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047A -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047A
KR20140139047A KR20147029651A KR20147029651A KR20140139047A KR 20140139047 A KR20140139047 A KR 20140139047A KR 20147029651 A KR20147029651 A KR 20147029651A KR 20147029651 A KR20147029651 A KR 20147029651A KR 20140139047 A KR20140139047 A KR 2014013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band radio
modu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298B1 (ko
Inventor
데젱 리우
타오 푸
웨이후아 순
주오준 친
핑후아 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ost-detection diversity
    • H04B7/088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ost-detection diversity with comb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1Crossed polarisation du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4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phasing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여, 4개의 이중 대역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고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수신 모듈은 서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결합-분리 네트워크,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접속점이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결합 네트워크 세트,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 및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접속점이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TRANSCEIVER MODULE, ANTENNA, BASE STATION AND SIGNAL RECEP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분배 기지국 시스템은 무선 원격 유닛(Radio Remote Unit: RRU) 및 기저대역 프로세싱 유닛(Building Base Unit: BBU)의 분할 구조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서,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일체형 RRU의 설계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요건을 충족하는 안테나 시스템은 통합형 안테나 시스템 및 능동 안테나 시스템(Active Antenna System: AAS)을 포함한다.
현재, 능동 안테나 시스템(Active Antenna System: AAS)은 수동 안테나보다 네트워크 성능 이득이 높기 때문에 무선 분배 기지국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AAS는 이중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성능 이득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AAS는 2개의 안테나 어레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 및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Transceiving Unit: TRX) 어레이는 단일 대역 능동 안테나를 형성한다. 각각의 어레이 안테나는 2개의 분극 방향을 가지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각 세트의 송수신 유닛(TRX) 어레이는 2m개의 TRX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모든 m개의 TRX 송수신 유닛은 분극 방향에 대응한다. n개의 안테나 소자가 동일한 분극 방향으로 수신하는 무선-주파 신호는 결합-분리 네트워크를 통해 n개의 TRX 송수신 유닛에 송신되고, m개의 TRX 송수신 유닛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용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송신되어, 하나의 단일 대역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의 각각의 안테나 소자는 2개의 분극 방향을 가지며, 이에 따라 2개의 단일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 어레이는 2개의 이중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이 확장함에 따라, 2개의 신호만을 수신하는 것으로는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의 요건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다.
상이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대역을 가진 적어도 4개의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한 관점은 송수신 모듈을 제공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서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결합-분리 네트워크,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접속점이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결합 네트워크 세트,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 및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주파 신호 각각은 분극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상기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상기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입력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결합 네트워크는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고 안테나 소자의 동일한 분극 방향에 대응하며, 상기 결합된 신호를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안테나를 제공하며, 상기 안테나는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송수신 모듈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전술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송수신 유닛이,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함 - ;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에서, 하나의 송수신 모듈에 있어서, 무선-주파 신호는 복수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을 통해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되고,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송신되어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며, 다른 송수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한 쌍의 수신 유닛을 통해 수신되어, 다른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며, 이에 의해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한편,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고, 상기 서로 다른 모듈에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다른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전술한 송수신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이 대역을 가지는 적어도 4개의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최종적으로 달성하며, 이에 의해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안테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NodeB(NodeB)일 수도 있고, LTE에서의 진화된 NodeB(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수신 모듈(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소자 필터 유닛(11),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출력 포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출력 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결합-분리 네트워크(12) 및 결합 네트워크(13), 결합-분리 네트워크(12)에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15),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16)을 포함한다. 결합 네트워크(13) 및 한 쌍의 수신 유닛(16)은 접속점이 다른 송수신 유닛에 접속되게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공동-소자 필터 유닛(11)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하며,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되며,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분리 네트워크(12)에 송신하고,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 네트워크(13)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처리된 후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입력되며, 여기서 결합-분리 네트워크의 프로세싱은 2개의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거나 3개의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결합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 프로세싱의 입력 및 출력 포트는 여기서 제한되지 않으며; 송수신 유닛 어레이의 프로세싱은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싱을 포함하며, 여기서 중간-주파 신호는 아날로그 중간-주파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주파 신호일 수 있고, 다른 프로세싱일 수도 있으며, 이것은 여기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싱을 설명을 위한 예로 취한다.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하나의 공동-소자 필터 또는 복수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동일한 분극 방향에 접속되며,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소자에 인접될 수 있다. 대안으로, 공동-소자 필터의 수는 안테나 소자의 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는 2개의 입력 포트 및 4개의 출력 포트와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2개의 분극 방향에서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공동-필터의 수는 안테나 소자의 수의 2배가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각각의 공동-필터는 하나의 입력 포트 및 2개의 출력 포트와 함께 배치되고, 하나의 분극 방향에서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하나의 무선-주파 신호를 하나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하나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는 단지 공동-소자 필터 유닛의 몇 가지 선택적 설정 방식을 제공할 뿐이다.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포함되는 공동-소자 필터의 수 및 포트를 설정하는 데는 복수의 방식이 있으며, 본 발명은 전술한 몇 가지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쌍의 수신 유닛(16)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은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주파 신호는 아날로그 중간-주파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주파 신호일 수 있고, 다른 필요한 프로세싱일 수도 있으며, 이것은 여기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설명을 위한 예로 취한다.
