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34B1 -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34B1
KR101465734B1 KR20130062875A KR20130062875A KR101465734B1 KR 101465734 B1 KR101465734 B1 KR 101465734B1 KR 20130062875 A KR20130062875 A KR 20130062875A KR 20130062875 A KR20130062875 A KR 20130062875A KR 101465734 B1 KR101465734 B1 KR 10146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v
connector
pipe
lift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상익
구정본
박주신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uncover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llecting a waste pipeline by launching connector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comprise: a first step of putting a first ROV and a second ROV of a ship in water, and moving the first ROV and the second ROV toward a waste pipeline site; a second step of collecting the remaining oil of a waste pipeline using the first ROV; a third step of divid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unit pipes using the second ROV; a fourth step of installing connectors in the individual pipes by launching the connectors toward the individual pipes using a launching unit of the second ROV; a fifth step of descending pulling cables, pulling frames, trolleys, and collecting cables into the water using pulling devices of the ship;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ollecting cables to the connectors; a seventh step of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collecting cables by moving the trolleys in the pulling frames; and an eighth step of collecting the individual pipes by ascending the pulling cables, the pulling frames, the trolleys, the collecting cables, the connectors, and the individual pipes using the pulling devices.

Description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0001]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0002]

본 발명은 심해에 방치된 폐 파이프라인을 해수 오염 없이 회수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using connector firing to recover waste water pipeline left in deep water without seawater contamination.

해상에서 시추한 원유나 가스등의 유체를 원격지에 설치된 저장탱크 또는 처리시설까지 보다 편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이 설치된다.Pipelines are installed on the seafloor to facilitate transport of fluid, such as crude oil or gas drilled in the sea, to storage tanks or treatment facilities installed at remote locations.

이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해양의 플랜트 등에서 생산된 원유나 가스를 해상 혹은 육상 저장공간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uch pipelines serve to transport crude oil or gas produced at offshore plants to marine or land storage areas.

한편, 상기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유정에서의 원유 생산이 끝나면 상기 파이프라인의 운용 또한 중지되고, 폐 파이프라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ion of crude oil in the oil well is ended, the operation of the pipeline is also stopped and becomes a waste pipeline.

이 때, 운용이 중지된 폐 파이프라인은 회수하는 것이 원칙이나, 법규 미비 및 회수작업의 어려움과 비용발생을 이유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the waste pipeline whose operation has been suspended is in principle withdrawn, but it is left on the grounds of the difficulty of regulatory inadequacy and recovery work and cost incurrenc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용이 중지된 폐 파이프라인은 그 내부에 운송하던 유류 등이 잔존된 상태인데, 장기간 방치에 의해 폐 파이프라인이 과도하게 부식되어 손상되는 경우 및 해상에서 작업 중 수중으로 낙하하는 중량물 또는 어업활동시 해저면을 긁고 이동하는 어구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에 잔존된 유류, 즉 잔존유가 누출되어 환경 재앙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However, the waste pipeline in which the operation is suspended as described above is in a state in which the oil or the like transported therein remains, but when the waste pipeline is excessively corroded and damaged by long-term storage, In the case of heavy objects or fishing activities, if the sea floor is damaged by rubbing and moving on a fishing ground, there is a risk of oil leakage, that is, oil remaining in the inside of the waste pipeline, leaking out and causing an environmental disaster.

또한, 기존에 설치된 파이프라인이 방치된 지역에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기존에 설치된 폐 파이프라인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우회하도록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불필요하게 새로이 설치할 파이프라인의 총 길이의 증가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new pipeline is to be installed in an area in which the existing pipeline is installed, interference with existing installed pipeline may occur, and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ipeline so as to bypass i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us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xels.

또한, 기존에 해저에 놓여 있는 파이프라인은 수백미터에서 수킬로미터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 형태로 인양하더라도, 개별 파이프의 하중 밸런스를 정확하게 맞추면서 인양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인양 중인 개별 파이프가 기울어져서 인양케이블들이 서로 엉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pipelines located at the sea floor have a length of several hundred meters to several kilometers, it is very difficult to reliably lift and balance the load of individual pipes even if they are partially cut and lifted into individual pip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roblems such as tilting of the pipes and tangling of the lifting cables are likely to occur.

