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335A -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 Google Patents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335A
KR20140135335A KR1020130055321A KR20130055321A KR20140135335A KR 20140135335 A KR20140135335 A KR 20140135335A KR 1020130055321 A KR1020130055321 A KR 1020130055321A KR 20130055321 A KR20130055321 A KR 20130055321A KR 20140135335 A KR20140135335 A KR 2014013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v
individual
pipe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8217B1 (en
Inventor
박주신
구정본
전상익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17B1/en
Publication of KR2014013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uncover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collection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putting a remained oil collection unit and an ROV into water from a ship having a lifting device, and dividing a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using the ROV; a second step of putting a guide line and a fixing block from the ship to a seabed to install the guide line between the seabed around the one individual pipe and the ship; a third step of installing chain clamps in the individual pipe using the ROV; a fourth step of connecting a lifting plug to the individual pipe using the ROV; a fifth step of ascending the lifting plug and a lifting cable using the lifting device to erect the individual pipe;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hain of the chain clamps to the guide line using the ROV; and a seventh step of ascend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plug, and the erected individual pipe toward the ship using the lifting device to collect the individual pipe.

Description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lifting type pipeline recycling method,

본 발명은 심해에 방치된 폐 파이프라인을 개별 파이프로 분리하고, 인양시 해수와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개별 파이프를 세워서 인양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for lifting and lifting individual pipes so as to separate the waste pipeline left in the deep sea into individual pipes and to minimize frictional resistance with seawater during lifting.

해상에서 시추한 원유나 가스등의 유체를 원격지에 설치된 저장탱크 또는 처리시설까지 보다 편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이 설치된다.Pipelines are installed on the seafloor to facilitate transport of fluid, such as crude oil or gas drilled in the sea, to storage tanks or treatment facilities installed at remote locations.

이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해양의 플랜트 등에서 생산된 원유나 가스를 해상 혹은 육상 저장공간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uch pipelines serve to transport crude oil or gas produced at offshore plants to marine or land storage areas.

한편, 상기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유정에서의 원유 생산이 끝나면 상기 파이프라인의 운용 또한 중지되고, 폐 파이프라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ion of crude oil in the oil well is ended, the operation of the pipeline is also stopped and becomes a waste pipeline.

이 때, 운용이 중지된 폐 파이프라인은 회수하는 것이 원칙이나, 법규 미비 및 회수작업의 어려움과 비용발생을 이유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the waste pipeline whose operation has been suspended is in principle withdrawn, but it is left on the grounds of the difficulty of regulatory inadequacy and recovery work and cost incurrence.

또한, 기존에 해저에 놓여 있는 파이프라인은 수백미터에서 수킬로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 형태로 인양하더라도, 개별 파이프의 하중 밸런스를 정확하게 맞추면서 인양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인양 중인 개별 파이프가 기울어져서 인양케이블들이 서로 엉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pipelines located at the sea floor have a length of several hundred meters to several kilometers, it is very difficult to reliably lift and balance the load of individual pipes even if they are partially cut and lifted into individual pip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roblems such as tilting of the pipes and tangling of the lifting cables are likely to occur.

즉, 폐 파이프라인을 개별 파이프로 절단하여 인양시, 해수면의 선박과 해저면의 사이, 즉 수심이 깊은 심해에 개별 파이프가 수평하게 위치하는 관계로 인하여, 수평 상태의 개별 파이프를 선박의 인양 장치로 인양하는 도중 해수의 유동 마찰로 인하여 개별 파이프를 신속하게 인양할 수 없거나, 수평 상태의 개별 파이프에 연결된 다수의 인양케이블이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waste pipeline is cut into individual pipes and the individual pipes are horizontally positioned between the sea surface and the sea floor, that is, the deep water deep in the deep sea, The individual pipes can not be lifted quickly due to the flow friction of the seawater during the lifting of the pipe, or a plurality of lifting cables connected to the individual pipes in the horizontal state may be twisted.

미국등록특허 US 6,292,431US Patent 6,292,431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은 해저에 위치된 폐 파이프라인을 개별 파이프 형태로 절단 및 분리하고, 수직하게 세워 인양함으로써, 인양 중인 개별 파이프에 대한 수중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신속하게 개별 파이프를 회수할 수 있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direc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at minimizing the underwater friction resistance of the individual pipes being lifted by cutting and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s located at the seabed into individual pipes and lifting them up vertically It is a problem to provide a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capable of quickly recovering individual pipes.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인양장치를 갖는 선박에서 잔존유 회수유닛 및 ROV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개별 파이프로 분리하는 제 1 단계; 상기 선박에서 가이드라인 및 고정블록을 해저면 쪽으로 투입하여 개별 파이프의 주변의 해저면과 상기 선박 사이에 가이드라인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ROV에 의해 개별 파이프에 체인클램프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상기 ROV에 의해 상기 개별 파이프에 인양플러그를 연결하는 제 4 단계;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플러그 및 인양케이블을 상승시켜서 개별 파이프를 기립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ROV에 의해 상기 체인클램프의 체인을 상기 가이드라인에 연결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케이블, 상기 인양플러그 및 기립된 상기 개별 파이프를 선박 쪽으로 상승시켜 상기 개별 파이프를 회수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by introducing a remaining oil recovery unit and an ROV into water in a ship having a lifting device, Stage 1; A second step of inserting a guide line and a fixed block from the ship into a sea bed side to install a guide line between the sea floor around the individual pipe and the ship;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chain clamp on an individual pipe by the ROV; Connecting a lifting plug to the individual pipe by the ROV; A fif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plug and the lifting cable by the lifting device to stand the individual pipes;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hain of the chain clamp to the guide line by the ROV; And a seven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plug and the standing individual pipe to the ship by the lifting device to recover the individual pipe, can be provided .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잔존유 회수유닛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을 통해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the remaining oil collecting unit punctures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and inserts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perforated hole to suck the remaining oil in the waste pipeline .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인양장치의 블록윈치부가 상기 가이드라인 및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개별 파이프의 주변의 해저면 쪽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 1 윈치부가 상기 가이드라인에 장력을 인가시킴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이 직선 상태가 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the block winch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descends the guide line and the fixed block toward the under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individual pipe, and as the first winch portion applies the tension to the guide line , And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line is in a straight line state.