결합 네트워크(13)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11)에 의해 송신되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를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 여기서 한 쌍의 수신 유닛 내의 각각의 수신 유닛은 하나의 분극 방향에 대응한다.
결합-분리 네트워크(12)는 기존의 AAS 내의 결합-분리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구조 및 기능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신호를 수신할 때, 결합-분리 네트워크(12)는 n개의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공동-소자 필터 유닛(11)에 의해 송신되는 동일한 분극 방향의 m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2개의 분극 방향 각각에서 n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서브구성요소를 획득하며, 상기 2개의 분극 방향에서의 n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서브구성요소를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내의 n개의 송수신 유닛에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를 송신할 때, 결합-분리 네트워크(12)는 동일한 송수신 유닛 내의 n개의 송수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m개의 신호로 분할하고 이 m개의 신호를 공동-요소 필터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는 기존의 AAS 내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구조 및 기능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는 2개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2개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송수신 유닛의 수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12)가 하나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트의 수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개이다.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내의 송수신 유닛은 하나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의 상이한 하위구성요소를 수신하고, 무선-주파 신호로부터 수신된 상이한 하위구성요소의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의 변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변환된 신호를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내의 송수신 유닛은 그 수신된 상이한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직접적으로 추가로 송신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신할 때,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내의 송수신 유닛은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의해 송신되는 중간-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로 변환하고, 그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결합-분리 네트워크(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은 신호를 수신할 때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 및 한 쌍의 송수신 유닛(16)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은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 및 한 쌍의 송수신 유닛(16)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추가로 수신하여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들을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신호를 수신할 때,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은 기저대역 유닛의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신호를 상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수신 모듈에서,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안테나 소자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중간-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상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송신하여 2개의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다른 송수신 모듈의 결합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2개의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며, 이에 의해 4개의 제1 대역 신호의 수신을 달성하며,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며, 예를 들어, 단말 전송에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커버리지를 연장하고 시스템 용량을 확장하며; 그 외에, 결합 네트워크는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의해 송신되면서 상이한 분극 방향에 있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들을 결합하고 그 결합된 신호를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다른 2개의 제2 대역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전술한 송수신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4개의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최종적으로 달성되며, 이에 의해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송수신 모듈(1)은 공동-안테나 필터(17)를 포함하며, 공동-안테나 필터(17)에서, 입력 포트는 결합 네트워크(13)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포트는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점 및 무선 원격 유닛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점과 설치되어 있으며, 공동-안테나 필터(17)는 송수신 모듈(1) 내의 결합 네트워크(3)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각각 분할하고, 2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 2개의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무선 원격 유닛에 송신한다. 이 2개의 신호들은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한다. 이 방법에서,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송수신 모듈(1)에서 달성될 때와 동시에, 공동-안테나 필터는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에 송신하고, 다른 송수신 모듈 내에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2개의 제3 대역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공동-안테나 필터의 접속점은 무선 원격 유닛에 접속되어, 수동 안테나로서 안테나 소자와의 신호 송수신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원격 유닛은 안테나와는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통합 배치되어 타워의 상하에 위치할 수 있기도 하고, 독립 RRU일 수도 있고, 그리고 안테나와 통합된 RRU 모듈일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 외에, 제2 접속점은 비분산 기지국에 추가로 접속되어, 수동 안테나로서 안테나 소자와의 신호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제2 접속점이 RRU에 접속되는 것을 설명을 위한 예로 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송수신 모듈(1)은 결합 네트워크(13)에 접속되어 있는 위상 시프터(18)를 포함할 수 있고, 위상 시프터(18)는 결합 네트워크(13)에 입력되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안테나가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는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프로세싱 모듈(15)은 송수신 유닛 어레이(14)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가 능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는 안테나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능동 안테나의 경사각 및 수동 안테나의 경사각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를 추가로 제공하며, 안테나는 제1 송수신 모듈(1), 제2 송수신 모듈(2), 및 각각의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한다.
