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930A -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930A
KR20140141930A KR20130063300A KR20130063300A KR20140141930A KR 20140141930 A KR20140141930 A KR 20140141930A KR 20130063300 A KR20130063300 A KR 20130063300A KR 20130063300 A KR20130063300 A KR 20130063300A KR 20140141930 A KR20140141930 A KR 2014014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hamber
water
passage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611B1 (ko
Inventor
서보성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611B1/ko
Priority to EP14170751.3A priority patent/EP2811062B1/en
Priority to EP14170753.9A priority patent/EP2811063B1/en
Priority to US14/293,917 priority patent/US10081899B2/en
Priority to US14/293,938 priority patent/US20140352366A1/en
Priority to EP15190100.6A priority patent/EP3012368B1/en
Priority to CN201410243203.3A priority patent/CN104213363B/zh
Priority to CN201410242977.4A priority patent/CN104213368B/zh
Publication of KR2014014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portable body), 상기 포터블 바디에 구비된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워터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챔버가 구비된 유체저장부, 상기 워터챔버 및 상기 세제챔버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챔버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fluid transfering part)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류처리장치{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 펄세이터(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력 및 충격력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한 뒤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이었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일부 영역에만 오물이 잔류하는 경우(의류가 국부적으로 오염된 경우)에도 세탁수가 저장된 터브에 세탁물을 투입해야만 했기 때문에(세탁물 전체를 세탁수에 접촉시켜야만 했기 때문에)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는 적절하지 않았다.
세탁물이 국부적으로 오염된 경우, 오염부위에만 물이나 세제를 공급하여 세탁물로부터 오물을 제거할 수 있음에도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요 이상의 물과 세제, 전력을 사용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와 세탁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탁물에 분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회수 가능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터블 바디(portable body),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급탱크,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탱크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fluid transfering part)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 상기 포터블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급탱크, 상기 포터블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로 이동시키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탱크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 공급탱크, 상기 공급탱크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와 연통하며 상기 노즐부 내부의 압력을 낮춰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노즐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 포터블 바디에 구비되며 물과 세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제1챔버, 포터블 바디에 구비되는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물과 세제 중 나머지 하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챔버가 구비된 회수탱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탱크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 상기 포터블 바디에 구비된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워터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챔버가 구비된 공급탱크, 액체가 저장되는 회수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수탱크,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의류에 공급하고, 의류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탱크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터블 바디, 상기 포터블 바디에 구비된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워터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챔버가 구비된 유체저장부, 상기 워터챔버 및 상기 세제챔버에 저장된 액체는 의류에 공급하고, 의류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챔버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와 세탁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탁물에 분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회수 가능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로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공급탱크 및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탱크밸브 및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체저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도 7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로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7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7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공기공급유로, 공기흡입유로, 워터유로, 세제유로 및 회수유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 200)는 세탁물의 일부 영역(의류의 일부 영역)에만 오물이 존재하는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세제와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물, 세제 및 오물 등)를 회수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손에 들 수 있게 구비되는 포터블 바디(1, portable body),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급탱크(4), 액체가 저장(또는 회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탱크(5),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탱크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fluid transfer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4)는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41)와 액상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탱크(43)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워터탱크(41)와 세제탱크(43) 중 어느 하나로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가 모두 구비된 공급탱크(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급탱크(4)는 포터블 바디(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포터블 바디(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공급탱크(4)는 포터블 바디(1)에 착탈 가능한 탱크바디(42), 상기 탱크바디(42) 내부에 구비되어 워터탱크(41)와 세제탱크(43)를 구분하는 격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터블 바디(1)에는 상기 탱크바디(4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지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탱크(5)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상기 회수탱크(5)는 포터블 바디(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공급탱크(4)와 같이 포터블 바디(1)에 착탈((탱크착탈부(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이송부는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에 저장된 액체는 각 탱크(41, 43)에서 배출시키고, 회수탱크(5) 외부에 존재하는 액체(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 등)는 회수탱크(5) 내부로 흡입시키는 수단이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유체이송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 (a)는 상기 유체이송부가 에어펌프(2, air pump), 상기 에어펌프(2)를 노즐부(N) 및 유체저장부(4, 5)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유로(8, 81, 83, 85, S, C)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에어펌프(2)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21)와 공기가 회수되는 펌프 흡입구(23)를 구비하여 포터블 바디(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는 각 탱크(41, 43, 5)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노즐부(N)를 통해 공급탱크(4) 내부의 액체는 세탁물에 배출시키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회수탱크(5)로 이동시킨다.
상기 노즐부(N)는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에 저장된 액체가 분사되는 공급노즐(6)과 외부 액체를 회수탱크(5)로 안내하는 회수노즐(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6)은 공기공급유로(S)를 통해 펌프 배출구(21)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배출유로(8)를 통해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배출유로(8)는 상기 공급노즐(6)과 워터탱크(41)를 연결하는 워터유로(81), 공급노즐(6)과 세제탱크(43)를 연결하는 세제유로(83)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공기공급유로(S) 및 공급노즐(6)을 거쳐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공급노즐(6)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공급노즐(6) 내부의 압력은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 내부의 액체는 배출유로(8)를 통해 공급노즐(6)로 이동한 뒤 공기와 함께 세탁물에 분사될 것이다.
다만, 상기 워터유로(81) 및 세제유로(83)는 공기공급유로(S)와 공급노즐(6)이 연결되는 접합부(6391)에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합부의 단면적은 접합부 전후에 위치된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벤츄리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공급탱크(4)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노즐(6)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워터탱크(41)에 저장된 물과 세제탱크(43)에 저장된 세제의 선택적 공급을 위해 상기 배출유로(8)에는 탱크밸브(9)가 구비될 수 있다.
워터유로(81)와 세제유로(83)가 공급노즐(6)에 연결된 하나의 유로에서 분지된 뒤 워터탱크(41)와 세제탱크(43)에 각각 연결될 경우, 상기 탱크밸브(9)는 워터유로(81)와 세제유로(83)의 분지점(또는 합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탱크밸브(9)는 물과 세제 중 어느 하나만을 공급노즐(6)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물과 세제를 동시에 공급노즐(6)에 공급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회수탱크(5)는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펌프 흡입구(23)에 연결되고,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노즐(7)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 흡입구(23)를 통해 회수탱크(5) 내부의 공기가 에어펌프(2)로 이동하면 회수탱크(5)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회수노즐(7) 외부의 액체(세탁물에 잔류하는 물, 세제, 오물 등)는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탱크(5)로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공급유로(S)와 공기회수유로(C)의 개폐를 제어하는 유로밸브(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밸브(3)는 공기공급유로(S)와 공기회수유로(C)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도 있고, 공기공급유로(S)와 공기회수유로(C)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공급유로(S)와 공기회수유로(C)가 모두 개방되면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탁물에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를 회수탱크(5)로 회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유로밸브(3)에 의해 공기공급유로(S)만 개방된 경우라면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을 세탁물에 공급할 것이고, 공기회수유로(C)만 개방된 경우라면 본 발명은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를 회수탱크(5)로 회수하기만 할 것이다.