또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인양장치가 크레인부의 상기 인양케이블을 하강시켜서 상기 인양플러그를 폐 파이프라인의 절단면과 개별 파이프의 끝단 사이의 작업 공간 쪽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the lifting device descends the lifting cable of the crane part to lower the lifting plug toward the working space between the cutting face of the closed pipeline and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

또한, 상기 제 6 단계에서는, 인양 도중 상기 개별 파이프의 기립 상태가 상기 가이드라인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ROV가 상기 체인클램프의 체인의 끝단에 마련된 샤클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ROV가 상기 가이드라인의 둘레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ROV가 상기 샤클을 상기 체인클램프에 연결하고, 상기 체인이 고리 형태로 상기 가이드라인에 연결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ixth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ROV catches the shack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chain of the chain clamp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individual pipe during the lifting can be guided by the guide line, After the ROV moves along the perimeter of the line, connecting the shackle to the chain clamp and connecting the chain to the guide line in the form of a ring may be included.

본 출원의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of the vertical lift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심해 파이프라인 회수 선박과 해저면간에 가이드라인을 설치하고, 수평 상태의 개별 파이프를 해저면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의 연장 방향, 즉 수직 방향에 대응하도록 세워서 가이드라인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세워진 개별 파이프를 인양함으로써, 수평 상태로 개별 파이프를 인양할 때보다 수직 상태로 개별 파이프를 인양할 때 수중 유동 마찰에 의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개별 파이프의 흔들임이 상대적으로 최소화되어서 인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인양이 가능할 수 있다.First, a guide line is installed between the deep sea pipeline recovery vessel and the sea floor, and the individual pipes in a horizontal state are erec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line,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By pulling up the individual pipes, the resistances due to underwater flow friction are relatively reduced when the individual pipes are lifted in a vertical state than when the individual pipes are lifted in a horizontal state, the swinging of the individual pipes is relatively minimized and the lifting time is shortened It can be economically salvaged.

둘째, 개별 파이프의 끝단에 인양플러그를 연결하고, 인양플러그에 연결된 인양케이블을 상승시킴에 따라, 수평 상태로 개별 파이프를 인양할 때 다수의 인양케이블이 꼬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Second, by connecting the lifting plug to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and raising the lifting cable connected to the lifting plu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a plurality of lifting cables are twisted when lifting the individual pipes in a horizontal state.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양플러그의 개별 파이프와의 체결 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양플러그의 개별 파이프와의 체결 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인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제 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1의 제 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제 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제 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제 7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vering a waste pipeline in a vertical lift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lifting plug shown in Fig. 1 before engagement with an individual pipe,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plug shown in Fig. 1 after being fastened to an individual pip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n clamp shown in Fig. 1,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tep of FIG. 1,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step of FIG. 1,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step of FIG. 1,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ourth step of FIG. 1,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fth step of FIG. 1,
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ixth step of FIG. 1,
1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venth step of FIG.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vering a waste pipeline in a vertical lift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은 후술될 크레인부 및 블록윈치부를 갖는 인양장치, 잔존유 회수유닛, ROV(Remotely-Operated Vehicle), 체인클램프, 인양케이블, 인양플러그 등을 구비한 선박을 이용하여 제 1 단계(S10) 내지 제 7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lifting device having a crane and a block winch, a remaining oil recovery unit, a remotely-operated vehicle (ROV) The first step (S10) to the seventh step (S70) may be performed using a ship having a clamp, a lifting cable, a lifting plug, and the lik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양플러그의 개별 파이프와의 체결 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양플러그의 개별 파이프와의 체결 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인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lifting plug shown in Fig. 1 before fastening with an individual pip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plug shown in Fig. 1 after fastening with individual pipes, Fig.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tep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n clamp shown in Fig.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단계(S10)는 인양장치(200)를 갖는 선박(100)에서 잔존유 회수유닛(300) 및 ROV(400)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ROV(400)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1)을 개별 파이프(10)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the first step S10 is to put the residual oil recovery unit 300 and the ROV 400 into the water in the ship 100 having the lifting device 200, To separate the waste pipeline 1 into individual pipes 10 by means of a separate pipe.

이러한 제 1 단계(S10)의 선행 단계로서, 선박(100)은 심해의 폐 파이프라인(1)이 존재하는 작업 지역, 즉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 쪽으로 이동, 즉 항해한 후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해수면(S)에 계류할 수 있다.As a preceding step of the first step S10, the ship 100 moves to the working area where the deep-water waste pipeline 1 exists, that is, to the waste pipeline site B, (S) positioned at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ea surface (B).

선박(100)은 작업선 또는 폐 파이프 회수 심해 파이프라인 회수 선박(SPRV: Subsea Pipeline Retrieval Vessel)일 수 있다.The vessel 100 may be a subsea pipeline retrieval vessel (SPRV).

선박(100)이 해수면(S)에 계류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해상 작업 선박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기 계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Since the method of mooring the ship 100 to the sea surface S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used in a general marine vesse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oring method can be omitted here.

선박(100)은 그의 선체에 적어도 하나, 예컨대 1대의 ROV(100)를 탑재하고 있다가 수중으로 투입시킬 수 있고, 선박(100)의 상갑판에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된 개별 파이프(10)가 적재될 수 있는 파이프 회수장(110)을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The ship 100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for example, one ROV 100 in its hull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he ship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deck of the ship 100 by a separate pipe (110) in which the pipe (10) can be loaded.

선박(100)에는 윈치 기능, 잔존유 회수 기능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지원설비(310)에 연결된 잔존유 회수유닛(300)이 더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잔존유 회수유닛(300)은 폐 파이프라인(1)에 연결되어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를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ip 100 may further have a remaining oil recovery unit 300 connected to a support facility 310 having a winch function, a remaining oil recovery function, and a storage function. Here, the remaining oil recovery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waste pipeline 1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covering residual oil in the interior of the waste pipeline 1.

