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915A -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915A
KR20140143915A KR20130065664A KR20130065664A KR20140143915A KR 20140143915 A KR20140143915 A KR 20140143915A KR 20130065664 A KR20130065664 A KR 20130065664A KR 20130065664 A KR20130065664 A KR 20130065664A KR 20140143915 A KR20140143915 A KR 2014014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ipe
cable tray
tra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행
조연호
김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915A/ko
Publication of KR2014014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의 손상방지를 위해 케이블 루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트레이(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파이프(1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에 파이프(11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이프(110)는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 이후 케이블 트레이상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LOOP SETTING DEVICE OF CABLE AND CABLE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상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루프를 설정하기 위한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운항할 때 파고 등의 영향으로 선체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며, 이때 선박에 포설된 케이블은 팽창, 수축의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3)을 포설할 때, 통상적으로 케이블(3)의 팽창, 수축으로 인한 케이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케이블 트레이(1)상에 파이프(2)를 삽입/고정하여 케이블 루프(케이블을 느슨하게 하는 것)를 설정한다.
즉, 케이블 트레이(1)상의 일정 간격마다 파이프(2)를 배치/고정한다. 그리고, 케이블(3)을 케이블 트레이(1)상에 포설한다. 그러면, 케이블(3)이 파이프(2)상을 통과할 때 케이블(3)이 산을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케이블(3)의 포설 완료 후 루프 기능을 위해 장착된 파이프(2)를 제거하게 되면 케이블(3)은 루프를 형성하면서 느슨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케이블 포설 방법 중에 장착된 파이프(2) 제거 시, 케이블(3)의 무게와 텐션으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파이프(2)를 인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해머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또한, 파이프(2)와 케이블(3) 간의 접촉마찰로 인해 피복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고정물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지그로서,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의 하측에 위치하며 고정물에 지그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지그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국내공개실용 20-2013-000144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 루프 설정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케이블 피복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상에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의 손상방지를 위해 케이블 루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상에 케이블 트레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파이프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이프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단부에는 상기 파이프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1 클램프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의 볼트공에 대응되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제2 클램프와;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양측단에는 롤러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롤러 홀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홀더는 상기 파이프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기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가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한 후, 볼트부를 제거하여 제1,2 클램프를 분리시켜 파이프를 케이블 트레이상으로 하강시킨 후,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파이프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 이후 케이블 트레이상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또한 케이블 포설 시 롤러가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마찰로 인한 케이블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여 손상으로 인한 별도 수정 작업이 줄어들어 작업시수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포설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종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은 종래보다 케이블 루프 설정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케이블 피복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의 손상방지를 위해 케이블 루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파이프(110), 체결수단(120) 및 롤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110)는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트레이(1)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체결수단(120)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1)에 파이프(110)를 견고하게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파이프(110)는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체결수단(120)의 분리 시, 케이블과 파이프(110) 간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켜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파이프(110)를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수단(120)은, 제1 클램프(121), 제2 클램프(122) 및 볼트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121)는 상단부에 상기 파이프(110)가 체결되는 체결공(121a)을 형성하고, 하단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볼트공(121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클램프(122)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가 체결되는 체결홈(12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클램프(121)의 볼트공(121b)에 대응되도록 볼트공(122b)을 형성한다.
상기 볼트부(123)는 상기 볼트공(121b,122b)에 체결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에 파이프(110)를 체결시킨다.
상기 롤러(140)는 베어링(130)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롤러(140)는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100)는 상기 파이프(110)의 양측단에 롤러(140)의 좌우 이동을 제한 즉,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롤러 홀더(1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롤러 홀더(150)는 상기 파이프(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러 홀더(150)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1)의 폭에 맞게 롤러(140)의 폭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100)가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3)을 포설한다(제1 과정). 이후에, 체결수단(120)의 볼트부(123)를 제거하여 제1,2 클램프(121,122)를 분리시킨 후 파이프(110)를 케이블 트레이(1)상으로 하강시킨다(제2 과정). 그러면, 케이블(3)과 파이프(110) 간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파이프(110)를 인출한다(제3 과정). 그러면 케이블 루프가 설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3)을 포설한 이후에 케이블 트레이(1)상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1)의 인출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 트레이 2 : 파이프
3 : 케이블 100 :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110 : 파이프 120 : 체결수단
121 : 제1 클램프 122 : 제2 클램프
123 : 볼트부 130 : 베어링
140 : 롤러 150 : 롤러 홀더
121a : 체결공 121b,122b : 볼트공
122a : 체결홈