공기공급유로(S)만 개방된 경우, 포터블 바디(1)의 외부공기는 펌프 흡입구(23)를 통해 유체이송부(2)로 공급되어야 하고, 공기흡입유로(C)만 개방된 경우에는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포터블 바디(1)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유로밸브(3)에는 공기공급유로(S)만 개방된 경우 펌프 흡입구(23)에 외기를 공급하는 유로, 공기흡입유로(C)만 개방된 경우 펌프 배출구(21)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유로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노즐부(N)를 진동시키는 진동부(V)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N)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에 접촉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진동부(V)를 통해 노즐부(N)가 진동된다면 공급노즐(6)에서 배출되는 세제나 물이 세탁물에 흡수되는 것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세제나 물에 의해 결합력이 약해진 오물을 회수노즐(7)이 쉽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V)는 공급노즐(6)과 회수노즐(7) 중 어느 하나만을 진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급노즐(6) 및 회수노즐(7)을 모두 진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노즐부(N)는 공급노즐과 회수노즐이 고정되는 노즐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V)는 노즐바디를 진동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바디는 공급탱크(4)와 회수탱크(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공급탱크(4)와 회수탱크(5) 중 나머지 하나는 노즐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진동부(V)는 노즐바디가 세탁물에 의해 가압된 때(세탁물에 접촉한 때)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노즐부(N)의 표면(노즐바디의 표면)에는 진동부 스위치(SW)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b)는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는 포터블 바디(1), 액체가 저장된 공간(세탁물에 공급될 액체가 저장된 공간)과 액체가 저장될 공간(액체가 회수될 공간)이 구비된 유체저장부(4, 5), 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유체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장부는 포터블 바디(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바디(42),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물과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급탱크(4),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탱크바디 외부의 액체가 흡입되는 회수탱크(5)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급탱크(4)가 물과 세제를 모두 저장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탱크바디(42) 내부에는 워터탱크(41), 세제탱크(43) 및 회수탱크(5)를 구분하는 다수의 격벽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에는 워터탱크(41) 및 세제탱크(43)에 연통하는 공급노즐(6), 회수탱크(5)에 연통하는 회수노즐(7)이 구비된 노즐부(N)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부(N)는 탱크바디(42)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노즐(6)은 워터탱크(41)에 연통하는 워터분사부(66) 및 세제탱크(43)에 연통하는 세제분사부(68)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체이송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21)와 공기가 흡입되는 펌프 흡입구(23)가 구비된 에어펌프(2), 상기 에어펌프를 유체저장부(4, 5)나 노즐부(N)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유로(S1, S2, C, 81, 82, 8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펌프 배출구(21)는 제1공급유로(S1)를 통해 워터분사부(66)에 연결되고, 펌프 배출구(23)는 제2공급유로(S2)를 통해 세제탱크(43)를 연결되며, 펌프 흡입구(23)는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회수탱크(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41)는 워터유로(81)를 통해 워터분사부(66)에 연결되고, 세제탱크(43)는 세제유로(83)를 통해 세제분사부(68)에 연결되며, 회수탱크(5)는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노즐(7)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공급유로(S1)를 통해 공기가 워터분사부(66)로 공급되면 워터탱크(41) 내부의 물은 워터유로(81) 및 워터분사부(66)를 거쳐 세탁물에 분사되며, 제2공급유로(S2)를 통해 공기가 세제탱크(43)로 공급되면 세제는 세제유로(83) 및 세제분사부(68)를 거쳐 세탁물에 공급된다.
한편,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회수탱크(5) 내부의 공기가 펌프 흡입구(23)로 이동하면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회수노즐(7) 및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탱크(5)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유체이송부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과정이 모두 진행(제1공급유로, 제2공급유로 및 공기흡입유로를 모두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유로밸브(3)를 통해 제1공급유로(S1), 제2공급유로(S2) 및 공기흡입유로(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밸브(3)는 제1공급유로(S1), 제2공급유로(S2) 및 공기흡입유로(C)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시킬 수도 있고, 제1공급유로(S1)와 제2공급유로(S2) 중 어느 하나와 공기흡입유로(C)만을 개방시킬 수도 있으며, 제1공급유로(S1)와 제2공급유로(S2)만을 개방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로밸브(3)는 에어펌프(2)와 각 유로(S1, S2, C) 사이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도 상기 노즐부(N)를 진동시키는 진동부(V)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부(V)는 공급노즐(6)과 회수노즐(7) 중 어느 하나만을 진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급노즐(6) 및 회수노즐(7)을 모두 진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노즐부(N)는 탱크바디(42)에 고정되어 공급노즐과 회수노즐을 지지하는 노즐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V)는 노즐바디를 진동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V)는 노즐바디가 세탁물에 의해 가압된 때(세탁물에 접촉한 때)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바디의 표면에는 진동부(V)를 작동시키는 스위치(SW)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 (a)에 도시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바디(1), 세제와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공급탱크(4),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탱크(5), 공급탱크 및 회수탱크에 각각 연통하는 노즐부(N), 상기 포터블 바디(1)에 구비되어 공급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노즐부(N)를 통해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노즐부(N)를 통해 회수탱크(5)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터블 바디(1)는 사용자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핸들(11), 상기 유체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3, 에어펌프의 작동을 제어)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탱크(4) 및 회수탱크(5)가 포터블 바디(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상기 포터블 바디(1)에는 공급탱크(4) 및 회수탱크(5)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탱크지지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이송부는 에어펌프(2), 상기 에어펌프(2)를 노즐부(N) 및 유체저장부(4, 5)에 연결하는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는 포터블 바디(1)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펌프(2)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21) 및 공기가 흡입되는 펌프 흡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 배출구(21)와 상기 펌프 흡입구(23)는 포터블 바디(1)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한 쌍의 탱크지지부(15)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포터블 바디(1)의 외부에 노출되며, 유로밸브(3)에 연결된다.
상기 유로밸브(3)는 펌프 배출구(21)와 펌프 흡입구(23)를 개폐시키는 수단(공기공급유로(S) 및 공기흡입유로(C)를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포터블 바디(1)에 고정되는 밸브 지지바디(31), 상기 밸브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바디 관통홀(32),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32)을 펌프 배출관(21)과 연결하는 배출구 연결관(35),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32)을 펌프 흡입구(23)와 연결하는 흡입구 연결관(36),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32)을 후술할 공기공급유로(S)에 연결하는 공급유로 연결관(33),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32)을 후술할 공기흡입유로(C)에 연결하는 흡입유로 연결관(34),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3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연결관(35, 36, 33, 34)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37)로 구비된다.
상기 밸브(37)는 탱크지지부(15)를 관통하여 지지바디 관통홀(32)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371), 상기 배출구 연결관(35)에 연통하며 상기 바디(37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바디유로(373), 상기 공급유로 연결관(33)에 연통하며 상기 제1바디유로(373)에 연결되는 제2바디유로(374), 상기 흡입구 연결관(36)에 연통하며 바디(37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바디유로(375), 상기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연통하며 제3바디유로(375)에 연결되는 제4바디유로(376)를 포함한다.
도 3은 배출구 연결관(35)과 공급유로 연결관(33)이 9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1바디유로(373)와 제2바디유로(374)도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될 것이다.
흡입구 연결관(36)과 흡입유로 연결관(34)도 9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제3바디유로(375)와 제4바디유로(376) 역시 90도 각도를 형성하며 서로 연결될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37)는 바디(371) 내부에 구비되어 제1바디유로(373) 또는 제3바디유로(375)에 연결되는 제5바디유로(3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 연결관(35)만을 공급유로 연결관(33)에 연결시키거나 흡입구 연결관(36)만을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연통시키기 위함이다.
