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57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579A
KR20140138579A KR1020147005837A KR20147005837A KR20140138579A KR 20140138579 A KR20140138579 A KR 20140138579A KR 1020147005837 A KR1020147005837 A KR 1020147005837A KR 20147005837 A KR20147005837 A KR 20147005837A KR 20140138579 A KR20140138579 A KR 2014013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mn
information
terminal
rrc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799B1 (ko
Inventor
이영대
이승준
정성훈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3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셀렉티드 PLMN을 결정하는 단계, 셀렉티드 PLMN에 대하여 연결 문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 셀렉티드 PLM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PLMN INFORMATION ON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셀렉티드 PLM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셀렉티드 PLMN에 대하여 연결 문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셀렉티드 PLM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단말이 상기 셀렉티드 PLMN에 성공적으로 등록된 경우, 상기 셀렉티드 PLMN은 등록된 PLMN (Registered PLMN, RPLM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는, 셀렉티드 PLMN(selected PLMN)에 대한 PLMN-아이덴티티(PLMN-Id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는, 상기 단말의 VarRLF-Report (variable radio link failure-report)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셀렉티드 PLMN 이 등록된 PLMN (Registered PLMN, RPLMN)에 대응되는 경우, 기지국으로 상기 저장된 셀렉티드 PLMN 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전송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은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렉티드 PLMN 에 대한 정보는, RR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은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는, 특정 타이머가 종료될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 문제는, 무선 링크 실패 (RLF: 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PLMN에 등록되기 전에 발생한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호출 메시지를 이용한 일반적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7는 종래 기술에 따른, RLF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PLMN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의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휴지 상태(RRC_IDLE)라고 부른다.
E-UTRAN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E-UTRAN은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을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 단위로 CN이 관리한다. 즉,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이 셀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른다. RRC 휴지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야 비로소 E-UTRAN의 RRC과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여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에서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EMM(EPS Mobility Management) 등록 상태(EMM-REGISTERED) 및 EMM 미등록 상태(EMM-UN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 미등록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접촉(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접촉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 등록 상태가 된다.
또한 NAS 계층에서는 단말과 EPC 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 휴지 상태(ECM_IDLE) 및 ECM 연결 상태(ECM_CONNECTED) 두 가지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 휴지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 연결 상태가 된다. ECM 휴지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을 맺으면 ECM 연결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 휴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정보(context)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 휴지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절차와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 휴지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TA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4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 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03 내지 단계 S4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403),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04).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 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407)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4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상향 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호출 메시지를 이용한 일반적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출 메시지는 호출 이유(Paging Cause)와 단말 식별자(UE Identity) 등으로 구성된 호출 기록(Paging record)을 포함한다. 상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단말은 전력소비 감소를 목적으로 불연속 수신 주기(Discontinuous Reception; DRX)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망은 호출 주기(Paging DRX Cycle)라 불리는 시간 주기마다 여러 개의 호출 기회 시간(Paging Occasion; PO)을 구성하고, 특정 단말은 특정 호출 기회 시간만을 수신하여 호출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호출 기회 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호출 채널을 수신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수면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호출 기회 시간은 하나의 TTI에 해당된다.
기지국과 단말은 호출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특정 값으로 호출 지시자(Paging Indicator; PI)를 사용한다. 기지국은 PI의 용도로 특정 식별자(예, Paging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P-RNTI)를 정의하여 단말에게 호출 정보 전송을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DRX 주기마다 깨어나서 호출 메시지의 출현 여부를 알기 위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한 서브 프레임의 L1/L2 제어채널(PDCCH)에 P-RNTI가 있다면, 해당 서브 프레임의 PDSCH에 호출 메시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출 메시지에 자신의 단말식별자(예, IMSI)가 있다면 단말은 기지국에 응답(예를 들어, RRC 연결 또는 시스템 정보 수신)하여 서비스를 받게 된다.