도 4는 각각의 송수신 모듈이 안테나 소자 어레이에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는 제1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는 제2 송수신 모듈(2)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는 2개의 분극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수신 모듈은 공동-소자 필터 유닛(11), 결합-분리 네트워크(12), 결합 네트워크(13),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신호 프로세싱 유닛(15) 및 한 쌍의 수신 유닛(16)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수신 모듈 내의 각각의 유닛의 접속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송수신 모듈(1)의 접속 방식과 동일하다. 특정한 접속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공동-소자 필터 유닛(11)은 하나의 공동-소자 필터 또는 복수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동일한 분극 방향에 접속되고, 각각의 공동-소자 필터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인접하는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의 접속점은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23)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결합 네트워크(23)의 접속점은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접속은 백그라운드 접속 또는 케이블 접속과 같은 외부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송수신 모듈의 내부 접속의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안테나에서, 제1 송수신 모듈(1)에 있어서,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안테나 소자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결합-분리 네트워크는 n개의 안테나 소자에 의해 전송되는 동일한 분극 방향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m개의 신호를 형성하고 이 m개의 신호를 m개의 수신 유닛으로 전송하며, 그런 다음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이 신호를 처리하여 하나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각각의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 인해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실행된다. 제1 송수신 모듈(1)에 새로 부가된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그런 다음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이 신호를 처리하여 다른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이에 의해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결합 네트워크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모든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2개의 신호를 형성하고 이 2개의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제2 송수신 모듈(2)에 있어서,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안테나 소자 어레이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그런 다음 결합-분리 네트워크,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제2 송수신 모듈(2)에 새로 부가된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제1 송수신 모듈(1)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이에 의해 4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결합 네트워크는 2개의 분극 방향에 있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2개의 신호를 형성하고 이 2개의 신호를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이 방법에서, 2개의 송수신 모듈은 2개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완전하게 사용하도록 공조하여 하나 이상의 대역을 가진 4개의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이는 비용을 절감하고 동시에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안테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수신 모듈(1), 제2 송수신 모듈(2), 제1 송수신 모듈(1) 및 제2 송수신 모듈(2)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및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를 포함한다. 당연히, 제1 송수신 모듈(1) 및 제2 송수신 모듈(2)도 복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에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송수신 모듈(1)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송수신 모듈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조란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 간의 접속이 동일하다는 것을 말한다. 제1 송수신 모듈(1)은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송수신 모듈(1)에 의해 수신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결합 네트워크(13)에 입력되며, 여기서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송수신 모듈(2)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송수신 모듈의 구조와 동일하며, 제2 송수신 모듈(2)은 4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입력된다.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의 접속점은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13)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6)의 접속점은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소자 필터(17)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전술한 접속은 백그라운드 접속 또는 케이블 접속과 같은 외부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송수신 모듈의 내부 접속의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소자 필터(17)의 제2 접속점은 RRU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테나 소자는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되어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전술한 안테나의 구조 및 수신 원리에 대해 도 5a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며, 여기서 한 세트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는 4개의 이중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이중 대역은 1.8 G 및 2.6 G이며 이를 설명을 위한 예로 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및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에 각각 접속되는 2.6 G 송수신 모듈(1) 및 1.8 G 송수신 모듈(2)을 포함한다.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또는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는 N개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N은 양의 정수이다), 각각의 안테나 소자는 2개의 분극 방향, 즉 제1 분극 방향 및 제2 분극 방향을 가진다.
