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526A -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526A
KR20140142526A KR20130064057A KR20130064057A KR20140142526A KR 20140142526 A KR20140142526 A KR 20140142526A KR 20130064057 A KR20130064057 A KR 20130064057A KR 20130064057 A KR20130064057 A KR 20130064057A KR 20140142526 A KR20140142526 A KR 20140142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active material
nanocapsule
lipid
hydrophilic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884B1 (ko
Inventor
유광호
정관영
정태화
이효성
오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8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3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 esters (poly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각질의 세포막 및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성분과 과량의 친수성 활성물질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을 사용함으로써, 피부로의 경피흡수가 용이치 않은 친수성 활성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시켜 준다.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서 친수성 활성물질은 평균입자크기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 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농축 포집됨으로써,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의 경피 흡수를 촉진효과와, 농축 캡슐의 유지 및 안정성을 배가시키므로, 친수성 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적용을 기초화장품에서 색조화장품까지 다양하게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NANO-CONCENTRATED CAPSULE COMPOSITION WITH WATER-SOLUBLE ACTIVE MATERIAL USING THERMAL SENSITIVE LIPID-CONJUGATED PLURONIC,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 피부 온도인 32 내지 37℃에서 온도감응성을 나타내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적용하여, 피부로의 경피흡수가 용이치 않은 친수성 활성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시켜 주고, 평균입자크기가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친수성 활성물이 유효량의 10배 이상 되는 농도로 농축 포집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 10여 년 전부터 화장품산업뿐만 아니라, 제약, 전자, 통신, 기계 등의 산업 전분야에 나노기술은 미래의 기술로서 각광을 받고 있고, 또한 그 발전 잠재성과 효용가치는 이미 모든 과학분야에서 입증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구현하는 화장품산업 및 인간의 건강한 삶과 질병의 치료를 과학적으로 현실화하는 제약산업에 있어서 나노기술의 개발 및 그 발전은 실로 괄목할 만하다.
또한, 대부분의 나노기술은 효능을 발휘할 정도의 약물농도만큼을 나노크기의 캡슐에 효율적으로 담지하는 기술로서, 에멀젼, 리포좀으로 크게 양분되며, 상기에서 에멀젼은 친유성 물질을 캡슐화하고, 리포좀은 친수성 물질을 캡슐화하여 피부로 전달하는 기술로서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종래 마이크로에멀젼의 경우, 열역학적(thermodynamic) 안정성을 기준으로 하는데 반해, 나노에멀젼의 나노입자는 동역학적(kinetic)인 장기 안정성을 기준으로 삼는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나노에멀젼과 같은 나노입자를 제조함에 있어, 현재 가장 큰 문제는 고가의 장비와 이에 소모되는 큰 비용의 감가상각비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종래의 유화기법보다 훨씬 비싸고, 그 공정 또한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려 경제적으로 문제가 지적된다.
또한, 현재까지 대부분의 농축기술들은 대한민국특허 제197353호, 제126444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동식물성분들을 추출하고, 이를 동결건조(Freezed drying) 후, 농축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의 보관 및 안정성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나, 이를 화장료에 투입 시에는 캡슐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이를 캡슐화해서 피부로 전달하려면, 상기 언급한 고비용, 저효율의 나노기술들을 재차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4-84240호에서는 고형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라는 약물을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지질들을 이용하여 나노캡슐화하고, 동결건조하여 농축 안정화함으로써, 이의 보관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 역시 복잡한 공정을 가지고 있고, 대량생산 시 동결건조에 대한 균일성의 문제와 고비용, 특히 동결건조 시 수분증발로 인해 입자가 깨지거나 합일되어 원래 형성된 나노크기의 입자가 마이크로크기 이상으로 합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친수성 물질을 나노 캡슐화한 화장료는 나노기술의 적용시 수반되는 고비용, 저효율의 문제와 약물전달효율의 한계 등의 문제로 대부분 매우 고가의 화장료 제조에만 그 사용이 국한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응용이 용이하고, 약물전달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친유성 물질의 캡슐화와는 달리, 최내상이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수상으로 구성되어있는 친수성 물질의 캡슐의 경우, 이를 과량의 수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에 투입할 시에는 정전기적반발력, 입체장애효과, 수화효과의 3가지 원동력에 의해 캡슐 크기가 증가 또는 파괴되거나 친수성 활성물질이 탈리되는데, 이를 억제할 수 있도록 메타안정성이 부여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각질의 세포막 및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성분과 과량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나노캡슐화한 조성물을 개발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의 경피흡수(Transepidermal absorption of drugs)를 촉진하여 활성물질이 가지는 효능을 배가하여 기초화장품에서 색조화장품까지 확대적용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질의 세포막 및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성분과 과량의 친수성 활성물질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사용하여,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시킨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지질농축부;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 및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친수성 활성물질부; 및
나머지는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지질농축부에 사용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세라마이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되, 양 말단이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l은 92∼102이고, m은 60∼70이고, n은 95∼105이다.)