도 3은 제5바디유로(377)가 제3바디유로(375) 및 제4바디유로(376)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5바디유로(377)는 제3바디유로(375)와 제4바디유로(376)가 결합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제3바디유로(375)와 하나의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바디유로(377)를 통해 상기 밸브(37)는 흡입구 연결관(36)만을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흡입구 연결관(36)만을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바디 제5유로(577)가 구비될 경우, 배출구 연결관(35)을 통해 펌프 배출구(21)에서 지지바디 관통홀(32)로 유입된 공기는 밸브지지바디(31)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밸브지지바디(31)에는 지지바디 관통홀(32)과 연통하는 연통관(311), 연통관(311)을 통해 지지바디 관통홀(32)에서 배출된 공기를 밸브지지바디(31)와 탱크지지부(15) 사이의 공간을 통해 포터블 바디(1)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홈(313)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출구 연결관(35)과 공급유로 연결관(33)이 9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경우, 상기 연통홈(311)은 공급유로 연결관(33)과 마주보는 위치(180도 각도 이격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홈(313)은 밸브지지바디(3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며, 상기 연통관(3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통홈(313)은 연통관(311)에서 지지바디 관통홀(32)과 나란하게 연장된 뒤 밸브지지바디(3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통홈(313a), 제1연통홈(313a)에서 지지바디 관통홀(3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뒤 밸브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통홈(31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상술한 유로밸브(3)의 유로전환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유로(373)와 제2바디유로(374)가 배출구 연결관(35) 및 공급유로 연결관(33)에 각각 위치되면, 제3바디유로(375)와 제4바디유로(376)는 흡입구 연결관(36) 및 흡입유로 연결관(34)에 각각 위치하고, 제5바디유로(377)는 지지바디 관통홀(32)의 내주면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 연결관(35), 제1바디유로(373), 제2바디유로(374) 및 공급유로 연결관(33)을 따라 이동하고, 외기는 흡입유로 연결관(34), 제4바디유로(376), 제3바디유로(375) 및 흡입구 연결관(36)을 통해 펌프 흡입구(23)로 회수될 것이다.
한편,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7)를 회전시키면(도 4 (a) 상태의 바디(37)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 제2바디유로(374)와 제4바디유로(376)는 배출구 연결관(35)과 흡입구 연결관(36)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5바디유로(377)는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위치하고, 제1바디유로(373)는 연통관(311)에 연통하며, 제3바디유로(375)는 지지바디 관통홀(32)의 내주면에 의해 막힌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유로 연결관(34), 제5바디유로(377), 제4바디유로(376) 및 흡입구 연결관(36)을 통해 펌프 흡입구(23)로 회수될 것이다.
그러나,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 연결관(35), 제2바디유로(374), 제1바디유로(373), 연통관(311) 및 연통홈(313)을 통해 밸브지지바디(3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배출구 연결관(35)만을 공급유로 연결관(33)에 연결시킬 수 있는 유로밸브(3)를 구현하고자 한다면, 제5바디유로(377)는 상기 제1바디유로(373)와 제2바디유로(374)의 결합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연통관(311)은 흡입유로 연결관(34)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시키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탱크(5)는 탱크지지부(15)에 착탈 가능한 회수탱크바디(52), 상기 회수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챔버(51)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챔버(51)는 회수탱크바디(52)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회수챔버(51) 외부와 연통하며, 상기 배출구는 배출구 개폐부(59)를 통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수챔버(5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구 개폐부(59) 및 배출구를 통해 회수챔버(51) 내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챔버(51)는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에어펌프(2)의 펌프 흡입구(23)에 연결되고, 회수유로(85)를 통해 후술할 노즐부(N)의 흡입홀(613, 도 6 참고)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C)는 회수탱크 착탈관(55)을 관통하여 회수챔버(51)에 연통하는데, 상기 회수탱크 착탈관(55)은 흡입유로 연결관(3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수탱크바디(52)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수유로(85)는 회수챔버(51)의 바닥면에서 회수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회수챔버(51)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챔버(5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회수챔버(51) 내부의 공기가 펌프 흡입구(23)로 회수되면 회수챔버(51) 내부의 기압이 낮아져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흡입홀(613, 도 5 (b) 참고) 및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챔버(51)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공급탱크(4)는 탱크지지부(1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급탱크바디(42), 상기 공급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공급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탱크바디(42)에는 공급유로 연결관(33)에 삽입되어 펌프 공급구(21)에 연통하는 공급탱크 착탈관(477)이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탱크 착탈관(477)은 공급탱크바디(42)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탱크(41)와 세제탱크(43)는 공급탱크바디(42)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격벽(471)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워터탱크(41)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챔버(411)와 진동부(V)가 수용되는 진동부 수용공간(415)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워터챔버(411, 제1챔버)와 진동부 수용공간(415)은 공급탱크바디(42)에 고정된 수용격벽(4151)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챔버(411)는 상기 공급탱크바디(42)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워터공급구(413)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워터공급구(413)는 공급구 개폐부(45)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급구 개폐부(45)를 통해 워너챔버(4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탱크(43)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챔버(431)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챔버(431)는 제1격벽(471)에 고정되되 공급탱크바디(4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제1격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473) 및 제3격벽(47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제챔버(4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3격벽(475)에는 공급구 개폐부(45)에 의해 개폐되는 세제공급구(4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급구 개폐부(45)를 통해 세제챔버(431)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챔버(43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격벽(473)의 하부에는 워터챔버(411)와 세제챔버(431)에 저장된 액체를 노즐부(N)로 공급하는 배출유로(81, 83)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로(81, 83)는 워터챔버(411)를 노즐부(N)에 연결하는 워터유로(81), 세제챔버(431)를 노즐부(N)에 연결하는 세제유로로 구비된다.
상기 세제유로는 제2격벽(83)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세제배출홀(83)로 구비된다.
상기 워터유로(81)는 워터챔버(411) 내부의 물을 제2격벽(473)의 하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워터배출관(813), 상기 워터배출관(813)과 세제배출홀(83)을 연결하는 밸브수용관(81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수용관(811)은 세제배출홀(83)에서 노즐부(N)를 향해 연장되며, 밸브수용관(811)의 내부에는 탱크밸브(9)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탱크밸브(9)는 세제배출홀(83)을 통해 밸브수용관(811)에 삽입되는 밸브바디(91), 세제유로와 워터유로 중 어느 하나를 후술할 연결유로(635)에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바디(9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93, 95, 97), 밸브바디(9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밸브수용관(811)으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유로전환부로 안내하는 밸브유로(9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91)는 제3격벽(475)에 구비된 격벽관통홀(4751) 및 세제배출홀(83)을 통해 밸브수용관(811)에 삽입된다.