예컨대, 잔존유 회수유닛(300)은 미도시되어 있지만 유닛본체의 내부에 드릴모듈 및 흡입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단계(S10)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드릴모듈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을 통해 상기 흡입모듈의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고, 흡입된 잔존유를 흡입라인(301)을 통해 지원설비(310)의 저장탱크(미 도시) 쪽으로 회수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remaining oil recovery unit 300 is not shown, the drill module and the suction module are provided inside the unit body. In the course of the first step S10, 1, the suction pipe of the suction module is inserted through the perforated hole to suck the remaining oil in the inside of the waste pipeline 1, and the sucked remaining oil is sucked into the suction line 301, To the storage tank (not shown) of the support facility 310 through the storage tank (not shown).

즉, 상기 제 1 단계(S10)에서는, 상기 잔존유 회수유닛(300)이 상기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을 통해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과, 상기 흡입된 잔존유가 흡입라인(301)을 경유하여 지원설비(310)의 저장탱크(미 도시) 쪽으로 회수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step S10, the remaining oil recovery unit 300 punctures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1, inserts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perforated hole, 1 and the suctioned residual oil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not shown) of the support facility 310 via the suction line 301. [0050]

인양장치(200)는 심해의 해저면까지 인양케이블(211)을 하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부(210)와, 크레인부(210)의 주변으로 파이프 회수장(110)에 마련되고 역시 해저면까지 가이드라인(221)을 하강시킬 수 있는 블록윈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crane 210 capable of descending the lifting cable 211 to the bottom of the deep sea, And a block winch portion 220 capable of lowering the line 221.

이때, 크레인부(210)의 인양케이블(211)은 인양플러그(250)의 러그부(252)에 연결되어 실질적인 인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케이블(211a)과, 인양플러그(250)의 작동로드(253)를 잡아당겨서 체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케이블(211b) 등과 같이 복수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The lifting cable 211 of the crane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lug portion 252 of the lifting plug 250 to provide a first cable 211a for generating a substantial lifting force, A second cable 211b for pulling the rod 253 to generate a fastening force, and the like.

즉, 인양케이블(211)의 제 1 케이블(211a)의 끝단은 도 2 및 도 3에 설명할 인양플러그(250)의 러그부(25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양케이블(211)의 제 2 케이블(211b)은 인양플러그(250)의 작동로드(253)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end of the first cable 211a of the lifting cable 211 may be connected to the lug portion 252 of the lifting plug 2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Also, the second cable 211b of the lifting cable 21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253 of the lifting plug 250.

한편, 블록윈치부(220)의 가이드라인(221)의 끝단에는 고정블록(222)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블록(222)은 일정 중량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 혹은 테트라포트일 수 있고, 가이드라인(221)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가이드라인(221)이 직선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력을 이겨낼 수 있는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일 수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블록 혹은 테트라포트 만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a fixing block 222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guide line 221 of the block winch 220. Here, the fixed block 222 may be a concrete block or tetrapod having a certain weight, and the guide line 221 may be held tight or the guide line 221 may be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And therefore it may not be limited to the concrete block or the tetra port alone.

가이드라인(221)은 개별 파이프(10)가 기립된 상태, 즉 해저면에서 수평하게 있던 개별 파이프(1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인양되는 조건을 감안하여, 블록윈치부(220)의 주변의 인양타워(223)의 상단을 경유하여 수중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guide line 221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y of the block winch 220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that the individual pipe 10 stands upright, that is, the condition that the individual pipe 10, which was horizontal on the sea floor, And may extend through the top of the lifting tower 223 to the water.

선박(100)은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개별 파이프(10)를 파이프 회수장(110)쪽으로 옮겨 적재하기 위하여, 크레인부(210) 이외에 별도의 트롤리 장치(예: 고하중물 수평 이동 장치)(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p 100 may be moved to a separate trolley unit other than the crane unit 210 such as a heavy load water horizontal moving Device) (not shown).

또한, 선박(100)은 ROV(400)에 각종 공급원(예: 전원, 통신신호, 유압 등)을 공급하기 위한 ROV 연결라인(401)과, 상기 ROV 연결라인(401)을 감아 회수하거나 또는 풀어 공급하는 호이스트 형식의 ROV 지원수단(4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V(400)는 1대로 이루어져 있으나,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수로 구비되어 개별 파이프 회수 작업을 지원할 수도 있다.The ship 100 also includes an ROV connection line 401 for supplying various sources (e.g., power source, communication signal, hydraulic pressure, etc.) to the ROV 400, And ROV support means 402 in the form of a hoist. Here, although the ROV 400 is provided as one unit, a plurality of ROVs 400 may be provided to maximize the operation efficiency to support individual pipe recovery operations.

ROV(400)는 개별 파이프 절단, 각종 볼트의 체결 또는 해체 또는 샤클의 체결 또는 분리 기능을 실현하도록, 유닛(500, 600) 및 체인클램프(450)를 구비할 수 있다.ROV 400 may include units 500 and 600 and chain clamp 450 to realize individual pipe cutting, fastening or disassembly of various bolts, or shackle fastening or detaching functions.

기본적으로, ROV(400)는 부양 또는 위치 제어 장치가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로봇팔, 즉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매니퓰레이터의 엔드이팩터(end effector)에 해당하는 각각의 유닛(500, 600)을 포함할 수 있다.Basically, the ROV 400 includes a frame in which a levitation or position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robotic arms installed in the frame, that is, a manipulator, and a unit 500, which corresponds to an end effector of the manipulator, 600).

즉, 유닛(500, 600)은 절단유닛(500)과 조작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units 500 and 600 may include the cutting unit 500 and the operation unit 600.

절단유닛(500)은 수중작업용 플라즈마 절단기 또는 절단과 용융이 동시에 수행되는 수중 작업용 장비(예: 레이저 절단기)이거나, 와이어 톱(saw)과 같은 파이프 절단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tting unit 500 may be an underwater working plasma cutter or an underwater work equipment (e.g., a laser cutter) in which cutting and melt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r a pipe cutter such as a wire saw.