상기 지질농축부에 사용되는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질농축부에서의 친유성 항산화제는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벤조페논-3, 옥틸트리아존 및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및 리놀레익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지질농축부에 사용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2-펜탄디올, D-판테놀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부에서 친수성 항산화제는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벤조페논-2, 벤조페논-4 및 벤조페논-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55 내지 7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지질농축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에,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3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친수성 생리활성물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의 지질농축부에, (b)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부와 물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벌키하게 균일화하는 제1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c)의 제1농축상을 40 내지 7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농축상을 수화하는 단계; (e) 상기 (d)의 수화된 제 1 농축상을 40 내지 75℃의 온도 및 700 내지 1,500bar의 압력조건에서 처리하여 40 내지 150nm의 나노캡슐 입자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시키는 제2나노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농축상을 25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제2농축상의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진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친수성 활성물질이 평균입자크기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농축 포집되어, 이를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질의 세포막 및 세포간 지질과 유사한 성분과 과량의 친수성 활성물질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 촉진하여 피부침투를 극대화시켜 친수성 활성물질의 효능을 배가시키는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균일한 구형이고 다중층의 리포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이 평균입자크기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농축 포집됨으로써, 이를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진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서 안정화된 나노캡슐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과 물에 희석시킨 시료 1의 실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및 그로부터 얻어진 희석조성물간의 입도분석기의 측정결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로부터 얻어진 희석조성물을 고온(45℃)에서 2개월 경과 이후의 입자크기를 측정한 입도분석 결과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서 친수성 생리활성물의 용출량 측정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a)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지질농축부;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 및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친수성 활성물질부; 및
나머지는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피부의 조성과 유사성을 갖는 캡슐 입자벽 보강 및 경피 흡수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지질 이외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사용하고 이들 성분간의 최적화된 배합비율을 통해 10배 이상의 농도로 친수성 활성물질을 농축하면서 40 내지 150nm의 나노크기의 캡슐로 안정화시킨다. 이러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친수성 활성물질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고, 농축 캡슐의 유지 및 안정성을 배가시켜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에 원하는 양을 충분히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조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a) 지질농축부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부 온도인 32 내지 37℃에서 온도 감응성을 나타내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을 함유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세라마이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되, 양 말단이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l은 92∼102이고, m은 60∼70이고, n은 95∼105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 말단이 세라마이드로 치환된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바람직한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로 변경 치환될 수 있다.