상기 밸브바디(91)의 상부면은 공급탱크바디(42)의 상부면(공급구 개폐부(45)가 구비된 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밸브바디(91)를 조작하여 유로전환부(93, 95, 97)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91)나 밸브수용관(811)의 길이 및 워터배출관(813)의 위치는 사용자가 밸브바디(91)를 밸브수용관(811)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시키면 워터배출관(813)이 밸브바디(91)에 의해 폐쇄하고, 밸브바디(91)를 밸브수용관(811)의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워터배출관(813)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밸브바디(9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홈(93) 및 제2홈(95)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홈(93)과 제2홈(95) 사이에는 세제배출홀(83)에 접촉하는 개폐부(97)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97)는 밸브바디(91)가 워터배출관(813)을 개방하면 연결유로(635)의 상부에 위치하고, 밸브바디(91)가 워터배출관(813)을 폐쇄하면 연결유로(635)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밸브유로(99)는 밸브바디(91)의 바닥면과 상기 제2홈(95)을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공급탱크바디(42)의 외주면에는 노즐부(N)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부(N)는 공급탱크바디(42)에 고정된 노즐바디(61), 상기 노즐바디(61)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나 물을 노즐바디(61)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사바디(63)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바디(61)에는 회수탱크(5)에 구비된 회수유로(85)에 연결되는 흡입홀(613, 회수노즐)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홀(813)은 노즐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수유로(85)에 연결되는 챔버지지관(611)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지지관(611)의 일단은 노즐바디(61)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수탱크바디(52)의 바닥면에는 상기 챔버지지관(61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연결부(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노즐바디(61)에는 노즐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바디(63)에 연결되는 배출부(6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흡입홀(613)은 하나의 홀이 노즐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노즐바디(61)를 관통하여 회수유로(85)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홀이 상기 배출부(615)의 외주면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바디(63, 공급노즐)는 노즐바디(61)에 고정되되 배출홀(615)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분사바디(63)에는 연결유로(635)를 통해 세제배출홀(83)에 연결되는 저장부(633), 펌프 배출구(21)에 연통하는 공기공급유로(S)가 연결되는 챔버(637), 상기 챔버(637)를 저장부(633) 및 배출부(615)와 연결시키는 챔버 연결관(6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637)는 공기공급유로(S)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로(S)는 제1격벽(471) 또는 제2격벽(473)을 관통하여 챔버(637)와 공급탱크 착탈관(477)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도 5 참고).
한편, 상기 챔버(637)는 상기 저장부(633)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챔버 연결관(639)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유로(S)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챔버(637)의 일측을 통해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배출부(615)를 통해 노즐바디(6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접합부(6391)의 단면적은 상기 접합부(6391) 전후에 위치된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벤츄리효과를 통해 저장부(633) 내부의 액체가 배출부(615)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물이나 세제 분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91)가 워터배출관(813)을 개방한 상태에 있으면 개폐부(97)는 연결유로(63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제챔버(431)는 노즐부(N)와 연결이 차단되고, 워터챔버(411)는 노즐부(N)에 연결된다.
즉, 워터챔버(411) 내부에 저장된 물은 워터배출관(813), 밸브수용관(811), 밸브유로(99) 및 연결유로(635)를 통해 저장부(633)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펌프(2)의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 연결관(35), 공급유로 연결관(33), 공급탱크 착탈관(477), 공기공급유로(S), 챔버(637), 챔버 연결관(639) 및 접합부(6391)를 거쳐 배출부(615)로 이동한다.
배출부(615)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배출부(6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저장부(633)에 저장된 물은 접합부(6391)를 통해 배출부(615)에서 분사되므로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표면 중 일부영역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밸브바디(91)를 밸브수용관(811)의 바닥면을 향해 누르면 밸브바디(91)는 워터배출관(813)을 폐쇄하고, 개폐부(97)는 연결유로(635)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워터챔버(411)는 노즐부(N)와의 연결이 차단되고, 세제챔버(431)는 노즐부(N)에 연결된다.
세제챔버(431) 내부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배출홀(83) 및 연결유로(635)를 통해 저장부(633)로 이동하고, 저장부(633) 내부의 세제는 배출부(615)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 배출부(615)로 이동하여 세탁물의 표면 중 일부영역에만 분사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노즐부(N)를 진동시키는 진동부(V)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615)에서 배출되는 세제나 물이 세탁물에 흡수되는 것을 촉진하고, 세제나 물에 의해 결합력이 약해진 오물을 노즐부(N)가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진동부(V)는 노즐부(N)를 진동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의 위치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부(V)는 공급탱크(4)에 구비된 진동부 수용공간(415)에 위치하되, 진동모터(M), 배터리(B) 및 상기 진동모터(M)를 배터리(B)에 연결하는 스위치(SW)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SW)는 노즐바디(61)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접촉부(SW1, 노즐바디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음), 상기 접촉부(SW1)가 가압되면 진동모터(M)와 배터리(B)를 연결하여 진동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제어부(SW2)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노즐바디(61)를 세탁물의 표면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노즐부(N)가 진동하게 되므로 세탁물의 국부오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3가지 모드(흡입모드, 세제공급 및 흡입모드, 물공급 및 흡입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흡입모드는 도 4 (b)의 상태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이고, 세제공급 및 흡입모드는 도 4 (a)와 도 6 (b)의 상태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이며, 물공급 및 흡입모드는 도 4 (a)와 도 6 (a)의 상태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가 작동하는 경우이다.
한편, 도 4와 달리 유로밸브(3)가 배출구 연결관(35)만을 공급유로 연결관(33)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면(제5바디유로(377)는 상기 제1바디유로(373)와 제2바디유로(374)의 결합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연통관(311)은 흡입유로 연결관(34)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면),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달리 4가지 모드(세제공급모드, 물 공급모드, 세제공급 및 흡입모드, 물공급 및 흡입모드)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1 (b)에 도시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포터블 바디(1), 워터챔버, 세제챔버 및 회수챔버가 구비된 유체저장부(4, 5), 유체저장부(4, 5)의 각 챔버에 연통하는 노즐부(N), 상기 워터챔버 및 상기 세제챔버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노즐부(N)로 공급하고, 의류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노즐부(N)를 통해 회수챔버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터블 바디(1)는 사용자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핸들(11), 상기 유체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3, 유체이송부에 구비된 에어펌프의 작동을 제어)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저장부(4, 5)는 외관을 형성하는 탱크바디(42),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워터챔버(44), 세제챔버(46) 및 회수챔버(48)를 서로 구분시키는 다수의 격벽(421, 423, 425), 상기 탱크바디(4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챔버(44, 46, 48)를 개폐하는 챔버개폐부(49)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격벽(421), 제2격벽(423), 제3격벽(425)은 탱크바디(42) 내부공간을 3등분 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격벽(421)은 탱크바디(42)의 바닥면에서 탱크바디(42)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격벽(423)과 제3격벽(425)은 제1격벽(421)에서 탱크바디(42)의 상부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3개의 격벽은 탱크바디 내부에 Y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
이 경우, 워터챔버(44)는 제1격벽(421)과 제2격벽(423)에 의해 형성되고, 세제챔버(46)는 제2격벽(423)과 제3격벽(425)에 의해 형성되며, 회수챔버(48)는 제3격벽(425)과 제1격벽(421)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3개의 챔버는 서로 동일한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세제의 사용량이 물의 사용량에 비해 적을 것이므로 세제챔버(46)의 부피가 워터챔버(44)나 회수챔버(48)에 비해 작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챔버(44) 내부에는 노즐부(N)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S1)가 구비되고, 세제챔버(46) 내부에는 세제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급유로(S2)가 구비되며, 회수챔버(48) 내부에는 회수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흡입유로(C)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개폐부(49)는 사용자가 워터챔버(44)나 세제챔버(46)에 물과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회수챔버(48)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챔버개폐부(49)는 개폐부바디(491), 상기 개폐부바디의 표면에 구비되어 각 격벽(421, 423, 425)을 수용하는 격벽수용홈(498)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바디(491)의 전방면(격벽수용홈(498)이 구비된 개폐부바디(491)의 표면)에는 제1공급유로(S1)가 삽입되는 제1유로 삽입홀(495), 제2공급유로(S2)가 삽입되는 제2유로 삽입홀(496), 공기흡입유로(C)가 삽입되는 제3유로 삽입홀(497)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바디(491)의 후방면(상기 격벽수용홈(498)이 구비되지 않은 개폐부바디의 표면)에는 제1유로 삽입홀(495)에 연통하는 제1관 수용홀(492), 상기 제2유로 삽입홀(496)에 연통하는 제2관 수용홀(493), 상기 제3유로 삽입홀(497)에 연통하는 제3관 수용홀(494)이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탱크바디(42)는 포터블 바디(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포터블 바디(1)에는 탱크바디(42)의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탱크지지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지지부(15)는 포터블 바디(1)에 구비되어 탱크바디(42)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플랜지(152), 플랜지(152)에 결합된 탱크바디(42)를 지지하는 지지바디(1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151)에는 챔버개폐부(49)의 제1관 수용홀(492)에 삽입되는 제1관(153), 제2관 수용홀(493)에 삽입되는 제2관(154), 제3관 수용홀(494)에 삽입되는 제3관(155)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153), 제2관(154) 및 제3관(155)은 포터블 바디(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탱크지지부(15)의 전방면(15f)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지지부(15)의 후방면에는 상기 제1관(153)에 연통하는 제1홀(156), 상기 제2관(154)에 연결되는 제2홀(157), 상기 제3관(155)에 연결되는 제3홀(158)이 구비된다.
