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523A -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523A
KR20140142523A KR1020130064046A KR20130064046A KR20140142523A KR 20140142523 A KR20140142523 A KR 20140142523A KR 1020130064046 A KR1020130064046 A KR 1020130064046A KR 20130064046 A KR20130064046 A KR 20130064046A KR 20140142523 A KR20140142523 A KR 2014014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sual effect
applying
predetermined
predetermin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659B1 (ko
Inventor
양창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Abstract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IMAGES FOR APPLYING VISUAL EFFE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촬영 장치를 이용한 촬영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 하는 방법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촬영을 제어하는 명령을 내리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핸드폰, 스마트폰, 사진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한 각종 전자 장치에도 카메라 기능이 구비되어,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촬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촬영된 사진을 쉽게 편집하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쉽게 촬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는 손떨림 보정, 셀프 촬영, 자동 초점(Auto Focus;AF) 기술,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술에는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출원번호 2006-0066925(명칭; "촬영 모드를 자동 선택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발명자; 김대현,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 출원일; 2006년 7월 18일)에는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특허 출원번호 2004-0055177(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발명자; 김병주, 출원인; 주식회사팬택앤큐리텔, 출원일; 2004년 7월 15일)에는 검출된 빛의 양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촬영된 사진을 쉽게 편집하는 기술에는 현재 촬영 장치에는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에 스케치, 회색, 세피아 등과 같은 시각 효과를 적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후보정하는 경우 즉각적인 디지털 포토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사진 촬영 시 하나의 고정된 촬영 효과만을 프리뷰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추천 촬영 결과 영상들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추천 촬영 결과 영상을 실시간 프리뷰를 통해 촬영 전에 제안하며, 일반 사용자들이 사진 촬영을 통해 즉각적으로 선호하는 보정된 사진을 저장하기 위한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효과가 적용된 피사체의 영상과 시각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피사체의 영상을 함께 프리뷰로 제공하기 위한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촬영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사진 촬영 전 최적의 결과물로 선 보정된 추천 프리뷰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선 보정된 추천 프리뷰와 보정되지 않는 프리뷰를 동시에 표시하여 보정 전 후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이 사진 촬영을 통해 손쉽게 선호하는 보정된 사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의미 있는 디지털 촬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수행에 따라 프리뷰 및 추천 프리뷰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된 피사체를 구분하는 피사체 구분 항목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드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 중 추천 프리뷰에서의 이미지 선택을 통한 피사체 촬영 동작의 상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시각 효과, 피사체 구분 항목 등과 같은 명칭, 구성 소자 등의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광학부(도시되지 아니함), 렌즈구동부(도시되지 아니함),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정지 이미지 및 동영상 촬영과 같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50)의 구동 시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학부(도시되지 아니함)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와 셔터(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며, 렌즈 구동부(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구동되어 주변의 이미지를 촬상하며, 렌즈 구동부(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광학부(도시되지 아니함)의 렌즈(도시되지 아니함)가 구동되어 줌(zoom) 및 포커스(focus)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는 상기 광학부(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촬상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가 될 수 있으며, UHD(Ultra High Definition)급 이상의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의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는 글로벌셔터(global shutter; 도시되지 아니함)를 내장할 수도 있다. 상기 글로벌셔터(도시되지 아니함)는 일반적인 메카셔터(mecha shutter)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Wi-Fi), 3G/4G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등과 연결되거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71), 각(Angle)이 변화하는 정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또는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특징에 따라, 카메라 모듈(150)의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 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적용된 상기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된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면, 동시에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이미지 센서에서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하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적용된 상기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사진 촬영 시, 피사체 이미지와 함께 피사체에 시각 효과가 적용된 추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으로 