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248A -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248A
KR20140136248A KR1020130056549A KR20130056549A KR20140136248A KR 20140136248 A KR20140136248 A KR 20140136248A KR 1020130056549 A KR1020130056549 A KR 1020130056549A KR 20130056549 A KR20130056549 A KR 20130056549A KR 20140136248 A KR20140136248 A KR 2014013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light emitting
light irradiation
ski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2792B1 (ko
Inventor
이주형
성평용
김현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옵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스 filed Critical (주)옵티스
Priority to KR2013005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7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로서, 인체의 안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 외부의 이동전화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를 통하여 작동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장치를 원격으로 구동하고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배가된다.
본 발명은 또한 부가 기능을 통하여 피부미용 시술을 받는 동안 지루하지 않게 영화나 TV 시청, 음악 감상, 게임 등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즐길 거리를 이용하거나, 집중력 향상이나 명상 등의 효과가 있는 뇌파유도신호를 통하여 심신의 안정과 건강 증진에 더욱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 Phototherapy Device }
본 발명은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마스크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높인 것이다.
피부 특히 안면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이용하는 방법이 화장품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할 뿐 아니라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므로, 화장품의 사용만으로는 피부관리의 효과를 제대로 얻기가 어렵다.
이처럼 진피층에 도달하지 못하는 피부보호 성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갈바닉 이온전류,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미용효과를 극대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적외선이나 가시광 등 광을 이용한 방법은 가장 활발히 연구 및 산업화되고 있으며,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를 이용한 광조사 의료 기기와 함께, 가정에서 사용가능한 LED 광조사 미용 기구도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는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을 안면에 조사하는 마스크 형태의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들 마스크형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미용시술을 받을 수 있으므로, 핸드피스를 조정하여 해당 피부 부위에 일일이 광을 조사하는 방식보다는 편리한 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2005-0070977에는 이러한 안면에 칙용하는 마스크 형태의 광조사 피부관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753426은 마스크 형태의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에 증기를 공급하는 가습장치 등의 부가기능을 지닌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특허의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및 편리성을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안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원의 출력 광조사 모드, 광 조사시간 등을 제어하기에는 어느 정도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안면에 착용하고 피부미용 시술을 받는 데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데에 반해서, 그동안 사용자의 무료함을 달래주거나 영화/TV 시청 등의 즐길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장치 및 뇌파유도신호 장치를 결합하여 광미용 시술 도중에 다양한 영상과 음향 등을 즐기면서 건강 증진과 휴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다기능의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로, 상기 장치는 인체의 안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 외부의 이동전화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를 통하여 작동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전화를 통해 상기 영상출력부 및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 혹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디오출력부는,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생성한 영상의 확대허상을 만드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로, 상기 장치는 인체의 안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뇌파유도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기억 장치; 상기 발광부의 구동 및 뇌파유도신호의 모드를 입력 가능하고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 상기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하는 뇌파신호출력부;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뇌파유도신호는 8~13Hz 영역의 알파파 또는 3.5~8Hz 영역의 세타파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외부의 이동전화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를 통하여 작동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이동전화를 통해서도 광조사 피부미용 장치를 원격으로 구동하고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배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에 의한 안면 피부조사라는 광조사 피부미용 장치의 1차적인 목적 이외에도, 피부미용 시술을 받는 동안 지루하지 않게 영화나 TV 시청, 음악 감상, 게임 등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즐길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집중력 향상이나 명상 등의 효과가 있는 뇌파유도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심신의 안정과 건강 증진에 더욱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2 실시예 중에서 영상출력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3 실시예에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는 입력표시부(20), 발광구동부(30), 발광부(40), 제어부(50), 송수신부(60), 안면 마스크(110) 및 탈착 밴드(120)를 포함한다. 안면 마스크(110)는 인체의 안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안면의 형상에 가깝게 반구 모양의 헬멧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면 마스크(110)는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고 고무나 금속 등의 소재로 만들어져도 무방하다. 탈착밴드(120)는 상기 안면 마스크(110)를 머리에 쓰거나 벗기에 편하도록 조여 주는 기능을 지닌 밴드로서, 어느 정도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40)는 상기 안면 마스크(110)의 안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한다. 