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446B1 -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446B1
KR102381446B1 KR1020190095194A KR20190095194A KR102381446B1 KR 102381446 B1 KR102381446 B1 KR 102381446B1 KR 1020190095194 A KR1020190095194 A KR 1020190095194A KR 20190095194 A KR20190095194 A KR 20190095194A KR 102381446 B1 KR102381446 B1 KR 10238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image
user
led
dist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868A (ko
Inventor
장대규
Original Assignee
장대규
(주)데이타리얼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규, (주)데이타리얼리티 filed Critical 장대규
Priority to KR102019009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4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6T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3Conversion of monochrome picture signals to colour picture signals for colour pictur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LED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눈 부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VR, AR, MR 및 XR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LED mask with smart device}
본 발명은 LED 광을 얼굴에 조사하여 피부 치료, 미용, 미백, 살균 등의 효과를 내는 LED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 중에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선요법은 광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사실에 기초한 것으로서,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재생 또는 파괴 등을 통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 의료기술이다. 최근에는 피부질환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피부질환 치료 및 피부 미용에 활용되는 광 치료 기구는 크기가 크고 고가여서 광선요법을 통한 피부질환 치료나 피부 미용을 위해서는 광 치료 기구가 설치된 병원이나 미용관리실에 가서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부담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내피 부재의 외측면에 LED 기판이 구비되고, 내피 부재와 LED 기판과 외피 부재에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크기 또는 얼굴의 형태에 따라 절개부의 틈새를 조절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LED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사용하고 있는 LED 마스크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며 피부 질환의 개선에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LED 마스크 사용자는 약 20분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활동에 많은 제약이 있고,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사용하는 동안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안경 타입으로 착용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대신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구글 글라스' 또는 '스포츠형 안경' 등과 같은 스마트 안경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안경은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의 일종으로, 머리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눈앞에 직접 영상을 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스마트 안경, 예를 들면 VR(가상현실)/AR(증강현실)/MR(혼합현실)/XR(확장현실) 디스플레이 기기와 같이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와 접목된 LED 마스크는 전무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887호(2018. 04. 13.)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616707호(2016. 04.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피부 치료 또는 미용 중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왜곡하여 시각적 혼란 효과를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LED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눈 부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VR, AR, MR 및 XR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확대시켜 렌즈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광학 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실세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실세계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실세계 영상에 적용할 왜곡을 결정하고, 결정된 왜곡에 기초하여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켜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키는 영상 왜곡부; 및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왜곡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왜곡을 결정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왜곡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동에 기초하여 상기 왜곡을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왜곡부는, 실세계 영상의 픽셀값을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에 3D 영상 기법을 적용하여 만화와 같은 느낌을 주는 카툰렌더링을 하는 것; 실세계 영상 콘트라스트를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처리하는 것; 실세계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표현을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의 명암을 조절하는 것; 및 실세계 영상과 함께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 진폭, 피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LED 모듈은 640 ~ 660nm 파장 범위를 갖는 RED LED, 300 ~ 400nm 파장 범위를 갖는 UV LED, 840 ~ 860nm 파장 범위를 갖는 IR LED 및 380 ~ 500nm 파장 범위를 갖는 blue LE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피부 미용이나 살균, 피부질환 개선 등의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LED 마스크에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웨어러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활동에 제약 없이 다양한 광고 및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영상 왜곡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실세계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정신적, 심리적으로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영상 왜곡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본체(100),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LED 모듈(200),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00)을 포함하고, LED 모듈(200)과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마스크 본체(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콘트롤러(400)를 통해 조작된다.
