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411A -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411A
KR20140138411A KR1020130058416A KR20130058416A KR20140138411A KR 20140138411 A KR20140138411 A KR 20140138411A KR 1020130058416 A KR1020130058416 A KR 1020130058416A KR 20130058416 A KR20130058416 A KR 20130058416A KR 20140138411 A KR20140138411 A KR 2014013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up
information
cup
smart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132B1 (ko
Inventor
이필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3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03Data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제어 정보를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HEATING SMART CUP BASED ON BIG-DATA ANALYSIS AND SMART CUP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테이크 아웃 커피는 빠질 수 없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테이크 아웃 전문 커피점이 많아졌으며, 길거리에서도 테이크 아웃 커피잔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따뜻한 음료는 시간이 지나면 온도가 낮아져 차가워지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커피잔의 내용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오래 유지하면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따뜻한 온도의 음료를 오래, 그리고 편안하게 마실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0775518호의 자동 냉각/보온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컵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용기의 자동 냉각/보온 방법에서는 음료 용기의 무게와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음료를 냉각/보온하는 방법과 컵 홀더를 제공한다.
한편, 데이터의 생성 양, 주기, 형식이 방대한 데이터인 빅데이터는 컴퓨터 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나타났는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할 경우 다양한 현상에 관한 새로운 시각이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에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컵에 빅데이터를 이용한 응용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제어 정보를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분류기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다수 개 포함되어 각각의 분류기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며, 분류기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 방법을 포함한 기법이 적용되어 분류기의 카테고리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수신기는 스마트폰이나 PC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타깃 스마트 컵 사용자의 손가락 피부 센싱을 통해 온도 정보, 내용물의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설정기는 타깃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며, 동작 모드는 타깃 스마트 컵 내용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스마트 컵은 온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 및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나 제어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를 이용하는 스마트 컵에 있어서, 스마트 컵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커피 또는 차의 제품,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서비스는 커피 전문점에서 이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의 전체적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받는 스마트 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스마트 컵의 구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인 개념으로는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스마트 컵(200)과 통신하여 스마트 컵(200)의 동작을 결정하여 명령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컵(200)이 능동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컵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 시스템에서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과 스마트 컵(200)은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 컵(200)은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회용 컵, 머그 컵, 텀블러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컵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은 스마트 컵과 관련하여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 컵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나 또는 자동으로 해당 스마트 컵의 사용자에 따라 알맞은 스마트 컵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빅데이터(Big Data)를 의미할 수 있는데, 빅데이터란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를 빠른 순환속도를 이용하여 종래 방식으로 수집, 저장, 검색, 분석 등이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를 방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빅데이터를 규정하는 특징으로 데이터 양(Volume), 다양한 형태(Variety), 빠른 생성/유통/이용 속도(Velocity)를 들 수 있고, 이를 빅데이터의 3V이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빅데이터는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받을 스마트 컵과 컵의 사용자에 대한 것으로, 예컨대 온도, 차의 농도, 차 종류에 대한 취향 정보, 위치 정보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충분히 많이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예측을 최소화하고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다수 개의 스마트 컵(200)으로부터 수집된 것이거나 또는 미리 공개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관련 업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각 스마트 컵과 스마트 컵 이용자마다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의 스마트 컵 제공 시스템(100)에 해당할 수 있으며, 분류기(110), 수신기(120), 설정기(130), 그리고 송신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분류기(110)는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엔 복수 개의 분류기(11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분류기(110)가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기(110)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아래 기술된 다양한 기법 및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학습되어 변화할 수 있다.
분류기(110)에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방법 등의 이미 알려진 다양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축되고 나서 일정 기간 동안에는 차량 운행과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분류 전문가에 의해 분류기(110)의 분류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 개의 스마트 컵으로부터 다양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선호 차 온도, 날씨에 따른 차 온도, 사용자 별 취향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분류기(110)를 통해 A, B, C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는 분류되기 이전에 데이터를 정제할 수 있는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Noise) 데이터 등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중, 특정 위치에서 수집된 정보를 A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고, 특정 시간에 수집된 정보를 B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나타날 수 있다.
다시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수신기(120)는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컵 서비스가 제공될 타깃 스마트 컵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설정기(130)로 전달할 수 있다. 타깃 스마트 컵이란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설정되는 맞춤형 스마트 컵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컵을 의미한다.
수신기(120)는 타깃 스마트 컵과 관련하여 실시간의 날씨, 시간, 스마트 컵 사용자의 위치 정보, 차의 농도, 차의 종류 등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센서 등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설정기(130)는 수신기(120)를 통해 수집한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기초로 조합하여 타깃 스마트 컵의 맞춤형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기(130)는 다양한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설정기(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선택하거나 타깃 스마트 컵으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의해 동작 모드가 선택될 수 있으며, 타깃 스마트 컵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타깃 스마트 컵을 대상으로 날씨(또는 계절이나 기온), 장소(위치), 사용자의 기분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맞춤형 차 정보(커피나 차의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발열 모드, 온도 유지 모드, 냉각 모드 등이 동작 모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기인할 수 있다. 이에, 설정기(130)는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컵은 각 동작 모드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장치를 스마트 컵 내부에 또는 별도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정기(130)는 타깃 스마트 컵에 맞는 스마트 컵 서비스 설정에 있어서, 타깃 스마트 컵을 위한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나,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축된 이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관련 데이터에 대한 설정 작업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기(130)는 타깃 스마트 컵을 위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동작 모드는 두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만약, 두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에 해당할 경우엔, 스마트 컵은 또는 스마트 컵의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실시간 상태에 기인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송신기(140)는 설정기(130)를 통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제공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타깃 스마트 컵(200)으로부터 수신된 관련 정보, 예컨대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 등은 설정기(130)에서 스마트 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수신기(12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설정기(130)는 동작 모드 설정 과정에서 매칭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매칭 기준에 따라 스마트 컵 관련 정보와 다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인 A 카테고리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련 정보로는 날씨 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온도 정보, 사용자의 취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기(130)는 이러한 정보와 이에 매칭된 카테고리 A 내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깃 스마트 컵(200)을 위한 맞춤형 스마트 컵 서비스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동작 모드는 송신기(140)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제공한 타깃 스마트 컵(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스마트 컵(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200)의 구성은 도 5와 같이, 센서부(210), 통신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컵(200)은 컵 장치에 물리적으로 해당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를 컵에 물리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다.
먼저, 센서부(210)는 온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며, 스마트 컵에서 차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손을 센싱할 수 있으며, 주변 날씨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온도 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컵(200)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서비스의 활성 신호가 감지될 때에 스마트 컵 관련 정보를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설정된 동작 모드를 스마트 컵에서 능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컵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사양과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설정된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부(230)는 스마트 컵(200) 내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동작 모드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술한 맞춤형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 신호를 통해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30)는 스마트 컵(200)에 내장하기 위해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내장된 전자 소자 간의 연결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입술 화상 방지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컵(20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실시간 동작 모드를 인지하도록 하거나 실시간의 컵의 상태, 예컨대 차의 온도, 차의 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센서, 통신 기능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컵 이용자가 선호하는 차의 온도,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주문하게 되는 차 종류 등의 취향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인 선호도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커피 또는 차의 제품,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만족도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분류기 120: 수신기
130: 설정기 140: 송신기
200: 스마트 컵
210: 센서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Claims (8)