다음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관한 설명이다. 시스템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필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기 전에 시스템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있어야 하고, 또한 항상 최신의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시스템 정보는 한 셀 내의 모든 단말이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이므로,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
시스템 정보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B(Scheduling Block) 및 SIB(System Information Block)로 구분될 수 있다. MIB는 단말이 해당 셀의 물리적 구성, 예를 들어 대역폭을 알 수 있도록 한다. SB는 SIB들의 전송정보, 예를 들어, 전송 주기 등을 알려준다. SIB는 서로 관련 있는 시스템 정보의 집합체이다. 예를 들어, 특정 SIB는 주변의 셀의 정보만을 포함하고, 다른 SIB는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 무선 채널의 정보만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호출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한다. 단말은 호출 주기에 따라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여, 만일 호출 메시지가 상기 시스템 정보 변경 지시자를 포함할 경우, 논리채널인 BC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 무선 링크 실패 (Radio Link Failure; RLF) 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은 무선 링크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1) 먼저, 물리 채널 문제 (Physical channel problem) 로 인해서 RLF 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단말은 물리 채널에서 eNB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RS(Reference Signal)의 품질이 임계값 (threshold) 이하로 검출되면 물리 채널에서 out-of-sync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out-of-sync가 연속적으로 특정 개수(예를 들어, N310)만큼 발생하면 이를 RRC로 알린다. 물리 계층으로부터 out-of-sync 메시지를 수신한 RRC는 타이머 T310을 구동하고, T310이 구동하는 동안 물리 채널의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다린다. 만약 RRC가 T310이 구동하는 동안 물리 계층으로부터 특정 개수(예를 들어, N310) 만큼의 연속적인 in-sync가 발생했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는 물리 채널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판단하고 구동 중인 T310을 중지시킨다. 그러나, T310이 만료될 때까지 in-sync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RRC는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2) MAC Random Access 문제로 인해서 RLF 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단말은 MAC 계층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할 때 랜덤 액세스 리소스 선택 (Random Access Resource selection) ->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신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ssion) ->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Random Access Response reception)-> 경합 해소 (Contention Resolution) 의 과정을 거친다. 상기의 전체 과정을 한 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지 못하면, 백 오프 시간만큼 기다렸다가 다음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일정 횟수 (예를 들어, preambleTransMax) 만큼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하면, 이를 RRC로 알리고, RRC는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3) RLC 최대 재전송 (maximum retransmission) 문제로 인해서 RLF 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단말은 RLC 계층에서 AM(Acknowledged Mode) RLC를 사용할 경우 전송에 성공하지 못한 RLC PDU를 재전송한다. 그런데, AM RLC가 특정 AMD PDU에 대해 일정 횟수 (예를 들어, maxRetxThreshold) 만큼 재전송을 했으나 전송에 성공하지 못하면, 이를 RRC로 알리고, RRC는 RLF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RRC는 상기와 같은 세 가지 원인으로 RLF 발생을 판단한다. 이렇게 RLF가 발생하게 되면 eNB와의 RRC 연결을 재수립하기 위한 절차인 RRC 연결 재설정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수행한다.
RLF 가 발생한 경우 수행되는 과정인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은 RRC 연결 자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eNB와의 연결을 재수립하기 위해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RRC 연결에 대한 심각한 문제는 다음과 같이 4가지, 즉, (1) 무선 링크 실패 (RLF), (2) 핸드오버 실패 (Handover Failure) (3) PDCP 무결성 검사 실패 (PDCP Integrity Check Failure), (4) RRC 연결 재설정 실패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 중 하나가 발생하면, 단말은 타이머 T311을 구동하고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시작한다. 이 과정 중에 단말은 셀 선택 (Cell Selection), 랜덤 액세스 절차 등을 거쳐 새로운 셀에 접속하게 된다.
만약 타이머 T311이 구동되고 있는 동안에 셀 선택 절차를 통해 적절한 셀을 찾으면, 단말은 T311을 중단시키며, 해당 셀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한다. 그러나, 만약 T311이 만료될 때까지 적절한 셀을 찾지 못하면, 단말은 RRC 연결 실패로 판단하고 RRC_IDLE mode로 천이한다.
도 7는 종래 기술에 따른, RLF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서빙(Serving) 셀과 RRC연결중인 단말이 RLF(Radio Link Failure)나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를 검출한다(S701).
단말이 RLF 를 검출한 경우, 단말은 연결 실패 발생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RLF정보를 저장한다(S703). 단말은 RRC 연결 중인 PLMN에 대하여 아직 등록되지 아니하였으므로, RLF 정보에는 RPLMN을 PLMN-아이덴티티(identity)로 설정한다.
RLF 정보를 저장하였을 경우, 단말은 RRC연결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 중에 RRC연결재설정요청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RLF 정보의 존재(availability)를 보고한다. 또한, 단말은 RRC연결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메시지를 통해서도 기지국에게 RLF 정보의 존재(availability)를 보고할 수 도 있다.