발광부(40)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상기 안면 마스크(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면의 곳곳에 골고루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분포하여 형성된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눈이나 입이 대향되는 위치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분포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그에 관계없이 안면의 전체 영역 걸쳐서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눈이나 입 등이 대향되는 위치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분포하지 않도록 발광부(40)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안면 마스크(110)에서 해당되는 위치의 부분을 뚫어 놓은 형태로 안면 마스크(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안면 마스크(110)의 눈에 대향하는 위치가 뚫려진 형태일 경우에는, 후술하는 이동전화를 이용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의 제어가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발광부(40)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 대역은 400mm에서 100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 영역이나, 파장이 더 긴 적외선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40)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들은 모두 단일한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들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여러 파장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혼재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관련 기술의 발달로, 각각의 파장을 방출하는 여러 다이오드들을 하나의 칩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여러 파장이 나오는 것처럼 제작할 수도 있다. 이처럼 여러 파장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들로 발광부(40)를 구성하면,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피부 미용이나 피부 관리가 목적이라면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의 발광 다이오드로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고, 여드름 치료 등이 목적이라면 자외선에 가까운 광이 조사되도록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 중에서도 각각의 파장에 따라 세부적 효과가 달리 나타나므로, 여러 파장을 방출하는 기능을 지닌 발광부(4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광구동부(30)는 상기 발광부(40)의 온(On), 오프(Off) 출력을 구동하며, 또한 조사되는 광의 파장 및 광의 세기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발광구동부(30)는 상기 발광부(40)의 전체를 한꺼번에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발광부(40)를 구역별로 나눠서 따로따로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입력표시부(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모드로 상기 발광구동부(30)가 상기 발광부(40)를 구동하도록 입력할 수 있고, 구동 상황을 표시한다. 입력표시부(20)는 도 1에서 도시한 대로, 상기 안면 마스크(110)의 바깥면 왼쪽 혹은 오른쪽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리모컨처럼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안면 마스크(110)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입력표시부(20)는 조그마한 디스플레이창과 몇 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표시부(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광조사 온/오프, 조사 광의 파장, 광의 세기, 광 조사 시간 등을 일일이 입력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가 다양하게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모드를 선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광의 세기가 강, 약을 반복한 후에 광 조사가 멈추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다른 모드를 선택하면 조사 광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바뀌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6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가 외부의 이동전화(1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부(60)는 상기 외부의 이동전화(100)와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각종 제어 신호와 데이터 등을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안테나 및 각종 마이크로프로세서, 통신 프로토콜 등을 구비한다. 따라서 송수신부(60)에 의해 무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이동전화(100)를 통하여, 상기 입력표시부(20)의 기능과 동일하게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를 제어, 구동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힘입어 각종 앱(App;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앱(App)으로 상기 입력표시부(20)의 기능을 구현한다면, 다양한 입력 선택과 모드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입력표시부(20), 상기 발광구동부(30), 상기 발광부(40), 상기 송수신부(60)와 연결되어 이들을 구동, 제어한다.
도면에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량 및 방전량에 따라 사용가능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미용 마스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는 입력표시부(21), 발광구동부(31), 발광부(41), 제어부(51), 송수신부(61), 영상출력부(70), 음성출력부(80), 헤드폰(85), 인터페이스부(90), 안면 마스크(111)를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의 입력표시부(21), 발광구동부(31), 발광부(41), 제어부(51), 송수신부(61) 및 안면 마스크(111)의 구조와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에서의 입력표시부(20), 발광구동부(30), 발광부(40), 제어부(50), 송수신부(60) 및 안면 마스크(11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다만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는 영상출력부(70), 음성출력부(80), 헤드폰(85) 및 인터페이스부(9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는 안면 마스크(111)에 두부 장착용 영상 장치(HMD; Head-Mounted Display)가 결합된 형태이다. 즉 상기 영상출력부(70)는 상기 안면 마스크(111)의 안쪽에 사용자의 두 눈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화면(75)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2 실시예 중에서 영상출력부(70)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도시하였듯이, 영상출력부(70)는 영상신호를 받아서 영상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72) 및 렌즈(7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72)는 소형의 LCD나 LED 등, 통상 두부 장착용 영상 장치(HMD)에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73)는 사용자의 안구(79)와 디스플레이 소자(72) 사이에 위치하여, 안구(79)의 망막 상에 디스플레이 소자(72)가 형성하는 영상 화면의 초점이 맺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바로 눈앞에서 대형의 디스플레이 화면(75)을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상기 음성출력부(80)는 상기 안면 마스크(111)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두 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헤드폰(85)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성과 소리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출력부(80)에 연결되어 음성과 소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편의상 헤드폰(85)이라고 칭하였으나, 꼭 헤드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보다 더 작은 