조작유닛(600)은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 또는 집게 등으로 물체를 잡거나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체인클램프의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와, 물체(체인, 샤클 등)를 잡거나 릴리스하는 역할의 그립퍼(gripper)와, 그립퍼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립퍼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600 can perform a function of holding or rotating an object with a tool or a clamp that can tighten or loosen the bolt. The operation unit 600 includes a tool that can tighten or loosen the bolt of the chain clamp, A gripper for gripping or releasing the gripper, and a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gripper to adjust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per.

여기서, 샤클은 심해 작업용 제작된 샤클 몸체와 샤클 몸체에 끼워지는 샤클핀을 갖는 것으로서, 샤클 몸체와 샤클핀간의 용이한 결착을 위해서, 샤클핀에 탄성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샤클핀을 샤클 몸체의 구멍 등에 끼운 후 탄성단턱에 의해 끼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연결 수단일 수 있다.The shackle has a shackle body for deep-sea work and a shackle pin to be fitted to the shackle body. In order to facilitate the fastening between the shackle body and the shackle pin, an elastic step is formed on the shackle pin. And may be a general connecting means configured to be hel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by the elastic step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or the like.

물론, ROV(400)의 매니퓰레이터는 매니퓰레이터의 관절의 각도 또는 매니퓰레이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manipulator of the ROV 400 may control the angle of the joint of the manipulator o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nipulator.

도 2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인양플러그(250)는 개별 파이프(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플러그 몸체(251)와, 플러그 몸체(251)의 상면에 돌출되고 인양케이블(211)에 연결되는 이상의 러그부(252)와, 플러그 몸체(251)의 중심의 구멍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하단에 웨지단부(253a)를 갖는 작동로드(253)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and 5, the lifting plug 250 includes a plug body 25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dividual pipe 10 and a lifting cable 251 proje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body 251, And an operating rod 253 passing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plug body 25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wedge end 253a at the lower end thereof.

인양플러그(250)는 플러그 몸체(251)의 아래에서 작동로드(25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작동로드(253)의 주변에 간극을 유지하면서 배치된 다수의 탄성고정편(25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탄성고정편(254)의 상단부는 플러그 몸체(251)를 기반으로 체결볼트(255)로 연결되어 있고, 체결볼트(255)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탄성고정편(254)의 하단부는 탄성 변형, 즉 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또는 반대 상태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다.The lifting plug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lient fixing pieces 254 disposed below the plug body 251 and spaced apart around the operating rod 25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rod 253 have. The upper end of each resilient fixing piece 254 is connected by a fastening bolt 255 on the basis of the plug body 251.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fastening piece 254 opposite to the fastening bolt 255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from the state of FIG. 2 to the state of FIG. 3 or to the opposite state.

탄성고정편(254)의 내표면에는 작동로드(253)의 웨지단부(253a)와 미끄럼 대우 관계를 갖는 웨지면(25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 도 2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3과 같이 작동로드(253)가 상향으로 이동(F)될 경우, 각각의 탄성고정편(254)의 하단부가 바깥쪽 방향으로 펼쳐지는 체결 작동(R)이 발생될 수 있다.Since the wedge surface 254a having a slippery relationship with the wedge end portion 253a of the operating rod 25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fixing piece 254, When the operation rod 253 is moved upward (F), a fastening operation R may be generated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respective elastic fastening pieces 254 are unfolded in the outward direction.

부연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ROV(400)는 탄성고정편(254)의 하단부가 펼쳐(R)지기 전 상태(도 2 참조)의 인양플러그(250)를 잡고, 개별 파이프(10)의 끝단 구멍에 인양플러그(250)의 탄성고정편(254)들을 삽입시킨다.The ROV 400 described above holds the lifting plug 250 in the state before the lower end of the resilient fixing piece 254 is unfolded (see FIG. 2) The resilient fixing pieces 254 of the lifting plug 250 are inserted.

이후, 선박(100)의 인양케이블(211)의 제 2 케이블(211b)을 제 1 케이블(211a)보다 더 잡아당길 경우, 제 1 케이블(211a)에 연결된 러그부(252) 및 플러그 몸체(251)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지만, 제 2 케이블(211b)에 연결된 작동로드(253)만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cable 211b of the lifting cable 211 of the ship 100 is pulled more than the first cable 211a, the lug portion 252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211a and the plug body 251 Is in the unmoving state, but only the actuating rod 253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211b can be moved upward.

이러한 작동로드(253)의 상향 이동력은 작동로드(253)의 웨지단부(253a)와 탄성고정편(254)의 웨지면(254a)간 미끄럼 대우 관계에 의하여 탄성고정편(254)의 하단부를 바깥쪽 방향으로 펼치는 체결 작동(R)용 체결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upward movement force of the operation rod 253 is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fixing piece 254 by the sliding treatment between the wedge end 253a of the actuating rod 253 and the wedge surface 254a of the elastic fixing piece 254 And can be converted into a fastening force for fastening operation (R) that spreads in the outward direction.

이를 통해서 탄성고정편(254)의 외표면이 개별 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그 결과 인양플러그(250)와 개별 파이프(10)가 서로 고착 및 연결될 수 있다.Whereby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fixing piece 25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dividual pipe 10 so that the lifting plug 250 and the individual pipe 10 can be fix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인클램프(450)는 개별 파이프(10)의 외경을 감쌀 수 있는 반원 튜브 형상의 상부(451)와, 상기 상부(451)의 양측에 마련된 플랜지에 대응하여 겹쳐지는 플랜지를 갖는 반원 튜브 형상의 하부(452)와, 상기 상부(451) 및 하부(452)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클램프볼트(453)와, 상부(451) 및 하부(452)의 플랜지의 측면에 설치된 체인연결부(454)와, 체인연결부(454)의 끝단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고리부(455, 457)와, 일측 고리부(455)에 연결된 체인(456)과, 체인(456)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측 고리부(457)에 취부 될 수 있는 샤클(45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인(456)은 가이드라인(221)의 둘레를 느슨하게 감은 이후 다시 타측 고리부(457)까지 되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4 and 5, the chain clamp 450 includes a semicircular tube-shaped upper portion 451 which can cover the outer diameter of the individual pipe 10, A clamp bolt 453 coupled to the flange of the upper portion 451 and the lower portion 452 and a clamp bolt 453 coupled to the flange of the upper portion 451 and the lower portion 452, A pair of hooks 455 and 457 hinged to an end of the chain connecting portion 454 and a chain 456 connected to the one hook portion 455 and a chain 456 connected to the chain 455, And a shackle 458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ring portion 457. Here, the chain 456 may have a length enough to loosen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line 221 and then return to the other side ring 457 again.

