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577A -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577A
KR20140143577A KR1020130065286A KR20130065286A KR20140143577A KR 20140143577 A KR20140143577 A KR 20140143577A KR 1020130065286 A KR1020130065286 A KR 1020130065286A KR 20130065286 A KR20130065286 A KR 20130065286A KR 20140143577 A KR20140143577 A KR 20140143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touch
sensing
pulse
determin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813B1 (ko
Inventor
김종학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3006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1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하모닉 특성 또는 주기적 특성을 갖는 노이즈를 회피하여 터치 센싱을 구현하도록 개선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가 제어될 수 있으며,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 감도 및 센싱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ING TOUCH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터치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모닉 특성 또는 주기적 특성을 갖는 노이즈를 회피하여 터치 센싱을 구현하도록 개선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기능은 모바일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대개의 경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되며,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터치 패널은 애드-온(Add-on) 방식이나 온-셀(On-Cell) 방식 또는 인-셀(In-Cell) 방식 등으로 평판 패널과 조합된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여서 기기를 조작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으로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터치 패널의 일예로 "뮤추얼 캐패시턴스 터치 센싱 장치"가 "미국공개특허 US 2009/0091551호"로 공개된 바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시스템은 터치에 대응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차동 방식으로 센싱하도록 개발되는 경우가 있다.
차동 방식의 터치 센싱 시스템은 노이즈에 강한 특성, 개선된 터치 감도 및 개선된 센싱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센싱 시스템에서, 터치 패널에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노이즈가 터치의 영향에 의하여 발생하며 센싱 라인을 따라 터치 영역에 하모닉 특성을 갖도록 분포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조합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노이즈와 같이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노이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주기적인 펄스의 영향에 의하여 유입되는 노이즈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충전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상황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은 파워 노이즈의 일종으로 차저 노이즈(Charger Noise)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차저 노이즈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다.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가 상기한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와 중첩되는 경우, 터치 패널의 터치에 의하여 센싱된 센싱 신호를 정확히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터치 센싱 시스템은 상술한 이유로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의 채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터치의 센싱을 위하여 제공되는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가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할 수 있도록 구동 펄스를 변경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에 분포하는 노이즈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한 회피 특성을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는, 터치 패널의 센싱 결과로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노이즈가 분포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노이즈 판단부; 및 상기 터치 패널의 구동을 위한 구동 펄스를 제공하고,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는 펄스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구동 펄스에 의하여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서 프레임 단위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노이즈가 분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센싱 시스템이 터치 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하여 능동적인 회피 특성을 가질 수 있어서,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 감도 및 센싱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노이즈 판단부와 펄스 제공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터치 영역의 센싱 라인 상의 터치 신호와 노이즈를 예시한 도면.
도 5은 구동 펄스를 예시한 파형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하모닉 특성을 갖는 차저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 신호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는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주기성 노이즈나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회피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터치 영역의 노이즈를 검출하고, 노이즈를 검출한 결과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며, 중심 주파수가 변경된 구동 펄스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를 구동함으로써 터치를 센싱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펄스 제공부(10), 구동 회로(12), 터치 패널(14), 센싱 회로(16), 이미지 버퍼(18), 디지털 로직부(20) 및 노이즈 판단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펄스 제공부(10)는 특정 중심 주파수를 갖는 구동 펄스를 구동 회로(12)에 제공하는 것이며, 구동 펄스는 후술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와 듀티비에 의하여 중심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구동 회로(12)는 펄스 제공부(10)에서 제공되는 구동 펄스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14)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여서 터치 패널(14)을 구동하는 것이다. 일례로 구동 신호는 차동 방식으로 터치 패널(14)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은 다수의 구동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다수의 센싱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라인과 센싱 라인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교차하거나 나란히 배치되어 터치 센싱을 위한 정전 용량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터치 패널(14)의 구동 라인에는 구동 회로(12)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14)에서 센싱 신호가 출력되며, 센싱 신호는 센싱 회로(16)에 입력된다. 센싱 신호도 구동 신호와 같이 차동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센싱 신호는 구동 펄스에 동기하여 터치 패널(14)의 프레임 단위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터치 패널(14)에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가 발생한 위치 즉 터치 영역에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센싱 신호의 변화가 발생한다.
