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724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724A
KR20140139724A KR1020130060091A KR20130060091A KR20140139724A KR 20140139724 A KR20140139724 A KR 20140139724A KR 1020130060091 A KR1020130060091 A KR 1020130060091A KR 20130060091 A KR20130060091 A KR 20130060091A KR 20140139724 A KR20140139724 A KR 20140139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displayed
location information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871B1 (ko
Inventor
윤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87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휘어짐 감지 과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감지시 휘어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ENTS IN PORTAB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등)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장치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 수행 중 사용자는 불가피하게 기능 수행을 중단해야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위치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 장치는 표시부와 터치패널을 일체화한 풀 터치스크린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휴대성과 편리성을 강화시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 장치 전체를 유연한 형태의 화면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로서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넓은 화면을 제공한다. 휴대 장치는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부러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휘게 하는 행위를 통해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컨텐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휘어짐 감지 과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감지시 휘어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컨텐츠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감지시,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휘게 하는 행위를 통해 편리하게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책갈피를 접는 행위와 동일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현실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 도 7b는 컨텐츠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 도 9b는 컨텐츠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nel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Notebook PC) 등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적용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장치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변조기 및 복조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 및 복조기를 CDMA, WCDMA, LTE, Wi-Fi, WIBRO, Bluetooth 및 NFC 등의 통신 방식을 서비스 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모듈, 인터넷 통신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휴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이 감지되면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표시부(131)와 터치패널(132)을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디스플레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반을 사용하여 휠 수 있도록 제조된다. 표시부(131)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장치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패널(132)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 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장치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이 감지되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저장된 위치 정보가 존재할 경우 저장된 위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센서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에 대한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센서부(150)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가장자리에서 휘어짐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휘어짐이 발생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 장치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하드 키(Hard Key)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일부 영역을 휘게하여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영역은 화면의 가장자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는 화면의 모서리 또는 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가장자리를 휘게 하는 행위는 책갈피를 접는 행위와 동일하기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위치를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서 휘어짐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휘어짐이 발생된 영역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가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대상인 경우, 상기 감지된 휜 영역에 따라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40)는 기본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한 쪽 모서리가 구부러짐을 감지하면, 센서부(150)의 출력을 분석하여 구부러진 영역의 위치와 구부러진 정도를 파악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정보를 관리하는 플렉서블 프레임워크를 구비하며,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워크는 플렉서블 라우터를 통해 플렉서블 정보에 관심 있는 1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플렉서블 정보(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진 정보(영역 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플렉서블 정보를 받는 것을 사전에 설정해두었고 플렉서블 정보를 받을 권한과 환경이 된다면, 서비스나 데몬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도 플렉서블 정보를 받을 수 있다. 플렉서블 정보를 받은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화면이 위치를 저장할 대상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화면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 휘어진 영역에 가까운 위치 정보를 책갈피 형태로 저장한다. 저장된 값은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저장될 수 있고, 홈스크린 영역에 바로가기 아이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가 한 화면에 다수의 페이지들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서 휘어짐이 발생된 가장 가까운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가 한 화면에 한 페이지의 일부가 표시되는 경우(즉, 컨텐츠의 1페이지 화면이 상기 표시부(131)의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표시부(131)에 페이지의 일부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보이는 영역이 속한 페이지의 위치값(여기서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작 위치값)을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200단계에서 표시부(131)에 컨텐츠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화면은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문서 또는 전자책 등의 뷰어 화면, 웹 페이지 화면, 지도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201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 여부를 감지한다. 