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036A -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036A
KR20140144036A KR1020130065959A KR20130065959A KR20140144036A KR 20140144036 A KR20140144036 A KR 20140144036A KR 1020130065959 A KR1020130065959 A KR 1020130065959A KR 20130065959 A KR20130065959 A KR 20130065959A KR 20140144036 A KR20140144036 A KR 20140144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touch
screen
touch interaction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종
손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036A/ko
Publication of KR2014014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의 입력으로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단계;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하는 줌인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하는 줌아웃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한 손의 한 손가락으로 불편 없이 터치 입력함으로써 줌인 또는 줌아웃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SCREEN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상에서 화면 입력 및 화면 표시 기능을 겸용하게 된다. 특히 화면 표시는 핀치 줌인 또는 핀치 줌아웃과 같은 터치에 의해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을 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을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대부분 핀치 줌(Pinch Zoom)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핀치 줌은 두 지점의 터치를 검출한 뒤, 두 지점의 길이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 지점의 길이가 길어지면, 화면을 확대하는 줌인이 실행되고, 두 지점의 길이가 짧아지면, 화면이 축소하는 줌아웃이 실행된다. 이런 경우, 대형 단말 사용자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 이유는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야만 핀치 줌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한 손가락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에 의하여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 실행된다. 이 때,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은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 또는 길이에 비례하여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단계;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하는 줌인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하는 줌아웃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터치 이동방향의 변경 지점을 분석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단계;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하는 줌인 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방향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하는 줌아웃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터치감지 영역과 터치 비 감지영역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경계 통과 감지 시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터치인터랙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한 손가락의 터치인터랙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 한 손의 한 손가락으로 불편 없이 터치 입력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계를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인하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아웃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아웃하는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A -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인하는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아웃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A - 도 11C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아웃하는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의 변화가 있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비례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 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A 및 1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의 변화가 있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비례하여 줌인하는 화면 예시도.
도 14A 및 1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의 변화가 있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비례하여 줌아웃하는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은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등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인터랙션들 중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할 수 있는 터치 인터랙션은 드래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계는 휴대단말기의 배젤 영역과 터치 패널 영역의 경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는 터치패널 내의 활성화 영역과 비 활성화 영역의 경계일 수 있다. 터치 패널 영역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줌인 또는 줌아웃은 경계(즉, 베젤과 터치패널의 경계 또는 터치패널에서 활성화 영역과 비활성화 영역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검출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는 베젤 영역과 터치패널의 경계라고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무선통신부(120), 터치스크린(130), 저장부(140)을 포함하고,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패널(131)과 표시패널(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시패널(132)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횟수에 따른 줌비율을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비율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계산한 길이에 따라 줌비율을 설정한 후 표시되는 실행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방향 변경을 감지하면, 이동방향 변화 지점을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각도 변경 지점에서 이동되는 터치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 비율을 설정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 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CDMA, LTE, WCAMA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패널(131)과 표시패널(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패널(131)은 표시패널(13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132)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32)는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줌인 또는 줌아웃 수행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31)은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1)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 횟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터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40)는 터치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수행하는 줌 비율을 저장한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계를 설명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131)과 배젤 (201)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계(200)는 배젤(201)과 터치패널(131)사이의 경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131)은 터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비활성화 영역(205)과 터치를 감지하는 활성화 영역(20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계(200)는 터치패널(131)에서 상기 비활성화 영역(205)과 활성화 영역(207)의 경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패널(132)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실행화면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문서, 인터넷 등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을 통하여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대응되는 기능 또는 입력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305단계에서 상기 터치패널(1310)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으로 판단하면, 307단계에서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방향을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200)는 배젤(201)과 터치패널(131) 사이의 경계 또는 터치패널(131)을 비활성화 영역(205)과 활성화 영역(207)으로 나누는 경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9단계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감지되는 터치인터랙션을 분석하여 줌인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경계(200)를 기준으로 배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진입하는 드래그 방향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방향은 비활성화 영역(205)에서 활성화 영역(207)으로 진입하는 드래그 방향 일수 있다. 