센싱 회로(16)는 터치 패널(14)에서 차동 방식으로 인가되는 센싱 신호를 이미지 버퍼(18)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센싱 회로(16)는 센싱 신호의 증폭이나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버퍼(18)는 터치 패널(14)의 풀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단위의 저장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 회로(16)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을 갖도록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미지 버퍼(18)는 센싱 회로(16)에서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한 센싱 데이터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로우 데이터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 영역에 대한 다수의 센싱 라인들의 위치 별로 구분되어 디지털 값이 맵핑된 차동값을 갖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디지털 로직부(20)는 이미지 버퍼(18)에서 제공되는 상기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터치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한 터치 인식 및 인식된 터치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부품들을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지털 로직부(20)는 터치의 인식, 터치에 대한 좌표 계산 등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부가적인 고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로직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노이즈 판단부(22)를 포함하며, 노이즈 판단부(22)는 터치 패널(14)의 센싱 결과로 이미지 버퍼(18)에 저장된 후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노이즈가 분포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펄스 제공부(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펄스 제공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4)의 구동을 위한 구동 펄스를 구동 회로(12)로 제공하는 한편 상기한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노이즈 판단부(22)와 펄스 제공부(10) 간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노이즈 판단부(22)는 터치 인식부(30)와 노이즈 검출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부(30)는 프레임 단위로 이미지 버퍼(18)에서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노이즈 검출 회로는 터치 인식부(30)에서 인식된 터치 영역의 노이즈에 대응하는 노이즈 검출 값을 생성하고 노이즈 검출 값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노이즈 검출 회로는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터치 인식부(30)는 차동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 또는 차동값을 축적하여 노멀값을 갖도록 변경된 센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부(30)의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방식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제작자는 센싱 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터치 영역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위 경우 중 차동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터치 인식부(30)는 로우 데이터로 맵핑된 차동값들의 분포 상태를 판단하고 센싱 데이터의 변화 즉 차동 값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발생하는 부분들을 터치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동값들을 축적하여 노멀값을 갖도록 변경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터치 인식부(30)는 차동값들을 축적값으로 변환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인식부(30)는 이미지 버퍼(18)에서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고, 센싱 데이터 중 변화가 감지되는 부분의 차동값들을 축적값들으로 변환하는 부분 영역 축적(Partial Region Accumulation)을 수행하며, 축적된 값을 노멀값으로 판단하고, 노멀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이상인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터치 인식부(30)에서 인식된 터치 영역의 센싱 라인에 분포하는 노이즈를 카운트한 노이즈 검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상기한 노이즈 검출 값 자체를 노이즈 판단 신호로서 펄스 제공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상기한 노이즈 검출 값을 판단하여 노이즈의 검출 유무에 해당하는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노이즈 판단 신호로서 펄스 제공부(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노이즈 판단 신호의 출력 형태는 펄스 제공부(10)와 노이즈 판단부(22)에 포함되는 노이즈 검출 카운터(32) 간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제작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이즈 판단부(22)의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펄스 제공부(10)에 제공하며, 펄스 신호 제공부(10)는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주기 또는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정하여 상기 중심 주파수를 변동한 구동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펄스 제공부(10)는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주기적 특성 또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변동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된 노이즈 판단부(22)는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를 구비함에 의하여 센싱 라인에 존재하는 노이즈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노이즈 판단 신호로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한다. 그러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노이즈 판단부(22)는 센싱 라인들의 노이즈 개수의 평균, 분산값 또느 표준편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반영한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어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3의 제어 동작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14)은 구동 회로(12)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센싱 라인을 단위로 터치 여부를 스캔한다. 상기한 구동 신호는 펄스 제공부(10)의 구동 펄스에 동기되는 것이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터치를 센싱하도록 터치 패널(14)을 구동한다.
