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001A -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 Google Patents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001A
KR20140144001A KR1020130065863A KR20130065863A KR20140144001A KR 20140144001 A KR20140144001 A KR 20140144001A KR 1020130065863 A KR1020130065863 A KR 1020130065863A KR 20130065863 A KR20130065863 A KR 20130065863A KR 20140144001 A KR20140144001 A KR 20140144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ubular
hole
organs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0227B1 (en
Inventor
손대구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6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227B1/en
Publication of KR2014014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17/0643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with separate closing member, e.g. for interlocking with sta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1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having at least three legs as part of one sing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3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operating the anastomosis of tubular organs. To connect the ends of separate tubular organs, anastomosis means equipped in each end of the tubular organs are adhered so that the tubular organs are anastomosed. Th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with an anastomosis means equipped in one end of a tubular organ; a second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with an anastomosis means equipped in one end of another tubular organ isolated from the tubular organ; and a coupling member for hinge-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ccordingly, anastomosis means for easily and rapidly anastomosing the ends of separate tubular organs can be simply adhered, so that the ends of separate tubular organs can be rapidly anastomosed.

Description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0002] Tubular organs of anastomosis procedure [0003]

본 발명은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격된 관상기관을 문합할 때 관상기관을 문합하는 문합수단을 밀착시키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nastomosis of a coronary org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anastomosis of a coronary organs in which an anastomotic means for fitting a coronary organs is contac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7376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 등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근육을 팽창시키는 근육 이완제 또는 항칼슘제를 사용하는 약물 요법과 수술에 의한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초기 단계의 치료에 유용하지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폐쇄 과정이 진행된 혈관에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따라서, 폐쇄 혈관의 직접적인 치료법인 수술 요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With reference to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7376, the incidence of vascular diseases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lack of exercise and westernization of the eating habits.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heart diseases are myocardial infarction and angina, caused by ischemia, which is blocked by blood vessels supplying nutrients and oxygen to the heart. As a method of treating such a closed vessel or a nearly closed vessel, drug therapy using an muscle relaxant or an anti-calcium agent for expanding blood vessel muscles and surgery therapy are used. Pharmacotherapy is useful for early-stage therapy, but it is not effective in reducing blood vessels that have already undergone a significant degree of occlusion. Therefore, surgical therapy, which is a direct treatment of closed vessels, is being performed.

수술 요법으로는 크게 내과적 방법과 외과적 방법이 있는데, 내과적 방법은 대퇴 정맥과 같은 혈관을 통해 금속망(Stent)을 폐쇄 부위에 삽입하고 그곳에서 금속망을 팽창시켜 폐쇄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팽창 금속망을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416,5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수술한 후 얼마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금속망 사이로 병변조직이 삐져나오고 새로운 육아조직(granulartissue)이 금속망의 안쪽에 자라나게 되어 또다시 폐쇄과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가슴을 절개하여 열고(Open heart surgery) 다른 곳에서 가져온 혈관(주로, 다리 정맥)을 사용하여 막힌 부위를 우회 연결하는 외과적 수술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리 정맥의 한쪽 단부를 IMA(Internal Mammary Artery: 흉부 및 복부조직과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단부 대 단부(End-to-End)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로 연결하고, 다른 쪽 단부를 폐쇄 부위를 넘어선 혈관에 단부 대 측부 또는 측부 대 측부(Side-to-Side)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The surgical method is largely an internal medical method and a surgical method. The medical method is a method of inserting a metal mesh (stent) through a blood vessel such as a femoral vein into a closed part and expanding a metal mesh there, to be. Devices required for such a method of using an expanded metal network are disclosed in U.S. Patent No. 3,416,531 and the like. However, when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surgical operation in this way, lesion tissue protrudes through the metal mesh and a new granulartissue grows inside the metal mesh, and thus the process of closing the metal mesh again occurs. Therefore, as a more fundamental solution, a surgical procedure is mainly performed by bypassing a clogged area using a blood vessel (mainly a leg vein) taken from another part of the open heart surgery. At this time, one end of the leg vein is connected to an end-to-end or an end-to-side in an internal mammary artery (an artery supplying blood to the thoracic and abdominal tissues and muscle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side portion or a side portion side portion (Side-to-Side) of a blood vessel over the closed portion.

