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927A -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 Google Patents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927A
KR20140137927A KR1020130059200A KR20130059200A KR20140137927A KR 20140137927 A KR20140137927 A KR 20140137927A KR 1020130059200 A KR1020130059200 A KR 1020130059200A KR 20130059200 A KR20130059200 A KR 20130059200A KR 20140137927 A KR20140137927 A KR 2014013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rod support
suppor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양
Original Assignee
김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일 filed Critical 김원일
Priority to KR102013005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927A/ko
Publication of KR2014013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낚시대 받침틀없이 낚시대를 지지해주는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낚시대받침구의 회전을 방지토록 하면서 낚시대받침구의 지지력을 강화토록 하고,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 형상의 상판 모서리에 다리가 각각 형성된 낚시 좌대에 있어서, 낚시 방향을 기준으로 낚시 좌대의 전위에 적어도 2개씩을 한 조로 하여 다수조 형성된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낚시대받침구 지지공에 각각 고정된 관형상의 가이드관; 가이드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대받침구 하단부에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각각 고정된 적어도 2개씩의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Fishing pedestal to fix fishing rod supporter directly}
본 발명은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낚시대 받침틀없이 낚시대를 지지해주는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낚시대받침구의 회전을 방지토록 하면서 낚시대받침구의 지지력을 강화토록 하고,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낚시 좌대는 상판의 각 모서리 부위에 다리를 구비하여 연안과 물에 걸쳐 설치해줌으로써 낚시자가 그 위에 올라가 편안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출조시에는 다수의 낚시대, 좌대, 미끼통, 살림망, 의자, 가방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따라서 낚시 좌대의 휴대성 향상을 위해 최근에는 낚시 좌대의 상판을 2등분하여 절첩가능하게 구성하고, 각각의 다리는 상판에 회전될 수 있도록 취부하고, 각각의 다리를 2중관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하기도 한다.
한편, 낚시대 받침틀은 수평 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단위 받침틀이 나란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를 낚시 좌대의 상판에 고정볼트 등을 통해 고정시켜놓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낚시대 받침틀은 고가이어서 별도의 구매비용이 필요하고,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성을 떨어뜨리임은 물론 취급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낚시대 받침틀을 휴대하기 위해서는 낚시대 받침틀을 수용하는 별도의 큰 가방이 더 필요하여 출조시 짐이 더 늘어나는 문제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 제 10-2011-0106306 호에서 낚시대받침틀(엄밀하게 말하면 개개의 낚시대받침구)의 하단부에 삽입돌기를 형성하고, 낚시 좌대의 상판 전위 일측에는 다수의 낚시대받침틀이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낚시대받침틀 지지공을 형성하여 개개의 낚시대받침틀을 별도의 가방없이 각 단위 상판 사이의 공간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좌대 상부에 낚시대받침틀이 설치되는 공간이 필요치않아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낚시 좌대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 출원 제 10-2011-0106306 호에 따른 낚시 좌대의 경우 상판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게 되므로 단축보다는 장축이 더 긴 슬릿 형상의 낚시대받침틀 지지공 다수개를 상판에 그대로 형성하는 경우 이 부위의 가로방향 지지력이 현저히 떨어져 상판의 낚시대받침틀 지지공 부위가 가로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낚시대받침틀 지지공 형성을 위한 별도의 가로대를 상판의 전위에 덧대어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별도의 가로대로 인한 비용 증가는 물론 전체적인 낚시 좌대의 외관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개개의 낚시대받침틀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낚시대받침틀 지지공에 삽입하더라도 삽입돌기와 낚시대받침틀 지지공의 접촉 면적이 매우 좁아 낚시 도중 낚시대받침틀이 낚시대받침틀 지지공으로부터 손쉽게 이탈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낚시대 받침틀없이 낚시대를 지지해주는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낚시대받침구의 회전을 방지토록 하면서 낚시대받침구의 지지력을 강화토록 하고,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 형상의 상판 모서리에 다리가 각각 형성된 낚시 좌대에 있어서, 낚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낚시 좌대의 전위에 적어도 2개씩을 한 조로 하여 다수조 형성된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공에 각각 고정된 관형상의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대받침구 하단부에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각각 고정된 적어도 2개씩의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개의 낚시대받침구를 낚시 좌대에 하나씩 삽입시켜 사용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낚시대 받침틀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출조시 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낚시 좌대의 상판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낚시대받침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낚시대받침구 지지공과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이 2개씩 한 조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을 낚시대받침구 지지공에 삽입시키면 낚시대받침구가 회전되지 않아 원활한 낚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이 가이드관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므로 낚시대받침구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삽입후에는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이 가이드관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설치 후 되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을 나사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의 요철면이 가이드관과 접촉되면서 저항으로 작용하여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이 한 번 삽입되면 절대 되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받침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받침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낚시대받침구(20)를 개개 단위로 낚시 좌대(10)에 삽입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써 휴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되, 낚시자받침구(20)를 낚시 좌대(10)에 보다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낚시대받침구(20)를 낚시 좌대(10)에 삽입한 후에는 낚시대받침구(20)가 절대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상판(11) 모서리에 다리(12)가 각각 형성된 형상의 낚시 좌대(10) 전위에 적어도 2개씩을 한 조로 하여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을 다수조 형성하고, 각각의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는 관형상의 가이드관(30)을 각각 고정하며, 적어도 2개씩을 한 조로 하여 이루어진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 대응되도록 낚시대받침구(20)의 하단부에는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을 각각 고정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관(30)은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보다는 큰 직경으로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가이드관(30)의 길이는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은 것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제조원가 및 낚시 좌대(10)가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가이드관(30)의 길이는 낚시 좌대(10)의 상판(11)이 접힐 때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길이보다는 길지 않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낚시 좌대(10)의 상판(11)은 알루미늄과 같이 견고하면서도 가벼운 금속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낚시 좌대(10)에 가이드관(30)을 고정시킬 때에는 브레이징 방법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지만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 가이드관(30)을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관(30) 주위의 상판 부위를 압착시켜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과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개수는 회전 방지를 위해 2개 이상이면 모두 가능하나, 제조원가 및 작업성을 감안하여 2개씩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2개를 한 조로 하여 이루어진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은 낚시대의 펼침시 인접한 낚시대끼리 간섭되지 않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해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낚시 좌대(10)를 설치한 후 개개의 낚시대받침구(20)를 파지하여 그 하단부에 고정된 2개의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을 상판(11) 전위에 위치된 2개를 한 조로 한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 각각 삽입시켜주면 된다.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는 가이드관(30)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을 가이드관(30)에 위치시켜주면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이 가이드관(30)을 따라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낚시대받침구(20)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만일, 상판(11)에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관(30)이 없는 경우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이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에 비스듬이 위치되면서 자꾸 걸려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때, 낚시대받침구 지지공(13)과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은 적어도 2개씩 구성되어 있으므로 낚시대받침구(20)가 설치 완료되면 낚시대받침구(20)가 절대 회전되지 않게 되고, 특히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이 가이드관(3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과 가이드관(30)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낚시도중 약간의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되빠지지 않는 이점도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관(30)의 내주면과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외면이 모두 매끄럽게 구성되는 경우 마찰력이 거의 없어 낚시대가 갑자기 큰 외력이 발생되면 낚시대받침구(20)가 가이드관(30)으로부터 빠져나올 염려가 있을 수 있는바, 이를 감안하여 도 4와 같이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을 나사 등으로 구성하여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요철을 형성해주게 되면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의 요철면이 가이드관(30)과 접촉되면서 저항으로 작용하여 낚시대받침구 지지봉(21')이 가이드관(30)에 한 번 삽입되면 어떠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절대 되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 낚시 좌대 11 : 상판
12 : 다리 13 :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20 : 낚시대받침구 21,21' : 낚시대받침구 지지봉
30 : 가이드관