사진 촬영과 동시에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하여 추후에 이미지를 보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동작을 도 4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m)와 시각 효과를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추천프리뷰(p;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와 촬영 버튼(t; 또는 촬영 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프리뷰(p)는 도 4와 같이 다른 추천 프리뷰를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l, r; 화면 넘김 버튼 또는 화면 넘김 키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200 단계에서는 피사체 인식 및 분석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 구분 항목들 중에서 획득된 이미지(이하에서는 피사체라 함)가 포함되는 해당 피사체 구분 항목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의 획득된 이미지가 포함되는 해당 피사체 구분 항목을 판단하는 것은 예를 들어, 검출된 빛,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결과값과의 유사성 판단 등에 따른 피사체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사체 구분 항목은 크게 인물(portrait), 접사(macro), 풍경(landscape), 빛(light)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인물은 얼굴 인식, 역광에서의 인물 인식, 야경에서의 인물 인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접사는 근거리에서 정물 인식, 근거리에서 문자 인식, 근거리에서 색상 인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풍경은 풍경 인식, 파란 하늘 인식, 산 혹은 녹색 풍경 인식으로 구분 될 수 있으며, 빛은 야경 인식, 불꽃놀이 인식, 역광 인식, 석양 인식, 노출 과다 인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가 도 3의 (a)와 같이 역광에서의 인물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피사체 구분 항목들 중 역광에서 인물 인식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220 단계에서는 촬영 모드를 자동 선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200 단계에서의 피사체 구분 항목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는 야간에 빛의 궤적을 촬영하는 모드, 인물의 실루엣만 강조하여 촬영하는 모드, 빠른 움직임을 포착하여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 모드, 인물 주변이 아웃포커싱되어 촬영되는 모드,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의 잡티를 제거할 수 있는 모드, 역광상태에서 인물을 밝게 하여 촬영하는 모드, 어두운 야경을 밝고 노이즈 없이 촬영해주는 모드(연사 후 합성), 여러 단계 밝기 별로 연사 촬영 후 한 장으로 합성하여 어두운 부분 및 밝은 부분을 보정하는 모드, 가까이에 있는 정물을 촬영하는 모드, 및 파노라마 촬영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200 단계의 동작으로 피사체 구분 항목이 역광에서 인물 인식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응하는 역광상태에서 인물을 밝게 하여 촬영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도 3의 (b)와 같이 자동으로 촬영 모드를 변경한다.
이후 240 단계에서는 상기 220 단계에서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선택된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는 제조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미리 정해진 것일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또한 시각 효과가 다수일 경우에는 시각 효과 별로 각각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각 효과는 일반(normal), 비네팅(vignetting), 미니어쳐(miniature), 카툰(cartoon), HDR 아트(HDR Art), 피시 아이(Fish Eye), 복고풍(Retro), 빈티지(Vintage), 오래된 사진(Old Photo), 세피아(Sepia(brown)), 네거티브(negative), 샤펀(sharpen), 잉크 페인팅(ink painting), 올드 페인팅(old painting), 크로스 필터(cross filter), 리플렉션(reflection), 컬라이더스코프(Kaleidoscope), 회색(gray), 선샤인(sunshine), 스케치(sketch)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시각 효과는 자동 레벨(Auto level), 렌즈 플레어(lens flare)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220 단계에서 선택된 역광상태에서 인물을 밝게 하여 촬영하는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가 자동 레벨(Auto level), 렌즈 플레어(lens flare), 비네팅(vignetting)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도 3의 (c)와 같이 각 시각 효과 별로 각각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260 단계에서는 생성된 각각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추천프리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각 시각 효과별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가 추천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우선순위는 제조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비네팅(vignetting)이 적용된 이미지(c3)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다음은 렌즈 플레어(lens flare)가 적용된 이미지(c2)이며, 자동 레벨(Auto level)이 적용된 이미지(c1)가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프리뷰(m)에는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도 3의 (a)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추천프리뷰(p)에는 도 3의 (c)의 시각 효과가 적용된 각각의 이미지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비네팅(vignetting)이 적용된 이미지(c3)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280 단계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며,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시각 효과를 적용한다. 도 8을 참조하여 280 단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81 단계에서는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선택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선택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281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즉,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83 단계로 진행하고, 추천 프리뷰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287 단계로 진행한다.
281 단계 이후 283 단계에서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다시 말해서,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의 선택 시, 이미지 센서에서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한다.
283 단계 이후 285 단계에서는 촬영된 피사체에 상기 선택된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와 동일한 시각 효과를 적용하여 저장한다.