혈관은 크게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의 문합시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외번시켜서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심장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방법으로는,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확대경으로 확대된 수술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에 의해 일일히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봉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The blood vessels are composed of the inner layer (Intima), the middle layer (Media) and the outer layer (Adventitia). When the two vessels are connected, the inner layer must be connected externally. As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flap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anastomosing the cut blood vessels as well as the treatment of the above-mentioned heart diseases, a microsurgical surgeon can use a suture directly to secure an enlarged surgical field by a microscope or a high magnification magnifier, A method of sewing together is used. However, suturing can only be performed by a highly skilled physician and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suture the blood vessels in a region where the periodic bea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like the heart.

심장 수술시에는 장시간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봉합사를 사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혈관을 직접 봉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혈관 문합 장치 및 상기 혈관 문합 장치를 밀착시키기 위한 기구들이 고안되어 있는 실정이다.During cardiac surgery, it is necessary to stop the heart beating by artificially inducing a heart attack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order to avoid direct suturing of blood vessels by hand using a suture, a plurality of vascular grafting devices and mechanisms for tightly attaching the vascular grafting devices have been devised.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부합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이격된 관상기관의 양단부를 신속하게 봉합하기 위해 이격된 관상기관들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밀착시키도록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astomosis procedure of a coronary organs in which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tubular organ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된 관상기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관상기관의 각 단부에 구비된 문합수단을 밀착시켜 상기 관상기관을 문합시키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하나의 관상기관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에 일단이 체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하나의 관상기관과 이격된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에 일단이 체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힌지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astomosis procedure device for a coronary organs in which the anastomotic mean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tubular organ is tighten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tubular orga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 first frame,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an anastomosing means provided at one end of one tubular organ; A second frame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anastomosing mean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ther tubular organ located apart from the one tubular organ; And an engaging member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본 발명에 따른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문합수단은 하나의 관상기관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관상기관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몸체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1링부재;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관상기관과 문합되는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관상기관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2몸체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링부재; 상기 제1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착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과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안착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과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nastomosis procedur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stomotic means may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tubular organ penetrates, and a second tubular body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 first ring member including a first seat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so as to be seate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an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 portion;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tubular organ mates with the tubular organ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the second tubular body being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econd r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sea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t portion; A plurality of tubular orifices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tubular orifice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bout the first through hole, A fasten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tubular orific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s and a tubular orifice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second seating portion about the second through- 2 fastening member.

상기 제1안착부과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등 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홈과, 상기 복수개의 장착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s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can be mounted, And connecting groov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혈관 또는 관상기관의 일단이 안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having one end of a blood vessel or tubular organ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be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bent upwar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connection r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부에 안착되는 상기 관상기관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핀은 상기 제1링부재 또는 상기 제2링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in for fixing the tubular organ to be seated o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ding pi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ring member or the second ring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ing portion.

상기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는 티타늄(Titanium)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ing member and the second ring member may have a donut shape,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have a titanium material.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1몸체의 일면과 접지되는 제1접지단과, 상기 제1접지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a first grounding e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ground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havi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therein, And a first grip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end and held by the user.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접지단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지단은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접지단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may have a donut shap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ground terminal, a plurality of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접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part may include an upp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ing end and a low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ip par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rotatable by a hinge shaft Can be combined.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2몸체의 일면과 접지되는 제2접지단과, 상기 제2접지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has a second frame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a second grounding e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grounde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havi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therein, And a second grip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unding end and held by the user.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접지단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접지단은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접지단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ground terminal may have a donut shape,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und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접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제2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ing end and a low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porti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rotatable by a hinge shaft Can be combined.

본 발명에 따른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는 이격된 관상기관의 양단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수단을 간편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이격된 관상기관의 양단부를 신속하게 문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anastomo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bringing an anastomotic means capable of easily and rapidly interlocking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separated tubular organs into a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both ends of the separated tubular organs can be anastomos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이격된 관상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문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합 시술용 기구에 도 2에 도시된 문합수단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관상기관의 일단이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를 관통한 후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문합 시술용 기구의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가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에 고정된 이격된 관상기격을 문합 시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문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rument for anastomosing a tubular org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astomosing means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tubular organs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nastomotic means shown in FIG. 2 is mounted on the anastomosis procedure instrument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ounted state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tubular organ is fix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ring member and the second ring membe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of the anastomosis procedure instrument shown in Fig. 1 are rotated.
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aced-apart pipe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and the second ring member is engaged using the stitching operation mechanis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격된 관상기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문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합 시술용 기구에 도 2에 도시된 문합수단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관상기관의 일단이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를 관통한 후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문합 시술용 기구의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가 회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에 고정된 이격된 관상기격을 문합 시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문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astomosing means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tubular organs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astomosis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astomotic means shown in Fig. 2 is mounted on the surgical instrument,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of the anastomosis procedure device shown in FIG. 1 are rotate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paced apart pipe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and the second ring member is engaged using an anastomosis procedure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100)는 서로 이격된 관상기관(T1,T2)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이격된 관상기관(T1,T2)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문합수단(1)을 밀착시켜 이격된 관상기관(T1,T2)을 문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과,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apparatus 100 for anastomosing a tubular org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organs T1 and T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nect the ends of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The first frame 110,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are included in order to stitch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in close contact with the anastomotic means 1 provided at the end portion. do.