Claims (7)

  1.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포설 시 케이블의 손상방지를 위해 케이블 루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100)로서,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 트레이(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파이프(1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에 파이프(11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이프(110)는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20)은,
    상단부에는 상기 파이프(110)가 체결되는 체결공(121a)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볼트공(121b)이 형성된 제1 클램프(121)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1)가 체결되는 체결홈(1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121)의 볼트공(121b)에 대응되도록 볼트공(122b)이 형성된 제2 클램프(122)와;
    상기 볼트공(121b,122b)에 체결되는 볼트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140)는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10)의 양측단에는 롤러(14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롤러 홀더(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 홀더(150)는 상기 파이프(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7.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100)가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1)상에 케이블(3)을 포설한 후, 볼트부(123)를 제거하여 제1,2 클램프(121,122)를 분리시켜 파이프(110)를 케이블 트레이(1)상으로 하강시킨 후, 케이블 트레이(1)로부터 파이프(110)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20130065664A 2013-06-10 2013-06-10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20140143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64A KR20140143915A (ko) 2013-06-10 2013-06-10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664A KR20140143915A (ko) 2013-06-10 2013-06-10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15A true KR20140143915A (ko) 2014-12-18

Family

ID=5267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664A KR20140143915A (ko) 2013-06-10 2013-06-10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6826A (zh) * 2017-10-11 2018-02-16 国家电网公司 一种渡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6826A (zh) * 2017-10-11 2018-02-16 国家电网公司 一种渡线器
CN107706826B (zh) * 2017-10-11 2019-10-29 国家电网公司 一种渡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816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20120083753A (ko) 케이블 안내 장치
MY172399A (en) Cable clamp
KR102061060B1 (ko)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JP2008118843A (ja) マンホール用ケーブル誘導装置
BR112013026441A2 (pt) método e sistema para abandonar / recuperar uma tubulação, utilizando um cabo conectado à tubulação, e um adaptador para implementar o método e o sistema
CN103306574B (zh) 装配式住宅pc预制构件窗框预埋安装固定方法及结构
US11550110B2 (en) Methods for the installa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s and devices thereof
CN211569207U (zh) 一种双排平移辊台
MX2019002112A (es) Sistemas, aparatos y metodos para maquinar tubos y/o bridas de tubos.
KR20150074232A (ko) 파워케이블 포설 작업용 지지 롤러
KR20140143915A (ko) 케이블 루프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BR112014013803A8 (pt) sistema compensador de suporte e método para montagem de elementos tubulares
GB0715999D0 (en) Method andapparatus for laying offshore pipeline from a vessel
CN109167322A (zh) 一种伸缩式电缆沟盖板支撑架
KR101209873B1 (ko) 3상 배전케이블 수직 인입 인출 가이드 롤러 장치
CN103972827A (zh) 一种新型线缆固定装置
CN202639156U (zh) 矿物电缆调直器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140002497U (ko) 케이블가이드
JP2015212193A (ja) クリップガイドの取付工具
CN102290747A (zh) 在水平桥架内敷设电缆的辅助装置及敷设方法
CN218850306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布线支架
JP201720085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パネル保持装置およびドアハンガーの交換方法
CN203599892U (zh) 一种用于管道加工车床的开放式管道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