또한, 종래 기술에는 개별 파이프를 회수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인양력 및 수중 마찰력 등에 의한 인양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고착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ns for connecting the individual pipes to the recovery cable must maintain a fixed state so as to withstand a lifting load due to a lifting force and an underwater frictional force.

미국등록특허 US 6,292,431US Patent 6,292,431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은 해저에 위치된 폐 파이프라인에서 잔존유를 안전하게 회수하고, 폐 파이프라인에서 개별 파이프로 절단 및 분리하고, 커넥터를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 쪽으로 발사함에 따라, 개별 파이프의 인양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커넥터를 개별 파이프에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address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residual oil safely from a waste pipeline located at the seabed and cutting and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It is a problem to provide a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using connector firing capable of mounting a connector on an individual pipe so as to be robust enough to withstand the lifting load of the individual pipe.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형태에 따르면, 선박의 제 1 ROV 및 제 2 ROV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제 1 ROV 및 제 2 ROV를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잔존유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단위별 개별 파이프로 분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ROV의 발사유닛이 상기 개별 파이프를 향하여 커넥터를 발사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개별 파이프에 설치되는 제 4 단계; 상기 선박의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케이블, 인양프레임, 트롤리 및 회수케이블을 수중으로 하강하는 제 5 단계; 상기 회수케이블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6 단계;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상기 트롤리를 이동시켜 상기 회수케이블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케이블, 상기 인양프레임, 상기 트롤리, 상기 회수케이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개별 파이프를 상승시켜 상기 개별 파이프를 회수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first ROV and a second ROV of a ship,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a first ROV and a second ROV of the ship into water, step; A second step of recovering residual oil of the waste pipeline by the first ROV; A third step of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by the second ROV; A fourth step in which the connector is installed in an individual pipe as the launching unit of the second ROV fires the connector toward the individual pipe; A fifth step of lower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frame, the trolley and the recovering cable into water by the lifting device of the ship;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ollection cable and the connector; A seventh step of moving the trolley in the lifting frame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collection cable; And an eigh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frame, the trolley, the recovery cable, the connector and the individual pipes by the lifting device to recover the individual pipes. A method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ROV에 마련된 천공흡입유닛의 드릴모듈로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과, 천공된 상기 구멍에 상기 천공흡입유닛의 흡입모듈의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ep may include the steps of drilling a hole in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with a drill module of a perforation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ROV, And inserting the remaining oil in the waste pipeline by inserting the waste water into the waste pipeline.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 흡입된 상기 잔존유는 상기 흡입모듈의 ROV 배출라인을 통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된 ROV 지원수단 및 펌프를 경유하여 저장탱크 쪽으로 회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oil sucked in the second step may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via the ROV support means and the pump provided on the ship through the ROV discharge line of the suction module.

또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ROV에 마련된 절단유닛으로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tep may include cutting the waste pipeline with a cutt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V to separate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또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ROV에 마련된 발사유닛으로 커넥터를 상기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 쪽으로 발사하여, 커넥터가 파이프벽에 박히는 과정과, 상기 박히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파이프벽에 고정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step may include a step of firing the connector to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by the launch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V to cause the connector to be stuck to the pipe wall, And securing the connector to the pipe wall by a securing part.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수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해 링형상을 갖는 러그부; 상기 러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발사유닛에서 발생된 폭발력을 막아서 추진력을 확보하는 판막부; 상기 러그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날카로운 끝단을 갖는 커넥터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몸체부를 상기 구멍에 고착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터몸체부에 마련된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lug portion having a ring shape for connection with the return cable; A valve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ug part to secure explosive force generated by the launching unit to secure propulsion; A connector bod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ug part and having a sharp end so as to penetrate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And a first fixing part or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on the connector body part to fix the connector body part to the hole.

또한, 상기 제 1 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몸체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visible portion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connector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제 2 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리세스(recess)에 힌지 결합된 래치; 상기 리세스의 바깥쪽으로 상기 래치가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상기 래치가 상기 리세스 안쪽에 안착되도록 록킹시키거나, 상기 래치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돌출되도록 릴리스시키는 기능을 위해서, 상기 래치 주변으로 상기 커넥터몸체부에 설치된 트리거(trigger)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anchoring portion may include a latch hinged to a recess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An elastic bod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so that the latch protrudes outward of the recess; And a trigger provided on the connector body around the latch for locking the latch to be seated inside the recess or releasing the latch to protrude by the elastic body.