여기서, 상기 문합수단(1)은 이격된 관상기관(T1,T2)의 양단부의 문합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링부재(10)와, 제2링부재(20)와,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The anastomotic means 1 is for facilitating the anastomosi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first ring member 10, a second ring member 20, A member 30,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40.

상기 제1링부재(10)는 혈관을 포함하는 관상기관과 동일한 형상인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몸체(12)와 제1안착부(14) 및 복수개의 삽입홈(16)을 포함한다.The first ring member 10 preferably has a donut shape that is the same as a tubular organ including a blood vessel. The first ring member 10 includes a first body 12, a first seating portion 14,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 .

상기 제1몸체(12)의 중앙부에는 하나의 관상기관(T1)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2)의 일면에는 상기 제1관통홀(12a)을 관통한 상기 관상기관(T1)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안착부(14)와 대응되는 상기 제1몸체(12)의 다른 일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12)는 생체적합성과 사출성형 가공성이 우순한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through hole 12a through which one tubular organ T1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12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2. [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14)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dy 12 has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having superior biocompatibility and injection molding processability.

상기 제2링부재(20) 역시 상기 제1링부재(10)와 동일하게 혈관을 포함하는 관상기관과 동일한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몸체(22)와 제2안착부(24) 및 복수개의 삽입홈(26)을 포함한다.The second ring member 20 also has the same donut shape as the tubular organ including the blood vessel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ing member 10. The second ring member 20 has a second body 22 and a second seat 24,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6).

상기 제2몸체(22) 역시 그 중앙부에는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T2)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22)의 일면에는 상기 제2관통홀(22a)을 관통한 상기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T2)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2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안착부(24)와 대응되는 상기 제2몸체(22)의 다른 일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6)이 구비된다. 상기 제2몸체(22) 역시 생체적합성과 사출성형 가공성이 우순한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through hole 22a through which the other tubular organ T2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22. The second through hole 22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 And a second seat portion 24 on which the other tubular organ T2 passing through the second seat portion 24 is seated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t portion 24, There are provided two insertion grooves 26. [ The second body 22 preferably has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material having superior biocompatibility and injection molding processability.

상기 제1몸체(12)의 제1안착부(14)와 상기 제2몸체(22)의 제2안착부(24)에는 각각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안착부(14)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홀(12a)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장착홈(14a)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24)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통홀(22a)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장착홈(24a)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members 30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mbers 40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14 of the first body 12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s 24 of the second body 22, .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4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12a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can be moun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14,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4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22a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4. [

상기 제1안착부(14)와 상기 제2안착부(24)에는 각각 복수개의 연결홈(14b,24b)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홈(14b,24b)은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장착홈(14a,24a)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14)와 제2안착부(24)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14b and 24b are form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14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4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14b and 24b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mounting grooves 14b and 24b, (14a, 24a) of the first seat (14) and the second seat (24).

상기 제1안착부(14)의 장착홈(14a)과 상기 제2안착부(24)의 장착홈(24a)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제1체결부재(30) 및 제2체결부재(40)는 삽입부(32,42)와 절곡부(34,44) 및 연결고리(36,46)를 포함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14a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4 and the mounting groove 24a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24, respectively,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bending portions 34 and 44, and coupling rings 36 and 46.