탱크지지부의 후방면(15r)에서 보면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제1홀(156), 제2홀(157) 및 제3홀(158)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지만, 탱크지지부의 전방면(15f)에서 보면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제3홀(158), 제2홀(157) 및 제1홀(156)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한편, 탱크지지부(15)의 후방면(15r)에는 후술할 유로밸브의 회전축(392)이 수용되는 회전축 수용홈(159)이 더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홀(156)과 제2홀(157)은 회전축 수용홈(159)이 중심인 원주(R)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회전축 수용홈(159)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 상기 제3홀(158)은 제1홀과 제2홀이 위치된 원주(R)에 위치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제3홀(158)이 원주(R)의 내부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일 뿐이므로 상기 제3홀(158)은 원주(R)의 외부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제1홀, 제2홀 및 제3홀의 위치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이송부는 에어펌프(2), 상기 에어펌프(2)를 상기 노즐부(N)에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S1), 상기 에어펌프(2)를 세제챔버와 회수챔버에 각각 연결시키는 제2공급유로(S2) 및 공기흡입유로(C), 상기 유체저장부의 각 챔버를 상기 노즐부(N)에 연통시키는 유로(81, 83, 85, 도 11 내지 도 13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는 포터블 바디(1) 내부에 고정되며, 에어펌프(2)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21) 및 공기가 흡입되는 펌프 흡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펌프(2)와 탱크지지부의 후방면(15r) 사이에는 제1홀(156), 제2홀(157) 및 제3홀(158)의 개폐를 제어하는 유로밸브(3)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밸브(3)는 에어펌프(2)의 펌프 배출구(21) 및 펌프 흡입구(23)가 결합되는 펌프연결부(38), 상기 펌프연결부(38)와 탱크지지부(1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3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39)는 포터블 바디(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밸브바디(391), 상기 밸브바디(391)에 구비되며 회전축 수용홈(159)에 삽입되는 회전축(392), 상기 밸브바디(3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393) 및 절개홀(394), 상기 밸브바디(391)에 구비되되 상기 펌프연결부(38)를 향해 연장되는 외기유로 개폐부(395)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391)에는 포터블 바디(1)의 외부에 노출되는 밸브핸들(3911)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핸들(3911)은 포터블 바디(1)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밸브수용홈(17, 도 7 참고)에 위치된다.
상기 관통홀(393)은 밸브바디(39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홀(156) 및 제2홀(157)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제1홀(156)과 제2홀(157)은 회전축(392)과 관통홀(393) 사이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R) 상에 위치되도록 탱크지지부의 후방면(15r)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홀(394)은 밸브바디(391)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3홀(158)을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절개홀(394)은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홀(394)은 관통홀(393)과 180도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밸브바디(391)에 설정된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393)을 향해 연장되는 호(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arc)의 길이와 위치는 제1홀(156)이 개방된 때(물이 분사될 때)는 물론 제1홀(156)과 제2홀(157)이 모두 폐쇄된 때(물과 세제가 모두 분사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3홀(158)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기유로 개폐부(395)는 관통홀(393) 및 절개홀(394)에 의해 제1홀(156)과 제3홀(158)이 동시에 개방된 때에만 외기유로를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펌프연결부(38)는 에어펌프(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밸브(39)를 향해 공급하고, 제3홀(158)을 통해 밸브(39)로 유입되는 공기는 펌프 흡입구(23)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펌프연결부(38)는 에어펌프(2)에 결합하는 연결부 바디(387), 상기 연결부 바디(387)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펌프 배출구(21) 및 펌프 흡입구(23)가 각각 삽입되는 배출구 수용홀(381) 및 흡입구 수용홀(382)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 배출구(21)는 밸브(39)의 회전중심(회전축, 392)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39)에 접촉하는 상기 연결부 바디(387)의 표면(연결부 바디의 전방면)에는 배출구 수용홀(381)에서 상기 제2홀(157)에 대응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1연결유로(384), 상기 제3홀(158)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배출구 수용홀(38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유로(385), 상기 제1연결유로(384)와 제2연결유로(385)를 연결하되 상기 흡입구 수용홀(382)이 위치되는 메인유로(383), 상기 메인유로(383)를 포터블 바디(1)의 외부와 연통시키되 외기유로 개폐부(395)에 의해 개폐되는 외기유로(38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383)는 제1홀(156)과 제2홀(157)이 위치되는 원주(R)의 반지름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호(arc)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유로(384)는 배출구 수용홀(381)에서 제1홀과 제2홀이 위치되는 원주(R)의 반지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상기 제2연결유로(385)는 원주(R)의 반지름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연결유로(384)와 상기 제2연결유로(385)는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 수용홀(382)은 제1연결유로(384)의 연장선이 메인유로(383)와 만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유로(386)는 상기 흡입구 수용홀(382)과 상기 제1홀(156)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유로(383)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터블 바디(1)의 표면(외주면)에는 상기 외기유로(386)를 포터블 바디(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유로 연통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술한 메인유로(383), 제1연결유로(384), 제2연결유로(385) 및 외기유로(386)은 밸브바디(391)의 표면에 의해 밀폐되어야 하므로 상기 유로들(383, 384, 385, 386)은 연결부 바디(387)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밸브(3)는 밸브바디(391)와 탱크지지부 후방면(15r)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3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96)는 탱크지지부 후방면(15r)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실링부(396)는 실링바디(3965), 실링바디(396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제1홀(156), 제2홀(157), 제3홀(158) 및 회전축 수용홀(159)에 각각 연통하는 실링부 제1홀(3961), 실링부 제2홀(3962), 실링부 제3홀(3963) 및 회전축 관통홀(396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상술한 유로밸브(3)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밸브(39)의 초기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밸브의 초기위치는 관통홀(393)과 절개홀(394)이 실링부 홀(3961, 3962, 3963)들 중 어느 것도 개방하지 않는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고, 도 10 (a) 내지 도 10 (c)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 (a)가 초기위치로 설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밸브(39)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39)는 실링부 제2홀(3962)과 밸브지지부(15)에 구비된 제2홀(157)만을 개방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13)를 통해 에어펌프(2)에 전원을 공급하면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 수용홀(381), 제1연결유로(384)를 통해 메인유로(383)로 유입된다.
