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701A -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701A
KR20140136701A KR20130057081A KR20130057081A KR20140136701A KR 20140136701 A KR20140136701 A KR 20140136701A KR 20130057081 A KR20130057081 A KR 20130057081A KR 20130057081 A KR20130057081 A KR 20130057081A KR 20140136701 A KR20140136701 A KR 2014013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separation
binocular visual
stereoscopic
separation modu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웅연
김기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5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701A/ko
Priority to US14/224,826 priority patent/US20140347726A1/en
Publication of KR2014013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wavelength separation, e.g. using anaglyph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이 적용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 및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탈부착식으로 통합되는 하나의 기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SELECTIVE HYBRID TYPE STEREOSCOPIC VIEW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 시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기술에 범용적으로 대응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포함한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가시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3차원 입체 시각을 인지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이 영향을 주고 있다. 대표적 요소는 인간의 좌우 양쪽에 있는 2개의 눈이다. 인간의 양안을 통해서 관찰되는 외부 세계의 영상에서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정보가 발생되고 이 시차정보를 두뇌에서 통합함으로써 물체와의 거리나 깊이를 인지하게 된다. 이런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 인지의 원리는 대중화된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양쪽 눈에 입력될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각각의 눈에 해당하는 좌우 영상을 분리하는 장치를 착용해서 3차원 입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3차원 입체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 및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사용자가 특정 장치를 착용하는 방식과 별도의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공간에 입체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기술로 분류된다. 사용자가 특정 장치를 착용하는 방식으로는 디스플레이에 좌우 영상을 따로 표시하여 좌측영상은 좌측 안경이, 우측영상은 우측 안경이 열려서 좌우 영상을 분리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액티브 셔터(Active Sutter), 편광 현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를 이용하여 적색, 녹색, 청색 등의 특정한 단색광은 오른쪽 눈에 이를 제외한 다른 색광은 왼쪽 눈에 입력되어 입체감을 주는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색상 차를 이용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애너글리프(Anaglyph), 프리즘 막을 이용하여 한쪽 눈에는 프리즘 막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다른 한쪽 눈에는 실제 영상을 입력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입체컬러(Chromadepth)등의 기법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착용하지 않고 공간에 직접 입체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기술로는 기록 매체에 간섭 패턴을 기록하여 가시적 3차원의 입체상을 재생하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실제 공간에 빛을 쏘아 입체적인 빛의 흐름을 만들어 사용자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모든 시점에서 3차원으로 관찰이 가능한 Volumetric Display, 반 원통형 미세렌즈를 이용한 렌티큘러(Lenticular), 영상을 투과하는 판과 차단하는 판을 교대로 배치하여 두 눈이 각각 보는 각도에 따라 반대쪽 영상을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주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등의 기법이 존재한다.
앞에서 정리된 3차원 입체영상 구현 방법을 보면, 사용자에게 3차원 입체 영상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2010년대 초반 대표적인 세계 가전 시장 전시회에서 3DTV를 대표 상품으로 다뤘던 사례와 같이, 시장에서는 각각의 기술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매우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3차원 입체영상 기술은 아직 완벽한 표준화 및 특정 기술로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한 기술과 제품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서 특정 장치를 착용하는 방식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 소비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응하는 다양한 착용형 시각 장치를 매번 바꿔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현재 세계 가정용 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과 LG의 3DTV를 시청하기 위한 착용형 시각 장치는 서로 적용된 기술이 상이하여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낮게 만들고,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착용형 시각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나 또는 공공장소에서 3차원 입체 컨텐츠를 서비스 할 때에도 특정 디스플레이 제품에 호환되는 착용형 시각 장치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능동식 셔터 기반 3D 입체 안경의 다양한 동기화 신호를 통신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입체 안경 기술에 관한 미국공개특허 2012-0019638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3차원 입체영상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적인 착용형 시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3차원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는 대표 기술인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와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비간섭적으로 동작하여 각각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한 양안시각 분리기술을 적어도 2가지 이상 통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이 적용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 및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탈부착식으로 통합되는 하나의 기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1가지의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사용하지 않는 1가지의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n개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에 포함된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기계적 변형 작동부 또는 전자적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키거나, 구비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의 정보를 변형할 수 있는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 및 상기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가 외부 영상장치와 동기화 할 수 있도록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동기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가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단계;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단계; 동기화 신호 제어부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장치와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시화하는 단계는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서로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탈부착이 가능한 하나의 기구부로 통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에 대한 기계적 변형 작동부 또는 전자적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에 포함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의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3차원 입체영상 기술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적인 착용형 시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3차원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는 대표 기술인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와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비간섭적으로 동작하여 각각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한 양안시각 분리기술을 적어도 2가지 이상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디스플레이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구현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공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디스플레이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140)는 외부에 존재하는 일반 사물 그룹(110)을 직접 관찰(Optical See-Through)할 수 있다. 또는, 외부 환경 및 일반 사물 그룹(110)에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기술에서 제시하는 영상 정합(Overlay)의 기법으로 정보를 부가하여 관찰할 수 있다. 또는, 단독으로 2D 영상(120) 및 3D 영상(130)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가시화하여 볼 수 있다.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141)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 시키는 마스크 기능을 한다. 또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적용하여 외부영상의 정보를 변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와 디지털화로 인해서 화질이 저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에 인가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영상 처리용 필터를 적용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지원할 수 있다. 외부영상은 상기에서 설명된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141)를 거치거나,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141)를 생략하고 구현된 경우에는 직접 양안시각 분리모듈(142)로 입력된다.
