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638A -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638A
KR20140142638A KR1020130076777A KR20130076777A KR20140142638A KR 20140142638 A KR20140142638 A KR 20140142638A KR 1020130076777 A KR1020130076777 A KR 1020130076777A KR 20130076777 A KR20130076777 A KR 20130076777A KR 20140142638 A KR20140142638 A KR 2014014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793B1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ublication of KR2014014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도록 하여 일반 차량에서도 주차시 동영상이 이동통신단말(300)에 자동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ARKING LOCATION}
본 발명은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일반 자동차의 주차시에 그 주차위치에 관한 정보가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에 자동적으로 저장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쇼핑 센터 및 백화점 등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씩 있으므로, 간편하게 주차 위치를 저장하는 방법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은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음성으로 주차 위치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의 경우 운전자가 의식적으로 주차 위치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2’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엔진 시동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하고 엔진 시동이 정지되는 경우 주차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그 때의 자동차 위치를 자동적으로 주차 위치로 저장한다.
그런데 자동차가 야외에 있는 경우, 현재 널리 보급된 자동차용 GPS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차 위치를 구할 수 있지만, 건물 내 주차장에 자동차가 있는 경우 자동차의 주차 위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기가 어렵다. ‘특허문헌 2’에서는 주차장의 각 주차구역마다 설치된 ‘주차위치좌표발생부’가 자동차의 위치를 감지하여 챠량측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은 주차장의 각 주차구역마다 설치된 ‘주차위치좌표발생부’가 설치된 주차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3’의 ‘주차위치탐색지원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은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한 주차시의 동영상을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주차위치를 찾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당기거나 시동을 정지시키면 차량의 제어부가 그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당시까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운전자의 휴대단말에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운전자는 추후에 주차위치를 찾을 때 운전자의 휴대단말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주차위치탐색지원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은 차량의 제어부가 주차 브레이크 당김 또는 시동 정지를 감지한 후 휴대단말로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야 하므로, 기존의 일반 자동차의 제어부와 다르다.즉 그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부가 특별히 설계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일반 차량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KR 10-0350151 B1 2002. 08. 31. KR 10-2007-0111752 A 2007. 11. 22. JP 10-2007-065902 A 2007. 03. 1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 차량에서도 주차시의 영상 데이터가 운전자의 휴대단말(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에 자동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은,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 이동통신단말(300)을 포함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고, 카메라(200)는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으면 근거리통신을 통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주차시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주차시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 데이터에서 특정한 기준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200)가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는 시점에서 카메라(110)가 촬영한 하나의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인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방법은,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 이동통신단말(300)을 포함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에서 주차위치를 자동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300)이 카메라(2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동통신단말(300)의 내부 기억장치에 주차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단말(300)에 설치될 때, 이동통신단말(300)이 상기 방법을 실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은, 일반 차량에서도 주차시의 영상 데이터가 운전자의 휴대단말에 자동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의 블록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자동차(100)의 내부에는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 제어부(110)는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는 차량 제어부(110)가 주변의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이다. 근거리 통신 방식의 예로는 지그비(zigbee)통신, ISA100,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통신 등이 있다.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를 통해 차량 제어부(110)는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블랙박스 카메라와 같이 차량 주변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블랙박스 카메라에 근거리통신 장치(예를 들면, 와이파이 통신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한 블랙박스 카메라가 상품화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카메라(200)도 근거리통신 기능이 있는 카메라이다.
이동통신단말(300)은 근거리통신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근거리통신기능, 영상데이터 저장기능, 영상데이터 표시기능이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300)이 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300)은 운전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불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 근거리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 일반적인 자동차에도 이동통신단말(300)과 근거리통신을 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부(1110)와 차량측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를 갖춘 경우가 많다. 그 용도는 보통 운전 도중에 이동통신단말(300)로 전화가 올 경우 차량에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면 차량 제어부(110)는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 이동통신단말(300)이 근거리통신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끄면, 블랙박스 카메라와 기타 특수한 장치를 제외한 차량의 모든 전자장치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 이동통신단말(300)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끊어지도록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 이동통신단말(300)도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적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도록 설정된다.
이동통신단말(300)은 연결되어 있던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1)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200)에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요청한다. 카메라(200)가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해주면 이동통신단말(300)은 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운전자의 요청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차량 주차시에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주차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기 전 최근 5분간의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만일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카메라(2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달라져서 카메라(200)가 자동차 시동이 꺼지는 순간을 인지할 수 있다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시동이 꺼지기 전 최근 5분간의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분량은 5분이 아니라 그 외의 일정한 시간, 예를 들면 2분이나 3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운전자는 나중에 주차 위치를 찾을 때,이동통신단말(300)에 저장된 주차시 영상을 이동통신단말(300)의 표시부를 통해 보면서 주차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주차시 5분간의 동영상 데이터 모두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으므로, 1초의 동영상에 24프레임의 정지화면이 있다면 24프레임마다 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동통신단말(3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24프레임마다 한 프레임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주차시 영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주차시 영상 데이터 요청신호 수신 순간의 한 프레임과 1초 전 프레임, 10초 전 프레임, 60초 전 프레임, 5분 전 프레임으로 해서 다섯 프레임만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위의 다섯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주차시 영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주차 위치가 기억나지 않을 때 위의 다섯 프레임의 영상만 확인할 수 있어도 주차 위치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된다.
또는 주차시 영상 데이터 요청신호 수신 순간의 한 프레임만을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위의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주차시 영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주차 위치가 기억나지 않을 때 위의 한 프레임의 영상만 확인할 수 있어도 주차 위치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 외 다양한 기준에 의해 주차 시점에 촬영한 동영상에서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차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은,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 이동통신단말(300)을 포함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에서 주차위치를 자동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300)이 카메라(2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동통신단말(300)의 내부 기억장치에 주차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그런데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는 기존의 일반 차량일 수 있고,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는 근거리통신 기능이 있는 기존의 블랙박스 카메라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구성요소는 상기 방법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300)인데, 상기 이동통신단말(300)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설치함으로써 구현가능하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당연히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300)이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에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주차 앱"이라 한다.)을 설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주차 앱은 상기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때, 주차시 영상 데이터 수신 시간을 기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동을 끈 시간과 주차시 영상 데이터 수신 시간은 거의 동일하므로, 운전자가 주차시 영상 데이터 수신 시간을 확인하면 주차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야외에 주차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GPS 장치로 주차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상태라면, GPS 장치에 의해 파악된 위치 정보가 더욱 유용하다. 따라서 주차시 영상 테이터 외에도 GPS 장치에 의해 파악된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차시에 GPS 장치에 의해 파악된 위치 정보와 주차시 영상 정보를 동시에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통신단말(300)은 GPS 장치에 의해 파악된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300)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주차 앱은 이동통신단말(300)에서 주차 동영상 데이터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단말(300)에 설치된 주차 앱에 주차 위치 확인 명령을 입력하면 가장 최근에 받은 주차 동영상 정보를 이동통신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 앱을 통해 동영상을 볼 때, 주차한 시점부터 시간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이 시간의 역순으로 디스플레이되다가 그 주차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정보(예를 들면, 주차장의 벽이나 기둥에 주차 위치를 표시하는 문자 ‘3F24’와 같은 글자, 기타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문자나 그림)이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에 보이면 사용자는 동영상을 정지하고 그 정보가 표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자동차
110: 차량 제어부
120: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
200: 카메라
300: 이동통신단말