Claims (2)

  1. 사각 형상의 상판 모서리에 다리가 각각 형성된 낚시 좌대에 있어서,
    낚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낚시 좌대의 전위에 적어도 2개씩을 한 조로 하여 다수조 형성된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공에 각각 고정된 관형상의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낚시대를 받쳐주는 낚시대받침구 하단부에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공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각각 고정된 적어도 2개씩의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을 포함하여서 된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받침구 지지봉은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KR1020130059200A 2013-05-24 2013-05-24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KR20140137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00A KR20140137927A (ko) 2013-05-24 2013-05-24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00A KR20140137927A (ko) 2013-05-24 2013-05-24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27A true KR20140137927A (ko) 2014-12-03

Family

ID=5245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200A KR20140137927A (ko) 2013-05-24 2013-05-24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9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US10182653B1 (en) Folding fish rod holder and rack apparatus
KR200486561Y1 (ko) 몰드 변압기 지지구조
KR200426550Y1 (ko) 낚시대 받침틀
KR101832620B1 (ko) 접철식 캠핑용 그릴
KR200468499Y1 (ko) 탈착이 용이한 수납부를 갖는 낚시용 좌대
JP4455655B2 (ja) ペット遊戯装置
KR20140137927A (ko) 낚시대받침구 직결식 낚시 좌대
GB2480516A (en) Playard
WO2006102127A3 (en) Garment hanger caddy and storage rack therefor
KR20150001746U (ko) 의자 다리프레임의 지지구조
US8528969B2 (en) Class chair
KR101592164B1 (ko) 낚시용 받침대
KR100944872B1 (ko) 라운드형 낚시대 받침틀의 몸통 프레임
KR20110007722U (ko) 다목적 건조대
KR101149085B1 (ko) 파라솔받침대를 갖는 낚시가방
KR200434865Y1 (ko) 음식용기 받침구
JP3159671U (ja) 折畳み式フラワースタンド
KR200481408Y1 (ko) 변환탁자
JP6221353B2 (ja) 天板付家具
KR200260438Y1 (ko) 낚시대 받침대
KR20160032861A (ko) 낚시좌대용 다리
KR20160093479A (ko) 조립형 선반
KR200479281Y1 (ko) 휴대용 조립식탁자
KR20120001644U (ko) 카메라용 받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