상기 제1체결부재(30)는 상기 제1관통홀(12a)을 관통한 하나의 관상기관(T1)의 일단과 상기 제2관통홀(22a)을 관통한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T2)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체결부재(40) 역시 상기 제1체결부재(3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has one end of a tubular organ T1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a and another tubular organ T2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2a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also plays the same role as 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각각의 상기 삽입부(32,42)는 각각의 상기 장착홈(14a,24a)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기 연결고리(36,46)는 각각의 상기 연결홈(14b,24b)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32,42)의 상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12a) 및 제2관통홀(22a)을 관통한 각각의 관상기관(T1,T2)의 일단이 안착된다.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mounting grooves 14a and 24a and each of the connection rings 36 and 46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nection grooves 14b and 24b, One end of each tubular organ (T1, T2)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a)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32, 42).

상기 연결고리(36,46)는 상기 삽입부(32,42)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와이어(W)는 잘 끊어지지 않는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연결고리(36,46)가 상기 삽입부(32,42)와 와이어(W)로 연결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W)가 아닌 띠모양을 가지는 티타늄재질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rings 36 and 46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by a wire W. The wire W preferably has a material that is not broke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at the connection rings 36 and 46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by the wire W, but may be connected using a titanium material having a band shape instead of the wire W .

상기 삽입부(32, 42)와 상기 와이어(W) 또는 띠모양을 가지는 티타늄재질에 의해 연결된 상기 연결고리(36,46)는 각각의 상기 연결고리(36,46)가 연결된 부분은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리(36,46)가 연결된 부분은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가짐으로 인하여 관상기관이 연결되었을 때 관상기관을 압박하지 않고 여유를 주어 관상기관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rings 36 and 46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s 32 and 42 by the wire W or the titanium material having a band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ertain degree It is preferable to have a clearance. When the coronary organs are connected due to a certain degree of clearance,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rings 36 and 46 are connec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ronary organs by giving a margin without compressing the coronary organs.

상기 복수개의 장착홈(14a,24a)에 삽입되는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30)와 제2체결부재(40)는 상기 연결고리(36,46)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 인하여 낱개의 상기 제1체결부재(30) 및 상기 제2체결부재(40)가 상기 복수개의 장착홈(14a,24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members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40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4a and 24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rings 36 and 46, 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4a and 24a.

각각의 상기 절곡부(34,44)는 각각의 상기 삽입부(32,42)와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삽입부(32,42)의 일단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상기 삽입부(32,42)의 일단에서 절곡되는 상기 절곡부(34,44)는 90°이내의 각도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bending portions 34 and 44 is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and is bent at an upper portion from an end of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The bent portions 34 and 44, which are bent at one ends of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are preferably bent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상기 제1체결부재(30)의 삽입부(32)와 상기 제2체결부재(40)의 삽입부(42)에는 각각 고정핀(32a,42a)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핀(32a,42a)은 상기 제1관통홀(12a) 및 제2관통홀(22a)을 관통하여 제1안착부(14)와 제2안착부(24)에 안착되는 각각의 상기 관상기관(T1,T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Fixing pins 32a and 42a protrude upward from the insertion part 32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and the insertion part 42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The pins 32a and 42a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4 and 2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2a and 22a, T1, and T2.

각각의 상기 고정핀(32a,42a)은 상기 제1링부재(10) 및 제2링부재(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고정핀(32a,42a)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링부재(10) 및 제2링부재(2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각각의 상기 관상기관(T1,T2)이 상기 제1링부재(10) 및 제2링부재(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xing pins 32a and 42a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Each of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which is seated and fixed to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due to the inclined formation of the respective fixing pins 32a and 42a, The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체결부재(30) 삽입부(32)의 길이는 절곡부(34)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체결부재(40)의 삽입부(42) 길이 역시 절곡부(44)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42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ing portion 34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42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ing portion 34. [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length of

상기 각 삽입부(32,42)의 길이가 상기 각 절곡부(34,44)의 길이보다 길지 않게 되면, 상기 절곡부(34,44)가 이격된 각각의 관상기관(T1,T2)의 돌출된 일단을 양측에서 찝어서 연결할 때, 상기 삽입부(32,42)가 상기 장착홈(14a,24a)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격된 각각의 관상기관(T1,T2)을 정확하게 연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the lengths of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are not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bending portions 34 and 44, the projections of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spaced apart from the bending portions 34 and 4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portions 32 and 42 ar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s 14a and 24a when the end portions of the tubular organs T1 and T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problem arises.

상기 제1체결부재(30)와 상기 제2체결부재(40)는 티타늄(Titanium)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결부재(30) 및 제2체결부재(40)가 티타늄(Titanium) 재질을 가짐으로 인하여 잘 부러지지 않으면서 부식되지 않고, 무게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may be made of titanium. The first faste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0 have a titanium material so that they are not broken easily and are not corroded and have a weight saving effect.