또한, 상기 제 7 단계에서는, 하중제어부가, 상기 회수케이블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만큼 상기 인양장치의 윈치의 드럼을 회전시켜서, 상기 드럼에 감겨진 상기 인양케이블과, 상기 인양케이블을 기초로 상기 인양프레임의 트롤리에 연결된 상기 회수케이블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과정; 상기 장력에 따라 상기 트롤리의 하중감지센서에 입력되는 하중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양프레임의 하중 분포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하중 분포가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균등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트롤리를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venth step, in order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recovery cable, the load control unit rotates the drum of the winch of the lifting device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controls the lifting cable wound around the drum, Generating tension on the recovery cable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lifting frame on the basis of a cable; Determining a load distribution of the lifting frame by using a load measurement value input to the load sensor of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tension; And moving or stopping the trolley in the lifting frame such that the load distribution is uniformly generated in the lifting frame.

또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인양장치가 상기 개별 파이프를 상기 선박의 파이프 회수장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인양장치의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선박에 마련된 크레인이 상기 높이까지 도달한 상기 개별 파이프를 잡아서 상기 파이프 회수장쪽으로 옮겨 적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ighth step, the lifting device rotates the drum of the lifting device so as to raise the individual pipe to the height of the pipe recovery length of the ship, and the crane provided on the ship lifts the individual And a step of holding the pipe and transferring it to the pipe recovery point.

본 출원의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using connector fir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심해 파이프라인 회수 선박을 이용하여 폐 파이프라인을 회수하기 전에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잔존유를 안전하게 회수함으로써, 이후 단계에서 폐 파이프라인을 미리 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를 만들 때, 잔존유의 수중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residual oil remaining in the interior of the waste pipeline can be safely recovered before the waste pipeline is recovered by using the deep waste pipeline recovery ship. In the subsequent stage, the waste pipeline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make an individual pipe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residual oil in advance.

둘째, 제 2 ROV의 발사유닛에서 발사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되, 커넥터가 회수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러그부와, 러그부의 일측에 형성된 판막부와, 러그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커넥터몸체부와, 커넥터몸체부를 상기 구멍에 고착시키기 위한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를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커넥터가 발사유닛에 의해 발사된 후 개별 파이프에 박혀서 연결됨에 따라, 개별 파이프의 인양 하중 및 수중의 유동 마찰력(drag force)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커넥터와 개별 파이프간 고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ROV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which can be fired by the launching unit.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lug part for connection with the recovery cable, a valv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lug part, and a pipe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ug part, A connector body portion capable of penetrating the hole and a first or secon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nector body portion to the hole, the connector is fired by the firing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individual pipe so as to withstand the lifting force of the individual pipe and the drag force in the water.

셋째, 제 2 ROV의 발사유닛은 커넥터를 발사하는 방식으로 개별 파이프에 설치함에 따라, 개별 파이프와 커넥터간 연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Third, since the second ROV launch unit is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ipe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or is fired, the connection time between the individual pipe and the connector can be shortened.

넷째, 개별 파이프의 커넥터의 회수케이블과 상기 선박의 인양장치의 인양케이블의 사이에 개별 파이프의 하중 밸런싱을 위한 인양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해저로부터 심해 파이프라인 회수 선박까지 인양케이블의 꼬임 없이 안전하게 개별 파이프를 인양할 수 있다.Fourth, by connecting the lifting frame for load balancing of the individual pipes between the recovery cable of the connector of the individual pipe and the lifting cable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ship, Can be lifted.

다섯째, 인양프레임에는 하중 밸런싱을 위한 트롤리 및 하중감지센서가 더 마련되어 있어서, 하중감지센서의 하중측정값에 대응하게 트롤리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개별 파이프의 인양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ifth, the lifting frame further includes a trolley and a load sensing sensor for balancing the load, so that the stability of lifting of the individual pipe can be maximiz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olley in accordance with the load measurement value of the load sensing sensor.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2 단계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 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제 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커넥터 중 제 1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 1 커넥터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커넥터 중 제 2 커넥터의 일부분을 절단한 정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제 2 커넥터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제 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의 제 6 단계 및 제 7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5는 도 1의 제 8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showing a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using connector f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tep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step of FIG. 1,
Figs. 4 and 5 are detailed 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step shown in Fig. 3,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step of FIG. 1,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ourth step of FIG. 1,
8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connector of Fig. 7,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8,
Fig. 10 is a front view of a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7 cut away,
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second connector,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fth step of FIG. 1,
FIG. 1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ixth and seventh steps of FIG. 1,
1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eighth step of FIG.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using connector f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은 선박의 제 1, 제 2 ROV(Remotely-Operated Vehicle)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제 1, 제 2 ROV를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단계(S10)를 비롯하여, 제 1 단계(S1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는 제 2 단계(S20) 내지 제 8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recovering waste pipelines using connector f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first and second ROVs (Remotely-Operated Vehicles) of a ship into water, A second step (S20) to an eighth step (S80) that may be performed after the first step (S10), including a first step (S10) of moving the ROV toward the waste pipeline site.

