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802A -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 Google Patents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802A
KR20140140802A KR20130061647A KR20130061647A KR20140140802A KR 20140140802 A KR20140140802 A KR 20140140802A KR 20130061647 A KR20130061647 A KR 20130061647A KR 20130061647 A KR20130061647 A KR 20130061647A KR 20140140802 A KR20140140802 A KR 2014014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ide portion
heat flux
short side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희
권효중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802A/en
Publication of KR2014014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8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A coil manufacturing method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taking out ingot steel through continuous casting mold; measuring heat flux of a long side unit and a short side unit in the mold; calculating a difference in the heat flux from the long side unit and the short side unit; and controlling a provision condition of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from the long side unit and the short side unit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heat flux with a predetermined value.

Description

코일제조방법{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0001]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0002]

본 발명은 코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manufacturing method.

고로에서 생산되는 용선은 제강공정을 거친다.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처리, 전로제강, 2차정련을 통해 용강을 생산한다. 제강공정을 거친 용강은 연속주조공정을 통해 철강 반제품으로 성형된다. 연속주조공정에서는 연주 몰드에 연속적으로 주입되는 용강이 연주 몰드 내에서 냉각됨으로써 슬라브 등의 철강 반제품으로 성형된다.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압연코일 등의 최종 제품으로 성형된다.The molten iron produced in the blast furnace is subjected to a steelmaking process. The steelmaking process produces molten steel through pre-treatment of molten iron, conversion steelmaking, and secondary refining. Molten steel that has undergone steelmaking process is formed into a steel semi-finished product through continuous casting process.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molten steel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performance mold is cooled in the performance mold, thereby forming a steel semi-finished product such as a slab. The slab is rolled and formed into a final product such as a rolling coil.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4370호(2012.07.06,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74370 (2012.07.06,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주 몰드에서의 열유속 편차에 따라 연주 몰드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코일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coil manufacturing method for controlling a supply condition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a performance mold in accordance with a heat flux deviation in a performance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강을 연주 몰드로 출강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서 장변부의 열유속과 단변부의 열유속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장변부의 열유속과 상기 단변부의 열유속의 차이로부터 열유속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유속 편차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asting molten steel, Measuring a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a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of the mold; Calculating a heat flux deviation from a difference between a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a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And comparing the heat flux deviation with a predetermined value to control a supply condition of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유속 편차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열유속 편차가 기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includes the step of supplying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until the heat flux deviation becomes the predetermined value or less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And changing the condition.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may include a step of chang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상기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100ℓ/min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단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100ℓ/min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at the long side portion may be gradually decreased by 100 l / min,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at the short side portion may be increased by 100 l / min .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 미만이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 이상이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and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If the supply quantity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maximum supply quantity of the cooling water when the supply quantity is less than the maximum supply quantity of the cooling water,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performed.

상기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1℃/min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ay reduce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at the short side step by 1 DEG C / min step by step.

상기 용강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중량부 ~ 0.09중량부의 탄소 함량을 가지고, 상기 기 설정값은 0.1MW/m2일 수 있다.
The molten steel has a carbon content of 0.02 parts by weight to 0.0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and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0.1 MW / m 2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주 몰드에서의 열유속 편차를 기 설정값과 비교함으로써, 연주 몰드를 거쳐 성형되는 슬라브의 코너부 크랙 결함지수를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주 몰드에서 장변부의 냉각수 공급 조건과 단변부의 냉각수 공급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슬라브의 코너부 크랙 결함지수를 허용 범위 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orner defect crack index of the slab formed through the performance mold by comparing the heat flux deviation in the performance mold with a preset value, and accordingly, By controlling the conditions and the cooling water supply conditions of the short sid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rner defect crack index of the slab to within the allowabl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코일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주 몰드를 수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연주 몰드를 수직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열유속 편차에 따른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지수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열유속 편차가 0.1MW/m2을 초과하는 경우에서의 슬라브의 코너부 크랙 결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인 경우에서의 슬라브를 도시한 도면.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il manufacturing apparatus.
Fig. 3 is a view showing a performance mold cut in a horizontal plane. Fig.
Fig. 4 is a vertical view of the performance mold. Fig.
FIG. 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change in the edge portion crack defect index of a rolling coil according to a heat flux devia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corner crack defect of a slab in a case where a heat flux deviation exceeds 0.1 MW / m 2 ;
7 is a view showing a slab in a case where the heat flux deviation is 0.1 MW / m 2 or les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a coi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제조방법은 용강을 연주 몰드로 출강하는 단계(S100), 연주 몰드에서 장변부와 단변부의 열유속을 측정하는 단계(S200), 연주 몰드에서 장변부와 단변부 사이의 열유속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S300), 연주 몰드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i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S100) tapping molten steel into a performance mold, measuring a heat flux of a long side portion and a short side portion of a performance mold (S200) (S300) of calculating a heat flux deviation between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and controll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performance mold (S400).