이때, 온도감응성 고분자 양 말단기에 결합된 세라마이드(Ceramide), 레시틴(lecithin),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icolin),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등의 지질은 피부 인지질과 유사한 구조라서 쉽게 흡착되어 젖음(Wetting) 현상을 극대화시키고,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피부 온도 32 내지 37℃에서 나노 입자벽에서 응축되어 압력을 높이는 효과로 인하여, 침투(Penetrating) 현상을 높여 친수성 활성물질(약물)의 피부침투 효율을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함유함으로써, 피부로의 경피흡수가 용이치 않은 친수성 활성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시켜, 경피흡수(Transepidermal absorption)를 촉진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약물)이 가지는 효능을 배가한다. 나아가, 농축 캡슐의 유지 및 안정성을 배가시켜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에 원하는 양을 충분히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 함유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의 바람직한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중량% 함유되는 것이고, 상기 함량에서 0.5중량% 미만이면,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에 의한, 약물의 경피흡수에 도움을 주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룰 초과하면, 고온에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의 인지질은 수상에서 친수성 활성물질들을 기본적으로 다중층 리포좀 구조를 갖게 하고 캡슐의 최내상의 수상과 여러 겹의 지질이중층사이의 수상을 캡슐화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지질은 포화(saturated) 타입, 불포화(unsaturated) 타입 모두가 사용 가능하고, 상기 두 가지 타입에서 각각의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및 그들간의 2 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며, 1.0 내지 8.0중량% 함량으로 함유된다. 이때, 인지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친수성 활성물질을 캡슐화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8.0중량%를 초과하면, 그 자체의 용해가 매우 어렵고, 수상에서 겔(Gel)화되어 고압형 유화기에서의 처리가 어렵고, 처리되어도 나노크기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 함유되는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는데, 각 조성의 제시된 함량미만으로 함유되면,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입자벽에서 인지질 사이를 메꾸어 주는 접착제 역할이 미미하고, 자체가 피부 조성과의 유사성을 상실하여 약물의 경피흡수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반면에, 각 조성의 제시된 함량을 초과하여 함유되면, 사실상 용해시키기가 불가능하며 그 자체의 높은 결정성으로 탈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의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및 리놀레익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 함유되는 성분으로서, 친유성 항산화제는 대부분이 수상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의 친수성 활성물질들이 여러 겹의 지질이 중층 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안정화될 때 친수성 활성물질들의 산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벤조페논-3, 옥틸트리아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이들 중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때, 친유성 항산화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0.01 내지 0.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질농축부에 사용되는 용매는 대부분의 물에, 난용성인 지질을 완전히 용해하여 그 효율을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반드시 수산기(-OH,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용매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일례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2-펜탄디올, D-판테놀,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인지질을 포함한 지질들의 함량에 따라 통상적으로 알려진 사용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친수성 활성물질부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 함유되는 친수성 활성물질부는 소정의 물에 친수성 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 및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친수성 활성물질은 친수성이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아데노신, 알부틴, 비타민 C 및 그 친수성 유도체들, 이를 제외한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H 등의 각종 친수성 비타민 및 그 유도체, 아세틸글루코사민,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한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셀레늄아스파테이트, 각종 식물추출물 및 세포배양을 통해 얻어진 각종 펩타이드 성분들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한 것을 사용한다.
각각의 생리활성물질의 활성도 및 용해성에 따라 함량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는 이들 생리활성성분들의 용해성 및 그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통상의 범위에서 적용되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범위에 국한되지 아니할 것이다.
또한, 친수성 활성물질부의 수상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친수성 항산화제로는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벤조페논-2, 벤조페논-4, 벤조페논-9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이다.
(c) 물
상기 전체 조성물에서 (a) 지질농축부 및 (b) 친수성 활성물질부의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의 물을 사용하여 친수성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완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서 안정화된 나노캡슐의 모식도로서, 상기 기술한 조성간의 적절한 배합비율을 통해 10배 농도이상의 친수성 활성물질이 40 내지 150nm의 나노캡슐에 포집되어 농축되면서, 상기 과량의 친수성 활성물질이 최내상과 다층구조의 이중층 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나노크기로 농축 캡슐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연하면, 친수성 활성물질인 아데노신이 농축되어 40 내지 150nm 입자의 최내상 및 다층구조의 이중층 사이에 안정화된 리포좀 형태의 나노입자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실제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에 일정중량의 기재(Base) 조성물로 사용할 때, 친수성 활성물질(약물)을 포집한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구조 특히, 피부에 도포 시,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의 양 말단기에 결합된 지질(세라마이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피토스핑고신)이 피부 인지질과 유사한 구조라서 쉽게 흡착되어 젖음(Wetting)현상을 극대화시키고, 온도감응성 고분자가 피부 온도 31 내지 37℃에서 나노 입자벽에서 응축되어 압력을 높이는 효과로, 침투(Penetrating) 현상을 높여 친수성 활성물질(약물)의 피부침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a)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55 내지 7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지질농축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에,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3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친수성 활성물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의 지질농축부에, (b)의 친수성 활성물질부와 물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벌키(Bulky)하게 균일화하는 제 1 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c)의 제 1농축상을 40 내지 75℃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농축상을 수화(Hydration)하는 단계;
(e) 상기 (d)의 수화된 제 1 농축상을 40 내지 75℃의 온도 및 700 내지 1,500bar의 압력조건에서 처리하여 입자크기가 40 내지 150nm의 나노 캡슐입자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시키는 제 2 나노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 2 농축상을 25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제 2 농축상의 안정화단계로 수행된다.