도 2는 도 1의 제 1 단계(S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tep S10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계(S10)는 심해의 폐 파이프라인(1)이 존재하는 작업 지역, 즉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 쪽으로 제 1 ROV(101), 제 2 ROV(110) 및 인양장치(120)가 구비된 선박(100)이 이동, 즉 항해한 후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B)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해수면(S)에 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irst step S10 is to move the first ROV 101, the second ROV 101, and the second ROV 101 toward the working area where the deep-water waste pipeline 1 exists, 110 and the ship 100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120 are moored to the sea surface S located at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waste pipeline site B after the movement or navigation.

선박(100)은 작업선 또는 폐 파이프 회수 심해 파이프라인 회수 선박(SPRV: Subsea Pipeline Retrieval Vessel)일 수 있다.The vessel 100 may be a subsea pipeline retrieval vessel (SPRV).

선박(100)이 해수면(S)에 계류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해상 작업 선박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기 계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Since the method of mooring the ship 100 to the sea surface S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used in a general marine vesse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oring method can be omitted here.

선박(100)은 그의 선체에 적어도 하나, 예컨대 제 1 ROV(101), 제 2 ROV(110) 및 인양장치(120)를 구비할 수 있고, 선박(100)의 상갑판에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된 개별 파이프(10)(도 6 참조)가 적재될 수 있는 파이프 회수장(130)을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The ship 100 may have at least one, for example, a first ROV 101, a second ROV 110 and a lifting device 120 in its hull, and the waste pipeline 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deck of the ship 100. [ And a separate pipe 10 (see FIG. 6) cut and separated from the pipe 100 can be loaded.

인양장치(120)는 파이프 회수장(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인양타워(121, 122)와, 각 인양타워(121, 122)에 설치되고 인양케이블(124)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드럼이 구비된 윈치(123) 또는 호이스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양타워(121, 122)에는 인양케이블의 경로에 대응하게 각종 도르래 또는 가이드 시브(guide sheave), 브레이크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20 includes at least one lifting towers 121 and 122 disposed at the front and at the rear of the pipe recovery field 130 and at least one lifting tower 122 installed at each lifting tower 121 and 122, A winch 123 with a drum that can be wound, or a hoisting device. Various towers, guide sheaves, brakes,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lifting towers 121 and 122 to correspond to the path of the lifting cable.

인양장치(120)의 인양케이블(124)의 끝단에는 인양프레임(200)이 매달려 있을 수 있다. A lifting frame (200) may be suspended at the end of the lifting cable (124) of the lifting device (120).

선박(100)은 인양장치(120)에 의해 인양된 개별 파이프(10)를 파이프 회수장(130)쪽으로 옮겨 적재하기 위한 크레인(140) 또는 트롤리 장치(예: 고하중물 수평 이동 장치)(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p 100 is connected to a crane 140 or a trolley device (for example, a high-load water horizontal moving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individual pipes 10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120 toward the pipe recovery field 130 City).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 파이프(10)가 크레인(140)에 의해 수평 이동 및 하강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통상의 트롤리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individual pipe 10 is moved horizontally and downward by the crane 140, but a normal trolley unit may be used.

또한, 선박(100)은 제 2 ROV(110)에 각종 공급원(예: 전원, 통신신호,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ROV 연결라인(119)과, 상기 각종 공급원을 제 1 ROV(101)에 공급하는 ROV 작동, 드릴 기능 및 잔존유 배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다수의 유체 이동 라인으로 구성된 ROV 배출라인(102)과, 해당 ROV 연결라인(119) 또는 ROV 배출라인(102)을 풀어주고 또는 감아주는 호이스트 형식의 ROV 지원수단(118, 1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ip 100 also includes an ROV connection line 119 for supplying various sources (e.g., power, communication signal, and hydraulic pressure) to the second ROV 110, An ROV discharge line 102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uid transfer lines to simultaneously perform an ROV operation, a drilling function, and a residual oil discharge function, And ROV support means 118, 103 of the hoist type.