먼저, 제강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용강을 연주 몰드로 출강한다(S100).First, molten steel produced through a steelmaking process is introduced into a performance mold (S100).

도 2는 코일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주 몰드를 수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연주 몰드를 수직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coil manufacturing apparatus,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performance mold cut to a horizontal plane, and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performance mold cut to a vertical plane.

도 2를 참조하면, 용강(10)은 턴디쉬(100)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침지노즐을 통해 연주 몰드(200)로 공급된다.2, the molten steel 1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undish 100 and supplied to the performance mold 200 through the immersion nozzle.

도 3을 참조하면, 연주 몰드(200)의 내부에는 용강(10)이 응고되어 성형되는 철강 반제품인 슬라브의 단면에 상응하도록 직사각형의 수평 단면을 가지는 주조 공간이 형성된다. 즉, 연주 몰드(200)는 상대적으로 긴 장변부(210)와 상대적으로 짧은 단변부(220)를 포함한다. 장변부(210)와 단변부(220)에는 용강(10)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을 통해 공급된다. 그 결과, 용강(10)의 연주 몰드(200)에 인접하는 부분부터 응고쉘(1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casting space having a rectangular horizontal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performance mold 200 so as to correspond to a cross section of a slab, which is a semi-manufactured steel product, in which the molten steel 10 solidifies and is formed. That is, the playing mold 200 includes a relatively long side portion 210 and a relatively short side portion 220.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molten steel (10) is supplied to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through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221). As a result, the solidifying shell 11 is formed from the portion adjacent to the performance mold 200 of the molten steel 10.

도 4를 참조하면, 용강(10)이 연주 몰드(200)를 하향 통과하면서, 응고쉘(11)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 결과, 용강(10)은 슬라브로 성형될 수 있다.4, it can be observed that as the molten steel 10 passes down the performance mold 200, the thickness of the solidifying shell 11 gradu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molten steel 10 can be formed into a slab.

한편, 용강(10)에는 연주 몰드(200)와의 윤활 등의 목적으로 몰드 파우더가 투입되는데, 몰드 파우더는 응고쉘(11)과 연주 몰드(200) 사이에 몰드 파우더 층(13)을 형성한다.The mold powder is supplied to the molten steel 10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with the performance mold 200. The mold powder forms a mold powder layer 13 between the solidification shell 11 and the performance mold 200. [

다음으로, 연주 몰드에서 장변부의 열유속과 단변부의 열유속을 각각 측정한다(S200).Next,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are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performance mold (S200).