메인유로(383)로 유입된 공기는 외기유로 개폐부(395)에 의해 외기유로 개폐부(395)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메인유로(383)로 유입된 공기는 실링부 제2홀(3962) 및 제2홀(157)로 배출된다.
상기 제2홀(157)은 탱크지지부의 전방면(15f)에 구비된 제2관(15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관(154)은 챔버개폐부(49)의 제2관수용홀(493) 및 제2유로 삽입홀(496)을 통해 제2공급유로(S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공급유로(S2)를 통해 세제챔버(46) 내부에 공급되어 세제챔버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될 것이다.
한편, 에어펌프(2)에 전원이 공급되면 포터블 바디(1)의 외부 공기는 외기유로(386), 메인유로(383) 및 흡입구 수용홀(382)를 통해 펌프 흡입구(23)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10 (b)와 같이 사용자가 밸브핸들(3911)을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관통홀(393)은 실링부 제1홀(3961)을 향해 이동하고, 절개홀(394)은 실링부 제3홀(3963)을 향해 이동하며, 외기유로 개폐부(395)는 외기유로(386)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실링부 제1홀(3961)과 실링부 제3홀(3963)은 개방되고, 외기유로(386)는 폐쇄된다.
이 경우,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구 수용홀(381), 제1연결유로(384) 및 메인유로(383)로 공급되며, 메인유로(393)로 공급된 공기는 관통홀(393)을 통해 실링부 제1홀(3961)로 공급된다.
실링부 제1홀(3961)은 탱크지지부 후방면(15r)에 구비된 제1홀(156)에 연결되고, 상기 제1홀(156)은 제1관(153), 제1관 수용홈(492) 및 제1유로 삽입홀(495)을 통해 제1공급유로(S1)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급유로(S1)를 통해 노즐부(N)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홀(394)은 실링부 제3홀(3963)을 제2연결유로(385)에 연통시키고, 실링부 제3홀(3963)은 제3홀(158), 제3관(155), 제3관 수용홀(494), 제3유로 삽입홀(497) 및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회수챔버(4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펌프(2)에 전원이 공급되면 회수챔버(48)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유로(C), 제3유로 삽입홀(497), 제3관 수용홀(494), 제3관(155), 제3홀(158), 실링부 제3홀(3963), 절개홀(394), 제2연결유로(385), 메인유로(383) 및 흡입구 수용홀(382)을 통해 펌프 흡입구(23)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10 (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핸들(3911)을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더 회전시키면 밸브(39)는 도 10 (c)의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관통홀(393)은 실링부 제1홀(3961)과 외기유로(386)에 대응하는 지점 사이에 위치하고, 절개홀(394)은 실링부 제2홀(3962)을 향해 이동하며, 외기유로 개폐부(395)는 흡입구 수용홀(382)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실링부 제2홀(3962)과 실링부 제1홀(3961)은 밸브바디(391)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고, 외기유로(386)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다만, 절개홀(394)은 실링부 제2홀(3962)과 실링부 제1홀(3961)이 모두 폐쇄된 경우에도 실링부 제3홀(3963)을 개방 가능한 길이의 호(arc) 형상을 가지므로 실링부 제3홀(3963)은 절개홀(394)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 경우, 펌프 배출구(21)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연결유로(384), 메인유로(383) 및 외기유로(386)를 통해 포터블 바디(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그러나, 펌프 흡입구(23)로는 회수챔버(48)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데 그 과정은 도 10 (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워터챔버(44)와 세제챔버(46)에 저장된 물이나 세제가 노즐부(N)를 통해 분사되는 과정,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가 회수챔버(48)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구비된 노즐부(N)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노즐부(N)는 각 챔버(44, 46, 48)에 연통하도록 탱크바디(42)에 고정되는 노즐 제2바디(64), 상기 노즐 제2바디(64)에 고정되어 세탁물과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노즐 제1바디(6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제1바디(62)에는 워터배출홀(623), 세제배출홀(625) 및 흡입부(627)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배출홀(623)과 세제배출홀(625)은 노즐 제1바디(6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노즐 제2바디(64)를 통해 워터챔버(44)와 세제챔버(46)에서 배출된 액체는 워터배출홀(623)과 세제배출홀(625)을 통해 세탁물에 공급된다.
상기 흡입부(627)은 노즐 제1바디(6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흡입홀(6271), 상기 흡입홀들(6271)을 연결하는 홀연결홈(62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6273)는 세탁물에 접촉하는 노즐 제1바디(62)의 표면에 구비되며, 노즐 제1바디(62)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워터배출홀(623)과 세제배출홀(625)은 노즐 제1바디(62)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4개의 워터배출홀(623)과 1개의 세제배출홀(625)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워터배출홀(623)은 상기 연결홈(6273)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흡입부(627)를 통해 액체가 회수챔버(48)로 이동할 때 워터배출홀(623)이 연결홈(6273)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상기 노즐 제2바디(64)는 탱크바디(42)에 구비되어 노즐 제1바디(6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649), 고정부(649)에서 워터챔버(44)를 향해 연장되는 워터배출관(645), 고정부(649)에서 세제챔버(46)를 향해 연장되는 세제배출관(643), 고정부(649)에서 회수챔버(48)를 향해 연장되는 흡입관(647)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배출관(645)은 고정부(649)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워터배출홀(623)에 연결되는데, 워터배출홀(623)이 다수 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워터배출관(645)은 다수의 워터배출홀들(623)을 연결하는 배출홀 연결유로(6451)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배출홀 연결유로(6451)는 노즐 제1바디(62)에 접촉하는 노즐 제2바디(64)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워터배출관(645)은 고정부(649)를 관통하여 배출홀 연결유로(6451)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세제배출관(643)은 고정부(649)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제배출홀(625)에 연결되는데, 세제배출홀(625)이 다수 개로 구비될 경우 배세배출관(643)은 워터배출관(645)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647)도 고정부(649)를 관통하여 흡입부(627)에 연결된다. 흡입부가 다수의 흡입홀(6271)로 구비될 경우, 상기 흡입관(647)은 각 흡입홀들(6271)을 연통시키는 흡입홀 연결유로(6471)와 연통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홀 연결유로(6471)는 노즐 제1바디(62)에 접촉하는 노즐 제2바디(64)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647)은 고정부(649)를 관통하여 흡입홀 연결유로(6471)에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노즐 제1바디(62)는 진동부(미도시)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부(미도시)는 탱크바디(42)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노즐 제1바디(62)는 상기 진동부(미도시)에 고정될 것이다.
상기 진동부(미도시)는 노즐 제1바디(62)를 통해 노즐 제2바디(64)를 진동시킴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진동부(미도시)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가 세탁물에 접촉한 때 노즐부(N)를 진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부(N)는 진동부(미도시)의 스위치로써 기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 제2바디(64)에는 노즐 제2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관통홀(621)이 구비되고, 노즐 제1바디(62)에는 바디관통홀(621)에 삽입되어 노즐 제1바디(62)의 외부에 돌출되는 돌출부(6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641)는 고정부(649)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진동부(미도시)는 상기 돌출부(641)에 외력이 입력되면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N)에 구비된 워터배출관(645)은 제1공급유로(S1)를 통해 챔버개폐부(49)의 제1유로 삽입홀(495)에 연결되고, 상기 워터챔버(44)는 워터유로(81)를 통해 상기 제1공급유로(S1)에 연결된다.