체인클램프(450)의 사용 전에는 원활하게 개별 파이프(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클램프볼트(453)가 일부 풀어진 상태로서, 반원 튜브 형상의 하부(452)와 하부(452)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The clamp bolt 453 is partially loosened so that the clamp bolt 453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dividual pipe 10 before the use of the chain clamp 450. The lower half 452 and the lower half 452 of the half- .

ROV(400)는 양쪽 로봇팔 형태의 조작유닛(600)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 전 상태의 체인클램프(450)를 개별 파이프(10)에 끼운 후, 클램프볼트(453)를 완전히 조여서, 개별 파이프(10)의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한 반원 튜브 형상의 하부(452)와 하부(452)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그 결과 체인클램프(450)와 개별 파이프(10)가 서로 고착 및 연결될 수 있다.The ROV 400 is assembled by inserting the chain clamp 450 in the pre-use state into the individual pipe 10 by using the operation unit 600 in the form of both robot arms and tightly tightening the clamp bolt 453, 10 and the lower portion 452 of the semicircular tube shape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clamp 10 and the lower pipe 452 so that the chain clamp 450 and the individual pipes 10 can be fix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단계(S10)는 ROV(400)에 의해 폐 파이프라인(1)을 단위별 개별 파이프(10)로 분리할 수 있되, 이때, ROV(400)에 마련된 절단유닛(500)이 복수개의 파이프 절단 위치(P1, P2)에 대응하게 이동하면서, 폐 파이프라인(1)를 절단하고, 그 결과 개별 파이프(10)로 분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in a first step S10, the waste pipeline 1 can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pipes 10 by the ROV 400, The cutting unit 500 is mov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ipe cutting positions P1 and P2 so that the waste pipeline 1 can be cut and separated into individual pipes 10 as a result.

ROV(400)는 절단유닛(500)용 매니퓰레이터의 동작 제어(예: 각도 제어)를 수행하고, 그 결과, 절단유닛(500)을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 절단 위치(P1, P2)에 도달시킨다.The ROV 400 performs the operation control (e.g., angle control) of the manipulator for the cutting unit 500 and as a result the cutting unit 500 is moved to the pipe cutting positions P1 and P2 of the closed pipeline 1 .

ROV(400)의 매니퓰레이터는 수중작업용 플라즈마 절단기 또는 와이어 톱(saw) 등의 파이프 절단기인 절단유닛(500)가 요구하는 자세에 대응하게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개별 파이프(10)가 절단 및 분리될 수 있게 한다.The manipulator of the ROV 400 performs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required by the cutting unit 500, which is a pipe cutter such as a plasma cutter or a wire saw for underwater work, (10) can be cut and separated.

예컨대, 절단유닛(500)이 플라즈마 절단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ROV(400)의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절단유닛(500)에서 절단용 플라즈마 열이 폐 파이프라인(1)의 일측의 파이프 절단 위치(P1) 쪽으로 분사되는 과정과, 절단유닛(500)의 플라즈마 열 분사 정지 상태에서 ROV(400)가 파이프 절단 위치(P1, P2) 사이의 거리만큼 이동 후 정지하는 과정과, 폐 파이프라인(1)의 타측의 파이프 절단 위치(P2) 쪽으로 절단용 플라즈마 열을 재분사하는 과정에 의해서, 결국 개별 파이프(10)가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a case where the cutting unit 500 is a plasma cutter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In the cutting unit 500 moved by the manipulator of the ROV 400, the plasma heat for cutting is applied to one pipe A process in which the ROV 400 is mov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pipe cutting positions P1 and P2 and stops after the plasma thermal spraying of the cutting unit 500 is stopped; The individual pipe 10 can eventually be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waste pipeline 1 by a process of re-injecting the cutting plasma heat toward the pipe cutting position P2 on the other side of the pipe 1.

도 6은 도 1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step of FIG.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단계(S20)는 선박(100)에서 가이드라인(221) 및 고정블록(222)을 해저면 쪽으로 투입하여 개별 파이프(10)의 주변의 해저면과 상기 선박(100) 사이에 가이드라인(221)을 설치하는 과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the second step S20 is to insert the guide line 221 and the fixed block 222 from the ship 100 into the sea floor, And a guide line 22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hips 100.

특히, 제 2 단계(S20)에서는,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에 마련된 별도의 크레인케이블 및 리프팅장치(213)를 이용하여 고정블록(222)를 선박(100) 밖의 해수면(S)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econd step S20, the fixing block 222 is mounted on the sea surface S (FIG. 2) outside the ship 100 by using a separate crane cable and a lifting device 213 provided on the crane portion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

이후, 인양장치(200)의 블록윈치부(220)가 가이드라인(221)을 풀어서, 그 결과 상기 가이드라인(221) 및 상기 고정블록(222)을 상기 개별 파이프(10)의 주변의 해저면 쪽으로 하강시킨다.The block winch part 220 of the lifting device 200 releases the guide line 221 so that the guide line 221 and the fixed block 222 are moved to the underside of the periphery of the individual pipe 10 .

이렇게 하강된 고정블록(222)은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의 해저면에 안착되고, 이때 고정블록(222)에 연결된 가이드라인(221)은 느슨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lowered fixed block 222 is seated on the undersurface of the waste pipeline site B, and the guide line 221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222 may be in a loose state at this time.