2.6 G 송수신 모듈(1)은:
T 쌍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1.8-2.1 G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며, 2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분리 네트워크(12)에 송신하며, 2개의 1.8-2.1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 네트워크(1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11)
을 포함한다. 공동-소자 필터들은 제1 공동-소자 필터(111) 및 제2 공동-소자 필터(112)로 분할되며; 제1 공동-소자 필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이것은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안테나 소자이며, 여기서 제한되지 않는다)의 제1 분극 방향에 접속되며, 제2 공동-소자 필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이것은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안테나 소자이며, 여기서 제한되지 않는다)의 제2 분극 방향에 접속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소자 필터(111) 중 하나는 인접하는 안테나 소자(101 및 102)의 제1 분극 방향에 접속되며, 공동-소자 필터(112) 중 하나는 인접하는 안테나 소자(101, 102 및 103)의 제2 분극 방향에 접속된다.
결합-분리 네트워크(12)는 T개의 제1 공동-소자 필터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분극 방향의 T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M개의 신호를 형성하며, 이 M개의 신호를 제1 송수신 유닛 어레이(141) 내의 M개의 송수신 유닛에 송신하며(M은 양의 정수이다); T개의 제2 공동-소자 필터(112)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분극 방향의 T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M개의 신호를 형성하며, 이 M개의 신호를 제2 송수신 유닛 어레이(142) 내의 M개의 송수신 유닛에 송신한다(M은 양의 정수이다).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는 제1 송수신 유닛 어레이(141) 및 제2 송수신 유닛 어레이(142)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는 M개의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신호를 수신할 때, 결합-분리 네트워크(13)에 의해 송신되는 2.6 G 무선-주파 신호는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출력되며; 신호를 송신할 때,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의해 송신되는 중간-주파 신호는 2.6 G 무선-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결합-분리 네트워크(13)에 송신된다.
각각의 송수신 유닛은 필터, 증폭기, 상승-변환 수신 유닛, 하강-변환 수신 유닛,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 증폭기, 상승-변환 수신 유닛 및 하강-변환 수신 유닛은 수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터, 증폭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전송 채널을 형성하며; 당연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각각의 송수신 채널에 포함되지 않고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설정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송수신 유닛의 수신 채널 및 전송 채널의 하나의 포트는 결합-분리 네트워크(13)의 신호 출력 포트에 접속되며, 다른 포트는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에 접속된다.
송수신 유닛은 수신 채널 및 전송 채널을 포함하며, 수신 채널 및 전송 채널은 수신 필터 및 전송 필터를 통해 안테나 소자를 공유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신 유닛(16)은 1.8-2.1 G 무선-주파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23)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2.6 G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며 중간-주파 신호를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으로 출력하여, 2개의 2.6 G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각각의 수신 유닛(16)은 필터, 증폭기, 상승-변환 수신 유닛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형성되는 수신 채널을 포함하며; 당연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각각의 수신 유닛에 포함되지 않고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설정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수신 유닛(16)은 접속점이 1.8 G 송수신 모듈(2)에 접속되게 배치되며, 여기서 1.8-2.1 G 무선-주파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23)의 무선-주파 신호 출력 포트와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 간의 접속은 백그라운드 접속 또는 케이블 접속과 같은 외부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송수신 모듈의 내부 접속의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은 신호를 수신할 때 디지털 도메인에서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1 및 142) 및 한 쌍의 수신 유닛(16)에 의해 송신되는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신호를 송신할 때 디지털 도메인에서 기저대역 유닛의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된 신호를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1 및 14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은 신호 프로세싱 채널, 전송 프로세싱 채널, 결합기 및 직렬/병렬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프로세싱 채널은 수신 유닛(16)의 수신 채널에 접속되며, 전송 프로세싱 채널은 송수신 유닛의 전송 채널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신호 프로세싱 채널은 디지털 빔 형성 수신 유닛 및 필터링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연히, 수신 프로세싱 채널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내의 각각이 송수신 유닛 및 각각의 수신 유닛(16)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포함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전송 프로세싱 채널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수신 유닛 어레이(14) 내의 각각이 송수신 유닛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포함되지 않으며; 전술한 필터링 프로세싱 유닛은 계수 추출 필터, 하프-대역 필터,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디지털 빔 형성 수신 유닛 및 필터링 프로세싱 유닛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15)의 각각의 수신 프로세싱 채널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결합기는 관련 알고리즘에 따라 각각의 수신 프로세싱 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누산하며, 결합 후의 디지털 신호를 기저대역 유닛(BBU)에 전송한다.