즉,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가장자리에서 휘어짐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장자리는 상하변, 좌우변,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에서 휘어짐은 상변에서 하변으로, 하변에서 상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좌측상변에서 우측하변으로, 우측상변에서 좌측하변으로, 좌측하변에서 우측상변으로, 우측하변에서 좌측상변으로 휘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한 쪽 모서리에서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휘어짐이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3단계에서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가 위치 저장 가능한 컨텐츠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저장 가능한 컨텐츠는 음악, 동영상, 문서, 웹 페이지, 지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텐츠가 위치 저장이 가능한 컨텐츠면 제어부(140)는 205단계에서 컨텐츠 위치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부(131)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일부 영역에서 휘어짐의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서 휘어진 영역을 분석하고, 상기 휜 영역에 따른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먼저 상기 컨텐츠는 음악이나 동영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악이나 동영상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한 쪽 모서리를 구부리는 행위를 감지하면 현재 재생 중인 음악 또는 동영상의 위치(여기서는 재생 위치의 시간 정보가 될 수 있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전자책이나 전자문서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전자책이나 전자문서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한 쪽 모서리를 구부리는 행위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컨텐츠 위치 정보(예를 들면, 페이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페이지로 구획되지 않은 컨텐츠(전자책, 전자문서 또는 텍스트 등)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한 쪽 모서리를 구부리는 행위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작 위치 정보(화면의 최상단에 표시된 텍스트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전자책, 전자문서 또는 텍스트 등)는 한 화면에 여러 페이지가 걸쳐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진 위치(예를 들면, 모서리)와 가까운 위치에서 표시되는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웹 페이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웹 페이지의 위치(예를 들면, URL 정보)를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지도일 수 있다. 지도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한 쪽 모서리를 구부리는 행위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는 지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2의 205단계에서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 도 7b는 컨텐츠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a -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301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미디어라면,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미디어를 위치 정보 저장이 가능한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재생 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도 4b의 401과 같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휘어짐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303단계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 파일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재생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4b의 403과 같이 표시부(131)에 현재 재생 위치 정보가 저장되었다는 안내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가 문서라면,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문서를 위치 정보 저장이 가능한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문서는 전자책, 전자문서, 메모,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서를 표시하는 화면은 복수 페이지, 한 페이지 전체 또는 한 페이지의 일부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복수 페이지의 문서가 표시되고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표시되고 있는 복수 페이지의 문서 화면에서 도 5b의 501과 같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휘어짐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309단계에서 휘어짐이 발생한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휘어짐이 발생한 위치와 가까운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b의 501과 같이 우측상변 모서리 휘어짐이 감지되면 2번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좌측상변 모서리 휘어짐이 감지하면 1번 페이지, 좌측하변 모서리 휘어짐이 감지되면 3번 페이지, 우측하변 모서리 휘어짐이 감지되면 4번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5b의 503과 같이 표시부(131)에 상기 휘어짐이 발생한 위치와 가까운 위치의 페이지가 저장되었다는 안내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5c와 같이 한 페이지 전체가 표시되고 있는 문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되고 있는 문서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도 5d의 505와 같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휘어짐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313단계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5d의 507과 같이 표시부(131)에 현재 페이지가 저장되었다는 안내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한 페이지의 일부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문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페이지의 일부 영역이 표시되고 있는 문서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휘어짐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시작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를 참조하면, 1번에서17번까지를 한 페이지 문서라고 한다면, 화면에 일부 영역인 5번에서 17번까지만을 표시하고 있고 있는 문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문서 화면에서 휘어짐이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영역의 시작 위치값인 5번을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페이지는 뷰어 어플리케이션 내부 또는 휴대 장치의 홈스크린 영역에 바로가기 아이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가 웹 페이지라면,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웹 페이지를 위치 정보 저장이 가능한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웹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도 6b의 601과 같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휘어짐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317단계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 정보(예를 들면, URL)를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6b의 603과 같이 표시부(131)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되었다는 안내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즐겨찾기에 추가된 웹 페이지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내부 또는 휴대 장치의 홈스크린 영역에 바로가기 아이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가 지도라면,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지도를 위치 저장 가능한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지도가 표시되고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표시되고 있는 지도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를 통해 도 7b의 701과 같이 한 쪽 모서리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휘어짐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321단계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지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7b의 703과 같이 표시부(131)에 현재 위치의 지도가 저장되었다는 안내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지도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내부 또는 휴대 장치의 홈스크린 영역에 바로가기 아이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여,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휘어짐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수행 후 종료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기능을 종료한다.