상기 워터유로(81)는 워터챔버(44)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제1공급유로(S1)와 상기 워터챔버(44)를 연통시키는 워터 제1배출유로(815), 워터챔버(44)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워터챔버(44)를 상기 제1공급유로(S1)와 연통시키는 워터 제2배출유로(81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제1배출유로(815)는 제1공급유로(S1)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워터챔버(44)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워터 제2배출유로(817)는 워터챔버(4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배출홀(8171)과 제2배출홀(8173)을 통해 제1공급유로(S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홀(8171)은 워터챔버(44)의 하부(예: 최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배출홀(8173)은 제1배출홀(8171)의 상부에 위치하며, 워터 제1배출유로(815)는 제1배출홀(8171)의 상부(예: 워터챔버의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워터유로(81)를 상술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가 기울어진 정도에 상관없이 워터챔버(44)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는 사용방법에 따라 노즐부(N)가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고, 노즐부(N)가 상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
상기 워터 제2배출유로(817)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가 수평상태에 있거나 노즐부(N)가 아래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우 워터챔버(44)를 제1공급유로(S1)에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한편, 워터 제1배출유로(815)는 노즐부(N)가 상부를 향하도록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가 기울어진 경우 워터챔버(44)를 제1공급유로(S1)에 연통시키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유로밸브(3)를 통해 공기가 제1공급유로(S1)로 공급되면(도 10 (b)), 제1공급유로(S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워터챔버(44) 내부의 물은 상기 워터유로(81)를 통해 제1공급유로(S1)로 이동한다.
제1공급유로(S1)로 이동한 물은 워터배출관(645)을 통해 배출홀 연결유로(6451)로 이동하며, 배출홀 연결유로(6451) 내부의 물은 워터배출홀(623)을 통해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분사될 것이다.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N)에 구비된 세제배출관(643)은 탱크바디(42)에 구비된 세제유로(83)를 통해 세제챔버(46)에 연결되고, 세제챔버(46)는 제2공급유로(S2)를 통해 에어펌프(2)의 펌프 배출구(21)에 연결된다.
상기 제2공급유로(S2)는 챔버개폐부(49)의 제2유로 삽입홀(496)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S21), 상기 제1파이프(S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파이프(S21)에서 배출된 공기를 세제챔버(46) 내부에 공급하는 제2파이프(S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이프(S21)는 제2유로 삽입홀(496)에서 노즐부(N)가 위치된 세제챔버(46)의 전방면을 향해 구비된다.
상기 제2파이프(S23)는 상기 제1파이프(S21)의 외주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세제챔버(46)의 표면에서 제2유로 삽입홀(496)을 향해 연장되며, 세제챔버(46)의 후방면(챔버개폐부(49)가 구비된 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제2공급유로(S2)가 이중관 형태로 구비된 것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의 위치에 상관없이 세제챔버 내부에 저장된 세제가 세제유로(8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유로밸브(3)를 통해 공기가 제1파이프(S21)로 공급되면(도 10 (a)), 공기는 제2파이프(S23)를 통해 세제챔버(46)의 후방(챔버개폐부(49)가 구비된 방향)으로 유입된다.
세제챔버(46)의 후방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세제는 세제챔버(46)의 전방에 구비된 세제유로(83)를 통해 노즐부(N)의 세제배출관(643)으로 공급되고, 세제배출관(643)으로 유입된 공기는 세제배출홀(625)를 통해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분사될 것이다.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N)에 구비된 흡입관(647)은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챔버(48)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챔버(48)는 공기흡입유로(C)를 통해 에어펌프(2)의 펌프 흡입구(23)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C)는 챔버개폐부(49)의 제3유로 삽입홀(497)에 삽입되는 제1흡입유로(C1), 상기 제1흡입유로(C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회수챔버(48) 내부의 공기를 제1흡입유로(C1)로 안내하는 제2흡입유로(C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유로(C1)는 제3유로 삽입홀(497)에서 노즐부(N)가 위치된 회수챔버(48)의 전방면을 향해 연장되는 파이프로 구비된다.
상기 제2흡입유로(C2)는 제1흡입유로(C1)의 외주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회수챔버(48)의 전방면에서 제3유로 삽입홀(497)을 향해 연장되며, 회수챔버(48)의 후방면과 접촉하지 않는 파이프로 구비된다.
공기흡입유로(C)가 이중관 형태로 구비된 것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200)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회수챔버(48) 내부의 액체가 펌프 흡입구(2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로밸브(3)를 통해 제1흡입유로(C1) 내부의 공기가 펌프 흡입구(23)로 이동하면(도 10 (b), 도 10 (c)), 회수챔버(48) 내부의 공기는 제2흡입유로(C2)로 이동하므로 회수챔버(48) 내부의 기압이 낮아진다.
회수챔버(48)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면,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잔류하는 액체는 노즐부(N)의 흡입홀(6271), 흡입홀 연결유로(6471), 흡입관(647), 회수유로(85)를 통해 회수챔버(48)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한편, 노즐 제1바디(62)에 구비된 다수의 흡입홀들(6271)은 연결홈(627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홀(6271) 뿐만 아니라 연결홈(6273)에도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된다.
또한, 노즐 제1바디(62)에 구비된 워터배출홀(623)은 연결홈(6273)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홀(6271), 연결홈(6273) 및 워터배출홀(623)을 통해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 포터블바디 11: 핸들 13: 스위치
15: 탱크지지부 2: 에어펌프 21: 펌프 배출구
23: 펌프 흡입구 3: 유로밸브 31: 밸브지지바디
32: 지지바 디관통홀 33: 공급유로 연결관 34: 흡입유로 연결관
35: 배출구 연결관 36: 흡입구 연결관 37: 밸브
373: 제1바디유로 374: 제2바디유로 375: 제3바디유로
376: 제4바디유로 377: 제5바디유로 4: 공급탱크
41: 워터탱크 43: 세제탱크 45: 공급구 개폐부
471, 473, 475: 격벽 477: 공급탱크 착탈관 5: 회수탱크
51: 회수챔버 55: 회수탱크 착탈관 57: 노즐연결부
59: 배출구 개폐부 N: 노즐부 6: 공급노즐
61: 노즐바디 611: 챔버지지관 613: 흡입홀
615: 배출부 63: 분사바디 633: 저장부
635: 연결유로 637: 챔버 639: 챔버연결관
6391: 접합부 S: 공기공급유로 S1: 제1공급유로
S2: 제2공급유로 C: 공기흡입유로 C1: 제1흡입유로
C2: 제2흡입유로 8: 배출유로 81: 워터유로
811: 밸브수용관 813: 워터배출관 83: 세제유로
85: 회수유로 9: 탱크밸브 91: 밸브바디
93: 제1홈 95: 제2홈 97: 개폐부
99: 밸브유로 V: 진동부
200: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51: 지지바디 152: 플랜지 153: 제1관
154: 제2관 155: 제3관 156: 제1홀
157: 제2홀 158: 제3홀 159: 회전축수용홀
17: 밸브수용홈 3: 유로밸브 38: 펌프연결부
381: 배출구 수용홀 382: 흡입구 수용홀 383: 메인유로
384: 제1연결유로 385: 제2연결유로 386: 외기유로
387: 연결부 바디 39: 밸브 391: 밸브바디
392: 회전축 393: 관통홀 394: 절개홀
395: 외기유로 개폐부 396: 실링부 3965: 실링부바디
3961: 실링부 제1홀 3962: 실링부 제2홀 3963: 실링부 제3홀
3964: 회전축 관통홀 42: 탱크바디 421, 423, 425: 격벽
44: 워터챔버 46: 세제챔버 48: 회수챔버
49: 챔버개폐부 491: 개폐부바디 498: 격벽수용홈
492: 제1관 수용홀 493: 제2관 수용홀 494: 제3관 수용홀
495: 제1유로 삽입홀 496: 제2유로 삽입홀 497: 제3유로 삽입홀
62: 노즐 제1바디 621: 바디관통홀 623: 워터배출홀
625: 세제배출홀 627: 흡입부 6271: 흡입홀
6273: 연결홈 64: 노즐 제2바디 649: 고정부
641: 돌출부 643: 세제배출관 645: 워터배출관
6451: 배출홀 연결유로 647: 흡입관 6471: 흡입홀 연결유로
81: 워터유로 815: 워터 제1배출유로 817: 워터 제2배출유로
8171: 제1배출홀 8173: 제2배출홀 83: 세제유로
85: 회수유로

Claims (16)

  1. 포터블 바디(portable body);
    상기 포터블 바디에 구비된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워터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챔버, 상기 탱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수챔버가 구비된 유체저장부;
    상기 워터챔버 및 상기 세제챔버에 저장된 액체는 세탁물에 공급하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상기 회수챔버로 이동시키는 유체이송부(fluid transfering pa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챔버 및 상기 세제챔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체저장부에서 배출된 액체를 세탁물에 공급하는 공급노즐;
    상기 회수챔버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를 상기 회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 및 공기가 흡입되는 펌프 흡입구가 구비된 에어펌프;
    상기 펌프 배출구와 상기 공급노즐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펌프 배출구와 상기 세제챔버를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