이하,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공정별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지질농축부를 55 내지 75℃ 온도범위에서 용해하는 것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과 각 지질류를 각각 충분히 용해시키는데 용이한 온도범위이고, (b) 단계의 친수성 활성물질부는 활성물질의 안전성을 위하여 35 내지 55℃의 온도 범위에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후, (c) 단계는 상기 지질농축부에 친수성 활성물질부과 물을 투입하여 통상의 교반기(Agitator)로 1,000 내지 2,0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수용성 생리활성물질부를 투입하여 다시 1,000 내지 2,0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소정의 시간 내에 제 1 나노 농축상을 간단한 교반만으로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 1 농축상의 수화단계로서, 입자벽을 주로 구성하여 수상에서 여러 겹의 지질 이중층을 가지는 리포좀 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인지질과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분자 개개로 충분히 물에 수화되어 그 효율을 최대화하고, 상기의 지질농축부의 지질들과 최대한 규칙적인 계면배향(Interfacial orientation)을 통하여 계면에서 인지질과 세포간지질 성분들의 농도구배(Concentration gradient)로 인해 발생되는 불균일한 조성을 갖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d)의 수화 단계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30분 미만의 시간으로 수행하면, 수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계면에서 농도구배가 생기고 장기 안정성이 좋지 못하고, 반면에 2시간을 초과하면, 물에서 인지질의 가수분해(Hydrolysis)가 촉진되어 유화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e)의 제 2 농축상 형성단계는 수화된 제 1 농축상을 40 내지 150nm의 나노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내상면적을 최대화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의 캡슐화 효율을 극대화하는 단계이다.
(e) 단계에서 처리온도가 40 내지 75℃가 바람직하며, 상기 4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면, 인지질을 포함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자체의 고형화 온도(Solodification temperature)보다 낮아 고압형 유화기 처리시 문제가 있으며, 75℃를 초과하면, 고압형 유화기에서 가해지는 에너지와 더불어 높은 온도로서, 경우에 따라 친수성 활성물질 자체가 파괴되기도 하고, 고에너지 및 고함량의 지질농도로 인해 겔(Gel)화되어 점도가 상승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e) 단계에서의 처리압력은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조하는데 가해지는 에너지에 대한 중요한 인자로서, 700 내지 1,500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처리압력이 700바(bar) 미만이면, 30 내지 150nm로 균질한 나노 농축입자를 형성하기 어렵고, 1,500바를 초과하면, 너무 강한 힘에 의한 마찰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생리활성물질에 손상을 일으키며,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지방산들이 오히려 탈리되어 안정이 저하된다.
한편, (e) 단계에서 사용되는 고압형 유화기는 가압펌프에서 아주 높은 압력을 가하고, 이를 파이프와 같이 속이 빈 미세한 크기의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인터렉션 챔버(interactionchamber)에 통과시켜 고압을 고속으로 바꾸고, 인터렉션 챔버 내의 독특한 구조로 케비테이션(cavitation)이라 하는 일종의 진공현상 및 충돌에 의한 파쇄효과를 이용하여 나노크기를 갖는 입자를 만들 수 있는 기기로서, 입자를 분쇄시키는 힘이 종래의 믹서보다 훨씬 강력하다.
이후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은 (f) 단계를 통해,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제 2 농축상을 25 내지 40℃로 냉각시켜 제 2 농축상을 안정화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피부 유사 구조를 가지는 특정 성분들과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사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안정화된 나노크기 캡슐로 농축 제조함으로써, 나노기술의 적용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피부 약물전달 효과 증가와 고비용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포집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교반에 의해 피부유사 조성 및 구조를 갖는 친수성 활성물질의 나노캡슐을 손쉽게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나노 화장료가 가지는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적용하여, 피부로의 경피흡수가 용이치 않은 친수성 활성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한다. 특히, 유효량의 약 10배 이상의 농도로 친수성 활성물질을 40 내지 150nm의 나노캡슐 내에 농축시켜 안정화함으로써, 농축 효과로 인한 생리활성물질의 사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교반에 의해서 나노캡슐의 입자크기가 유지된다.