상기 제1프레임(110)은 하나의 관상기관(T1)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1)인 제1링부재(10)에 일단이 체결된다. 상기 제1링부재(10)의 제1몸체(12) 일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돌기(114a)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16)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에 상기 제1링부재(10)가 장착되게 된다.The first frame 110 is fastened to the first ring member 10, which is an anastomotic means 1 provided at one end of one tubular organ T1.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2 of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14a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110 The first ring member 10 is mounted to the first frame 1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

상기 제1프레임(110)은 제1프레임부(112)와, 제1접지단(114)과, 제1손잡이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부(112)에는 후술되는 결합부재(130)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H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부(112)의 일단에는 제1접지단(114)이 구비된다. 상기 제1프레임부(112)와 상기 제1접지단(11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접지단(114)은 상기 제1몸체(12)와 동일한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rame 110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112, a first grounding end 114, and a first handle 116. The first frame part 112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H1 through which a coupling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first grounding end 11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part 112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rame part 112 and the first grounding end 11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at the first grounding end 114 has the same donut shape as the first body 12 Do.

상기 제1접지단(114)이 상기 제1몸체(12)와 동일한 도넛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몸체(12)와의 접지가 원활해진다. 상기 제1접지단(114)의 일면에는 상기 제1몸체(12)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6)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돌기(114a)가 형성된다.The first ground terminal 114 has the same donut shape as the first body 12, so that grounding with the first body 12 is smooth.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rotrusions 114a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6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1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grounding end 114.

상기 제1프레임(110)의 타단에는 제1손잡이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손잡이부(116)는 상기 제1접지단(114)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1손잡이부(116)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제1프레임(110)을 사용자가 파지하게 된다.A first handle 116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10. The first handle 116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unding end 114 and the user can grasp the first frame 110 due to insertion of the user's finger into the first handle 116 do.

상기 제1프레임부(112)는 상단프레임(112a)과 하단프레임(11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프레임(112a)은 상기 제1접지단(114)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하단프레임(112b)는 상기 제1손잡이부(116)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상단프레임(112a)과 상기 하단프레임(112b)은 힌지축(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rame part 112 includes an upper frame 112a and a lower frame 112b. The upper frame 112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114 and the lower frame 112b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ip 116. [ The upper frame 112a and the lower frame 112b are preferably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axis H. [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제1프레임부(112)가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제1링부재(10)에 하나의 관상기관(T1)이 장착 시에는 수술자의 시야와 평행하게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관상기관(T1)의 장착을 원활하게 하고, 관상기관(T1)을 문합 시에는 수술자의 시야가 90°로 회전시켜 문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A tubular organ T1 is attached to the first ring member 10 mounted on the first frame 110 because the first frame member 112 of the first frame 110 is rotatable (T1)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anastomosis of the coronary organs (T1) by rotating the coronary organs (T1) in parallel with the field of view of the operator.

상기 제2프레임(120)은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T2)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1)인 제2링부재(20)에 일단이 체결된다. 상기 제2링부재(20)의 제2몸체(22) 일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26)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일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돌기(124a)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26)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사기 제2프레임(120)에 상기 제2링부재(20)가 장착되게 된다.One end of the second frame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member 20, which is an anastomotic means 1 provided at one end of the other tubular organ T2.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6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 of the second ring member 20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rojections 124a provided on one end of the second frame 120 The second ring member 20 is mounted on the second frame 1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6.

상기 제2프레임(120) 역시 상기 제1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제2프레임부(122)와, 제2접지단(124)과, 제2손잡이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부(122) 역시 후술되는 결합부재(130)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H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부(122)의 일단에는 제2접지단(124)이 구비된다. 상기 제2프레임부(122)와 상기 제2접지단(12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삽입단(124)은 상기 제2몸체(22)와 동일한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rame 120 also includes a second frame portion 122, a second grounding end 124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126 similar to the first frame 110. The second frame part 122 is also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H2 into which a coupling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second grounding end 12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frame part 122 do.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rame part 122 and the second grounding end 12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at the second insertion end 124 has the same donut shape as the second body 22 Do.