마스크 본체(100)는 사용자의 얼굴을 감쌀 수 있도록 안면 윤곽과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10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내피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LED 모듈(200)은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소정 파장대의 LED 광을 조사하여 피부 미용 및 피부 질환의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서, LED 모듈(200)은 마스크 본체(100)와 내피 부재 사이에 내장되고, 내피 부재는 LED 모듈(200)의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 모듈(200)은 다양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여러 종류의 LED들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 모듈(200)은 640 ~ 660nm 파장 범위를 갖는 RED LED(210), 300 ~ 400nm 파장 범위를 갖는 UV LED(220), 840 ~ 860nm 파장 범위를 갖는 IR LED(230), 380 ~ 500nm 파장 범위를 갖는 BLUE LED(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D LED(210)는 640 ~ 660nm 파장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66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이러한 파장대의 RED LED는 상처 치유, 피부 재생, 세포 증식, 및 콜라겐 합성 등에 유익한 광을 조사한다. 또한, UV LED(220)는 300 ~ 400nm 파장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400nm 파장을 갖는 UV-A LED 및/또는 대략 300nm 파장을 갖는 UV-B LED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UV LED들(2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아토피 피부염, 경피증 및 진균증 등의 치료에 유익하다. 또한, IR LED(230)는 840 ~ 860nm 파장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8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이러한 IR LED들(2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혈액 순환, 세포 증식, 면역력 증가, 상처 치유 등에 유익하다. 또한, BLUE LED(240)는 380 ~ 500nm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하며, 이러한 BLUE LED들(240)은 피부 1㎜ 이하에서 흡수돼 여드름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를 없애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눈 부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 및 XR(확장현실)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10), 외부 환경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320) 및 메모리(310)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또는 카메라(310)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100)를 착용하고 콘트롤러(400)를 조작하여 LED 모듈(200)을 구동함으로써, 피부 미용 및 피부 질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콘트롤러(400)를 조작하여 메모리(310)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 중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어, LED 마스크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카메라(320)를 통해 외부 환경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볼 수 있어, LED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약없이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는 피부 미용 및/또는 피부 질환 개선을 하는 동안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어, LED 마스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지루하지 않고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콘트롤러(400) 조작을 통해 LED 모듈(200) 중 원하는 파장대의 LED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피부 상태에 맞는 피부 미용 및 피부 질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로부터 표출된 영상을 확대시켜 렌즈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광학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카메라(3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왜곡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촬영된 실세계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정신 치료 및 심리 안정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카메라(320), 디지털 변환부(340), 영상 왜곡부(350), 포맷 변환부(360) 및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포함한다. 카메라(320)는 실세계 영상을 촬영, 즉 캡쳐하여 디지털 변환부(340)로 전달한다. 그러면, 디지털 변환부(340)는 캡쳐된 실세계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왜곡부(350)에 전달한다. 영상 왜곡부(350)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켜 실세계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포맷 변환부(360)는 영상 왜곡부(350)로부터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실세계 영상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에 호환되는 MIPI DSI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러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은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는 왜곡 제어부(350)를 따로 두어 영상 왜곡을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영상 왜곡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현실감을 변화시킴으로써 정신적, 심리적으로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세계 영상 왜곡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실세계 영상을 촬영, 즉 캡쳐한다(S100). 실세계 영상이 캡쳐되면, 디지털 변환부(340)는 캡쳐된 실세계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S200) 이 경우, 변환되는 비디오 신호는 NTSC, PAL, RGB, YCbCr, HDMI, MPEG, AVI, VOB, H264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실세계 영상이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면 다양한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영상 왜곡부(350)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켜 실세계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우선 실세계 영상에 적용할 왜곡을 결정한다(S300). 본 명세서에서 왜곡(garbling)이란, 실세계 영상에 다양한 처리를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실세계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왜곡을 결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활용될 수 있다.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을 사용에 기초하여 왜곡을 결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자신에게 적합한 왜곡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2. 원격 조작부를 통하여 사용자 이외의 조작자가 왜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조작자는 환자를 치유하는 의사나 심리 상담사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3.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왜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관찰하는 센서는, 피부색, 맥박수, 혈압, 심전도, 피부전도도, 근전도, 및 발한(perspiration)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및 다양한 생체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직접 판단하고, 판단된 신체 상태에 적합하도록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킬 수 있다.
4.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동에 기초하여 왜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센서는, 위치 센서, GPS 센서, 속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과잉 행동, 과소 행동 등을 감지하고, 각각의 행동 상태에 따라서 실세계 영상을 적절하게 왜곡시킬 수 있다.
왜곡이 결정되면, 영상 왜곡부(350)는 결정된 왜곡에 기초하여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킨다(S400). 본 발명에서 실세계 영상에 적용될 수 있는 왜곡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1. 실세계 영상의 픽셀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력적인 장면이 심리 상태가 불안한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세계 영상 중 피로 감지되는 부분들의 픽셀값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2. 실세계 영상에 3D 영상 기법을 적용하여 만화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카툰 렌더링(cartoon rendering)이라고 부르며, 몽환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고, 현실을 마치 만화속 공간으로 느껴지게 하기 때문에 현실에서의 긴장감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3. 실세계 영상 콘트라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가 높을수록 제공되는 실세계 영상은 첨예해지며 사람들이 예민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실에서 느끼는 긴장을 풀도록 유도할 수 있다.
4. 필요한 경우, 실세계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흑백 처리의 단계를 조절함으로써 그레이스케일로 처리할 수도 있다. 극도의 긴장상태인 경우, 실세계 영상을 흑백처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5. 실세계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표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중앙선이나 신호등의 교통 지시 시설들은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세계 영상에 있는 교통지시 시설들을 강조하거나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6. 실세계 영상의 명암을 조절할 수도 있다. 스키장이나 백사장을 바라보는 사용자에게는 실세계 영상의 명도를 낮춤으로써 시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어두운 환경에 있는 사용자에게는 명도를 높임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7. 실세계 영상과 함께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 진폭, 피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서관에 있는 사용자에게는 백그라운드 잡음을 소거시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야구장 등 높은 소음 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에게는 제공되는 음향의 진폭을 줄여서 청력을 보호할 수도 있다.