양안시각 분리모듈(142)은 양안시차 정보를 활용하는 다양한 3차원 입체영상 기술에서 각각의 기술이 구현하는 양안시각 분리기법이 적용된 모듈이다. 예를 들면, 1990년대 EXPO 등 3D 입체 영화관에서 활용된 수동식 선형 편광 필터(Passive Type Linear Polarized Filter) 기반의 안경은 좌우 눈에 각각 수직/수평 방향의 필터를 내장하고, 각각의 눈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사기에도 동일한 필터를 부착해서 양안 시각을 분리하였다. 양안시각 분리기법의 다른 예로는, 최근 LG 3DTV에 적용된 수동식 원형 편광 필터(Passive Type Circular Polarized Filter) 기반의 FPR(Film Patterned Retarder) 기술이 있다. 그리고, 삼성 3DTV에 주로 사용하는 액티브 셔터 글래스(Active Type 3D Shutter Glasses)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동기화된 LCD셔터의 투과도를 On/Off로 제어함으로써 좌우 양안시각 정보를 분리하고 있다. 기타 양안 시각 분리 기법으로는 영상 스팩트럼의 영역을 차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를 활용한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기법이나, 색상 차를 이용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애너글리프(Anaglyph) 기법, 프리즘 막을 이용하여 한쪽 눈에는 프리즘 막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다른 쪽 눈에는 실제 영상을 입력하여 양안시차를 발생하게 하는 입체 컬러(Chromadepth) 기법, 수직면 내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전자를 볼 때, 한쪽 눈에 투과율 10~30%의 필터를 걸어 두 눈으로 보면 전자가 수평면 내에서 타원 궤도를 그리고 운동하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두 눈에 주어지는 자극의 강도에 차이에 따른 시각정보의 전달시간의 차이에 의해 두 눈에 양안시차를 발생시키는 풀프리히(Pulfrich) 기법 등이 있다.
동기화 신호 제어부(143)는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141) 및 양안시각 분리모듈(142)의 기술구현 중에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구비되었다. 대표적으로 액티브 셔터 글래스 기법은 좌우 셔터의 On/Off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교환하기 때문에 동기화 신호 제어부(143)를 통해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한다.