터치 패널(14)은 구동 펄스에 의하여 구동된 결과로서 센싱 신호를 센싱 회로(16)에 제공하며, 센싱 회로(16)는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차동 값을 갖는 로우 데이터를 이미지 버퍼(18)에 입력한다. 이때, 이미지 버퍼(18)에 저장되는 로우 데이터 센싱 데이터이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버퍼(18)에 저장되는 센싱 데이터는 노이즈 판단부(22)로 전달된다.
먼저, 프레임 단위의 센싱 데이터가 터치 인식부(30)로 입력되며(S10), 터치 인식부(30)는 프레임 단위의 센싱 데이터에서 터치 영역을 인식한다(S12).
터치 인식부(30)는 상술한 차동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로 터치 영역을 인식하거나 노멀값을 갖도록 변경된 센싱 데이터로 터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인식부(30)는 내부적으로 설정된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방법에 의하여 차동값 또는 노멀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인식된 터치 영역에 대한 정보는 터치 인식부(30)에서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로 제공된다.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터치 영역의 센싱 라인의 노이즈 검출(Noise Detecting : ND) 값을 카운트한다(S14).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에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노이즈와 같이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에 터치 패널이 영향을 받은 경우, 도 4와 같이 터치 영역의 터치 신호가 존재하는 센싱 라인 상에 노이즈가 주기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차저 노이즈(Charger Noise)에 영향을 받은 경우, 도 6과 같이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가 센싱 라인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상기한 노이즈를 카운트하여 노이즈 검출 값을 생성하며, 일 실시예로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노이즈 검출 값을 노이즈 판단신호로서 펄스 제공부(10)에 제공할 수 있다(S16).
제작자에 의하여 필요한 경우, 노이즈 검출 카운터(32)는 노이즈 검출 값을 변환하여 노이즈가 포함된 정도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노이즈 판단 신호로서 펄스 제공부(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펄스와 노이즈의 중심 주파수가 근접된 경우, 노이즈 검출 카운터(32)에서 카운트되는 노이즈의 개수가 많다. 그리고, 구동 펄스와 노이즈의 중심 주파수가 멀수록, 노이즈 검출 카운터(32)에서 카운트되는 노이즈의 개수는 줄어든다.
펄스 제공부(10)는 입력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참조하여 현재 출력되는 구동 펄스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지 판단한다(S18).
펄스 제공부(10)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참조하여 현재 출력되는 구동 펄스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 펄스를 변동한다. 구동 펄스는 도 5와 같이 예시될 수 있으며, 펄스 제공부(10)는 주기와 듀티비(D1 : D2)를 변경함에 따라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여 구동 펄스를 출력한다.
많은 수의 노이즈가 포함된 것에 해당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가 노이즈 검출 카운터(32)에서 출력되면, 펄스 제공부(10)는 구동 펄스의 주기와 듀티를 변경하여서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한다.
이때, 구동 펄스는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주기적 특성 또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중심 주파수가 변경되어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에 의하여, 도 6과 같이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중심 주파수(fn)에 중첩되게 터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가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중심 주파수(fo)가 변경될 수 있다.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 변경은 터치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터치 신호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한 영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가 노이즈의 중심 주파수를 회피하는 영역으로 변경되면, 터치 신호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한 주파수 영역에 생성되며, 터치 신호와 같이 검출되는 노이즈의 개수는 변경된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 대역에서 감소된다.