상기 제2접지단(124)이 상기 제2몸체(22)와 동일한 도넛 형상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제2몸체(22)와의 접지가 원활해지며, 상기 제2접지단(124)의 일면에는 상기 제2몸체(22)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26)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돌기(124a)가 형성된다.Since the second grounding end 124 has the same donut shape as the second body 22, the grounding of the second grounding end 124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22 is smooth,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124a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6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22 are formed.

상기 제2프레임(120)의 타단에는 제2손잡이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손잡이부(126)는 상기 제2접지단(124)과 대응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제2손잡이부(126)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제2프레임(120)을 사용자가 파지하게 된다.A second handle 126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120. The second handle 126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grounding end 124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second frame 120 because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andle 126 do.

상기 제2프레임부(122) 역시 상기 제1프레임부(112)와 동일하게 상단프레임(122a)과 하단프레임(122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부(122)가 상단프레임(122a)과 하단프레임(122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상기 제1프레임부(112)에서 설명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frame part 122 may also include an upper frame 122a and a lower frame 122b like the first frame part 112. The reason why the second frame part 122 is composed of the upper frame 122a and the lower frame 122b is as described in the first frame part 11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을 힌지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20)에는 각각 제1관통공(H1)과 제2관통공(H2)이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재(130)가 상기 제1관통공(H1)과 제2관통공(H2)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을 연결하게 된다.The coupling member 130 hinges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he first frame 110 and the first frame 120 ar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H1 and a second through hole H2 which are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이 상기 결합부재(130)에 의해 힌지결합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을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13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과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일단에 장착된 제1링부재(10)와 제2링부재(20)을 이동시켜 상기 제1링부재(10)와 상기 제2링부재(20)를 밀착시키면서 제1체결수단(30)과 제2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제1링부재(10)와 제2링부재(20)를 체결시키게 된다.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hinged to each other by the engaging member 130 so that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held by the user holding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frame 110 and one end of the second frame 120 are moved while rotating around the engaging member 130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ring member 10 and the second ring member 20 can be fixed by using the first fastening means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40, (20).

따라서, 이격된 관상기관(T1,T2)의 양단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수단(1)을 간편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이격된 관상기관(T1,T2)의 양단부를 신속하게 문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refore, the anastomotic means 1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interlocking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separated tubular organs T1 and T2 can be easi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separated tubular organs T1 and T2 can be quickly anastomosed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T1 : 하나의 관상기관 T2 :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
1 : 문합수단 10 : 제1링부재
20 :제2링부재 30 : 제1체결수단
40 : 제2체결수단 100 :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110 : 제1프레임 112 : 제1프레임부
114 : 제1접지단 116 : 제1손잡이부
120 : 제2프레임 122 : 제2프레임부
124 : 제2접지단 126 : 제2손잡이부
130 : 체결부재
T1: one coronary organ T2: one coronary organ
1: anastomotic means 10: first ring member
20: second ring member 30: first fastening means
40: second fastening means 100: instrument for anastomosis of a coronary organs
110: first frame 112: first frame part
114: first ground end 116: first handle portion
120: second frame 122: second frame part
124: second grounding end 126: second gripping part
130: fastening member

Claims (14)

