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076A -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076A
KR20140142076A KR1020130063663A KR20130063663A KR20140142076A KR 20140142076 A KR20140142076 A KR 20140142076A KR 1020130063663 A KR1020130063663 A KR 1020130063663A KR 20130063663 A KR20130063663 A KR 20130063663A KR 20140142076 A KR20140142076 A KR 2014014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main body
hing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076A/ko
Publication of KR2014014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외부와 선단입구(13), 터미널입구(13') 및 전선입구(13")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이 안착된다. 상기 내부공간(12)중에서 상기 터미널인부(13')는 커버(30)의 차폐판(32)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힌지(28)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28)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9)와 상기 커버(30)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9')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만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의 터미널입구(13')쪽 양측 외면에는 제1 및 제2 결합돌기(14,2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걸이부(36)와 제2걸이부(3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30)를 하우징본체(10)에 결합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도 견고하게 커버(30)가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힌지(28)의 파손이 줄어들고 커버(30)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되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 with hinge type cover}
본 발명은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의 회전각도가 상대적으로 작고 체결력을 줄인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전선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중에서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터미널이 삽입된 입구를 힌지타입 커버로 막아서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타입 커버를 사용하는 커넥터에서는 하우징본체와 커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야 터미널이 밀리지 않게 되나, 작업자가 커버를 하우징본체에 체결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힌지타입 커버는 대체로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약 180도 정도가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와 하우징본체를 연결하는 힌지가 평평한 상태에서 절반으로 접히면서 겹쳐지도록 되면서 힌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4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가 하우징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력을 상대적으로 낮추면서도 결합상태는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의 파손을 최소화한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본체에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커버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적어도 선단과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제2연결부의 가상의 연장선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본체에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결합돌기 와 제1 및 제2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일측 표면에서 직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의 일측 표면에서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60도에서 110도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가상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가상의 연결선이 직교하도록 된다.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본체와 커버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커지도록 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는 상기 하우징본체 후단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데,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힌지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에는 제1결합안내면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 끝부분 및 일측면 부분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에는 제2결합안내면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안내면이나 제2결합안내면에 안내되게 상기 커버의 결합판 선단에는 결합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안착되는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커버의 연장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커버가 하우징본체에 결합될 때 제1결합돌기에 의해서만 탄성변형되면 제2결합돌기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과정이 진행되므로 상대적으로 결합력은 낮아지면서도, 일단 결합이 되면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동시에 커버와 결합되므로 상대적으로 결합상태는 더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커버와 하우징본체를 연결하는 힌지가 각각 커버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커버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회전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커버와 하우징본체의 결합상태에서의 힌지의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힌지의 파손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가 회전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에 의해 작업시에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은 전체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골격을 하우징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본체(10)를 적어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일측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선단입구(13)가 있다. 상기 선단입구(13)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공간(12)은 또한 상기 선단입구(13)의 반대쪽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터미널입구(13')를 가진다. 상기 터미널입구(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터미널입구(13')를 통해서는 상기 커버(30)가 차폐되기 전에 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또한 상기 선단입구(13)나 터미널입구(13')의 개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부와 연통되게 전선입구(13")를 가진다. 상기 전선입구(13")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선입구(13")는 터미널에 연결된 전선이 하우징본체(10)의 내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중에서 상기 터미널입구(13')에 인접한 서로 반대되는 양측 외면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14)와 제2결합돌기(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4)와 제2결합돌기(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를 하우징본체(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결합돌기(14)는 상기 제2결합돌기(20)와 비교할 때,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중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28)가 있는 쪽에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14)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에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4)의 외면중에서 상기 터미널입구(13')쪽과 힌지(28)쪽에는 제1결합안내면(1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안내면(16)은 상기 제1결합돌기(14)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제1결합안내면(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가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될 때 커버(3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14)의 외면중 상기 터미널입구(13')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면이 제1걸이면(18)이다. 상기 제1걸이면(18)에 커버(30)가 걸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커버(30)의 제1걸이부(36)의 일측 내면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20)의 외면중에서 상기 터미널입구(13')쪽에는 제2결합안내면(2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안내면(22)은 커버(30)의 결합판(34)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결합안내면(22)이 형성되지 않아도 상관은 없으나, 제2결합안내면(22)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보다 확실하게 결합판(34)과의 간섭이 회피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20)에서 상기 터미널입구(13')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면이 제2걸이면(24)인데, 상기 제2걸이면(24)에 커버(30)가 걸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커버(30)의 제2걸이부(38)의 일측 내면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20)에 인접하여서는 스토퍼(2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에 상기 제2결합돌기(20)와 일체로 또는 그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전선입구(13")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가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전선입구(13")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에는 힌지(28)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와 하우징본체(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28)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연결된 제1연결부(29)와 커버(30)에 연결된 제2연결부(29')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직교하게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되는 것이 좋다.