11 2013-06-11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4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830A KR20140144627A (ko) 2013-06-11 2013-06-11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830A KR20140144627A (ko) 2013-06-11 2013-06-11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627A true KR20140144627A (ko) 2014-12-19

Family

ID=5267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830A KR20140144627A (ko) 2013-06-11 2013-06-11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6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310A (ko) * 2018-09-12 2020-03-20 (주) 티엠엑스코리아 모바일 직승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5950A3 (ko) * 2019-05-23 2021-01-14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판매자 계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310A (ko) * 2018-09-12 2020-03-20 (주) 티엠엑스코리아 모바일 직승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20235950A3 (ko) * 2019-05-23 2021-01-14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판매자 계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988B2 (en) Payment device with integrated chip
US113018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secure payment transaction
US10102518B2 (en) Enrollment and registration of a device in a mobile commerce system
KR20140051640A (ko) 휴대 단말에서의 결제 수행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40026306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EP32811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mobile device to effect a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KR20150058272A (ko) 근거리 트랜잭션에서 쿠폰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112402A1 (en) Account information lookup systems and methods in mobile commerce
KR20130000072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49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KR20140144627A (ko) Nfc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41601B2 (en) System and method of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for vending machines
JP6509430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KR20160099923A (ko) 온라인 쇼핑을 통해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03113A (ko) 휴대 단말에서의 결제 수행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11684482A (zh) 手机商品券发行服务提供方法、用于该方法的服务器装置及系统
KR101661690B1 (ko) 가맹점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카드 발급 방법 및 장치
KR101685281B1 (ko) 모바일 메신저와 연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00247A (ko) 가맹점에서의 광고 또는 홍보 방법 및 이를 위한 다목적핀패드 장치
KR20160142799A (ko) 물건 매매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쇼핑 지원 시스템
KR20070056029A (ko) 전자 인증 이미지(또는 전자 인증 정보) 생성 기능이구비된 무선통신장치
KR101742019B1 (ko) 물건 매매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쇼핑 지원 시스템
KR20150053855A (ko) 카드 관련 정보 제공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90048556A (ko) 휴대폰
KR20090005281A (ko)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