인양장치(200)의 제 1 윈치부(220)는 가이드라인(221)의 장력을 모니터링 하는 하중 감지 센싱 장치(미 도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윈치부(220)는 상기 느슨한 상태의 가이드라인(221)을 팽팽하게 하기 유지하도록, 하중 감지 센싱 장치에서 지시하는 량만큼 윈치부(220)의 제어기가 가이드라인(221)을 감아서 가이드라인(221)에 장력을 인가시키고, 이후 윈치부(220)의 드럼 스토퍼(미 도시)를 작동시켜서 가이드라인(221)용 드럼의 정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결과, 상기 가이드라인(221)이 팽팽하게 직선 상태가 될 수 있다.The first winch part 220 of the lifting device 200 may have a load sensing sensing device (not shown) for monitoring the tension of the guide line 221. The controller of the winch unit 220 winds the guide line 221 by an amount instructed by the load sensing apparatus so that the first winch unit 220 keeps the guide line 221 in a loose state. The tension of the guide line 221 is maintained and the drum stopper (not shown) of the winch unit 220 is operated to maintain the stop state of the drum for the guide line 221, Can be straightened linearly.

또한, ROV(400)는 인양플러그(250)를 개별 파이프(10)의 끝단에 연결시킬 수 있는 작업 공간(M)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양플러그(250)의 길이만큼 개별 파이프(10)의 끝단 부위를 더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M) 확보를 위한 다른 방법의 하나로서, ROV(400)는 조작유닛(600)으로 개별 파이프(10)의 끝단 부위를 잡은 상태에서, 개별 파이프(10)를 밀어 내어 폐 파이프라인(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비틀어진 각도를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추진력을 ROV(400)에서 발생시키고, 그 결과, 폐 파이프라인(1)에 대하여 개별 파이프(10)가 비틀어진 위치가 되게 하여서, 폐 파이프라인(1)의 절단면과 개별 파이프(10)의 끝단 사이에 상기 작업 공간(M)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The ROV 400 also has an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by the length of the lifting plug 250 in order to secure a work space M that can connect the lifting plug 250 to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The site can be further cut. As another method for securing the work space M, the ROV 400 pushes the individual pipe 10 while holding the end portion of the individual pipe 10 with the operation unit 600, So as to generate an impelling force in the ROV 400 sufficient to generate an angle twist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pipe 1 so that the individual pipe 10 is twisted relative to the waste pipeline 1 So that the work space M can be secured between the cut surface of the waste pipeline 1 and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

도 7은 도 1의 제 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step of FIG.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3 단계(S30)는 ROV(400)에 의해 개별 파이프(10)에 체인클램프(450, 450a)를 설치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체인클램프(450, 450a)는 개별 파이프(10)의 일측 끝단부와 타측 끝단부 등과 같이 2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the third step S30 may be a step of installing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on the individual pipes 10 by the ROV 400. Here,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may be installed at two locations, such a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respectively.

개별 파이프(10)가 놓인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의 해저면에는 진흙 등으로 인하여, 개별 파이프(10)와 해저면의 사이에는 체인클램프(450, 450a)가 삽입될 수 있는 공극이 존재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 pipeline site B on which the individual pipes 10 are placed may have voids in which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ndividual pipes 10 and the bottom surface due to mud etc. have.

예컨대, 체인클램프(450, 450a)들 중 좌측의 체인클램프(45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ROV(400)는 양쪽 로봇팔 형태의 조작유닛(600)을 이용하여 체인클램프(450)를 잡고, 개별 파이프(10) 쪽으로 체인클램프(450)를 이동시킨다. 이때, 클램프볼트(453)(도 4 참조)가 느슨하게 조여진 상태이므로, 체인클램프(450)의 삽입 구멍(C)이 개별 파이프(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체인클램프(450)를 개별 파이프(10)에 끼울 수 있고, 또한 클램프볼트(453)를 조작유닛(600)으로 완전히 조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in clamp 450 on the left side of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is used as a reference, the ROV 400 grasps the chain clamp 450 by using the operation units 600 in the form of robot arms, And moves the chain clamp 450 toward the individual pipe 10 side. At this time, since the clamp bolt 453 (see Fig. 4) is loosely tightened, the insertion hole C of the chain clamp 450 can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dividual pipe 10, 450 can be inserted into the individual pipes 10, and the process of completely tightening the clamp bolt 453 with the operation unit 600 can be repeated.

이에 따라, 개별 파이프(10)의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한 반원 튜브 형상의 하부(452)와 하부(452)를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그 결과 체인클램프(450)와 개별 파이프(10)가 서로 고착 및 연결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mi-circular tubular lower portion 452 and the lower portion 452 located above and below the individual pipe 1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hain clamp 450 and the individual pipe 10 are fix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 3 단계(S30)와 하기의 제 4 단계(S40)의 사이에는 인양장치(200)가 크레인부(210)의 인양케이블(211)을 하강시켜서 인양플러그(250)를 폐 파이프라인(1)의 절단면과 개별 파이프(10)의 끝단 사이의 작업 공간(M) 쪽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Between the third step S30 and the following fourth step S40, the lifting device 200 descends the lifting cable 211 of the crane section 210 to lift the lifting plug 250 from the waste pipeline 210. [ (M) between the cut surface of the pipe (1) and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도 8은 도 1의 제 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urth step of FIG. 1; FIG.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4 단계(S40)는 ROV(400)에 의해 상기 개별 파이프(10)에 상기 인양플러그(250)를 연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8, the fourth step S40 may be a step of connecting the lifting plug 250 to the individual pipe 10 by the ROV 400.

즉, ROV(400)는 조작유닛(600)으로 상기 하강된 인양플러그(250)를 잡고 개별 파이프(10)의 끝단의 구멍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양플러그(25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도 인양케이블(211)을 느슨하게 풀어줄 수 있다.That is, the ROV 400 holds the lowered lifting plug 250 by the operation unit 600 and moves toward the hole of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At this time, the crane portion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can loosely release the lifting cable 211 so that the lifting plug 250 can freely move.