제어부(110)는 307단계에서 터치패널(131)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인터랙션이 제1방향이 아니면 제2방향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은 경계(200)를 기준으로 터치패널(131)에서 배젤(201)로 감지되는 드래그일 수 있으며, 또는 제2 방향은 활성화 영역(207)에서 비활성화 영역(205)으로 감지되는 드래그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터치 인터랙션이 제2 방향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13단계에서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이 줌인 화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표시패널(132)에 표시하고 있는 화면이 줌인 화면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15단계에서 상기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아웃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표시패널(132)에 표시하고 있는 화면이 줌인 화면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줌 아웃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317단계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패널(132)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10)는 확대하지 않은 원래의 화면을 표시패널(132)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종료 요구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고, 상기 종료 요구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인 시, 도 3의 309단계의 구체적인 수행단계는 도 4와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라 줌인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드래그되는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401단계에서 제1방향으로 감지되는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횟수를 누적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상기 누적된 검출 횟수에 대응되는 줌인 비율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설정된 줌인 비율에 대응되는 값으로 상기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줌인 비율은 미리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에 따른 값으로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는 줌인 제어하지 않은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501과 같이 제1방향의 터치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검출 횟수를 1로 누적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1회 검출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인 비율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도 5의 (b)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한다. 이후 503과 같이 제1 방향의 터치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1단계에서 검출 횟수를 2로 누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2회 검출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 비율을 설정한 후, 405단계에서 도 5의 (c)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505와 같이 제1방향의 터치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검출 횟수를 3으로 누적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3회 검출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인 비율을 설정하고, 405단계에서 도 5의(d)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화면을 줌인 제어하기 위한 디폴트 줌인 비율을 미리 설정한다. 제1 방향은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향하는(또는 터치패널의 비활성화 영역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향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의 터치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 횟수를 누적 증가시키며, 누적된 검출 횟수에 대응되는 값으로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도 6은 제2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 횟수에 따라 줌아웃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은 도 3의 315단계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이 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줌아웃이 실행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에서 베젤(201)로 드래그되는 제2 방향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601단계에서 제2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인터랙션의 횟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603단계에서 상기 검출 횟수에 대응되는 줌아웃 비율을 설정한 후, 605단계에서 설정된 줌아웃 비율에 대응되는 값으로 상기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아웃 제어한다.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른 줌아웃 비율은 미리 설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제2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횟수에 따라 화면의 줌아웃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줌 아웃 비율에 대응하여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의 줌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도7의(a)는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에 따라 줌인된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701과 같은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601단계에서 검출 횟수를 1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603단계에서 1회 검출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고, 605단계에서 설정된 줌아웃 비율로 도7의 (b)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한다. 이후, 703과 같이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501단계에서 검출횟수를 2로 누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603단계에서 2회 검출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아웃 비율을 설정한 후, 605단계에서 도 7C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한다. 이후, 705와 같이 제2 방향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601단계에서 검출횟수를 3으로 누적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603단계에서 검출한 3회에 대응되는 값으로 줌아웃 비율을 설정한 후, 605단계에서 도 7의 (d)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131)에서 베젤(201)로 향하는(또는 터치패널의 활성화 영역에서 비활성화 영역으로 향하는)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 횟수에 대응되는 값으로 화면을 줌아웃 제어한다.
도 8은 제1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인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은, 도 3의 309단계의 동작이 될 수 있다. 도 9A - 도 9C는 도 8과 같은 절차에 의해 줌인 제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A - 도 9C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드래그되는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801단계에서 경계(200)의 통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803단계에서 경계(200)와 터치 인터랙션이 종료된 위치(즉, 드래그가 종료(drop)된 위치) 사이의 거리(또는 길이)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200)는 베젤(201)과 터치패널(131) 사이의 경계 또는 터치패널(131)을 비활성화 영역(205)와 활성화 영역(207)으로 나누는 경계가 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805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대응되는 줌인 비율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807단계에서 결정된 줌인 비율에 대응되는 값으로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의 줌인 비율은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예를 들면, 일정 단위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2)로(또는 터치패널(132)의 비활성화 영역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통과하는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되는 거리(또는 길이)를 검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한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른 값으로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할 수 있다.