특히, 제 1 ROV(101)용 ROV 지원수단(103)은 ROV 배출라인(102)을 감았다가 풀어주는 역할 담당하면서, 잔존유가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 흡입 및 회수될 수 있는 펌프(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104)의 흡입포트는 ROV 배출라인(102)과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고, 펌프(104)의 배출포트는 배관 설비를 통해서 저장탱크(105)에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ROV support means 103 for the first ROV 101 is provided with a pump 104, which can be sucked and recovered through the remaining oil price ROV discharge line 102 while serving to wind and loose the ROV discharge line 102, As shown in FIG. Here,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104 is connected to the ROV discharge line 102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104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05 through a piping facility.

저장탱크(105)는 파이프 회수장(130) 근처 또는 상갑판 등의 설치 구역에 위치한 잔존유 저장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각종 배관, 밸브, 유량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5 collectively refers to a remaining oil storage means located near the pipe recovery field 130 or an installation space such as an upper deck, and may include various pipes, valves, flow meters, and the like.

또한, 제 1, 제 2 ROV(101, 110)는 1대의 ROV(미 도시)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2대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Vs 101 and 1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one ROV (not shown), but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ROVs 101 and 110 will be described.

제 1 ROV(101)는 잔존유를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ROV 101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recovering residual oil.

제 2 ROV(110)는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개별 파이프(10)를 절단하고,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벽에 커넥터(300)를 발사하여 설치하거나, 곡선구멍을 형성한 후, 곡선구멍에 커넥터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ROV 110 cuts the individual pipe 10 from the waste pipeline 1 and fires the connector 300 to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or forms a curved hole,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connector to the hole.

예컨대, 제 1 ROV(101)는 잔존유 회수 기능을 실현하도록 천공흡입유닛(400)을 구비할 수 있고, 천공흡입유닛(400)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OV 101 may include a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to realize the residual oil recovery func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제 2 ROV(110)는 개별 파이프 절단, 커넥터(300) 발사 및 커넥터(300)와 회수케이블 연결 기능을 실현하도록, 유닛(500, 600, 700), 다수의 커넥터(300), 다수의 커넥터(300)를 저장하고 그 중 하나를 각각 또는 연속적으로 발사유닛(600) 쪽으로 이송 및 장전시키는 장전 장치(미 도시)를 갖는 커넥터카트리지(6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ROV 110 includes units 500, 600, 700, a plurality of connectors 300, a plurality of connectors (not shown), a plurality of connectors 300), and a loading device (not shown) for transferring and loading one of them to the launching unit 600, respectively or successively.

기본적으로, 제 1, 제 2 ROV(101, 110)는 부양 또는 위치 제어 장치가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로봇팔, 즉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매니퓰레이터의 엔드이팩터(end effector)에 해당하는 각각의 유닛(400, 500, 600, 700)을 포함할 수 있다.Basically, the first and second ROVs 101 and 110 correspond to a frame in which a levitation or position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robot arms installed in the frame, that is, a manipulator, and an end effector of the manipulator (400, 500, 600, 700), respectively.

즉, 유닛(400, 500, 600, 700)은 천공흡입유닛(400), 절단유닛(500), 발사유닛(600) 및 집게회전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units 400, 500, 600, and 700 may include a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a cutting unit 500, a firing unit 600, and a gripper rotating unit 700.

천공흡입유닛(400)은 드릴모듈과 흡입모듈로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뚫은 후,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 및 회수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take a role of sucking and recovering residual oil in the interior of the waste pipeline 1 after piercing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1 with the drill module and the suction module .

절단유닛(500)은 수중작업용 플라즈마 절단기 또는 절단과 용융이 동시에 수행되는 수중 작업용 장비(예: 레이저 절단기)이거나, 와이어 톱(saw)과 같은 파이프 절단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tting unit 500 may be an underwater working plasma cutter or an underwater work equipment (e.g., a laser cutter) in which cutting and melt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r a pipe cutter such as a wire saw.