  1.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컵 사용자들과 관련하여 수집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기;
    스마트 컵 서비스의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와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타깃 스마트 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기;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타깃 스마트 컵으로 전송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는 상기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다수 개 포함되어 각각의 분류기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기의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웹 마이닝(Web mining), 소셜 마이닝(Social mining), 평판 마이닝(Opinion mi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통계적 분석 방법을 포함한 기법이 적용되어 상기 분류기의 카테고리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스마트폰이나 PC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 사용자의 손가락 피부 센싱을 통해 온도 정보, 내용물의 온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는 타깃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타깃 스마트 컵 내용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컵은
    온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컵의 관련 정보나 상기 제어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 컵 서비스를 이용하는 스마트 컵에 있어서,
    스마트 컵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컵의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컵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통해 상기 스마트 컵에 내장되거나 상기 스마트 컵의 내장된 소자 간을 연결함으로써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컵.
KR1020130058416A 2013-05-23 2013-05-23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47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ko) 2013-05-23 2013-05-23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ko) 2013-05-23 2013-05-23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1A true KR20140138411A (ko) 2014-12-04
KR101474132B1 KR101474132B1 (ko) 2014-12-18

Family

ID=5245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16A KR101474132B1 (ko) 2013-05-23 2013-05-23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9970A (zh) * 2016-12-26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防儿童开启的保温杯
CN106579972A (zh) * 2016-12-29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防儿童开启的保温杯
CN106579966A (zh) * 2016-12-22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保温杯
CN106724583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方便加水的保温杯
CN106724582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可远程设置打开温度的保温杯
CN106724572A (zh) * 2016-12-26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具有吸管的保温杯
CN106724563A (zh) * 2016-12-22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可设定温度的快速降温保温杯
CN106820854A (zh) * 2016-12-29 2017-06-13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防儿童高温下开启的保温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12B1 (ko) * 2016-12-30 2017-12-21 (주)씽크포비엘 Diy 사용성 테스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82B1 (ko) * 2012-02-22 2012-09-12 주식회사 시솔 사용자 위주 음료관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9966A (zh) * 2016-12-22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保温杯
CN106724563A (zh) * 2016-12-22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可设定温度的快速降温保温杯
CN106579970A (zh) * 2016-12-26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防儿童开启的保温杯
CN106724572A (zh) * 2016-12-26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具有吸管的保温杯
CN106579972A (zh) * 2016-12-29 2017-04-26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防儿童开启的保温杯
CN106820854A (zh) * 2016-12-29 2017-06-13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防儿童高温下开启的保温杯
CN106724583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方便加水的保温杯
CN106724582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市江北怡和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可远程设置打开温度的保温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132B1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32B1 (ko)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발열 스마트 컵 및 스마트 컵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80082038A1 (en) Sensor based reordering system
CN106575142B (zh) 多装置传感器子系统联合优化
CN108574944B (zh) 环境测量系统和环境测量方法
US20140309864A1 (en) Configurable Dash Display Based on Detected Location and Preferences
US20140309789A1 (en) Vehicle Location-Based Home Automation Triggers
WO2014172313A2 (en) Creating targeted advertising profiles based on user behavior
US106533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lking path guidance service based on measurement of motion of user
CN107209019A (zh) 信息处理系统和控制方法
KR102403062B1 (ko)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102344A (zh) 可佩戴装置及可佩戴装置的显示控制方法
KR101521472B1 (ko) 추천 식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588574B (zh) 用于避开目的地拥堵的方法和系统
CN104823433B (zh) 在语义上融合上下文推断
KR102172367B1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138493A (ja) 冷蔵庫、商品発注方法及び商品発注システム
CN109034980B (zh) 一种搭配商品推荐方法、装置和用户终端
KR20220066369A (ko) 트래블 기반 통지
JP690706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9021336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60014588A1 (en)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10964152B2 (en) Mobil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033488A (ko) 지능형 정보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102123324B1 (ko)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최적 동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6456492B2 (ja) 通知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知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