결합 네트워크(13)에 접속되어 있는 위상 시프터(18)는 결합 네트워크(13)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가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2.6 G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프로세싱 모듈(15)은 송수신 유닛 어레이(14)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여,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가 능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2.6 G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 네트워크(13)는 모든 제1 공동-소자 필터(111)에 의해 송신되는 1.8-2.1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고, 모든 제2 공동-소자 필터(112)에 의해 송신되는 1.8-2.1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며, 전술한 2개의 신호를 공동-안테나 필터(17)에 송신한다.
공동-안테나 필터(17)에서는, 입력 포트가 결합 네트워크(13)에 접속되고, 출력 포트는 1.8-2.1 G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4)에 접속되는 제1 접속점 및 무선 원격 유닛에 각각 접속되는 제2 접속점과 설치되며, 공동-안테나 필터(17)는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결합 네트워크(13)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1.8-2.1 G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2.1 G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2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를 1.8-2.1 G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4)에 송신하며, 2.1 G 무선-주파 신호를 무선 원격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방법에서, 2.6 G 송수신 모듈(1)에서의 4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실행될 때와 동시에, 공동-소자 필터는 1.8 G 무선-주파 신호를 1.8 G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송수신 유닛에 송신하고, 1.8 G 송수신 모듈(2)은 4개의 1.8 G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공동-안테나 필터의 제2 접속점은 무선 원격 유닛에 접속되어, 수동 안테나로서 안테나 소자 어레이(10)와의 신호 송수신을 실행한다.
1.8 G 송수신 모듈(2)은:
T 쌍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1.8-2.1 G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며, 2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분리 네트워크(22)에 송신하며, 2개의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 네트워크(2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21)
을 포함한다.
각각의 쌍의 공동-소자 필터는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공동-소자 필터(211) 및 제2 공동-소자 필터(212)를 포함하며, 접속 방식에 대해서는, 2.6 G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11)의 접속 방식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결합-분리 네트워크(22)는 모든 제1 공동-소자 필터(211)에 의해 송신되는 T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M개의 신호를 형성하고, 이 M개의 신호를 제1 송수신 유닛 어레이(241) 내의 M개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M은 양의 정수이다); 모든 제2 공동-소자 필터(211)에 의해 송신되는 T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M개의 신호를 형성하고, 이 M개의 신호를 제2 송수신 유닛 어레이(242) 내의 M개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M은 양의 정수이다).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24)는 제1 송수신 유닛 어레이(241) 및 제2 송수신 유닛 어레이(242)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송수신 유닛은 M개의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신호를 수신할 때, 결합-분리 네트워크(22)에 의해 송신되는 1.8 G 무선-주파 신호는 1.8 G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신호 프로세싱 유닛(25)에 송신되며; 신호를 송신할 때, 신호 프로세싱 유닛(25)에 의해 송신되는 1.8 G 중간-주파 신호는 1.8 G 무선-주파 신호로 변환되고 결합-분리 네트워크(22)에 송신된다.
한 쌍의 수신 유닛(26)은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17)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1.8 G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며, 이 중간-주파 신호를 신호 프로세싱 유닛(25)에 출력하여, 2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각각의 수신 유닛(26)은 접속점이 2.6 G 송수신 모듈(1)에 접속되게 배치되며, 여기서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17)의 무선-주파 신호 출력 포트와 1.8 G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6) 간의 접속은 백그라운드 접속 또는 케이블 접속과 같은 외부 접속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송수신 모듈의 내부 접속의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싱 유닛(25)은 신호를 수신할 때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24) 및 한 쌍의 수신 유닛(26)에 의해 송신되는 1.8 G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1.8 G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신호를 송신할 때, 기저대역 유닛의 신호를 처리하고 이 신호를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2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 네트워크(23)는 모든 제1 공동-소자 필터(211)에 의해 송신되는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고, 모든 제2 공동-소자 필터(212)에 의해 송신되는 2.6 G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를 형성하며, 전술한 2개의 신호를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에 송신한다.