이어폰이나 다른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헤드폰(85) 혹은 이어폰은 상기 음성출력부(80)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폰(85) 및 음성출력부(80)는 상기 안면 마스크(111)를 안면에 장착하여 지지하기에 편리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처럼 별도의 탈착 밴드(120)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는 제어부(51)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9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90)는 USB포트를 비롯한 각종 통신포트를 포함하며, 외부기기(95)에 연결되어 외부의 영상신호과 음성신호를 제어부(51) 및 영상출력부(70), 음성출력부(80)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 외부기기(95)에는 개인용 컴퓨터(PC), 텔레비전(TV),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엠피3 플레이어(MP3), 게임기 등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로 시술을 받는 동안에 외부의 동영상과 음악 등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표시부(21)는 광조사 시간 및 세기, 광파장 등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의 발광부(41)의 구동과 모드만을 선택,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기기(95)를 통한 각종 영상과 음성, 게임 등도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표시부(21)를 대신하여, 송수신부(61)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이동전화(101)에 의해서도, 스마트폰 앱(App;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외부의 각종 영상, 음성,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에서도 도면에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량 및 방전량에 따라 사용가능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의 제3 실시예에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는 사시도를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제2 실시예의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1) 중에서 영상출력부(70)가 없고, 음성출력부(80) 대신에 이와 동일한 형태의 뇌파신호출력부(83)가 장착된 형태이다. 도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는 입력표시부(22), 발광구동부(32), 발광부(42), 제어부(52), 송수신부(62), 뇌파신호출력부(83), 헤드폰(86), 및 안면 마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의 입력표시부(22), 발광구동부(32), 발광부(42), 제어부(52), 송수신부(62) 및 안면 마스크의 구조와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0)에서의 입력표시부(20), 발광구동부(30), 발광부(40), 제어부(50), 송수신부(60) 및 안면 마스크(11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다만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는 기억장치(65), 뇌파신호출력부(83) 및 헤드폰(86)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사람의 뇌파는 인간의 의식 상태를 반영하는 일종의 생체신호로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및 델타파로 구분된다. 특히 뇌파가 8~13Hz 영역의 알파파와 3.5~8Hz 영역의 세타파 상태에 있을 때에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인위적으로 상기와 같은 알파파와 세타파를 유도함으로써 명상 효과나 심리적 안정, 정신집중을 통한 학습증진 효과 등을 제공하는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란 상기의 알파파나 세타파와 같은 특정의 주파수 영역으로 뇌파가 유도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뇌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가하는 장치이다. 즉 뇌파유도신호를 음파의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거나, LED 등을 점멸시켜 영상신호의 형태로 시신경을 통하여 뇌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뇌파를 뇌파유도신호와 동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의 상기 기억장치(65)에는 뇌파유도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상기 기억장치(65)는 플래시 메모리 혹은 HDD, SD카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뇌파유도신호는 8~13Hz 영역의 알파파와 3.5~8Hz 영역의 세타파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지속시간이나 파장 대역 등을 달리한 여러 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심리적 안정과 집중력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뇌파유도신호는 상기 제어부(52)를 거쳐서 상기 뇌파신호출력부(83)를 통하여 음파의 형태로 출력된다. 상기 뇌파유도신호가 사용자의 귀에 똑똑히 들리지는 않을지라도, 뇌를 자극하면서 사용자의 뇌파를 뇌파유도신호와 동조시킬 수 있다.
상기 뇌파신호출력부(83)는 안면 마스크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두 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헤드폰(86)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파 형태의 뇌파유도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뇌파신호출력부(83)에 연결되어 음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편의상 헤드폰(85)이라고 칭하였으나, 꼭 헤드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보다 더 작은 이어폰이나 다른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헤드폰(86) 혹은 이어폰은 상기 뇌파신호출력부(83)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폰(85) 및 뇌파신호출력부(83)는 안면 마스크를 안면에 장착하여 지지하기에 편리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처럼 별도의 탈착 밴드(120)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에서도 도면에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전량 및 방전량에 따라 사용가능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를 사용하면서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할 경우, 상기 입력표시부(22)는 광조사 시간 및 세기, 광파장 등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12)의 발광부(42)의 구동과 모드만을 선택,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기억장치(65)에 저장된 각종 뇌파유도신호 모드 역시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표시부(22)를 대신하여, 송수신부(62)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이동전화(102)에 의해서도, 스마트폰 앱(App;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뇌파유도신호 모드를 출력, 제어하도록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실시예에서 별로도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결합한 형태, 즉 안면 마스크에 두부 장착용 영상 장치(HMD; Head-Mounted Display)와 뇌파유도신호장치를 함께 결합하여, 영상출력장치의 점멸을 통하여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등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밖에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10, 11, 12 :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20, 21, 22 : 입력표시부 30, 31, 32 : 발광구동부
40, 41, 42 : 발광부 50, 51, 52 : 제어부
60, 61, 62 : 송수신부 65 : 기억장치
70 : 영상출력부 72 : 디스플레이 소자
73 : 렌즈 75 : 디스플레이 화면
79 : 안구 80 : 음성출력부
83 : 뇌파신호출력부 85 : 헤드폰/이어폰
90 : 인터페이스부
95 : 외부기기 (PC, TV, DVD, MP3, 게임기 등)
100, 101, 102 : 이동전화
110, 111 : 안면 마스크 120 : 탈착 밴드

Claims (11)