실세계 영상이 왜곡되면, 포맷 변환부(360)는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에 호환되는 MIPI DSI 포맷으로 변환한다(S500). 이러한 포맷 변환은 영상 처리 장치에서 처리한 비디오 신호를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포맷이 변환이 완료되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330)은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00). 따라서, 사용자는 실세계 영상이 변환된 장면을 시청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수단(300)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미러링(mirroring)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마스크 본체 200: LED 모듈
210: RED LED 220: UV LED
230: IR LED 240: BLUE LED
300: 디스플레이 수단 310: 메모리
320: 카메라 330: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
340: 디지털 변환부 350: 영상 왜곡부
360: 포맷 변환부

Claims (7)

  1.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LED 광을 조사하는 LED 모듈;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눈 부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VR, AR, MR 및 XR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실세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된 실세계 영상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실세계 영상에 적용할 왜곡을 결정하고, 결정된 왜곡에 기초하여 실세계 영상을 왜곡시켜 영상의 현실감을 변화시키는 영상 왜곡부; 및
    왜곡된 실세계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왜곡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왜곡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센서로부터 얻은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판단된 행동에 기초하여 상기 왜곡을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왜곡이 결정되면 상기 영상 왜곡부는,
    실세계 영상의 픽셀값을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에 3D 영상 기법을 적용하여 만화와 같은 느낌을 주는 카툰렌더링을 하는 것;
    실세계 영상 콘트라스트를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처리하는 것;
    실세계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의 표현을 변경하는 것;
    실세계 영상의 명암을 조절하는 것; 및
    실세계 영상과 함께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 진폭, 피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LED 모듈은,
    640 ~ 660nm 파장 범위를 갖는 RED LED, 300 ~ 400nm 파장 범위를 갖는 UV LED, 840 ~ 860nm 파장 범위를 갖는 IR LED 및 380 ~ 500nm 파장 범위를 갖는 blu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7. 삭제
KR1020190095194A 2019-08-05 2019-08-05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KR10238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4A KR102381446B1 (ko) 2019-08-05 2019-08-05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94A KR102381446B1 (ko) 2019-08-05 2019-08-05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68A KR20210016868A (ko) 2021-02-17
KR102381446B1 true KR102381446B1 (ko) 2022-04-01

Family

ID=7473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94A KR102381446B1 (ko) 2019-08-05 2019-08-05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4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0454A (ja) * 2010-07-20 2013-11-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生体情報を活用した仮想世界操作装置及び方法
KR101492792B1 (ko) * 2013-05-20 2015-02-13 (주)옵티스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101955224B1 (ko) * 2014-05-30 2019-03-08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가상 환경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0454A (ja) * 2010-07-20 2013-11-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生体情報を活用した仮想世界操作装置及び方法
KR101492792B1 (ko) * 2013-05-20 2015-02-13 (주)옵티스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101955224B1 (ko) * 2014-05-30 2019-03-08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가상 환경 컨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68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240B2 (en) Head-mountable apparatus and methods
CN106714663B (zh) 带眼镜不适减轻的显示器
RU26450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JP2008099834A (ja) 表示装置、表示方法
CN111095077B (zh) 具有自适应显示器的电子设备
US20150002373A1 (en)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JP2005318973A (ja) 生体センサ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US202203979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the Remote Testing of Vision and Diagnosis of Vision-Related Issues
JP2007003618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050168569A1 (en) Visual aid display apparatus
CN112444996B (zh) 具有张紧调节的头戴式设备
CN101141568A (zh) 图像拾取设备和图像拾取方法
WO2010051304A1 (en) Video infrared ophthalmoscope
US20160269713A1 (en) Stereoscopic end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WO2016162980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4029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2696B1 (ko) 실사와 컴퓨터 그래픽스 영상을 이용한 생체 정보 표시 시스템 및 그의 표시 방법
US20200258316A1 (en) Method of garbling real-world image for see-through head mount display and see-through head mount display with realworld image garbling function
KR102381446B1 (ko) 스마트 기기를 구비한 led 마스크
US10459255B2 (en) Compensating visual impairment by using an eye-mounted display
US11314327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18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the affective visu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vision of an user
KR102360557B1 (ko) 실세계 영상 왜곡 기능을 가지는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102185519B1 (ko) 다이렉트 인코딩 방식의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실세계 영상 왜곡 방법 및 실세계 영상 왜곡 기능을 가지는 다이렉트 인코딩 방식의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WO2015037316A1 (ja) 器官画像撮影装置および器官画像撮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