사용자는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의 형태인 입체영상 처리장치(140)를 착용하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해당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시각장치(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포함한다.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구현되는데 이러한 양안시각 분리기법으로는 액티브 셔터 글래스, 편광 렌즈, 간섭 필터, 애너글리프, 입체 컬러, 풀프리히 등이 존재한다. 액티브 셔터 글래스 기법은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상을 따로 표시하고 좌측 영상은 좌측 안경이, 우측 영상은 우측 안경이 열려서 좌우 영상을 분리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기법이다. 액티브 셔터 글래스 기법은 양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해상도나 색감을 해치지 않는 원본 영상을 볼 수 있고, 다른 기법에서 발생하는 잔상이 덜하다. 편광 렌즈 기법은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편광 현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좌우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좌우 프로젝터에 각각 입력하고 프로젝터 앞에 서로 다른 편광 필터를 부착하여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그리고 프로젝터에 부착한 편광 필터와 동일한 편광 방식의 편광 안경으로 보게 되면 왼쪽 눈에는 왼쪽 영상만, 오른쪽 눈에는 오른쪽 영상만 입력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편광 기법에는 직선편광, 원 편광, 타원편광 등의 종류가 있다. 간섭 필터 기법은 간섭 필터를 이용하여 적색, 녹색, 청색의 특정한 단색광은 오른쪽 눈에, 이를 제외한 다른 색은 왼쪽 눈에 입력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애너글리프 기법은 1세대 3D 영상 기술로, 색상 차를 이용해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기법으로 왼쪽 영상은 청색으로 오른쪽 영상은 적색으로 형성한 후 두 영상을 겹쳐 스크린에 투영하고, 왼쪽 눈에는 청색, 오른쪽 눈에는 적색의 필터가 붙은 안경을 통해서 좌우 영상을 인식하는 기법이다. 입체 컬러 기법은 프리즘 막을 이용하여 한쪽 눈에는 프리즘 막을 통해 입력된 영상을, 다른 쪽 눈에는 실제 영상을 입력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기법이다. 풀프리히 기법은 수직면 내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전자를 볼 때, 한쪽 눈에 투과율 10%~30%의 필터를 걸어 두 눈으로 보면 전자가 수평면 내에서 타원 궤도를 그리고 운동하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두 눈에 주어지는 자극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가극의 강도에 따른 시각 정보의 전달 시간 차이에 의해 두 눈에 시차가 생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양안시각 분리모듈(210, 220, 23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그룹(240)의 좌우 영상 정보를 사용자 각각의 눈에 적합하도록 분리한다.
하나의 기구부에 통합되는 양안시각 분리모듈(210, 220, 230)은 각각의 양안시각 분리모듈(210, 220, 230)을 수동식으로 조립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기계적 변형 작동부 또는 전자적 제어부(211, 221, 231)를 구비하여 양안시각 분리모듈(210, 220, 230)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신호 제어부(250)를 이용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그룹(240)과 양안시각 분리모듈(210, 220, 230) 사이에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다양한 장치들과 동시에 호환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3D 입체 안경의 형태이다. 현재 SAMSUNG 및 LG등의 기업에서는 Cinema Projector, TV, PC, Notebook, Smart Mobile Device 등의 스크린에 3D 입체 영상 기술을 구현하고 있지만 각각의 장치에 맞는 입체 안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는 영상장치를 바꿀 때 마다 그 장치에 맞는 입체 안경까지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한 공간에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경우에도 입체 안경이 호환되지 않아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다양한 양안시각 분리기술을 통합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시각장치만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볼 때에는 디스플레이(311)에서 사용하고 있는 양안시각 분리기법에 적합한 양안시각 분리모듈(310)을 적용하여 체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32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볼 때에는 디스플레이(321)에서 사용하고 있는 양안시각 분리기법에 적합한 양안시각 분리모듈(330)을 적용하여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32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적용하여 외부영상의 정보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수동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맞춤형의 3차원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추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구현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안경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이며, 입체영상 시각장치 앞에 2가지의 독립적인 양안시각 분리모듈(411,421)을 통합하여 다양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혼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3D 입체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양안시각 분리기법인 액티브 셔터 기법의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편광 렌즈 기법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부착하여 디스플레이(410, 420, 430) 종류에 상관없이 동시에 다양한 3D 컨텐츠의 체험이 가능하다. 이 때, 액티브 셔터 기법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부착할 경우 액정 셔터의 구동을 On/Off 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와 디스플레이가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할 동기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410, 420, 430)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3D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체험하는 경우에는 해당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기구부에 다양한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된 공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다양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410, 420, 430)가 혼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하나의 시각장치만으로 다양한 3D 입체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10, 420, 430)뿐만 아니라 2D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일반사물이 혼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모든 컨텐츠를 원활하게 체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일반 사물 그룹 120: 2D 영상
130: 3D 영상 140, 200: 입체영상 시각장치
141, 320: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
142, 210, 220, 230, 411, 421: 양안시각 분리모듈
143, 250: 동기화 신호 제어부
211, 221, 231: 전자적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 그룹
310: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330: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
311: 제1 디스플레이
312: 제2 디스플레이
410, 420, 430: 디스플레이

Claims (14)