전술한 1.8 G 송수신 모듈(2)은 2.1 G 송수신 모듈(2)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2.1 G 송수신 모듈(2)에서,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24)는 2.1 G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수신 유닛(26)은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소자 필터(17)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2.1 G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소자 필터(17)의 2.1 G 무선-주파 신호 출력 포트의 접속점은 내부 모듈 또는 외부 접속의 방식으로 2.1 G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6)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2.6 G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소자 필터(17)의 1.8 G 무선-주파 신호 출력 포트의 접속점은 내부 모듈 또는 외부 접속의 방식으로 무선 원격 유닛에 접속되며, 이에 따라 안테나 소자 어레이(910)는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안테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수신 모듈(1), 제2 송수신 모듈(2), 제1 송수신 모듈(1) 및 제2 송수신 모듈(2)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10) 및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20)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 모듈(1) 및 제2 송수신 모듈(2)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 모듈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 송수신 모듈(1)은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결합 네트워크(13)에 입력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포함한다. 제2 송수신 모듈(2)은 4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와 비교해 보면,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23)에 입력되는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16)의 접속점은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27)의 제1 접속점에 접속되며,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26)의 접속점은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17)의 제1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17)의 제2 접속점 및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27)의 제2 접속점은 모두 RRU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안테나 소자 어레이 및 제2 안테나 소자 어레이는 모두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되어,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 및/또는 송신을 각각 실행한다. 제4 대역 및 제6 대역은 동일한 대역일 수 있으며 결합 후 동일한 RRU에 송신될 수 있거나, 상이한 RRU에 접속되는 상이한 대역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601: 제1 송수신 모듈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한다.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하고,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한다.
602: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
603: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1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며, 이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이 단계에서, 제2 송수신 모듈이 도 2에 도시된 송신 모듈일 때,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2 송수신 모듈(2)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결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
제2 송수신 모듈이 도 3에 도시된 송수신 모듈일 때,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에 의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2 송수신 모듈(2)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먼저 분할하고,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먼저 분할하며,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를 통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
또한, 전술한 방법은 또한:
신호 프로세싱 유닛 및/또는 위상 시프터를 통해 안테나 소자 어레이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능동 안테나 및/또는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경사각의 독립적인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수신 방법에서, 제1 송수신 모듈(1)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송수신 모듈(2)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 제2 송수신 모듈(2)은 4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하며; 한편, 제1 송수신 모듈(1)은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송수신 모듈(1)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와 결합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며; 제2 송수신 모듈(2)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며, 제1 송수신 모듈(1)은 4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송수신 모듈(2)은 제1 송수신 모듈(1)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추가로 수신하고,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수신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와 결합하여, 4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과 비교해 보면, 단계 602가 단계 602'로 대체되는 차이점이 있다.
602':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
또한, 단계 603에서, 제2 송수신 모듈(2)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에 의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송수신 모듈(2)은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먼저 분할하고, 여기서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제1 송수신 모듈(1)에 의해 송신되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전술한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이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제2 송수신 모듈(2)은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2)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를 통해 제1 송수신 모듈(1)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한다. 또한, 제2 송수신 모듈(2)은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무선 원격 유닛에 송신할 있으며, 이 무선 원격 유닛은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단계 602' 후에, 방법은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04':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무선 원격 유닛에 송신하고, 이 무선 원격 유닛은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한다.
또한, 전술한 방법은:
신호 프로세싱 유닛 및/또는 위상 시프터를 통해 안테나 소자 어레이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능동 안테나 및/또는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경사각의 독립적인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4개의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실행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업링크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개의 이중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지 한 쌍의 수신 유닛 대신 하나 이상의 쌍의 수신 유닛이 전술한 실시예에 제공되면, 4개 이상의 이중 대역 신호의 수신이 실행될 수 있으며;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가 단지 이중 대역만이 아니라면, 대응하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송수신 유닛 어레이를 확장함으로써, 2 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이 실행될 수 있으며; 결합 네트워크가 이중 대역의 결합만이 아니라 2 이상의 대역의 결합으로 확장되면, 복수의 상이한 RRU에 대한 접속 또는 하나의 RRU의 복수의 대역의 수신이 실행될 수 있다. 이 외에, 수신 프로세스와 전송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반대이며, 적절한 변경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모듈, 장치 및 시스템은 2 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4개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절한 변경은 결합 네트워크의 분리 기능을 활용하는 것과, 공동-안테나 필터의 결합 기능을 활용하는 것과, 전송 채널을 부가하는 것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공동-안테나 필터의 제2 접속점은 RRU에 접속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동-안테나 필터의 제2 접속점 역시 비분산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네트워크는 또한 결합-분리 네트워크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환언하면, 공동-안테나 필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면서 하나의 분극 방향에 있는 T개의 신호는 U개의 신호와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U 쌍의 수신 유닛으로 변경되고, 전술한 U개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U 및 T는 양의 정수이며, U는 T보다 크지 않다. 