따라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화장료에, 간단한 교반으로 친수성 활성물질의 사용량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양을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전달 시,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Transepidermal absorption of drugs)를 촉진하여 생리 활성물질이 가지는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나노캡슐의 부피가 작아서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여 기초화장품뿐만 아니라 색조화장품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용해조에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지질농축부를 투입하여 70℃로 가온하여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해조에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친수성 활성물질부를 투입하여 4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지질농축부가 들어있는 용해조를 50℃로 유지하면서 교반기(Agitator)를 사용하여 1,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친수성 활성물질부를 투입하고 교반기(Agitator)를 사용하여 1,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균일화시켜 과량의 친수성활성성분을 벌키(Bulky)하게 균일화하여 제 1 농축상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제 1 농축상을 50℃로 유지하면서, 교반기(Agitator)를 이용하여 저속인 5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의 제 1 농축상을 충분히 수화(Hydration)시켰다. 상기의 수화된 제 1 농축상을 50℃에서 고압형 유화기[마이크로플루이딕스(Microfluidics), 모델명: M-110F]에 투입하여 9,000바의 압력으로 2회 처리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이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위치하면서 나노크기로 농축 캡슐화하여 제 2 농축상을 형성시켰다.
이후, 이를 28℃까지 교반기에서 500rpm의 속도로 서서히 교반하면서 냉각 안정화시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3>
하기 표 1에 제시된 조성에 따라 지질농축부, 친수성 활성물질부를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제시된 조성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조성 중, 지질농축부에서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4∼8>
하기 표 2에 제시된 조성에 따라 지질농축부, 친수성 활성물질부를 준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 실험예 1> 성상 및 투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통상의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매우 미세한 크기로 인하여 관찰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실시예 1∼3의 농축조성물과 비교예 4, 5 및 8의 농축조성물을 물 98중량%에, 2중량%를 넣고 희석시켜, 각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에, 하기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동결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성물의 나노입자 형태와 크기를 관찰한 결과, 얻어진 조성물의 입자가 매우 균일한 구형이었으며, 리포좀(Liposome)의 구조를 가지고, 40 내지 150㎚의 나노크기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왼쪽)과 물에 희석시킨 시료 1(오른쪽)의 실제 사진으로서, 투명성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표 3의 시료 1∼3의 경우에도 확인되는데, 시료 1∼3투입시 투명도가 3개월 결과시점에도 유지되는 반면, 시료 7∼9은 반투명해지거나 유백색으로 투명성이 불량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표 3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경우는 친수성 활성물질인 아데노신이 농축되어 40 내지 150nm 입자의 최내상 및 다층구조의 이중층 사이에 안정화된 리포좀 형태의 나노입자가 형성되었으며, 동결전자현미경으로 입자크기를 조사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평균입자크기가 각각 43, 51, 109㎚로서 매우 균일한 나노입자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상기와는 별도로,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농축조성물(A, C) 및 각각의 농축조성물이로부터 희석된 시료(B, D)을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ser, 독일국 소재 심파텍(Sympatec)의 NANOPHO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농축조성물 및 그로부터 얻어진 희석조성물 간의 입도분석기의 측정결과로서, 농축조성물과 희석조성물에서의 입자크기분석 결과가 변하지 않으므로, 메타안정성(Meta-stability)를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A) 및 실시예 2(B)로부터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과량의 물에 교반시킨 후 고온(45℃)에서 2개월 경과 이후의 입자크기를 측정한 입도분석 결과로서, 45℃에서 3개월 정도 관찰한 결과에도 입자크기변화가 없고 그 투명성 및 성상이 확인되므로, 고온과 장시간 보관에도 입자간 뭉침 없이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반면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3중량% 함유된 비교예 4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98 중량%의 물에 적용 시, 입자가 완전히 희석되어 메타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4중량% 함유된 비교예 5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고온에서 2주, 상온에서도 2개월 정도 경과 시 지나친 전하(Charge)로 인해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의 함량을 1중량%를 함유하더라도 인지질의 함량이 10중량%로 높게 함유되어 제조된 비교예 7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8은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 지방산의 함량이 언급한 양보다 미미할 경우, 일단 매우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58nm 정도의 나노크기를 형성하는 등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아데노신의 경피흡수 시험 시에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친수성 활성물질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연속상이 물인 화장료에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8에서와 같이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자체의 입자크기, 그 투명성 및 정정기적 반발력, 입체 장애, 수화효과 등의 원동력에 대한 적절한 메타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반면에, 다른 비교예들은 제조 직후에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자체에 탁도가 있거나 입자크기가 나노크기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 또는 일단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메타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자체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표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에 분산시 농축된 친수성 활성물질들의 탈리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제형 자체가 분리되어 친수성 물질을 나노크기로 캡슐화한 리포좀 입자를 얻을 수 없어 실제 상업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 실험예 3> 친수성 활성물질의 경피흡수량 평가