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의 가상의 연장선이 일직선으로 되는 것은 종래의 경우와 같은 것이므로 의미가 없고, 상기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가 만나는 각도는 90도 전후의 각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가 만나는 각도가 60도에서 110도 사이의 값이 좋다. 여기서 60도보다 만나는 각도가 작으면 커버(30)가 터미널을 하우징본체에 삽입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110도보다 만나는 각도가 크면 힌지(28)가 꺽여지는 정도가 심하게 되어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1연결부(29)는 하우징본체(10)에 상기 제2연결부(29')는 커버(30)에 연결되는데, 이들 연결되는 부분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연결부(29)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에 직립되게, 상기 제2연결부(29')는 상기 커버(30)의 외면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29,29')가 상기 하우징본체(10) 및 커버(30)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횡단면적이 넓다. 즉, 상기 하우징본체(10)와 커버(3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힌지(28)에 의해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연결되게 커버(3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2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제2연결부(29')와 연결되는 연결판(31)이 있고, 상기 연결판(31)에 직교하게 차폐판(32)이 있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터미널입구(1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판(32)과 상기 연결판(31)에 동시에 직교하도록 만나는 결합판(34)이 상기 커버(3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연결판(31)은 상기 하우징본체(10)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4)와 제2결합돌기(20)가 형성된 양측 외면을 연결하는 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데, 상기 하우징본체(10)에서 터미널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보고 있는 부분이다.
상기 차폐판(32)의 내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리브(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리브(33)는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터미널을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편(34)은 상기 차폐판(32)의 폭방향 양측에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돌기(14,20)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본체(10)의 양측 외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결합편(34)에서 상기 차폐판(32)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그 내면을 따라 결합안내경사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안내경사면(35)은 상기 제1결합돌기(14)의 제1결합안내면(16)과 제2결합돌기(20)의 제2결합안내면(22)을 따라 안내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안내경사면(35)은 상기 결합편(34)의 해당부분이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34)에는 제1걸이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부(36)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제1결합돌기(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걸이부(36)는 상기 제1결합돌기(1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으로 상기 결합편(3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부(36)가 상기 결합편(34)을 반드시 관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편(34)의 내면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편(34)에는 또한 상기 제1걸이부(36)에 인접하여 제2걸이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부(38)는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제2결합돌기(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걸이부(38)는 상기 제2결합돌기(2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사각형이고 상기 결합편(34)의 선단 끝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본체(10)와 커버(30)가 상기 힌지(28)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28)를 통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일체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28)의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그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직교하게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입구(13') 근처에 상기 커버(30)가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의 내부공간(12)에 전선이 연결된 터미널을 삽입한 후에 상기 커버(30)를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12)으로는 상기 터미널입구(13')를 통해 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을 상기 내부공간(12)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커버(30)를 상기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시킨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커버(30)는 대략 원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하우징본체(10)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커버(30)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판(34)의 선단 쪽, 특히 상기 결합판(34)의 선단중에서 상기 제2연결부(29')에 연결된 반대쪽 부분이 상기 제1결합돌기(14)에 의해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탄성변형된다.
상기 결합판(34)의 선단이 탄성변형된 상태는 상기 결합판(34)이 상기 제1결합돌기(14)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에는 계속하여 유지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판(34)의 제1걸이부(36)에 상기 제1결합돌기(14)가 안착되기 전까지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판(34)의 선단 부분은 상기 제2결합돌기(20)와는 간섭됨이 없이 상기 커버(30)가 상기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20)가 상기 결합판(34)의 선단과 간섭되지 않는 것은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될 때 필요한 힘이 그 만큼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합판(34)의 제1걸이부(36)에 상기 제1결합돌기(14)가 안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2걸이부(38)에는 상기 제2결합돌기(20)가 안착되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것은 상기 제1결합돌기(14)의 제1걸이면(18)이 상기 제1걸이부(36)의 일측 내면에 걸어지고, 상기 제2결합돌기(20)의 제2걸이면(24)이 상기 제2걸이부(38)의 일측 내면에 걸어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결합돌기(14)와 제2결합돌기(20)에 상기 커버(30)가 동시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된 정도가 보다 견고하게 되어 분리하기 위한 힘이 커지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대략 90도 정도를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커버(30)와 하우징본체(10)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28)의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가 만나는 각도가 그러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연결부(29)와 제2연결부(29')가 만나는 각도 정도를 회전하여서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상기 커버(30)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커버(30)가 하우징본체(10)에 결합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짧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상기 커버(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28)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되므로, 힌지(28)가 양단이 서로 거의 밀착되게 접어지지 않으므로 파손의 위험이 거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입구(13)의 내부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되거나 상기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선단이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터미널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커버(30)의 차폐판(32)에 의해 차단된다. 즉, 상기 차폐판(32)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리브(33)가 터미널을 눌러주면서 지지하여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이 커넥터를 구성하여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를 상기 하우징본체(10)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결합판(34)의 선단을 공구나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2결합돌기(2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양측의 결합판(34)을 제2결합돌기(20)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판(34)의 제1걸이부(36)와 제2걸이부(38)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4)와 제2결합돌기(20)가 모두 분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커버(30)를 상기 힌지(28)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본체(10)에서 빠져 상기 터미널입구(13')를 통해 터미널을 하우징본체(10)의 내부공간(12)에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제1 및 제2결합돌기(14,2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에 제1 및 제2 걸이부(36,38)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제1 및 제2 걸이부(36,38)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14,20)가 형성되는 것이다.
10: 하우징본체 12: 내부공간
13: 선단입구 13': 터미널입구
13": 전선입구 14: 제1결합돌기
16: 제1결합안내면 18: 제1걸이면
20: 제2결합돌기 22: 제2결합안내면
24: 제2걸이면 26: 스토퍼
28: 힌지 29: 제1연결부
29': 제2연결부 30: 커버
31: 연결판 32: 차폐판
33: 누름리브 34: 결합판
36: 제1걸이부 38: 제2걸이부