ROV(400)는 그의 매니플레이터 및 조작유닛(600)에서 진행되는 삽입 동작에 대응하게 인양플러그(250)를 개별 파이프(10)의 끝단의 구멍에 삽입한다. 여기서, 삽입전 상태의 인양플러그(250)는 앞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된 상태일 수 있다. 조작유닛(600)에서 진행되는 삽입 동작이란, 조작유닛(600)이 인양플러그(250)를 잡고 이동하면서 개별 파이프(10)의 끝단의 구멍 중심에 인양플러그(250)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구멍 쪽으로 인양플러그(250)를 삽입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The ROV 400 inserts the lifting plug 250 into the hole of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operation proceeding in the manipulator and operation unit 600 thereof. Here, the lifting plug 250 before the insertion may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operation proceeding in the operation unit 600 is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unit 600 moves while holding the lifting plug 250 to align the center of the lifting plug 250 with the center of the hole at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May be a series of operations for inserting the lifting plug 250 into the opening 250. [

인양플러그(250)의 탄성고정편(254)이 개별 파이프(10)의 끝단의 구멍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는 인양케이블(211)의 제 2 케이블(211b)만을 더 잡아 당긴다.The crane portion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is pivo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lifting cable 211 when the resilient fixing piece 254 of the lifting plug 250 is fully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10 Pull only the cable 211b.

이런 경우,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인양플러그(250)와 개별 파이프(10)가 서로 고정 또는 고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3, the lifting plug 250 and the individual pipe 10 can be in a fixed or fixed s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9는 도 1의 제 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fth step of FIG. 1; FIG.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5 단계(S50)는 인양장치(200)에 의해 상기 인양플러그(250) 및 인양케이블(211)을 상승시켜서 개별 파이프(10)를 해저면에 수직하게 기립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1 and 9, in a fifth step S50, the lifting plug 250 and the lifting cable 211 are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200 so that the individual pipe 10 stands upright on the underside .

이때,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은 인양케이블(211)의 제 1 케이블(211a)도 잡아당겨 기립시킨 상태이고, 이때 적어도 제 2 케이블(211b)의 장력은 제 1 케이블(211a)에 비해 크게 작용되게 함으로써, 인양플러그(250)와 개별 파이프(10)가 서로 고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ane unit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also pulls up the first cable 211a of the lifting cable 211. At this time, at least the tension of the second cable 211b is lower than the tension of the first cable 211a So that the state where the lifting plug 250 and the individual pipe 10 are fixed to each other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개별 파이프(10)가 가이드라인(221)에 근접되게 한다.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rane portion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the individual pipe 10 is brought close to the guide line 221.

도 10은 도 1의 제 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ixth step of FIG.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6 단계(S60)는, ROV(400)에 의해 상기 체인클램프(450)의 체인(456)을 상기 가이드라인(221)에 연결하는 과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10, the sixth step S60 may be a process of connecting the chain 456 of the chain clamp 450 to the guide line 221 by the ROV 400.

즉, 상기 제 6 단계(S60)에서는, 인양 도중 상기 개별 파이프(10)의 기립 상태가 상기 가이드라인(22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ROV(400)가 상기 체인클램프(450, 450a)의 체인(456, 456a)의 끝단에 마련된 해당 샤클(458)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ROV(400)가 상기 가이드라인(22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ROV(400)가 해당 샤클(458)을 상기 체인클램프(450, 450a)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체인(456, 456a)이 각각 고리 형태로 상기 가이드라인(221)에 연결되는 과정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sixth step S60, when the ROV 400 is installed on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individual pipe 10 can be guided by the guide line 221 during lifting, The ROV 400 mov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line 221 while the shackle 458 provided at the end of the chains 456 and 456a of the shackle 458 may be connected to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and the chains 456 and 456a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lines 221 in the form of a ring.

부연 설명하면, ROV(400)는 조작유닛(600)으로 체인(456, 456a)의 해당 샤클(458)을 잡은 상태에서, 체인(456, 456a)이 각각 가이드라인(221)의 주변을 감을 수 있도록 이동한다. 이후, 샤클(458)이 체인클램프(450, 450a)의 타측 고리부(457)(도 4 참조)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조작유닛(600)의 체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OV 400 can wind the chain 456 and 456a around the guide line 221, respectively, while holding the corresponding shackle 458 of the chain 456 and 456a to the operation unit 600 . Thereaft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600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shackle 458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ring 457 (see Fig. 4) of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respectively.

도 11은 도 1의 제 7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FIG. 1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venth step of FIG. 1,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7 단계(S70)는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상기 인양케이블(211), 상기 인양플러그(250) 및 기립된 상기 개별 파이프(10)를 선박(100) 쪽으로 상승시켜 상기 개별 파이프(100)를 회수하는 과정일 수 있다.1 and 11, in a seventh step S70, the lifting cable 211, the lifting plug 250, and the standing individual pipe 10 are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200 to the ship 100 And then collecting the individual pipes 100.

이때, 선박(100) 쪽으로 상승된 개별 파이프(100)에는 리프팅장치(213)의 그립퍼(214)가 개별 파이프(100) 쪽으로 더 연결되어 있고, 그 그립퍼(214)는 개별 파이프(100)의 자세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The gripper 214 of the lifting device 213 is further connected to the individual pipe 100 and the gripper 214 is connected to the posture of the individual pipe 100 Can be used for control.

또한, 인양장치(200)의 크레인부(210), 및 선박(100)의 파이프 회수장(110) 근로자들의 협업에 의해서, 체인클램프(450, 450a)의 체인(456, 456a)가 개별 파이프(10)로부터 먼저 해체될 수 있고, 개별 파이프(10)가 개별 파이프 회수장(110)에 적재된 후, 체인클램프(450, 450a) 및 인양플러그(250)도 개별 파이프(10)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The chains 456 and 456a of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are connected to the individual pipes (not shown) by the cooperation of the workers of the crane unit 210 of the lifting device 200 and the workers of the pipe recovery station 110 of the ship 100 The chain clamps 450 and 450a and the lifting plug 250 can also be disassembled from the individual pipes 10 after the individual pipes 10 have been loaded into the individual pipe recovery lanes 110 have.