메타안정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인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8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 대하여, 과량의 물에 적용한 표 3의 시료 1, 2, 3, 시료 9로부터 수득된 나노크기를 갖는 제형들을 실제 피부에 적용하여, 사용된 친수성 활성물질(약물)인 아데노신의 경피흡수량를 측정하였다.
이때, 아데노신의 피부침투효과를 나타내는 경피흡수 실험은 용출시험기(Dissolution tester, ERWEKA DT800 Dissolution Tester, 독일국)에 시료 1, 2, 3, 8의 샘플 0.25g을 동량으로 넣고, 실제 사람의 피부(65세 남자 등판, Hans Biomed)를 장착시킨 인핸서 셀(Enhancer cell, ERWEKA, 독일국)을 넣고, 여기에 염화나트륨으로 pH 7.0 정도의 완충용액을 500㎖을 채우고, 온도를 실제 사람의 체온과 유사한 37℃로 조정하여 12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각각의 아데노신의 용출량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일본국, 시마즈(Shimadzu), LC-10V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서 친수성 생리활성물의 용출량 측정결과로서, 12시간경과 후 시료 1, 2, 3의 경우에는 모두 초기 투입된 양(0.04중량%)에 대해 약 99.9%, 99%, 94.5%의 아데노신 용출량을 얻음으로써,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용출량과 비교할 때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시료 4, 5, 6의 경우 각각 80.25%, 77.5%, 77%의 아데노신 용출량을 얻음으로써,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경피흡수에 보다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피부 온도에서의 용출 테스트 평가
상기 표 3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과량의 물에 희석시킨 시료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과량의 물에 희석시킨 시료 4 내지 6에 대하여, 피부 유사온도인 30∼38℃에서 친수성 활성물질의 용출여부를 실험하였다.
Figure pat00006
그 결과,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함유한 시료 1 내지 3은 35℃ 부근에서 미세 및 반투명으로 탁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피부 온도 부근에서 친수성 활성물질이 용출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 4 내지 6은 탁도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에, 피부 온도인 32 내지 37℃에서 온도감응성을 나타내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 촉진하여 피부침투를 극대화시켜 친수성 활성물질의 효능을 배가시키는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또한, 평균입자크기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Bilayer)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친수성 활성물질이 농축 포집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은 농축 캡슐의 유지 및 안정성을 배가시키므로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에 원하는 양을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간단한 교반에 의해 피부유사 조성 및 구조를 갖는 친수성 활성물질의 나노캡슐을 손쉽게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나노 화장료가 가지는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막 및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조성 및 구조를 가지고, 피부 유사온도에서 용출되어, 경피흡수를 최대로 높여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약물 침투효과와 동시에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는 다양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a)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Lipid-conjugated Pluronic)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지질농축부;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 및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친수성 생리활성물질부; 및
    나머지는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은 세라마이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피토스핑고신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되, 양 말단이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l은 92∼102이고, m은 60∼70이고, n은 95∼105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항산화제가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벤조페논-3, 옥틸트리아존 및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및 리놀레익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가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2-펜탄디올, D-판테놀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항산화제가 소듐메타바이설파이트, 벤조페논-2, 벤조페논-4 및 벤조페논-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8. (a)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용매 4.0 내지 25.0중량%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 0.5 내지 2.0중량%, 인지질 1.0 내지 8.0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1.5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5중량%, 지방산 0.05 내지 1.0중량% 및 친유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55 내지 7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지질농축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소정의 물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 0.4 내지 20.0중량%에, 친수성 항산화제 0.01 내지 0.5중량%를 3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친수성 생리활성물질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의 지질농축부에, (b)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부와 물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벌키하게 균일화하는 제1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c)의 제1농축상을 40 내지 7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농축상을 수화하는 단계;