Claims (9)

  1. 터미널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적어도 선단과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본체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제2연결부의 가상의 연장선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본체에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본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결합돌기 와 제1 및 제2걸이부를 포함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일측 표면에서 직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커버의 일측 표면에서 직립되게 형성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60도에서 110도 사이의 각도범위에서 가상의 연장선이 만나도록 형성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가상의 연결선이 직교하도록 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본체와 커버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커지도록 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는 상기 하우징본체 후단의 양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데,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힌지쪽에 위치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에는 제1결합안내면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 끝부분 및 일측면 부분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에는 제2결합안내면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단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안내면이나 제2결합안내면에 안내되게 상기 커버의 결합판 선단에는 결합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안착되는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KR1020130063663A 2013-06-03 2013-06-03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KR20140142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3A KR20140142076A (ko) 2013-06-03 2013-06-03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63A KR20140142076A (ko) 2013-06-03 2013-06-03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76A true KR20140142076A (ko) 2014-12-11

Family

ID=524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63A KR20140142076A (ko) 2013-06-03 2013-06-03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0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0B1 (ko) * 2018-10-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10B1 (ko) * 2018-10-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186B2 (en)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JP449703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5034082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315416A1 (en) Connector
US10367290B2 (en) Connector device and male connector
US9595784B2 (en) Connector
KR101637721B1 (ko)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도어 커넥터
US10158196B2 (en) Connector
TW201902037A (zh) 電連接器與電連接器裝置
JP201805583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3316413A1 (en) Connector with wire cover
EP2498342A2 (en) Terminal protection cover and production mehtod for terminal device
US9923305B2 (en) Connector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9553393B2 (en) Lever-type connector
TWI466396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US9899769B2 (en) Connector with an operating member mount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orientations and locks for locking the operating member at an initial position and a connection position in either orientation
US9698517B2 (en) Connector with a wire cover having an opening for arranging wires pulled out from a housing of the connector
KR20140142076A (ko) 힌지타입 커버를 가진 커넥터 하우징
JP5583395B2 (ja) コンセントブロック
EP3322044B1 (en) Connector having wiring cover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130046127A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14194890A (ja) プロテクタ付き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919034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07

Effective date: 201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