한편, 281 단계 이후 287 단계에서는 화면 넘김 버튼의 선택 유무를 판단한다. 287 단계의 판단 결과, 즉 화면 넘김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89 단계로 진행하고, 화면 넘김 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
287 단계 이후 289 단계에서는 선택된 화면 넘김 버튼에 따라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해당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의 화면 넘김 효과는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키면서 다음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시각 효과에 대해서 각각의 이미지가 생성되어 있으며, 제1 우선순위를 갖는 이미지가 추천 프리뷰(p)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른쪽 화면 넘김 버튼(r)에 연속적으로 터치가 입력되면, 제2, 제3, 제4, 제 5, 제1 우선순위의 이미지 순으로 순차적으로 추천프리뷰(p)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왼쪽 화면 넘김 버튼(l)에 연속적으로 터치가 입력되면, 제5, 제4, 제3, 제2, 제1 우선순위의 이미지 순으로 순차적으로 추천프리뷰(p)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비네팅(vignetting)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c)가 추천프리뷰(p)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오른쪽 화면 넘김 버튼(r)에 터치가 입력되면 도 3의 (c)에서의 두 번째로 우선순위가 높은 렌즈 플레어(lens flare)가 적용된 이미지(b)를 추천프리뷰(p)에 디스플레이 한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비네팅(vignetting)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c)가 추천프리뷰(p)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왼쪽 화면 넘김 버튼(l)에 터치가 입력되면 도 3의 (c)에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자동 레벨(Auto level)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c1)룰 추천프리뷰(p)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285 단계에서 촬영된 피사체에 상기 선택된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이미지와 동일한 시각 효과를 적용하여 저장할 때, 동시에 시각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도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89 단계에서는 선택된 화면 넘김 버튼에 따라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해당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 했지만, 미리 설정된 제스쳐가 상기 추천프리뷰(p)에 입력되는 경우에도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해당 시각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추천 프리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제스쳐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손가락을 상기 추천 프리뷰(p)에 터치하여 빠르게 움직이고 떼는 플릭(flick)일 수 있으며, 또한 한 손가락을 상기 추천 프리뷰(p)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스와이프(swipe)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각각의 동작들은 그 전체 또는 일부가 병력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의 도 3 및 도 4의 추천 프리뷰(p)는 프리뷰(m) 좌측 위에 오버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추천 프리뷰(p)의 위치는 터치스크린 화면의 어느 영역이든 위치 가능하며, 또한 프리뷰(m)와 추천 프리뷰(m)가 분할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넘김 버튼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으며, 화면 넘김 버튼은 추천 프리뷰(p)와 인접한 부분의 상, 하, 좌, 우 등에 위치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화면의 어느 영역이든 위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20)

  1.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 구분 항목들 중에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포함되는 피사체 구분 항목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 구분 항목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시각 효과 별로 각각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생성된 각각의 이미지 중 우선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이후에,
    미리 설정된 제스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입력되면,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 별 각각의 이미지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스쳐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손가락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하여 빠르게 움직이고 떼는 플릭(flick) 또는 한 손가락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이후에,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 별 각각의 이미지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기 화면에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표시된 프리뷰 위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 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적용된 상기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된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면, 동시에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가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11.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촬영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 구분 항목들 중에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포함되는 피사체 구분 항목을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이미지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피사체 구분 항목에 대응하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시각 효과 별로 각각의 이미지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생성된 각각의 이미지 중 우선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이후에,
    미리 설정된 제스쳐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입력되면,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 별 각각의 이미지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 하나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스쳐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손가락을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하여 빠르게 움직이고 떼는 플릭(flick) 또는 한 손가락을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서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 효과를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적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이후에,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화면 넘김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시각 효과 별 각각의 이미지 중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하나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 하나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표시된 프리뷰 위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선택 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이미지를 획득하여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적용된 상기 시각 효과를 적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된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면, 동시에 상기 시각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장치.
KR1020130064046A 2013-06-04 2013-06-04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208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046A KR102081659B1 (ko) 2013-06-04 2013-06-04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046A KR102081659B1 (ko) 2013-06-04 2013-06-04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523A true KR20140142523A (ko) 2014-12-12
KR102081659B1 KR102081659B1 (ko) 2020-02-26

Family

ID=5245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046A KR102081659B1 (ko) 2013-06-04 2013-06-04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4958A4 (en) * 2018-02-14 2022-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0795A1 (en) * 2006-07-18 2008-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JP2009207170A (ja) * 2009-05-07 2009-09-10 Sony Corp 撮影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20122677A (ko) * 2011-04-29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2253797A (ja) * 2012-08-03 2012-12-20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0795A1 (en) * 2006-07-18 2008-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JP2009207170A (ja) * 2009-05-07 2009-09-10 Sony Corp 撮影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20122677A (ko) * 2011-04-29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2253797A (ja) * 2012-08-03 2012-12-20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4958A4 (en) * 2018-02-14 2022-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US11500533B2 (en) 2018-02-14 2022-11-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review image to be captured by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659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152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185286B2 (en) Combining effective images i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ameras
KR10198372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2162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59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filter
EP27530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KR20170112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34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00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19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N111754386A (zh) 图像区域屏蔽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546227A (zh) 虚拟镜头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KR1017175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57052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032492B (zh) 一种切歌的方法及装置
CN110992268A (zh) 背景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076629B1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CN111611414A (zh) 车辆检索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081659B1 (ko)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CN113592874A (zh) 图像显示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15009351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389547A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
KR101955280B1 (ko) 이미지 내에 포함된 얼굴에 대한 줌 효과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