    (e) 상기 (d)의 수화된 제 1 농축상을 40 내지 75℃의 온도 및 700 내지 1,500bar의 압력조건에서 처리하여 40 내지 150nm의 나노캡슐 입자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시키는 제2나노농축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농축상을 25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제2농축상의 안정화단계;로 이루어진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1 항의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친수성 활성물질이 함유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활성물질이 평균입자크기 40 내지 150㎚인 나노캡슐의 최내상의 수상 및 지질 이중층 사이에 형성된 수상에 농축 포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4057A 2013-06-04 2013-06-04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057A KR101507884B1 (ko) 2013-06-04 2013-06-04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057A KR101507884B1 (ko) 2013-06-04 2013-06-04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526A true KR20140142526A (ko) 2014-12-12
KR101507884B1 KR101507884B1 (ko) 2015-04-07

Family

ID=5245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4057A KR101507884B1 (ko) 2013-06-04 2013-06-04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8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76A1 (ko) * 2015-06-09 2016-12-15 한국콜마주식회사 다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KR20190110267A (ko) * 2018-03-20 2019-09-30 한국세라믹기술원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의 동시 전달을 위한 온도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및 이의 용도
WO2021107427A1 (ko) * 2019-11-25 2021-06-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생리 활성 물질 흡수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240A (ko) * 2003-03-27 2004-10-06 (주) 코스메디 고형지질나노입자, 이를 함유하는 활성성분 전달용약학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8033B1 (ko) 2006-08-11 2008-03-31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 함유 고체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848712B1 (ko) 2007-03-30 2008-07-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 가능한 온도 감응성 수화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549624B1 (ko) * 2008-04-30 2015-09-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온도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76A1 (ko) * 2015-06-09 2016-12-15 한국콜마주식회사 다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KR20190110267A (ko) * 2018-03-20 2019-09-30 한국세라믹기술원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의 동시 전달을 위한 온도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및 이의 용도
WO2021107427A1 (ko) * 2019-11-25 2021-06-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생리 활성 물질 흡수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884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41B1 (ko)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JP4758915B2 (ja) 多重層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33403B2 (en) Nanoparticles and nanoemulsions
EP1838286B1 (de) Herstellung von lipidbasierten nanopartikeln unter einsatz einer dualen asymmetrischen zentrifuge
KR20070113711A (ko)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5484B1 (ko)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1633639B1 (ko) 자기회합 겔 특성을 이용한 세포막 유사 구조의 나노 겔타입의 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EP2583671A1 (en) Colloidal nanoscale carriers for active hydrophilic substan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654846B1 (ko)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228230B2 (ja) リポソーム懸濁液の製造方法及びリポソームを用いた用途
CN112891244A (zh) 包含生物聚合物的活性物质载体
KR101509579B1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지질유사 막의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84B1 (ko) 온도감응성 고분자 지질을 이용하여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5494054B2 (ja) 二段階乳化によるリポソーム製造方法
Schröder et al. Pickering emulsions
Pelegrini et al. Novel green strategy to improve the hydrophobicity of cellulose nanocrystals and the interfacial elasticity of Pickering emulsions
KR100715311B1 (ko) 경피흡수가 증진되고 우르솔산이 안정화된 주름개선 화장료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237A (ko) 피부점착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903B1 (ko) 과량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 농축 캡슐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78467B1 (ko) 비오카닌 a의 친수성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캡슐 농축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86B1 (ko) 리포아미노산을 함유한 리파좀 캡슐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Bhokare Transfersomes: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KR100778946B1 (ko) 과량의 친유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 농축 캡슐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