열유속(heat flux)이란 단위 면적을 통해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열량을 의미하고, W/m2의 단위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유속은 연주 몰드(200)의 단위 면적을 통해 단위 시간당 용강(10)에서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으로 이동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열유속은 연주 몰드(200)의 전체 면적을 통해 단위 시간당 용강(10)에서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으로 이동하는 열량을 연주 몰드(200)의 전체 면적으로 나눈 평균 열유속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장변부(210)의 열유속은 단위 시간당 용강(10)에서 냉각수 공급라인(211)으로 이동하는 열량을 측정하여 장변부(210)의 내측 면적으로 나눈 값이 되고, 단변부(220)의 열유속은 단위 시간당 용강(10)에서 냉각수 공급라인(221)으로 이동하는 열량을 측정하여 단변부(220)의 내측 면적으로 나눈 값이 된다. 단위 시간당 용강(10)에서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으로 이동하는 열량은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에서의 냉각수 공급 수량, 냉각수 공급 온도와 배출 온도 사이의 차이로부터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Heat flux means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per unit time through a unit area, and a unit of W / m 2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flux means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molten steel 10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per unit time through the unit area of the playing mold 200. The heat flux can be measured by an average heat flux divided by the total area of the playing mold 200 from the molten steel 10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playing mold 200. That is,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heat amount moving from the molten steel 10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211 per unit time by the inner side area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The heat flux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heat capacity of the molten steel 10 by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221 by the inner area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per unit tim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molten steel 10 to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per unit time can be indirectly measur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ling water supply amount in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and the cooling water supply temperatur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

다음으로, 장변부의 열유속과 단변부의 열유속의 차이로부터 열유속 편차를 산출한다(S300).Next, the heat flux deviation is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flux at the long side and the heat flux at the short side (S300).

열유속 편차는 장변부(210)의 열유속과 단변부(220)의 열유속의 차이로서 항상 양(plus)의 수치를 가지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장변부(210)의 열유속은 단변부(220)의 열유속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장변부(210)의 열유속에서 단변부(220)의 열유속을 뺀 수치로 산출될 수 있다. 열유속 편차가 발생한다는 것은 장변부(210)에 접촉하는 용강과 단변부(220)에 접촉하는 용강이 서로 다른 속도로 냉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변부(210)에 접촉하는 용강과 단변부(220)에 접촉하는 용강이 서로 다른 속도로 냉각되면, 장변부(2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과 단변부(2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변부(210)의 열유속이 단변부(220)의 열유속보다 크면, 장변부(2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변부(2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장변부(2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에서는 단변부(2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과 비교하여 큰 수축력이 형성됨으로써, 연주 몰드(200)를 거쳐 성형되는 슬라브의 코너부에서 크랙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슬라브의 코너부 크랙 결함은 슬라브가 압연 롤러를 거쳐 성형되는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연주 몰드(200) 내의 열유속 편차는 최종 제품인 압연코일에서의 에지부 크랙 결함의 발생 여부에 관여하는 요소일 수 있으므로, 이를 산출하여 최종 제품인 압연코일에서의 에지부 크랙 결함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The heat flux deviation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alway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However,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from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 The occurrence of the heat flux deviation means that the molten steel in contact with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molten steel in contact with the short side portion 220 are cooled at different speeds. When the molten steel contacting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molten steel contacting the short side portion 220 are cooled at different speeds, they are formed adjacent to the solidification shell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formed adjacent to the long side portion 210 The solidification shells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That is, when 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greater than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the solidified shell formed adjacent to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formed as a solidified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hort side portion 220, It can be formed thicker than the shell. As a result, in the solidification shell formed adjacent to the long side portion 210, a large contractile force is formed as compared with the solidification shell formed adjacent to the short side portion 220,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slab, which is formed through the performance mold 200, A crack defect may occur. Crack defects at the corner of the slab may cause cracks at the edge of the rolled coil where the slab is formed through the rolling rollers. Therefore, the heat flux deviation in the performance mold 200 may be an element related to whether or not an edge crack defect occurs in the rolled coil as a final produ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or not an edge crack defect occurs in the rolled coil have.