상기한 바에서 구동 펄스의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하여 터치 신호가 형성되는 주파수 영역을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동 펄스의 듀티비 즉 폭을 변경하는 것은 구동 펄스의 대역 폭을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기적 특성 또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와 중첩되어서 터치 신호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신호가 노이즈와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도록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하모닉 특성 또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하여 능동적인 회피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 감도 및 센싱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10 : 펄스 제공부 12 : 구동 회로
14 : 터치 패널 16 : 센싱 회로
18 : 이미지 버퍼 20 : 디지털 로직부
22 : 노이즈 판단부 30 : 터치 인식부
32 : 노이즈 검출 카운터

Claims (13)

  1. 터치 패널의 센싱 결과로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노이즈가 분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노이즈의 분포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노이즈 판단부; 및
    상기 터치 패널의 구동을 위한 구동 펄스를 제공하고,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는 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판단부는,
    프레임 단위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영역의 노이즈에 대응하는 노이즈 검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 값에 대응하는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노이즈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식부는 차동값을 갖는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차동값을 축적하여 노멀값을 갖도록 변경된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 회로는 상기 터치 영역의 센싱 라인에 분포하는 노이즈를 카운트 한 노이즈 검출 값을 제공하는 노이즈 검출 카운터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 카운터는 상기 노이즈 검출 값을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로 출력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공부는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주기 또는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제공부는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주기적 특성 또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8. 구동 펄스에 의하여 터치 패널을 구동하여서 프레임 단위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노이즈가 분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를 변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의 노이즈에 대응하는 노이즈 검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 값에 대응하는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 값은 상기 터치 영역의 센싱 라인에 분포하는 노이즈를 카운트하여 생성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 값이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로 출력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노이즈 판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펄스의 주기 또는 듀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변동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펄스의 중심 주파수는 주기적 특성 또는 하모닉 특성을 갖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회피하는 방향으로 변동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0065286A 2013-06-07 2013-06-07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KR10218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86A KR102187813B1 (ko) 2013-06-07 2013-06-07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86A KR102187813B1 (ko) 2013-06-07 2013-06-07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77A true KR20140143577A (ko) 2014-12-17
KR102187813B1 KR102187813B1 (ko) 2020-12-07

Family

ID=5267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86A KR102187813B1 (ko) 2013-06-07 2013-06-07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526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422342A (zh) * 2016-11-25 2017-02-22 广东哈代玩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琴节奏玩具熊及使用该玩具熊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500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오작동을 방지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61798A (ko) * 2009-12-02 2011-06-10 (주) 넥스트칩 동적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는 터치 센서 칩 및 동작 방법
KR20110136033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500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오작동을 방지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61798A (ko) * 2009-12-02 2011-06-10 (주) 넥스트칩 동적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는 터치 센서 칩 및 동작 방법
KR20110136033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526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422342A (zh) * 2016-11-25 2017-02-22 广东哈代玩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琴节奏玩具熊及使用该玩具熊的方法
CN106422342B (zh) * 2016-11-25 2022-04-29 广东哈一代玩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琴节奏玩具熊及使用该玩具熊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13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303B1 (en)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circuit, and touch display device
US10324547B2 (en) Active stylus pen, touch sens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38362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구동 주파수 변환 방법
US9182849B2 (en) Capacitive touch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ystem
KR10157323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520695B1 (ko) 능동형 스타일러스 펜과 그를 포함한 터치 센싱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80987B1 (ko) 터치 패널 구동 장치, 표시 장치, 휴대 단말기, 터치 패널 구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US10101819B2 (en) Control system for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US2014009206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71875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7791B1 (ko) 복합형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스캔 방법
KR20150027529A (ko) 터치 ic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00134331A (ko) 터치 위치 검출용 전자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및 터치 위치 검출 장치
CN103793099A (zh) 触摸感测系统及用以减少其延迟的方法
KR102616363B1 (ko) 구동 방법, 터치 센싱 회로 및 터치 표시 장치
KR20150071870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60004338A1 (en) Stylus,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touch detection
US20140347310A1 (en) Non-linear feedback capacitance sensing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KR101442041B1 (ko) 전자 장치 및 그 터치 패널을 스캔하기 위한 방법
KR20140143577A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US8421765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KR101509354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그의 노이즈 검출 방법
KR102092664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좌표 선택 회로 및 방법
KR102047976B1 (ko) 차동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