이러한 제 1 내지 제 7 단계(S10 ~ S70)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고정블록(222)를 다른 개별 파이프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으로써,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다른 개별 파이프들도 모두 선박(100)의 파이프 회수장(110)쪽으로 모두 회수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first to seventh steps S10 to S70, moving the fixed block 222 to another individual pipe further includes moving all the other individual pipes from the closed pipe line 1 to the ship 100 to the pipe recovery station 110 side.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 폐 파이프라인 10 : 개별 파이프
100 : 선박 200 : 인양장치
211 : 인양케이블 221 : 가이드케이블
222 : 고정블록 250 : 인양플러그
300 : 잔존유 회수유닛 400 : ROV
450, 450a : 체인클램프 500 : 절단유닛
1: waste pipeline 10: individual pipe
100: Ship 200: Lifting device
211: lifting cable 221: guide cable
222: fixed block 250: lifting plug
300: residual oil recovery unit 400: ROV
450, 450a: chain clamp 500: cutting unit

Claims (5)

인양장치를 갖는 선박에서 잔존유 회수유닛 및 ROV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개별 파이프로 분리하는 제 1 단계;
상기 선박에서 가이드라인 및 고정블록을 해저면 쪽으로 투입하여 개별 파이프의 주변의 해저면과 상기 선박 사이에 가이드라인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ROV에 의해 개별 파이프에 체인클램프를 설치하는 제 3 단계;
상기 ROV에 의해 상기 개별 파이프에 인양플러그를 연결하는 제 4 단계;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플러그 및 인양케이블을 상승시켜서 개별 파이프를 기립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ROV에 의해 상기 체인클램프의 체인을 상기 가이드라인에 연결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케이블, 상기 인양플러그 및 기립된 상기 개별 파이프를 선박 쪽으로 상승시켜 상기 개별 파이프를 회수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A first step of putting the remaining oil recovery unit and the ROV into water in a ship having a lifting device and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by the ROV;
A second step of inserting a guide line and a fixed block from the ship into a sea bed side to install a guide line between the sea floor around the individual pipe and the ship;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chain clamp on an individual pipe by the ROV;
Connecting a lifting plug to the individual pipe by the ROV;
A fif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plug and the lifting cable by the lifting device to stand the individual pipes;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hain of the chain clamp to the guide line by the ROV; And
And a seven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plug, and the standing individual pipes to the ship by the lifting device to recover the individual pip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잔존유 회수유닛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을 통해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step, the residual oil recovery unit includes a step of piercing a hole in a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and inserting a suction pipe through a perforated hole to suck residual oil in the waste pipeline A method of recovering a vertical lift lifting pipe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인양장치의 블록윈치부가 상기 가이드라인 및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개별 파이프의 주변의 해저면 쪽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 1 윈치부가 상기 가이드라인에 장력을 인가시킴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이 직선 상태가 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step, the block winch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descends the guide line and the fixed block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individual pipe, and as the first winch portion applies the tension to the guide line, A method of recovering a vertical lifting type waste pipeli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bringing the guideline into a straight lin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인양장치가 크레인부의 상기 인양케이블을 하강시켜서 상기 인양플러그를 폐 파이프라인의 절단면과 개별 파이프의 끝단 사이의 작업 공간 쪽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the lifting device further lowering the lifting cable of the crane part to lower the lifting plug toward the working space between the cutting face of the closed pipeline and the end of the individual pipe A method of recovering a vertical lift lifting pipe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는, 인양 도중 상기 개별 파이프의 기립 상태가 상기 가이드라인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ROV가 상기 체인클램프의 체인의 끝단에 마련된 샤클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ROV가 상기 가이드라인의 둘레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ROV가 상기 샤클을 상기 체인클램프에 연결하고, 상기 체인이 고리 형태로 상기 가이드라인에 연결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수직 인양 방식의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ixth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ROV catches the shack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chain of the chain clamp so that the standing state of the individual pipe during the lifting can be guided by the guide line, Wherein the ROV connects the shackle to the chain clamp after the ROV has moved along the perimeter and the ROV connects the chain to the guide line in the form of a loop.
KR1020130055321A 2013-05-15 2013-05-15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KR101498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21A KR101498217B1 (en) 2013-05-15 2013-05-15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21A KR101498217B1 (en) 2013-05-15 2013-05-15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335A true KR20140135335A (en) 2014-11-26
KR101498217B1 KR101498217B1 (en) 2015-03-05

Family

ID=5245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321A KR101498217B1 (en) 2013-05-15 2013-05-15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3444A1 (en) * 2021-10-08 2023-04-12 Enersea B.V. Vibration device, system, arrangement and method for offshore de-burial of a tubula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677A (en) 2022-08-17 2024-02-2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Apparatus for salvage of underwat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86B1 (en) * 2007-03-23 2008-08-19 한국해양연구원 Launch, recovery and procedure for underwater equipment
KR20110072562A (en) * 2009-12-23 2011-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hip with equipment laying for subsea cable
JP5890404B2 (en) * 2010-06-18 2016-03-22 ノーチラス・ミネラルズ・パシフイツク・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ツド Seabed mining system
KR101301713B1 (en) * 2011-10-19 2013-08-30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Removal equipment for ship's remained oil and holedrilling machine for stopping cr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3444A1 (en) * 2021-10-08 2023-04-12 Enersea B.V. Vibration device, system, arrangement and method for offshore de-burial of a tubular structure
NL2029363B1 (en) * 2021-10-08 2023-05-04 Enersea B V Vibration device, system, arrangement and method for offshore de-burial of a tubula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217B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8447B2 (en) Moving tools on offshore structures with a walking carriage
EP1708918B1 (en) Method for lowering an object to an underwater installation site using an rov
EP2459918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ea installation of buoyancy modules
AU698722B2 (en) Connection system for subsea pipelines
US9028173B2 (en) Sub-sea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US86364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extended length of a subsea pipeline
CN109098692B (en) Method for installing underwater suspension cluster manifold
US20120263540A1 (en) Subsea cable installation unit
KR101498217B1 (en)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EP4130424A1 (en) Handling loads in subsea operations
NO347742B1 (en) Offshore flexible line installation and removal
WO2016036563A1 (en) Subsea system delivery to seabed
US20160059944A1 (en) Subsea system for seabed operations
KR101475404B1 (en)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KR101465734B1 (en)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DK2459918T3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water attachment of buoyancy mod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