결국, U와 T가 같으면, 결합 네트워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서,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수동 안테나로도 사용되면, 공동-안테나 필터는 복수의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안테나 필터 및 RRU가 접속되기 전에, 하나의 결합-분리 네트워크는 신호를 결합 또는 분할하도록 전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수동 안테나로서 사용될 때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전술한 변경 또는 다른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해당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기능 유닛은 프로세싱 유닛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닛은 독립적이고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 또는 2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결합 네트워크 및 공동-안테나 필터가 프로세싱 유닛일 수 있거나, 공동-소자 필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결합 네트워크가 프로세싱 유닛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해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의 유닛 및 단계는 전자식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식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수행되느냐 하는 것은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에 달려 있다. 당업자라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행이 본 발명의 범주를 넘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러한 기능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기술적 솔루션 또는,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각각의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솔루션에서의 기술적 특징 중 일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그렇지만, 이러한 변형 및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송수신 모듈에 있어서,
    서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결합-분리 네트워크,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접속점이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결합 네트워크 세트,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공동-소자 필터 유닛, 및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한 쌍의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소자 필터를 포함하고,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주파 신호 각각은 분극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상기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상기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상기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및 상기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입력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결합 네트워크는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의해 송신되면서 안테나 소자의 동일한 분극 방향에 대응하는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며, 상기 결합된 신호를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수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는 복수의 무선-주파수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동-소자 필터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동일한 분극 방향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2개의 분극 방향에 있는 복수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서브구성요소를 획득하며, 상기 2개의 분극 방향에 있는 복수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서브구성요소를 상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내의 복수의 송수신 유닛에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는 2개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2개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는 하나의 분극 방향에 대응하고,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송수신 유닛의 수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가 하나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트의 수와 동일하며, 신호를 수신할 때, 각각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 내의 송수신 유닛은 하나의 분극 방향에 있는 무선-주파 신호의 상이한 무선-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수신하고, 중간-주파 신호 하위구성요소를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한 세트의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 및 상기 한 쌍의 송수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중간-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수신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입력 포트가 상기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기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 내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포트가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점 및 제2 접속점과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공동-안테나 필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안테나 필터는 상기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2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2개의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상기 2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기 안테나 소자의 2개의 분극 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송수신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점은 무선 원격 유닛 또는 비분산 기지국(non-distributed base station)에 접속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결합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상기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수동 안테나로 사용될 때 상기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 어레이의 경사각(tilt angle)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위상 시프터
    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여, 상기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능동 안테나로 사용될 때 상기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 어레이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송수신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는,
    상기 송수신 유닛 어레이에 의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진폭 및 크기를 추가로 제어하여, 상기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능동 안테나로 사용될 때 상기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 어레이의 경사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2차 위상 시프터(secondary phase shifter)
    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모듈.
  7. 안테나 있어서,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은 제1, 2, 5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모듈인,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제1, 2, 5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이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 간의 접속은 제1, 2, 5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모듈 간의 접속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분리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2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에 있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송수신 유닛 어레이,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제2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이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 간의 접속은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모듈 간의 접속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상기 제2 송수신 유닛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1 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상기 제1 송수신 유닛 내의 결합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분리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에 있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송수신 유닛 어레이,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는 상기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상기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상기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1 접속점을 통해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2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원격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11. 안테나에 있어서,