서로 이격된 관상기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관상기관의 각 단부에 구비된 문합수단을 밀착시켜 상기 관상기관을 문합시키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에 있어서,
하나의 관상기관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에 일단이 체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하나의 관상기관과 이격된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 일단에 구비되는 문합수단에 일단이 체결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힌지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An anastomosis instrument for a coronary organs in which the anastomotic mean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tubular organ is tighten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tubular organ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nastomate the tubular organ,
A first frame,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an anastomotic unit provided at one end of one tubular organ;
A second frame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anastomosing mean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ther tubular organ located apart from the one tubular organ; And
And an engaging member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합수단은,
하나의 관상기관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관상기관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몸체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1링부재;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관상기관과 문합되는 다른 하나의 관상기관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관상기관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2몸체의 다른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링부재;
상기 제1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착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과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안착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과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관상기관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astomotic means may comprise:
A first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tubular organ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is seated; a first body part having a first through- A first ring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 portion;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tubular organ mates with the tubular organ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the second tubular body being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econd r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sea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t portion;
A plurality of tubular orifices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tubular orifice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bout the first through hole, A fasten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tubular bodies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and a tubular body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second seat portion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An apparatus for anastomosis of a coronary organs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과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등 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홈과, 상기 복수개의 장착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provide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connection groov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can be mounted, And an anastomosing device for anastomosing the coronary orga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혈관 또는 관상기관의 일단이 안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metal,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having one end of a blood vessel or tubular organ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bend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bent upward from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connection ring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삽입부에 안착되는 상기 관상기관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은 상기 제1링부재 또는 상기 제2링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pin protruding upward to fix the tubular organ to be seated in the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projecting pin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ring member or the second ring mem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절곡부의 길이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end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 및 제2링부재는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ing member and the second ring member have a donut sha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는 티타늄(Titanium)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made of titaniu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1몸체의 일면과 접지되는 제1접지단과,
상기 제1접지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first frame comprises:
A first frame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A first ground terminal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ground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nd a first handle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ing end and held by a us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접지단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접지단은 도넛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접지단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ground terminal has a donut shape,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has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Wherein the anastomosis treatment device comprises: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접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제1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first frame part includes an upp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ing end, and a low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ip par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shaft And an anastomosis instrument for a coronary organ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2몸체의 일면과 접지되는 제2접지단과,
상기 제2접지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second frame comprises:
A second frame port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A second ground terminal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ground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havi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handle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unding end and held by a us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접지단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접지단은 도넛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접지단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2삽입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grounding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grounding end, the second grounding end has a donut shape, an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grounding end,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Wherein the anastomosis treatment device comprises: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접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제2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second frame portion includes an upp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ing end and a lower fram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ip portion,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shaft And an anastomosis instrument for a coronary organs.
KR20130065863A 2013-06-10 2013-06-10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KR101480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63A KR101480227B1 (en) 2013-06-10 2013-06-10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63A KR101480227B1 (en) 2013-06-10 2013-06-10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01A true KR20140144001A (en) 2014-12-18
KR101480227B1 KR101480227B1 (en) 2015-01-09

Family

ID=5258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863A KR101480227B1 (en) 2013-06-10 2013-06-10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2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9293A (en) * 2018-07-13 2018-12-18 张宇 A kind of blood vessel anastomat
KR20190054836A (en) * 2017-11-14 2019-05-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micro vascular anastomosis assist device and vascular anastomosis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9206D0 (en) 1992-04-29 1992-06-17 Hoskin William J Blood vessel clamps
US5591203A (en) 1995-03-24 1997-01-07 Organ, Inc. Anastomosis cuff manipulator tool
US8313013B2 (en) * 2006-04-06 2012-11-2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anastomosis
US8348128B2 (en) 2009-11-11 2013-01-08 Biorep Technologies, Inc. Anastomosis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836A (en) * 2017-11-14 2019-05-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micro vascular anastomosis assist device and vascular anastomosis method using the same
CN109009293A (en) * 2018-07-13 2018-12-18 张宇 A kind of blood vessel anasto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227B1 (en)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1522A (en) Anastomosis device
US6013027A (en) Method for using a tissue stabilization device during surgery
AU748436B2 (en) A tissue stabilization device for use during surgery having remotely actuated feet
AU734407B2 (en) A tissue stabilization device for use during surgery having a segmented shaft
US20100069710A1 (en) treatment method
US9566146B2 (en) Cardiovascular valve and valve housing apparatuses and systems
US6524322B1 (en) Anastomosis device
US8834353B2 (en) Medical manipulator,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US8439935B2 (en) Process and a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rectal and haemorrhoidal prolapse
BRPI0404196B1 (en) ANASTOMOSIS DEVICE OF ONE ANASTOMOSIS RING
US20040181244A1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101480227B1 (en) Tubular organs of organization for anastomosis procedure
US7008436B2 (en) Method and coupl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an vascular anastomoses
RU2213529C2 (en) Method and clip for clipping blood vessels, soft flexible structures and fixing tissues
KR101480226B1 (en) Tubular organs of anastomosis device
KR20020094075A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20090107376A (en) Anastomosis ring and installing method of the anastomosis
KR101010339B1 (en) Pusher and method of anastomosis using the pusher
US20100191263A1 (en) Prosthesis for laparoscopic anastomosis
KR20100093729A (en) End-to-side tubular anastomosis device and end-to-side vascular anastomosis surgery
RU2514729C2 (en) Angioplasty instrument
CN212490252U (en) Artificial blood vessel for overturning anastomosis
RU2805798C1 (en) Endoscopy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options)
KR101342622B1 (en) End-to-side tubular anastomotic device using forward-backward thread
CA3212879A1 (en) Laparoscopic anastomosi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