  1.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로, 상기 장치는
    인체의 안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상기 발광부의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
    외부의 이동전화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를 통하여 작동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전화를 통해 상기 영상출력부 및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 혹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출력부는,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가 생성한 영상의 확대허상을 만드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7.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로, 상기 장치는
    인체의 안면 형상을 가지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
    뇌파유도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기억 장치;
    상기 발광부의 구동 및 뇌파유도신호의 모드를 입력 가능하고 구동 상황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
    상기 뇌파유도신호를 출력하는 뇌파신호출력부; 및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유도신호는 8~13Hz 영역의 알파파 또는 3.5~8Hz 영역의 세타파인,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외부의 이동전화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전화를 통하여 작동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실시간 피부상태 관찰 가능한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20130056549A 2013-05-20 2013-05-20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10149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49A KR101492792B1 (ko) 2013-05-20 2013-05-20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6549A KR101492792B1 (ko) 2013-05-20 2013-05-20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48A true KR20140136248A (ko) 2014-11-28
KR101492792B1 KR101492792B1 (ko) 2015-02-13

Family

ID=5245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6549A KR101492792B1 (ko) 2013-05-20 2013-05-20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7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9582A (zh) * 2016-05-18 2016-10-26 浙江光博士医疗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互联的智能led红蓝光光子美容系统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CN109432592A (zh) * 2018-12-19 2019-03-08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液态金属打印技术的全脸性美容仪及方法
KR20210030735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이엠텍 미용 마스크 장치
KR20210034732A (ko) * 2019-09-20 2021-03-31 한국광기술원 Led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면도 및 피부 관리 장치
KR20220049860A (ko) *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30015557A (ko) *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40B1 (ko) * 2018-07-20 2020-04-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Vr 영상을 제공하는 마스크 장치
KR102381446B1 (ko) * 2019-08-05 2022-04-01 장대규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KR102062605B1 (ko) * 2019-09-27 2020-01-07 주식회사 주주커뮤니케이션즈 홈케어 뷰티 led 마스크
KR102083650B1 (ko) * 2019-12-27 2020-03-02 배봉진 사용자 맞춤 케어 뷰티 led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2549A1 (en) * 2002-11-12 2004-08-19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ptical dermatology
KR20130005598A (ko) * 2011-07-06 2013-01-16 문성모 광 조사기,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5802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제이유에이치 개인 맞춤형 수면 유도 이목 마스크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9582A (zh) * 2016-05-18 2016-10-26 浙江光博士医疗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互联的智能led红蓝光光子美容系统
KR20180134624A (ko) * 2017-06-09 2018-12-19 (주)셀리턴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CN109432592A (zh) * 2018-12-19 2019-03-08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液态金属打印技术的全脸性美容仪及方法
KR20210030735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이엠텍 미용 마스크 장치
KR20210034732A (ko) * 2019-09-20 2021-03-31 한국광기술원 Led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면도 및 피부 관리 장치
KR20210092182A (ko) * 2019-09-20 2021-07-23 한국광기술원 Led 마스크를 이용한 면도 및 피부 관리 장치
KR20220049860A (ko) *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30015557A (ko) *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792B1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792B1 (ko)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US10905846B2 (en) Phototherapy sleep mask
US1048597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uromodulation
US20170224990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uromodulation
AU2013243265B2 (en) Frequency specific sensory stimulation
KR101385707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CN108114378B (zh) 一种育发装置
US20150209597A1 (en) Phototherapy eyeglass device
US20120172951A1 (en) 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care using light
KR101597169B1 (ko) 안면치료용 마스크장치
US20100323335A1 (en) Psychotherapeutic device
US200902160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laxation therapy
CN109152524A (zh) 用于向大脑提供刺激的方法和系统
TWM439486U (en) Head mounted optical health care device
TWM553987U (zh) 具生理訊號擷取功能的眼鏡結構與眼鏡組合、該眼鏡組合之結合模組、眼鏡式生理活動感測裝置、眼鏡式穿戴裝置及眼鏡式電刺激裝置
KR101479576B1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CN103623507A (zh) 一种医疗美容面罩
KR20180009728A (ko)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WO2017125081A1 (zh) 眼镜式生理感测装置及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与眼镜组合
KR20140090332A (ko) 테라피 글라스
TWI631933B (zh) Physiological resonance stimulation method and wearable system using the same
GB2441007A (en) Auricular therapy apparatus
US11830628B1 (en)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treatment system
CN203724643U (zh) 一种医疗美容面罩
KR20170096856A (ko) 인지능력, 수면 향상 및 치매예방을 위한 시청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