도 9A의(a)는 표시패널(132)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901과 같은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801단계에서 경계(200) 위치의 통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803단계에서 경계(200)부터 터치가 종료되는 지점(900)까지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805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비례하는 줌인 비율을 결정하고, 807단계에서 도 9B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결정된 줌인 비율로 줌인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줌인 비율은 제1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인터렉션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의 (a)에서 901과 같은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도 9A의 (b)와 같이 화면을 줌인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9B의 (c)에서 903과 같은 길이(즉, 상기 도 9(a)의 901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줌인 비율을 더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줌 비율로 도 9B 의 (d)와 같이 화면을 줌인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9C의 (e)에서 905와 같은 길이(즉, 상기 도 9B (c)의 903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줌인 비율을 더 크게 결정한다. 제어부(110)는 결정된 줌인 비율로 도 9C(f)와 같은 화면으로 줌인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제1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감지되는 터치 길이(거리)에 비례하는 줌인 비율을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설정된 줌인 비율에 따라 화면의 줌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제2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은 도 3의 315단계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될 수 있다. 도 11A - 도 11C는 도 10과 같은 절차에 따라 화면을 줌아웃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A - 도 11C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1001단계에서 터치패널(131)에서 베젤(201)로 드래그되는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1003단계에서 제1방향 터치 인터랙션의 시작지점(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시작 위치에서 경계(200)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200)는 베젤(201)과 터치패널(131) 사이의 경계 또는 터치패널(131)을 비활성화 영역(205)와 활성화 영역(207)으로 나누는 경계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1005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라 화면의 줌아웃 비율을 결정하고, 1007단계에서 결정된 줌아웃 비율로 화면을 줌아웃 제어한다.
도 11A의 (a)는 줌인 제어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1101과 같은 제2 방향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1001단계에서 터치 인터랙션의 시작지점(1100)을 확인하고, 경계(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1003단계에서 터치 인터랙션 시작지점(1100)에서 경계(200)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1005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 아웃 비율을 결정하고, 1007단계에서 도 11A (b)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결정된 줌 비율로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줌아웃 비율은 제2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터렉션의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즉, 도 11A (a)의 1101과 같은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도 11A (b)와 같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1B (c)에서 1103과 같은 길이(즉, 상기 도 11A (a)의 1101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줌인 비율을 더 크게 결정하여 도 11B (d)와 같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1C (e)에서 1105와 같은 길이(즉, 상기 도 11A(b)의 1103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줌아웃 비율을 더 크게 결정하여 도 11C (f)와 같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제2방향으로 발생되는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감지되는 터치 길이(거리)에 비례하는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며, 설정된 줌아웃 비율에 따라 화면의 줌아웃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2)로 진행되는 (또는 터치패널의 비활성화 영역(205)에서 활성화 영역(207)으로 진행되는) 제1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2)에서 감지한 터치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표시패널(131)에 표시되는 화면을 길이에 따라 설정된 줌인 비율로 줌인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면이 줌인 제어되는 상태에서 제2 방향의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2)영역에서 감지한 터치 인터랙션 길이에 따라 줌아웃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터치패널(132)에서 진행되어 베젤(201)로 진입되는(또는 터치패널의 활성화 영역(207)에서 비활성화 영역(205)으로 통과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결정한 줌 아웃 비율로 표시패널(131)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화면의 줌인/아웃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A - 도 13C는 도 12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면을 줌인 제어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A - 14C는 도 12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14A - 도 14C를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표시패널(132)에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실행화면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이미지, 문서, 인터넷 등의 화면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1203단계에서 제1 방향으로 경계(200)를 통과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이 발생되었는가 검사한다. 상기 경계(200)는 베젤(201)과 터치패널(131) 사이의 경계 또는 터치패널(131)을 비활성화 영역(205)과 활성화 영역(207)으로 나누는 경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방향은 베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향하는(또는 터치패널의 비활성화 영역(205)에서 활성화 영역(207)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계(200)를 통과하는 제1방향의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1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3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터치패널(131)을 통하여 제1 방향으로 경계(200)를 통과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1205단계에서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을 분석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이 경계(200)를 통과한 후 방향이 변경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 변화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1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3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면서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 변화를 분석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10)는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면, 1207단계에서 이동각도 변경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이 변경을 감지하면, 각도 변화가 발생된 지점을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할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를 설정한 상태(터치 인터렉션의 이동 방향이 변경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31)을 통하여 제2 터치 인터랙션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1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1211단계에서 제2터치 인터렉션의 이동 방향을 분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터치 