발사유닛(600)은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벽 쪽으로 커넥터(300)을 발사하여, 커넥터(300)가 파이프벽에 박혀서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launching unit 600 may fire the connector 300 toward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to play the role of causing the connector 300 to be stuck to the pipe wall.

집게회전유닛(700)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되, 일측의 유닛이 회수케이블의 샤클을 잡아 커넥터(300)의 구멍과 샤클의 구멍을 일치시키고, 타측의 유닛이 샤클용 샤클핀을 잡은 상태에서 일치된 구멍에 샤클핀을 삽입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집게회전유닛(700)은 물체를 잡는 역할의 그립퍼(gripper)와, 그립퍼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립퍼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클핀은 심해용 샤클의 용이한 결착을 위해서, 샤클핀에 탄성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샤클핀을 샤클 구멍 등에 끼운 후 탄성단턱에 의해 끼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연결 수단일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gripper rotating units 700 may be provided so that one unit catches the shackle of the collecting cable so that the hole of the connector 300 and the hole of the shackle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unit holds the shackle pin for shackle And the shackle pin can be inserted into the aligned hole. To this end, the gripper unit 700 may include a gripper for gripping an object and a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gripper to adjust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gripper. Here, the shackle pin may be a general connecting means configured to have a resilient step formed on the shackle pin for easy fastening of the deep sea shackle, and to hold the shackle pin by the elastic step after inserting the shackle pin into the shackle hole or the like. have.

물론, 제 2 ROV(110)의 매니퓰레이터는 매니퓰레이터의 관절의 각도 또는 매니퓰레이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manipulator of the second ROV 110 may control the angle of the joint of the manipulator o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nipulator.

도 3은 도 1의 제 2 단계(S2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step S20 of FIG.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단계(S20)는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서 선박(100) 측의 ROV 지원수단(103)에 연결된 제 1 ROV(101)에 의해 폐 파이프라인(1)의 잔존유를 회수하는 단계일 수 있다.1 and 3, the second step S20 is performed by the first ROV 101 connected to the ROV support means 103 on the ship 100 side via the ROV discharge line 102, 1) may be recovered.

여기서, 제 2 단계(S20)는, 제 1 ROV(101)에 마련된 천공흡입유닛(400)의 드릴모듈로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과, 천공된 상기 구멍에 천공흡입유닛(400)의 흡입모듈의 흡입관을 삽입하여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tep S20 includes the steps of drilling a hole in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1 with the drill module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provided in the first ROV 101, And inserting a suction pipe of the suction module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to suck residual oil in the interior of the waste pipeline 1.

또한, 제 2 단계(S20)에서 흡입된 상기 잔존유는 흡입모듈의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서 상기 선박(100)에 마련된 ROV 지원수단(103) 및 펌프(104)를 경유하여 저장탱크(105) 쪽으로 회수될 수 있다.The remaining oil sucked in the second step S20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not shown) via the ROV support means 103 and the pump 104 provided in the ship 100 via the ROV discharge line 102 of the suction module 105). ≪ / RTI >

이러한 과정들은 도 4와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These processes can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2 단계(S20)의 상세 단면도로서, 유닛본체(410), 유닛본체(410)의 내부에 설치된 드릴모듈(420) 및 흡입모듈(430)을 표현하고 있다.4 and 5 are detailed 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step S20 shown in Fig. 3, in which the unit body 410, the drill module 420 installed in the unit body 410, and the suction module 430 are represented .

도 4를 참조하면, 유닛본체(410)는 박스형 프레임으로서 유닛본체(410)의 내부에 드릴제어기(411) 및 흡입제어기(4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unit body 410 includes a drill controller 411 and a suction controller 412 inside a unit body 410 as a box-shaped frame.

여기서, 드릴제어기(411)는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 각종 공급원(예: 전원, 통신신호, 유압)을 공급받아 드릴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드릴제어기(411)는 유닛본체(410)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작동모터(413, 414, 415, 416) 및 구멍위치감지센서(417)와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drill controller 411 may perform a drill function by receiving various sources (e.g., power source, communication signal, hydraulic pressure) through the ROV discharge line 102. The drill controller 411 may be connected to various operation motors 413, 414, 415, and 416 installed in the unit body 410 and the hole position detection sensor 417.