그리고, RRC연결재설정 과정이 실패할 경우, 단말은 휴지모드(즉, RRC_IDLE 모드)로 들어가게 되며, 이후, 단말 RRC 계층은 NAS 계층의 지시에 따라 RRC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RRC연결(RRC_Connected)모드로 다시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RRC연결 설정 과정시, 단말은 RRC연결설정완료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게 RLF 정보의 존재(availability)를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RLF 정보의 존재(availability)를 보고하면, 기지국은 UE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에게 RLF정보를 요청한다.
단말은 UE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UE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RLF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게 된다(S705). 이 때, RLF정보는 마지막 서빙(serving) 셀의 채널 측정값과 이웃 셀의 채널측정값, RLF가 발생한 셀 정보, RLF가 발생한 위치 정보, 연결 실패가 RLF인지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인지 여부, RRC연결재설정을 시도하는 셀의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단말(UE)이 기지국과의 무선 연결이 실패하여 VarRLF-Report를 저장할 때, RPLMN(Registered PLMN)을 PLMN-아이덴티티(PLMN-Identity)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설정된 PLMN-아이덴티티(PLMN-Identity)를 사용하여 RLF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단말의 보고 동작은, RLF가 발생한 PLMN을 보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말이 이전 PLMN에서 새로운 PLMN으로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PLMN이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 만약, 새로운 PLMN에 등록이 이루어지기 전에 새로운 PLMN상의 셀에 대한 RLF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RLF가 발생한 새로운 PLMN을 위하여, 이전 RPLMN을 PLMN-아이덴티티(PLMN-Identity)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이다. 즉, 단말은 새로운 PLMN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RLF 정보를 새로운 PLMN에 보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RLF 정보는 이전 PLMN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단말은 이전 PLMN의 셀과 나중에 연결되는 경우, RLF 정보를 이전 PLMN에 대하여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단말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PLMN)을 선택하여, 선택한 네트워크의 셀에서 무선상의 문제가 검출되는지 판단하고, 무선 상의 문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PLMN selected by upper layers)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상의 문제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 무선 링크에 관한 문제로서, 단말이 서빙 셀과 RRC 연결 중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 실패에 관한 정보, RLF(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에 관한 문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 연결 실패가 발생하지 않고 특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무선 상의 문제가 검출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연결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특정 타이머가 종료될 경우 무선 상의 문제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타이머란 예를 들어,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quest)와 같이 단말과 셀의 무선 연경을 위하여 설정되는 타이머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PLMN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한다(S801). 즉, 단말은 특정PLMN에 이미 등록된 상태에서, 다른 PLMN으로의 변경(예를 들어, 임의적인 PLMN 선택, 또는 NAS계층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을 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이 어떠한 PLMN에도 등록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PLMN에 등록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은 PLMN 선택이 끝난 후, 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셀에 대하여 머무르기(camp)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즉, 단말은 셀렉티드 PLMN(selected PLMN)에 대하여 연결을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한다(S803).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NAS 계층은 단말의 RRC 계층에 대하여 RRC 연결 설정(establishment of RRC connection)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NAS 계층은, RRC 계층에 대하여 셀렉티드 PLMN(selected PLMN)을 지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셀렉티드 PLMN과 연결을 설정함에 있어서,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되는 PLMN 아이덴티티(PLMN identity)를 셀렉티드 PLMN의 아이덴티티로 지정할 수 있다.
단말의 NAS 계층의 요청에 기반하여, RRC 계층은 기지국(eNB)으로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RRC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을 수행한다. 즉, 단말은 셀렉티드 PLMN에 등록되기 위하여, MME에 초기(Initial) NA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단말이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면, 즉, 연결 설정이 성공하는 경우(S805), 단말은 휴지(RRC_IDLE) 상태에서 연결(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후,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eNB)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는, 단말의 PLMN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PLMN에 해당된다. 따라서, RPLMN(Registered PLMN)이,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으로 설정되며(S807), 단말은 RRC 연결 셋업 완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를 포함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초기(Initial)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셀렉티드 PLMN에 등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선택한 후, 기지국(eNB)이 MME로 초기(Initial) NA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셀렉티드 PLMN의 셀에 대하여 연결 설정 단계를 수행하는 중, 무선 상의 문제를 검출하는 경우(S805), 단말은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셀렉티드 PLMN에 관한 PLM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 무선 링크 사이에서 문제가 되는 정보로, RRC 연결 중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 실패에 관한 정보, RLF(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LMN 정보는 PLMN 아이덴티티(Identity)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경우, 무선 상의 문제가 검출되어 새로운 PLMN에 대한 연결이 실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연결 설정을 수행하고 있는 셀렉티드 PLMN에 연결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셀렉티드 PLMN에 등록(register)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따라서, 단말의 RRC 계층은 RPLMN에 대하여 알 수 없기에,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를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을 설정한다(S809). 즉, 단말은 어떠한 PLMN에도 등록된 상태가 아니므로, 단말의 NAS 계층은 RPLMN을 단말의 RRC 계층에 지정하지 않는다.