20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위치 정보 저장이 가능한 컨텐츠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14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 도 9b는 컨텐츠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a - 도 9b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801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전자책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803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은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화면, 문서 또는 전자책 뷰어 화면, 웹 페이지 화면, 지도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실행으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예로 들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40)는 805단계에서 컨텐츠 저장 위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저장된 컨텐츠의 위치 정보가 존재한다면, 제어부(140)는 8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07단계에서 도 9a의 901과 같이 표시부(131)에 저장된 위치부터 재생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에서 제어부(140)는 809단계에서 터치패널(132)을 통해 도 9a의 903또는 905에서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도 9a의 903에서 탭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811단계에서 도 9b와 같이 저장된 위치부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도 9a의 905에서 탭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813단계에서 처음 위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부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위치가 존재하지 않다면, 제어부(140)는 815단계에서 센서부(150)를 통해 휘어짐 감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휘어짐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817단계에서 상기 휘어짐에 대응하여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의 817단계의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도 2를 참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31: 표시부
132: 터치패널
140: 제어부
150: 센서부

Claims (18)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휘어짐 감지 과정;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감지시 휘어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 감지 과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휘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에,
    저장된 위치 정보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며, 저장된 위치 정보가 있으면 대응되는 위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하나의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적어도 2개의 화면으로 표시되면 휘어짐이 감지된 위치와 가까운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악 또는 동영상이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문서 또는 전자책이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분석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하나의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적어도 2개의 화면으로 표시되면 휘어짐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과,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페이지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면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시작 위치값을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웹 페이지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URL을 즐겨찾기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지도이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지도 위치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어 방법.
  10. 컨텐츠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컨텐츠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감지시, 상기 컨텐츠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휘어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때 저장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며, 저장된 위치 정보가 있으면 대응되는 위치의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하나의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위치 정보로 저장하고,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적어도 2개의 화면으로 표시되는 화면이면 휘어짐이 감지된 위치와 가까운 컨텐츠 화면을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음악 또는 동영상이면,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문서 또는 전자책이면, 컨텐츠의 페이지 정보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을 분석하고,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하나의 화면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고,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적어도 2개의 화면으로 표시되면 휘어짐이 감지된 위치의 컨텐츠 페이지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고,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화면이 페이지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면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시작 위치값을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웹 페이지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의 URL을 즐겨찾기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지도이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화면의 지도 위치를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60091A 2013-05-28 2013-05-2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6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091A KR102166871B1 (ko) 2013-05-28 2013-05-2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091A KR102166871B1 (ko) 2013-05-28 2013-05-2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24A true KR20140139724A (ko) 2014-12-08
KR102166871B1 KR102166871B1 (ko) 2020-10-16

Family

ID=5245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091A KR102166871B1 (ko) 2013-05-28 2013-05-2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4734A1 (de) 2014-10-16 2016-04-21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Rest-Harnstoff
KR20170069103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532A1 (fr) * 2006-11-24 2008-05-29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procédé et programme d'affich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KR20100027501A (ko) *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7914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532A1 (fr) * 2006-11-24 2008-05-29 Pioneer Corporation Dispositif, procédé et programme d'affich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KR20100027501A (ko) *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7914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4734A1 (de) 2014-10-16 2016-04-21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Rest-Harnstoff
KR20170069103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871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7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US1015208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80167576A1 (en) Display of video subtitles
US8351993B2 (en) Device having side sensor
US8791963B2 (en) Responding to the receipt of zoom commands
US9219812B2 (en) Mobile terminal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KR101601049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를 이용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US20100162165A1 (en) User Interface Tools
KR101863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418725B2 (ja) 録音機能が連動されたメモ機能運用方法および装置
US8810538B2 (en) Mobile terminal
JP2017188139A (ja) 電子装置及びそのホーム画面編集方法
US20090063542A1 (en) Cluster Presentation of Digital Asset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40111171A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0966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6980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표시 제어방법
KR102192159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400132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216687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에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EP2439608A1 (en) Device having side sensor
KR102231888B1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5148206A (zh) 语音控制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20130049249A (ko)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