한편, 장변부(210)는 단변부(220)에 비해 길이가 길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이라면 장변부(2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에서는 단변부(2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응고쉘과 비교하여 큰 길이 변형이 일어난다. 그 결과, 단면부(220)와 이에 인접하는 응고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몰드 파우더 층은 장변부(210)와 이에 인접하는 응고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몰드 파우더 층과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단변부(220)에 인접하는 몰드 파우더 층은 단변부(220)를 통한 열전달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하여 단변부(220)의 열유속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장변부(210)와 단변부(220)에서 형성되는 몰드 파우더 층의 두께 차이는 장변부(210)와 단변부(220) 사이의 열유속 편차를 유발하는 일 원인이 될 수 있다.Since the long side portion 210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short side portion 220, the long side portion 210 has a longer length than that of the solidification shell formed adjacent to the short side portion 220 in the solidification shell formed adjacent to the long side portion 210 A large length deformation occurs. As a result, the mold powder layer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cross-section 220 and the adjacent solidifying shell is formed thicker than the mold powder layer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ng side 210 and the solidifying shell adjacent thereto . The mold powder layer adjacent to the short side 220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 may act as a resistance to obstruct heat transfer through the short side 220 to lower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220. Therefore, the thickness difference of the mold powder layer formed at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may cause the heat flux difference between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to be caused.

다음으로, 열유속 편차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한다(S400).Next, the heat flux deviation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value, and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controlled (S400).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열유속 편차를 기 설정값인 0.1MW/m2 과 비교(S410)하여, 그 결과에 따라 후술하는 2개 단계(S420, 430)로 분기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400) may compare the heat flux deviation with a predetermined value of 0.1 MW / m 2 (S410) and branch to the two steps S420 and 430 according to the result .

도 5는 열유속 편차에 따른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지수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change in the edge portion crack defect index of the rolling coil due to the heat flux deviation.

도 5를 참조하면, 열유속 편차와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지수는 비례관계에 있고,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인 경우에는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지수가 한계 결함지수, 예를 들어 10 이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열유속 편차를 0.1MW/m2 이하로 제어하면, 압연코일의 에지부 크랙 결함지수를 한계 결함지수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연코일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 설정값은 0.1MW/m2 일 수 있다. 이때, 용강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중량부 ~ 0.09중량부의 탄소 함량을 가지는 저탄소강이다. 한계 결함지수는 압연코일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을 의미하고, 압연코일의 품질 관리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eat flux deviation is proportional to the edge crack crack index of the rolling coil, and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is 0.1 MW / m 2 or less, the edge crack crack index of the rolling coil becomes the critical defect index, 10. ≪ / RTI > That is,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is controlled to be 0.1 MW / m 2 or less, the edge crack defect index of the rolled coil can be reduced to the limit defect index. Therefore, the predetermined value to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olling coil is defective may be 0.1 MW / m < 2 >. Here, the molten steel is a low carbon steel having a carbon content of 0.02 parts by weight to 0.0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The critical defect index means a reference value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rolled coil is defective 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quality control standard of the rolling coil.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이면,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유지하면서 슬라브의 연속주조공정을 수행한다(S420). 즉,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 수량과 공급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If the heat flux deviation is 0.1 MW / m 2 or less,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of the slab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420). That is, the supply amount and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are kept constant.

열유속 편차가 0.1MW/m2을 초과하면,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로 될 때까지,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한다(S430).If the deviation exceeds the heat flux 0.1MW / m 2, and the heat flux variations that change the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upply in at least one of, a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s until less than 0.1MW / m 2 (S430).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S430)는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과 비교(S431)하여, 그 결과에 따라 후술하는 2개의 단계(S432, S433)로 분기할 수 있다.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430) may compare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with the maximum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S431), and branch to two steps S432 and S433 described later.

냉각수 공급라인(211, 221)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 수량에는 최대 상한선인 최대 공급 수량이 존재한다. 따라서,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늘리는 것이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낮추는 것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이지만,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최대 공급 수량에 도달하면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추가적으로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낮출 수 밖에 없게 된다.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은 펌프 용량, 배관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re is a maximum supply amount which is the maximum upper limit in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s 211 and 221. [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more efficiently than to lower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However, if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reaches the maximum supply amount,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can not be further increased. The supply temperature must be lowered. The maximum amount of cooling water to be suppli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mp capacity, the piping size, and the like.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최대 공급 수량 미만이면,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한다(S432).If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less than the maximum supply amount,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changed (S432).