단말의 RRC 계층은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identity) 또는 RPLMN 아이덴티티(identity)를, 상위 계층(예를 들어, NAS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으로 저장할 수 있다(S811). 예를 들어, 단말은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의 VarRLF-Report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단말의 RRC 계층이 (유효한) RPLMN-아이덴티티(RPLMN identity)가 존재하지 않거나,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selected PLMN identity)가 RPLMN 아이덴티티와 상이한 경우, 무선상의 문제(예를 들어, RLF 혹은 핸드오버 실패 등)가 RPLMN의 셀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나, 셀렉티드 PLMN의 셀에서 발생한 경우, 단말의 NAS 계층이 RPLMN에 대하여 단말의 RRC 계층에 알려주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때, 단말은 셀렉티드 PLMN아이덴티티(selected PLMN identity)를,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에 대한 정보로 저장(예를 들어, 단말의 VarRLF-Report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셀렉티드 PLMN아이덴티티(selected PLMN identity)를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으로 저장하지 않는 경우라면, RPLMN이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으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RPLMN만이 단말에 저장되어 기지국에 보고되는 것과 달리,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이 기지국으로 보고될 수 있는 것이며,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은 RPLMN(Registered PLMN), 또는 셀렉티드 PLMN이 될 수 있다.
단말이 연결(RRC_CONNECTED) 상태에서 휴지(RRC_IDLE)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단말은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와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에 대한 정보를 계속 저장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말이 무선상의 문제를 검출하는 경우, PLMN 정보와 함께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은 셀렉티드 PLMN의 셀에 관해 측정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PLMN에 등록된 경우, 네트워크로 보고할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RRC 계층은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무선 상의 문제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그에 대응되는 (저장된)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에 대한 보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보고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PLMN 정보가 RPLMN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된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이 때, 단말은 무선 상의 문제에 관련되어 저장된,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이 RPLMN에 대응되는 경우, 단말의 RRC 계층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UE 정보 요청(UE Information Request) 메시지에 대응되는, UE 정보 응답(UE Information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eNB)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이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정된 PLMN(들)의 리스트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에 저장된 PLMN 정보가 PLMN(들)의 리스트 중 하나의 PLMN에 대응된다면, 단말이 무선 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단말의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에서 RLF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단말의 NAS 계층은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PLMN선택을 수행하여 셀렉티드 PLMN을 결정한다(S901). 단말의 AS 계층 즉, RRC계층은 단말의 NAS 계층으로부터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셀렉티드 PLMN을 지정받는다(S903).
단말은 지정받은 셀렉티드 PLMN에 기반하여 선택된 기지국에,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905). 단말이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한다(S907).
단말은 연결(RRC_Connected) 상태에서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S909).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셀렉티드 PLMN 아이덴티티(selected PLMN identity)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중 무선 상의 문제가 발생(예를 들어, RLF)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은 RLF를 검출하게 된다(S911).
단말이 RLF를 검출하면, 단말은 RPLMN-아이덴티가 아닌 셀렉티드 PLMN-아이덴티티가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 정보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선택된 PLMN 정보와 함께, 무선상의 문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RLF 정보)를 저장한다(S913).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RLF 정보에는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값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이 RRC 연결 설정이 실패한 경우 RRC 연결(RRC_Connected)상태에서 휴지(RRC_IDLE) 상태로 진입한다(S915).
만약, 단말이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S917), 단말은 저장된 PLMN 정보가 RPLMN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RLF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S91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RF 모듈(1030), 디스플레이 모듈(10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50)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0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9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1030)은 프로세서(10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10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40)은 프로세서(10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50)은 프로세서(10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중, 셀렉티드 PLM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셀렉티드 PLMN에 대하여 연결 문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셀렉티드 PLM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셀렉티드 PLMN에 성공적으로 등록된 경우, 상기 셀렉티드 PLMN은 등록된 PLMN (Registered PLMN, RPL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는,
    셀렉티드 PLMN(selected PLMN)에 대한 PLMN-아이덴티티(PLMN-Identi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는,
    상기 단말의 VarRLF-Report(Variable radio link failure-report)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티드 PLMN이 등록된 PLMN(Registered PLMN, RPLMN)에 대응되는 경우,
    기지국으로 상기 저장된 셀렉티드 PLMN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된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은 상기 셀렉티드 PLMN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문제가 검출되는 경우는,
    특정 타이머가 종료될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품질에 대한 측정 값은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셀렉티드 PLMN 에 대한 정보는,
    RRC 연결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문제는,
    무선 링크 실패 (RLF: 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MN 정보 저장 방법.