또한, 흡입제어기(412)는 상기 각종 공급원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변(미 도시)을 구비하여, 각 전자변의 개방시 잔존유를 흡입하거나, 전자변의 폐쇄시 해수가 ROV 배출라인(10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controller 412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valve (not shown) for receiving and supplying the various supply sources, so that residual oil can be sucked into the ROV discharge line 102 when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closed, As shown in FIG.

유닛본체(410)의 박스형 프레임은 폐 파이프라인(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박스형 프레임의 개구부의 테두리에 결합된 수밀링(4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밀링(401)은 잔존유 회수 과정에서 폐 파이프라인(1)의 잔존유(RO)가 유닛본체(410)의 내부 공간쪽으로 유입되더라도, 유닛본체(410)의 외부의 수중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수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The box-shaped frame of the unit body 410 may include a water milling 401 coupled to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box-shaped frame that can be seated on top of the waste pipeline 1. In this case, the water milling unit 401 is configured to allow the remaining water RO of the waste pipeline 1 to flow into the outer space of the unit main body 410, The watertight operation can be performed.

유닛본체(410)의 박스형 프레임의 내부에는 한 쌍의 메인LM가이드(402, 403)가 설치되어 있고, 메인LM가이드(402, 403)를 따라 제 1 이송장치(404)에 의해 왕복이동될 수 있는 메인이동플랫폼(40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이동플랫폼(405)의 저부에는 메인LM가이드(402, 403)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미 도시)들이 메인이동플랫폼(405)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블록들의 사이로 볼스크류 블록(미 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그 볼스크류 블록은 제 1 이송장치(404)의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샤프트는 유닛본체(410)의 박스형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작동모터(413)의 회전 샤프트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작동모터(413)의 동력에 의해 메인이동플랫폼(405)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A pair of main LM guides 402 and 403 are provided inside the box-shaped frame of the unit main body 410. The pair of main LM guides 402 and 403 can be reciprocated by the first transfer device 404 along the main LM guides 402 and 403. [ A main moving platform 405 is provided. Sliding blocks (not shown) coupled to the main LM guides 402 and 403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moving platform 405 at the bottom of the main moving platform 405. In addition, a ball screw block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sliding blocks, and the ball screw block is coupled to the screw shaft of the first transfer device 404. Since the screw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actuating motor 413 mounted on the box-shaped frame of the unit body 410, the power of the first actuating motor 413 causes the main moving platform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5 can be performed.

메인이동플랫폼(405)의 일측, 즉 좌측에는 드릴모듈(420)이 배치되고 타측, 즉 우측에는 흡입모듈(430)이 배치되어 있다.The drill module 4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moving platform 405, that is, on the left side, and the suction module 43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right side.

드릴모듈(420)은 메인이동플랫폼(405)의 일측에서 상기 메인LM가이드(402, 403)와 수직하게 배치된 제 1 서브LM가이드(421)와, 제 1 서브LM가이드(421)를 기반으로 제 2 작동모터(414) 및 제 2 이송장치(422)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제 1 서브이동플랫폼(423)과, 제 1 서브이동플랫폼(423)에 설치된 제 3 작동모터(415)와, 제 3 작동모터(415)에 의해 회전하는 직선형 드릴 비트(4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ll module 420 includes a first sub LM guide 4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latform 405 and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main LM guides 402 and 403 and a second sub LM guide 421 disposed on the first sub LM guide 421 A first sub-moving platform 423 slidably operated by the second operating motor 414 and the second moving device 422, a third operating motor 415 provided on the first sub-moving platform 423, 3 operating motor 415. In this embodiment,

천공흡입유닛(400)은 도 3의 제 1 ROV(101)의 매니퓰레이터의 힘을 전달받아 폐 파이프라인(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receive the force of the manipulator of the first ROV 101 of FIG. 3 and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te pipeline 1.

이러한 천공흡입유닛(400)의 드릴모듈(420)은 제 1 이송장치(404)에 의해 수평 이동(F1)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직선형 드릴 비트(418)를 회전시키면서 제 2 이송장치(422)의 슬라이딩 작동(F2)(예: 수직 이동)에 의해 직선형 드릴 비트(418)를 하강시킴에 따라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벽에 구멍(1a)을 천공할 수 있다.The drill module 420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maintains the stop state after the horizontal movement F1 by the first transfer device 404 and then rotates the linear drill bit 418 while rotating the second transfer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ate the hole 1a in the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1 by lowering the straight drill bit 418 by the sliding operation F2 (e.g., vertical movement) of the pipe 422.