  1.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이 적용된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입체영상을 상기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 및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탈부착식으로 통합되는 하나의 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1가지의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사용하지 않는 1가지의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안시각 분리모듈, 상기 제2 양안시각 분리모듈과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n개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에 포함된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기계적 변형 작동부 또는 전자적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키거나, 구비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의 정보를 변형할 수 있는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든 양안시각 분리모듈 및 상기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가 외부 영상장치와 동기화 할 수 있도록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동기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9. 사용자가 양안시각 분리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단계;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단계;
    동기화 신호 제어부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장치와 동기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하는 단계는,
    액티브 셔터(Active Shutter), 편광 렌즈(Polarized Lens), 간섭 필터(Interference Filter), 입체 컬러(Chromadepth) 중 서로 다른 양안시각 분리기법을 사용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양안시각 분리모듈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은,
    탈부착이 가능한 하나의 기구부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에 대한 기계적 변형 작동부 또는 전자적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양안시각 분리모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적 투과 처리 마스크/필터에 포함된 영상 처리용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영상의 정보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시각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57081A 2013-05-21 2013-05-21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36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081A KR20140136701A (ko) 2013-05-21 2013-05-21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US14/224,826 US20140347726A1 (en) 2013-05-21 2014-03-25 Selective hybrid-type 3d image view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081A KR20140136701A (ko) 2013-05-21 2013-05-21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01A true KR20140136701A (ko) 2014-12-01

Family

ID=5193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081A KR20140136701A (ko) 2013-05-21 2013-05-21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47726A1 (ko)
KR (1) KR201401367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3766B2 (en) * 2006-12-28 2016-10-18 David Byron Douglas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al viewing of images
US10795457B2 (en) 2006-12-28 2020-10-06 D3D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3D cursor
US11228753B1 (en) 2006-12-28 2022-01-18 Robert Edwin Dougla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ereoscopic zooming on a head display unit
US11315307B1 (en) 2006-12-28 2022-04-26 Tipping Point Medical Imag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otating viewpoints using a head display unit
US11275242B1 (en) 2006-12-28 2022-03-15 Tipping Point Medical Imag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ereoscopic rotation of a volume on a head display unit
WO2018187748A1 (en) * 2017-04-07 2018-10-11 Unvei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medical trai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0447A1 (en) * 2004-11-27 2006-06-01 Bracco Imaging S.P.A.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ultiple views of a single 3d rendering ("multiple views")
TWI402606B (zh) * 2007-05-09 2013-07-21 Dolby Lab Licensing Corp 三維影像之投影與觀看系統
GB2472438A (en) * 2009-08-06 2011-02-09 Sony Corp Multi-person 3D display system with several viewers watching different images on a single screen
US9001196B2 (en) * 2010-10-05 2015-04-07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3-D shutter glasses to one of a plurality of presentation devices
US10778905B2 (en) * 2011-06-01 2020-09-15 ORB Reality LLC Surround video recor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7726A1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8960B (en) Method and apparatus of flicker reduction for LC shutter glasses
KR100753517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085903A1 (en)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KR20140136701A (ko) 선택적 하이브리드 형태의 입체영상 시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CN102591030A (zh) 二维和三维可切换的多个全尺寸图像的图像显示系统
JP201114548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01298756A (ja) オブジェクトの多次元表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2802011A (zh) 双视显示方法和显示设备
CN102075773B (zh) 立体与平面图像混合信号在超大屏幕上显像的同步方法
KR20130064944A (ko) 다중언어의 자막을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영상시스템
US9124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JP2014529225A (ja) 3dディスプレイの装置、方法および構造
US20110018882A1 (en) 3-dimensional image provid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3-dimensional image providing and receiving methods using the same, and 3-dimensional image system
JP2012010217A (ja) 眼鏡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20528162A (ja) 仮想環境における複数の観察者のための改良
JP2004294848A (ja) 三次元表示装置
Kakeya Real-image-based autostereoscopic display using LCD, mirrors, and lenses
JP2004279743A (ja) 三次元表示装置
KR100754773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8727A (ko) 입체 영상 셔터 글래스
Kovács et al. 3D visual experience
CN102790889A (zh) 产生立体视觉效果的方法与应用此方法的立体眼镜和系统
KR20230056005A (ko)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복수 영상을 복수의 시청자가 개별적으로 시청가능한 장치
KR20000039515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N104919443A (zh) 观看图像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