전술한 것처럼, 장변부(210)의 열유속이 단변부(220)의 열유속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장변부(210)와 단변부(220) 사이의 열유속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장변부(210)를 통과하는 냉각수 공급라인(211)에서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감소시키고, 단변부(220)를 통과하는 냉각수 공급라인(221)에서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heat flux difference between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s reduced in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211 passing through the long side portion 2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221 passing through.

냉각수의 공급 수량은 100ℓ/min씩 단계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열유속 편차를 0.1MW/m2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해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급격히 변경할 경우에는 주조방향을 따라 불연속성을 부여하여 최종 제품인 압연코일에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100ℓ/min씩 감소 또는 증가시킨 후에 장변부(210)와 단변부(220)에서의 열유속을 다시 측정하여 열유속 편차와 기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가 되면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유지하면서 연속주조하는 단계(S420)를 수행하고, 열유속 편차가 여전히 0.1MW/m2을 초과하면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S430)를 재차 수행한다.The supply quantity of cooling water can be decreased or increased stepwise by 100 l / min. If the supply amount of cooling water is rapidly changed in order to lower the heat flux deviation to 0.1 MW / m 2 or less, discontinuity may be caused along the casting direction, resulting in a defect in the final product, the rolling coil.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heat flux difference with the predetermined value by measuring the heat flux at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again after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by 100 l / min, the heat flux deviation is 0.1 MW / m 2 , the step S420 of performing continuous casting while maintain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is performed. If the heat flux deviation is still higher than 0.1 MW / m < 2 >, the step S430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is performed again.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최대 공급 수량 이상이면, 장변부 및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한다(S433).If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not less than the maximum supply amount,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changed (S433).

전술한 것처럼, 장변부(210)의 열유속이 단변부(220)의 열유속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장변부(210)와 단변부(220) 사이의 열유속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변부(220)를 통과하는 냉각수 공급라인(221)에서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2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heat flux deviation between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reduced in the cooling water supply line 221 passing through the short side portion 220.

냉각수의 공급 온도는 1℃/min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열유속 편차를 0.1MW/m2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해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급격히 변경할 경우에는 주조방향을 따라 불연속성을 부여하여 최종 제품인 압연코일에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1℃/min 감소시킨 후에 장변부(210)와 단변부(220)에서의 열유속을 다시 측정하여 열유속 편차와 기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가 되면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유지하면서 연속주조하는 단계(S420)를 수행하고, 열유속 편차가 여전히 0.1MW/m2을 초과하면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S430)를 재차 수행한다.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decreased stepwise by 1 ° C / min. If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rapidly changed in order to lower the heat flux deviation to 0.1 MW / m 2 or less, discontinuity may be given along the casting direction, resulting in a defect in the final product, the rolling coil. A feed temperature of the coolant decreases after 1 ℃ / min again to measure the heat flux in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short side portion 220 compares the heat flux variations and the predetermined value a result, the heat flux variation is 0.1MW / m 2 or less (S420) of continuously casting while maintain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and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S430)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still exceeds 0.1MW / m < 2 & gt ;.

도 6은 열유속 편차가 0.1MW/m2을 초과하는 경우에서의 슬라브의 코너부 크랙 결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인 경우에서의 슬라브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heat flux variation is a view showing a corner portion of the slab cracking defects in the case of excess of 0.1MW / m 2,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lab in the case where the heat flux variation less than 0.1MW / m 2.

도 6을 참조하면, 열유속 편차가 0.1MW/m2을 초과하는 경우, 응고쉘(11)이 장변부(210)에서 단변부(220) 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고, 그 결과로 슬라브(20)의 코너부에 크랙 결함(21)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6,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exceeds 0.1 MW / m 2 , the solidification shell 11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hort side portion 220 at the long side portion 210, It can be confirmed that a crack defect 21 is generated at the corner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열유속 편차가 0.1MW/m2 이하로 제어되는 경우, 응고쉘(11)이 장변부(210)와 단변부(220)에서 비슷한 두께로 형성되고, 그 결과로 슬라브(20)의 코너부에 크랙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7, when the heat flux deviation is controlled to 0.1 MW / m 2 or less, the solidifying shell 11 is formed to have a similar thickness at the long side portion 210 and the short side portion 220, It is confirmed that a crack defect does not occur at the corner portion.