    상기 펌프 흡입구와 상기 회수챔버를 연결하는 공기흡입유로;
    상기 워터챔버를 상기 제1공급유로에 연결하는 워터유로;
    상기 세제챔버와 상기 공급노즐을 연결하는 세제유로;
    상기 회수챔버와 상기 회수노즐을 연결하는 회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유로는
    상기 제1공급유로와 상기 워터챔버를 연통시키는 워터 제1배출유로;
    상기 워터 제1배출유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공급유로와 상기 워터챔버를 연통시키는 워터 제2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제2배출유로는 상기 워터챔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배출홀 및 제2배출홀을 통해 상기 워터챔버에 연통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워터챔버의 최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제2배출홀과 상기 워터 제1배출유로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제1배출유로는 상기 워터챔버 내부에 상기 워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워터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워터챔버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세제챔버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파이프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세제챔버 내부에 공급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유로는
    상기 회수챔버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 흡입구에 연결되는 제1흡입유로;
    상기 제1흡입유로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수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흡입유로로 안내하는 제2흡입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공기흡입유로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거나 상기 제1공급유로, 상기 제2공급유로 및 상기 공기흡입유로 중 적어도 두 개를 개방시키는 유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바디는 상기 공기흡입유로에 연통하는 제3홀, 상기 제2공급유로에 연통하는 제2홀, 상기 제1공급유로에 연통하되 상기 제2홀과 동일한 원주 상에 위치되는 제1홀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탱크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밸브는
    상기 포터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2홀과 상기 제1홀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3홀을 개방하며 상기 밸브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절개홀이 구비된 밸브;
    상기 펌프 배출구가 연결되는 배출구 수용홀, 상기 펌프 흡입구가 연결되는 흡입구 수용홀, 상기 배출구 수용홀에서 상기 제2홀에 대응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1연결유로, 상기 제3홀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수용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유로, 상기 흡입구 수용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1연결유로와 제2연결유로를 연결하는 메인유로가 구비된 펌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연결부는 상기 메인유로를 상기 포터블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되 상기 제1홀에 대응하는 지점과 상기 흡입구 수용홀 사이에 위치하는 외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순차적으로 구비된 상기 제3홀, 상기 제2홀 및 상기 제1홀 중 상기 제3홀과 상기 제1홀이 동시에 개방된 때에만 상기 외기유로를 폐쇄시키는 외기유로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홀은 상기 제1홀만을 개방된 경우 및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이 모두 폐쇄 경우에도 상기 제3홀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워터배출홀, 세제배출홀 및 흡입부가 구비된 노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이송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펌프 배출구 및 공기가 흡입되는 펌프 흡입구가 구비된 에어펌프;
    상기 펌프 배출구와 상기 워터배출홀을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
    상기 펌프 배출구와 상기 세제챔버를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
    상기 펌프 흡입구와 상기 회수챔버를 연결하는 공기흡입유로;
    상기 워터챔버를 상기 제1공급유로에 연결하는 워터유로;
    상기 세제챔버와 상기 세제배출홀을 연결하는 세제유로;
    상기 회수챔버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는 회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워터배출홀, 상기 세제배출홀 및 상기 흡입부가 구비되고, 세탁물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노즐 제1바디;
    상기 워터배출홀을 상기 제1공급유로에 연결시키는 워터배출관, 상기 세제배출홀을 상기 세제유로에 연결하는 세제배출관, 상기 흡입부를 상기 회수유로에 연결하는 흡입관이 구비된 노즐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배출홀은 상기 노즐 제1바디의 표면에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노즐 제1바디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흡입홀, 상기 흡입홀들을 연결하는 연결홈으로 구비되며,
    상기 노즐 제2바디는
    상기 워터배출홀들을 상기 워터배출관에 연통시키는 배출홀 연결유로, 상기 흡입홀들을 상기 흡입관에 연통시키는 흡입홀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제1바디는 바디관통홀이 형성된 링형상(a ring shape)으로 구비되고,
    상기 노즐 제2바디는 상기 바디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 제1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돌출부가 가압되면 상기 노즐부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1020130063300A 2013-06-03 2013-06-03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10211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00A KR102114611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EP14170751.3A EP2811062B1 (en) 2013-06-03 2014-06-02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4170753.9A EP2811063B1 (en) 2013-06-03 2014-06-02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4/293,917 US10081899B2 (en) 2013-06-03 2014-06-02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4/293,938 US20140352366A1 (en) 2013-06-03 2014-06-02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5190100.6A EP3012368B1 (en) 2013-06-03 2014-06-02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410243203.3A CN104213363B (zh) 2013-06-03 2014-06-03 便携式衣物处理装置
CN201410242977.4A CN104213368B (zh) 2013-06-03 2014-06-03 便携式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00A KR102114611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30A true KR20140141930A (ko) 2014-12-11
KR102114611B1 KR102114611B1 (ko) 2020-05-25

Family

ID=5245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00A KR102114611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6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40803Y (zh) * 2007-04-05 2008-03-26 陆新进 便携式洗衣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40803Y (zh) * 2007-04-05 2008-03-26 陆新进 便携式洗衣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611B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1062B1 (en)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32078B1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8729130B (zh)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EP2710945B1 (en) Dishwashing machine
EP294980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8729133B (zh)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KR201700963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KR102401781B1 (ko) 청소기
CN108729135B (zh)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EP3132077B1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191404B2 (en) Cleaner
KR20150142948A (ko) 식기세척기
KR20110020375A (ko) 세탁기
KR20140141929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20140141930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20140141928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US11344168B2 (en) Cleaning appliance
CN111748960A (zh) 综合洗涤设备
KR20160025980A (ko) 상부급수형 에어워셔
CN216984762U (zh) 污水箱和清洁设备
CN216823276U (zh) 回收处理装置的气体通道切换装置及回收处理装置
KR101980705B1 (ko) 식기세척기
US20230165421A1 (en) Cleaning Robot and Robot System
KR101461389B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20150118413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