인터렉션이 경계(200)를 통과하는 수평 이동이면, 상기 제2터치 인터렉션은 수직이동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은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평 이동의 제1터치 인터렉션에서 수직이동의 제2터치 인터렉션의 발생을 감지하면, 해당 위치(예를 들면, 수평 이동에서 수직이동으로 변경된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하기 위한 화면의 위치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제2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예를들면 상측 또는 하측 방향) 및 길이를 분석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 및 줌 비율을 결정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하측 방향인 경우에는 줌인 제어를 실행하며, 상측 방향인 경우에는 줌아웃 제어를 한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1211단계에서 제2 터치 인터랙션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1213단계에서 상기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방향이 하측으로 향하면 줌인으로 설정하고, 상측으로 향하면 줌아웃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1215단계에서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1217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 비율을 결정한 후, 1219단계에서 결정된 줌 비율로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상기와 같은 동작은 종료 요구(제2터치 인터렉션의 이동 종료 시(즉, 드래그가 종료(drop)되는 경우)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상기 종료 요구 입력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1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도 13A는 줌인 제어하지 않은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1301과 같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1203단계에서 제1 방향으로 경계를 통과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1205단계에서 터치패널(131)에서 제1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면, 1207단계에서 이동 각도 변경 지점을 도 13B (a)의 1300과 같이 줌인 또는 줌아웃하기 위한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도 13B의 (b)와 같이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하기 위한 위치(1300)를 결정한 이후, 1211단계에서 연속적인 동작으로 제2 터치 인터랙션(1303)의 이동방향을 분석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1213단계에서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13B의 (a)와 같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이 하측으로 향하면, 화면을 줌인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1215단계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1300)부터 제2터치 인터랙션 지점(1310)까지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제어부(110)는 1217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인 비율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1219단계에서 도 13B의 (b)와 같이 계산된 줌인 비율로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3C의 (c)와 같이 연속적인 동작으로 제2 터치 인터랙션(1305)을 감지하면, 제2터치 인터랙션 지점(1320)까지 변경되는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1217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인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1219단계에서 도 13C의 (d)와 같이 설정된 줌인 비율에 따른 값으로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배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향하는 (또는 터치패널의 비활성화 영역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향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방향 변화를 감지하면, 이동 방향 변화 지점을 줌인 위치로 설정한 후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판단한 이동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이동 방향 변경 위치에서 감지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길이에 따라 줌 비율을 설정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터치 인터렉션의 경계(200)는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터치 인터렉션은 터치패널에서 베젤로 이동할 때에도 동일하게 제1방향의 제1터치 인터렉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4A는 줌인 제어한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1401과 같이 제1 방향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1203단계에서 제1 방향으로 경계를 통과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1205단계에서 터치패널(131)을 통하여 감지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면, 1207단계에서 이동 각도 변화 지점을 도 14B에서 (a)의 1400과 같이 줌인 또는 줌아웃하기 위한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도 14B의 (a)와 같이 중심점(1400) 이후, 연속적인 동작으로 제2 터치 인터랙션(1403)을 감지하면, 1211단계에서 상단으로 향하는 제2 터치 인터랙션(1403)의 방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1213단계에서 제2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14B의 (a)와 같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이 상단으로 향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화면의 줌아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10)는 1215단계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위치(1300)부터 제2터치 인터랙션 지점(1410)까지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1217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여, 1219단계에서 도 14B의 (b)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도 14C의 (c)와 같이 제2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이 상단으로 향하면, 1215단계에서 줌아웃 위치(1400)부터 제2터치 인터랙션 지점(1420)까지 변경되는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1217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에 따른 줌비율을 설정하여, 1219단계에서 도 14C의 (d)와 같이 표시패널(132)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배젤(201)에서 터치패널(131)로 향하는 (또는 터치패널의 비활성화 영역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향하는) 제1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이동각도)가 변경되는 제2터치 인터렉션 감지 시,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 방향 변화 지점을 줌 위치로 설정한 후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이동 방향이 제2 방향(여기서는 상측 방향으로 가정)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화면의 줌 아웃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줌 아웃 위치에서 감지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된 길이에 따라 줌아웃 비율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된 줌 아웃 비율로 줌아웃 제어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먼저 제1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1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면, 줌아웃 위치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진행되는 제2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을 분석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을 결정하며, 제2터치 인터렉션의 이동 거리에 따라 줌비율을 설정한다. 이때 제2터치 인터렉션의 제1방향은 하측 방향이고 줌인 제어를 하며, 제2방향은 상측 방향이고 줌아웃 제어를 한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제1터치 인터렉션 이후, 방향이 하측으로 변경되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된 위치를 줌인 제어할 화면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그리고 제1터치 인터렉션에서 방향이 상측으로 변경되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된 위치를 줌아웃 제어할 화면의 위치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터치 인터렉션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터치 인터렉션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전 줌 제어 동작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터치 인터렉션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화면을 줌인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터치인터렉션의 이동이 상측 방향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1209 단계 및 1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3 단계에서 줌 아웃을 설정한 후 화면을 줌아웃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제2터치 인터렉션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화면을 줌아웃 제어는 상태에서 상기 제2터치 인터렉션의 이동이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줌 인을 설정한 후 화면을 줌인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무선통신부