도 6 및 도 7에서 화살표는 응고쉘에서 발생하는 수축력을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수축력의 크기가 장변부와 단변부에서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s. 6 and 7, the arrow indicates the contracting force generated in the solidifying shell.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contraction force is different between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용강
11: 응고쉘
13: 몰드 파우더 층
100: 턴디쉬
200: 몰드
210: 장변부
211: 냉각수 공급라인
220: 단변부
221: 냉각수 공급라인
10: molten steel
11: Solidification shell
13: mold powder layer
100: Tundish
200: mold
210: long side
211: Cooling water supply line
220: Short side
221: Cooling water supply line

Claims (7)

용강을 연주 몰드로 출강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서 장변부의 열유속과 단변부의 열유속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장변부의 열유속과 상기 단변부의 열유속의 차이로부터 열유속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유속 편차를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
Pouring molten steel into a performance mold;
Measuring a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a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of the mold;
Calculating a heat flux deviation from a difference between a heat flux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a heat flux of the short side portion; And
And comparing the heat flux deviation with a predetermined value to control a supply condition of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유속 편차가 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열유속 편차가 기 설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comprises:
And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until the heat flux deviation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heat flux devi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comprises:
And chang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100ℓ/min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단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100ℓ/min씩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comprises:
Wherein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at the long side portion is gradually decreased by 100 l / min,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at the short side portion is increased step by step at a rate of 100 l / m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공급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 미만이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 수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장변부 및 상기 단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수량이 냉각수의 최대 공급 수량 이상이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ing wat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when at least one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short side portion is supplied with the cooling water is less than the maximum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performed when the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maximum supply amount of the cooling wa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변부에서의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1℃/min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omprises:
Wherein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the short side portion is stepwise decreased by 1 占 폚 / m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중량부 ~ 0.09중량부의 탄소 함량을 가지고, 상기 기 설정값은 0.1MW/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lten steel has a carbon content of 0.02 parts by weight to 0.0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and the predetermined value is 0.1 MW / m 2 .
KR20130061647A 2013-05-30 2013-05-30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KR201401408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647A KR20140140802A (en) 2013-05-30 2013-05-30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647A KR20140140802A (en) 2013-05-30 2013-05-30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802A true KR20140140802A (en) 2014-12-10

Family

ID=5245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647A KR20140140802A (en) 2013-05-30 2013-05-30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8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3902A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casting for extra thick steel sheet
CN113543907B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 casting blank
KR20120032917A (en) Device for controlling cooling of strand and method therefor
KR101529287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s
KR101505161B1 (en) Design methods of mold powder for low carbon steel
CN102974794B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uperheat degree of molten steel of continuous casting ladle or intermediate ladle
KR20140140802A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JP2015193040A (en) COOLING METHOD OF CASTING PIECE OF HIGH Si SPRING STEEL
KR10127770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level of molten steel in mold and method therefor
KR101505159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oil
KR20120032924A (en) Method for estimating steel component during mixed grade continuous casting
KR101344897B1 (en) Device for predicting quality of plate in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therefor
KR101505158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JP5831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KR102237627B1 (en) Methods of continuous casting
JP2006328431A (en) Method for deciding finish temperature in vacuum degassing treatment
KR102634137B1 (en) Surface quality control method in continuous casting
KR101400047B1 (en) Control method for casting of ultra low carbon steel
KR102456462B1 (en) Method of predicting naked molten metal and operation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using the same
JP2020501913A (e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00040B1 (en) Control method for molten steel in tundish
KR101927769B1 (en) Method for casting
KR101400041B1 (en) Device for estimating carbon-increasing of molten steel and method thereof
KR101344902B1 (en) Control method for quality of steel
JP2015193041A (en) Cooling method of casting piece of spring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