KR1020147005837A 2012-03-23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23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4518P 2012-03-23 2012-03-23
US61/614,518 2012-03-23
PCT/KR2013/002410 WO2013141656A1 (ko) 2012-03-23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79A true KR20140138579A (ko) 2014-12-04
KR101623799B1 KR101623799B1 (ko) 2016-05-24

Family

ID=4922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837A KR101623799B1 (ko) 2012-03-23 2013-03-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629002B2 (ko)
JP (1) JP5909284B2 (ko)
KR (1) KR101623799B1 (ko)
CN (1) CN104041104B (ko)
DE (1) DE112013000172B4 (ko)
GB (1) GB2514650B (ko)
WO (1) WO2013141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3667B2 (en) * 2012-09-10 2016-02-0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recovery following radio link failure
US9014669B1 (en) 2013-04-02 2015-04-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imit failed network connection attempts with factory default settings
US8989731B1 (en) * 2013-04-02 2015-03-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tection and self-heal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access failure
US9661653B2 (en) * 2014-05-08 2017-05-23 Intel IP Corporation Device to-device (D2D) communications
US10051528B2 (en) 2014-09-25 2018-08-1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9942807B2 (en) * 2015-10-21 2018-04-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xtend long term evolution connected state coverage
EP3494754A1 (en) 2016-08-03 2019-06-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ervice provisioning by local operator
US10462837B2 (en) * 2016-11-04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links due to radio link failure
KR102398088B1 (ko) * 2017-11-15 2022-05-1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WO2019143154A1 (ko) 2018-01-19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351889B (zh) * 2018-04-03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建立方法和设备
EP3932117A4 (en) 2019-05-07 2022-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PLMN SELECTION IN A DUAL RECORDING MODE
EP4115700A4 (en) * 2020-04-09 2023-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RC CONNEC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211696A1 (en) * 2021-03-31 2022-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reporting of reconnection after link fail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732B2 (en) * 2008-03-18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network management by assistance from terminal using control-plane signaling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JP5538802B2 (ja) * 2008-11-04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KR20100076264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에서의 망 등록 시스템 및 방법
US8121633B2 (en) * 2009-07-24 2012-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Operator configurable preferred network and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for roaming multi-rat capable devices
EP2524525B1 (en) * 2010-01-14 2015-10-21 Telcordia Technologies, Inc.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lection procedures for simultaneous network connectivity through multiple accesses
CN102870455B (zh) * 2010-04-29 2016-06-0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使用个人无线装置进行网络测试
EP2583493B1 (en) 2010-06-16 2016-08-2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asurements logging and transmission at a user equip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553563B2 (en) * 2010-08-13 2013-10-0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limit reporting of neighbor cell measurements
WO2012138079A2 (ko) * 2011-04-03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여부 결정 방법
KR101796271B1 (ko) * 2011-04-27 2017-11-10 주식회사 팬택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US20130040634A1 (en) * 2011-08-10 2013-02-1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to User Equipment Event Information
US9204316B2 (en) * 2011-09-30 2015-12-01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for hetnet deploy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0172B4 (de) 2020-09-24
CN104041104A (zh) 2014-09-10
WO2013141656A1 (ko) 2013-09-26
JP2014526839A (ja) 2014-10-06
GB201404194D0 (en) 2014-04-23
CN104041104B (zh) 2018-05-22
US9629002B2 (en) 2017-04-18
JP5909284B2 (ja) 2016-04-26
DE112013000172T5 (de) 2014-06-12
GB2514650A (en) 2014-12-03
KR101623799B1 (ko) 2016-05-24
US20140235232A1 (en) 2014-08-21
US20170223555A1 (en) 2017-08-03
GB2514650B (en) 2018-05-09
US10039014B2 (en)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132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rrc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265087B2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setting security with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615281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o and from network at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80492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mdt를 위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717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980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셀 접속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298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50380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がサービスを受け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432900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4815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41143B1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696642A2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setting connection with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9433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678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측정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01221B2 (en) Method for reselecting cell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392505B2 (e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on multiband capability to network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