130 : 터치스크린부
140 : 저장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단계;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하는 줌인 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하는 줌아웃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 횟수에 따라 줌인 비율이 설정되어 화면을 줌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 단계는,
    상기 제2 방향 터치 인터랙션의 검출 횟수에 따라 줌아웃 비율이 설정되어 화면을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감지단계는
    상기 베젤과 터치패널의 경계에서 터치인터랙션 감지 시,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터치 이동이면 제1방향으로 감지하고, 터치패널에서 베젤로 터치 이동이면 제2방향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터치 인터랙션의 터치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 단계는,
    상기 제2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터치 위치에서 경계 위치까지의 터치 길이에 따라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감지단계는
    상기 베젤과 터치패널의 경계에서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터치 이동이면 제1방향으로 감지하고, 터치패널에서 베젤로 터치 이동이면 제2방향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터치 이동방향의 변경 지점을 분석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단계;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하는 줌인 단계; 및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방향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하는 줌아웃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단계는 상기 변경 지점에서 제1이동방향으로 터치되는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하며,
    상기 줌아웃 단계는 상기 변경 지점에서 제2 이동방향으로 터치되는 길이에 따라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감지단계에서
    상기 경계위치에서 상기 터치인터랙션이 변경되는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 화면 위치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감지 단계는,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이동하는 수평 터치 인터랙션이며, 상기 제1방향은 변경지점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변경지점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터치감지 영역과 터치 비감지영역의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터치패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경계 통과 감지 시 터치 인터랙션의 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터치인터랙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이동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터치인터랙션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이면 화면을 줌인 제어하고, 상기 터치인터랙션의 이동방향이 제2방향이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검출 횟수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하고, 상기 제2 방향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검출 횟수에 따라 줌 아웃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터치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하고, 상기 제2방향의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터치 길이에 따라 줌아웃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은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젤과 터치패널의 경계에서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터치 이동 시 제1방향으로 감지하고, 터치패널에서 베젤로 터치 이동 시 제2방향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 감지 시 터치 이동방향의 변경 지점을 분석하며,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 방향이 제1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인 제어하고, 상기 터치 인터랙션의 변경방향이 제2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지점에서 제1이동방향으로 터치되는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인 제어하며, 상기 변경 지점에서 제2이동방향으로 터치되는 길이에 따라 줌인 비율을 설정하여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경계위치에서 감지되는 상기 터치인터랙션이 터치패널에서 방향이 변경되는 위치를 줌인 또는 줌아웃 화면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를 통과하는 터치 인터랙션은 베젤에서 터치패널로 이동하는 수평 터치 인터랙션이며, 제1방향은 변경지점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방향은 변경지점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65959A 2013-06-10 2013-06-10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4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59A KR20140144036A (ko) 2013-06-10 2013-06-10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59A KR20140144036A (ko) 2013-06-10 2013-06-10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36A true KR20140144036A (ko) 2014-12-18

Family

ID=5267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959A KR20140144036A (ko) 2013-06-10 2013-06-10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0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607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EP3451134B1 (en) Application associ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92567B1 (ko)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090066368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AU2014200468B2 (en) Sc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20150069184A (ko) 휴대형 전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3008049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4063498A (ja) 端末のズームレベル調節方法及びズームレベル調節が可能な端末
KR2013008235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화면을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700763A (zh) 终端界面窗口的移动方法及装置
KR20140111188A (ko) 단말기 및 그의 조작 방법
CN104765549A (zh) 一种移动终端显示界面缩放的实现方法和装置
KR102096070B1 (ko) 터치 인식 개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151300B1 (ko) 터치기구의 접근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101460363B1 (ko)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한 화면 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CN10772889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853895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4014403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283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16706B1 (ko)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표시화면을 스크롤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32210A (ko) 터치기구의 접근 인지를 이용한 휴대단말 및 그의 객체 표시 방법
KR102229818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