Claims (6)

  1.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 이동통신단말(300)을 포함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고,
    카메라(200)는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으면 근거리통신을 통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주차시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주차시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 데이터에서 특정한 기준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주차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200)가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받는 시점에서 카메라(110)가 촬영한 하나의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5. 차량 제어부(110)와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가 설치된 자동차(100), 근거리통신기능이 있는 카메라(200), 이동통신단말(300)을 포함하는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에서 주차위치를 자동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300)과 차량 근거리통신 송수신부(120)와의 근거리통신 연결이 끊어지면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을 통해 카메라(200)에 요청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300)이 카메라(200)로부터 주차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동통신단말(300)의 내부 기억장치에 주차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저장 방법.
  6. 이동통신단말(300)에 설치될 때, 이동통신단말(300)이 제5항의 주차위치 저장 방법을 실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76777A 2013-06-04 2013-07-01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474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850 2013-06-04
KR20130063850 2013-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638A true KR20140142638A (ko) 2014-12-12
KR101474793B1 KR101474793B1 (ko) 2014-12-24

Family

ID=5246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77A KR101474793B1 (ko) 2013-06-04 2013-07-01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941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 단말을 이용한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299B1 (ko) 2015-12-03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7356A (en) * 1974-12-10 1976-06-10 Sumitomo Bakelite Co Seikeikino hansosochi
JP4178154B2 (ja) * 2005-08-30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駐車位置探索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111752A (ko) * 2006-05-19 2007-11-2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 주차 위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5223645B2 (ja) * 2008-12-15 2013-06-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駐車位置案内システムおよび駐車位置案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941A (ko) * 2020-08-31 2022-03-08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 단말을 이용한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793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8957B (zh) 选择车辆上车位置
EP3319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start-stop function
CN111147810A (zh) 增强现实(ar)远程车辆协助
US10290212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US11919388B2 (en) Vehicle remote start prevention alert
CN102785645A (zh) 一种判断交通灯的方法及终端
US2016007876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 parked vehicle
KR101689621B1 (ko) 이중 와이파이 접속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CN104537860A (zh) 行车安全提示方法及装置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CN105511318A (zh) 控制车辆预热方法及装置
CN108615140B (zh) 行程提醒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532259A (zh) 汽车的遥控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0018623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1474793B1 (ko) 주차위치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N105157720A (zh) 一种基于位置共享的导航方法及装置
CN106740851B (zh) 控制自动驻车功能的方法及装置
CN106870180A (zh) 自动启停功能的关闭方法及装置
KR20140089999A (ko) 주차 구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042985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elf-balancing vehicle to park
CN108769427B (zh) 一种安全驾驶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载设备
CN106274908A (zh) 车辆功能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50013422A (ko) 주차 구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
EP3751907A1 (en) Dron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025799A (zh) 停车位置辅助搜寻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