    제1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은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모듈인,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은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다른 송수신 모듈이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 간의 접속은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수신 모듈 간의 접속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1 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의 접속점은 상기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1 접속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소자 필터 유닛은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분리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3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에 2개의 필터링된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에 있는 상기 결합-분리 네트워크, 송수신 유닛 어레이, 수신 유닛 및 신호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결합 네트워크는 상기 제5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는 상기 제5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상기 제6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를 상기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1 접속점을 통해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안테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2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거나,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공동-안테나 필터의 출력 포트의 제2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원격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14.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송수신 유닛이,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를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는 상이한 분극 방향의 2개의 신호를 포함함 - ;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상기 제1 송수신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처리하여 4개의 제1 대역 무선-주파 신호의 수신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위상 시프터를 통해 안테나 소자 어레이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상기 안테나 소자 어레이가 수동 안테나로 사용될 때 경사각의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 및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로 분할하고, 상기 제3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상기 제2 송수신 모듈 내의 상기 한 쌍의 수신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대역 무선-주파 신호를 원격 무선 유닛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18.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147029651A 2012-04-01 2012-04-01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 KR101621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73494 WO2012103845A2 (zh) 2012-04-01 2012-04-01 一种收发模块、天线、基站及信号的接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047A true KR20140139047A (ko) 2014-12-04
KR101621298B1 KR101621298B1 (ko) 2016-05-16

Family

ID=466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651A KR101621298B1 (ko) 2012-04-01 2012-04-01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58050B2 (ko)
EP (1) EP2822100B1 (ko)
JP (1) JP5948669B2 (ko)
KR (1) KR101621298B1 (ko)
CN (1) CN102804504B (ko)
BR (1) BR112014024540B1 (ko)
CA (1) CA2868985C (ko)
WO (1) WO20121038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4392B (zh) * 2010-12-15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频段多路收发设备及方法、基站系统
CN111373838B (zh) 2017-11-24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上行信号的方法、基站及系统
TWI749867B (zh) * 2020-11-12 2021-12-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收發裝置
CN112333722A (zh) * 2020-11-20 2021-02-05 深圳中时利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sa组织网的5g收发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506B2 (ja) * 1994-03-16 2002-11-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話/gps共用平面型アンテナおよび電話/gps共用送受信装置
EP1224748A2 (en) * 1999-10-28 2002-07-24 Celletra Ltd. Cellular base station augmentation
JP3699883B2 (ja) 2000-06-29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020137472A1 (en) * 2001-01-23 2002-09-26 Quinn Liam B. Wireless antenna switching system
JP4097918B2 (ja) * 2001-05-24 2008-06-11 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株式会社 基地局における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GB0415811D0 (en) 2004-07-15 2004-08-18 Quintel Technology Ltd Antenna system for shared operation
GB0616449D0 (en) 2006-08-18 2006-09-27 Quintel Technology Ltd Diversity antenna system with electrical tilt
CN101507128B (zh) * 2006-09-11 2012-10-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CN100464508C (zh) * 2007-02-13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基站天线收发信号的方法和基站天线
CN101072413A (zh) * 2007-03-01 2007-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多路分集天线的移动终端
US8903330B2 (en) * 2010-12-13 2014-1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2104392B (zh) 2010-12-15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频段多路收发设备及方法、基站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4540B1 (pt) 2019-11-12
CA2868985A1 (en) 2012-08-09
CA2868985C (en) 2016-11-08
CN102804504A (zh) 2012-11-28
US9258050B2 (en) 2016-02-09
JP2015518669A (ja) 2015-07-02
EP2822100A4 (en) 2015-04-01
US20150017920A1 (en) 2015-01-15
KR101621298B1 (ko) 2016-05-16
WO2012103845A3 (zh) 2013-03-07
EP2822100B1 (en) 2016-12-21
EP2822100A2 (en) 2015-01-07
JP5948669B2 (ja) 2016-07-06
WO2012103845A2 (zh) 2012-08-09
CN102804504B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551B2 (en) Antenna architecture for maintaining beam shape in a reconfigurable antenna
EP3734846A1 (en) Rf front end reduction of receiver de-sensitivity
US20170019847A1 (en) Multichannel radio frequency apparatus and method
US9992757B2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JP5603950B2 (ja) アンテナ素子の多重化方法および多重化装置、ならびにアンテナ構成要素
CN108092698B (zh) 一种波束训练方法及装置
US11601165B2 (en) Antenna arrangement for two polarizations
US10164731B2 (en) Method for base station backhaul,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base station backhaul
JP5866701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基地局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621298B1 (ko) 송수신기 모듈, 안테나, 기지국 및 신호 수신 방법
CN106559110B (zh) 有源天线、载波聚合方法和系统
US20180102805A1 (e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40037227A (ko) 다중 입출력 신호의 전송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0164345B2 (en) Antenna arrangement
CN106605445B (zh) 射频拉远单元、接收机和基站
CN114340049B (zh) Poi设备和无线覆盖系统
US20230352833A1 (en) Feed network, antenna, antenna system, base station and beam forming method
RU2575049C1 (ru)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систем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KR102250111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70199B1 (ko) 무선 환경을 고려한 제어 노드 장치 및 제어 노드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6092502A (ja) 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