폐 파이프라인(1)의 미량의 잔존유(RO)가 구멍(1a)을 통해서 유닛본체(410)의 내부 공간쪽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유닛본체(410)의 박스형 프레임의 개구부와 폐 파이프라인(1)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 수밀링(401)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쪽으로 유입된 미량의 잔존유(RO)는 수중으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A small amount of residual oil RO of the waste pipeline 1 can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nit main body 410 through the hole 1a but the opening of the box frame of the unit main body 410 and the opening of the waste pipeline 1, a small amount of residual oil (RO)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by the water milling 401 loc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ater mills 401 and 401 may not be released into water.

한편, 천공흡입유닛(400)의 흡입유닛(430)은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서 도 3의 펌프(104)의 흡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런 흡입력에 의해 유닛본체(410)의 내부 공간쪽으로 유입된 미량의 잔존유(RO)도 흡입유닛(430)의 흡입관(431)을 통해서 회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ction unit 430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receive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104 of FIG. 3 through the ROV discharge line 102. A small amount of residual oil RO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nit main body 410 can be recovered through the suction pipe 431 of the suction unit 430 by such a suction force.

천공흡입유닛(400)의 흡입유닛(430)은 메인이동플랫폼(405)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LM가이드(402, 403)와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서브LM가이드(434)와, 제 2 서브LM가이드(434)를 기반으로 제 4 작동모터(416) 및 제 3 이송장치(435)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제 2 서브이동플랫폼(436)과, 제 2 서브이동플랫폼(436)에 설치된 흡입관헤드부(432)와, 흡입관헤드부(432)에 설치되어 상기 구멍(1a)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멍위치감지센서(417)와, 흡입관헤드부(432)의 유입구멍에 연결된 흡입관(431)과, 흡입관헤드부(432)의 배출구멍과 흡입제어기(412)의 사이에 배관된 흡입라인(4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위치감지센서(417)는 광학식, 레이저 방식 등과 같이 통상적인 사물 인식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라인(433)은 주름형 관부재 또는 플랙서블한 산업용 호스 등이 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430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includes a second sub LM guide 434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movement platform 405 and perpendicular to the main LM guides 402 and 403, A second sub-moving platform 436 slidably operated by the fourth actuating motor 416 and the third moving device 435 based on the guide 434 and a second sub- A hole position detection sensor 417 installed at the suction pipe head 432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hole 1a and a suction pipe 431 connected to the inlet hole of the suction pipe head 432, And a suction line 433 piped between the suction hole of the suction pipe head portion 432 and the suction controller 412. Here, the hole position detecting sensor 417 may be constituted by a conventional object recognizing device such as an optical type, a laser type, or the like. Further, the suction line 433 may be a corrugated tubular member or a flexible industrial hose or the like.

이러한 천공흡입유닛(400)의 흡입모듈(430)은 드릴모듈(420)의 직선형 드릴 비트(418)가 상승 및 수평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멍(1a)에서 빠져 나간 후에 작동될 수 있다. 직선형 드릴 비트(418)의 상승은 제 2 이송장치(422)에 의해 가능하고, 직선형 드릴 비트(418)의 좌측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은 제 1 이송장치(404)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430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be operated after the straight drill bit 418 of the drill module 420 is lifted and horizontally moved out of the hole 1a. The elevation of the straight drill bit 418 is enabled by the second conveying device 42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raight drill bit 418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possible by the first conveying device 404.

천공흡입유닛(400)의 흡입모듈(430)은 제 1 이송장치(404)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도중, 구멍위치감지센서(417)가 상기 구멍(1a)를 찾는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The suction module 430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400 can be stopped at a position where the hole position detection sensor 417 finds the hole 1a during horizontal movement by the first transfer device 404.

이후, 흡입모듈(430)의 흡입관(431)은 제 3 이송장치(435)의 슬라이딩 작동(F3)(예: 수직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구멍(1a)에 삽입될 수 있다.The suction pipe 431 of the suction module 43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a due to the sliding operation F3 of the third transfer device 435 (e.g., vertical movement).

이후, 흡입관(431)은 ROV 배출라인(102)을 통해서 도 3의 펌프(104)의 흡입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흡입력에 의해 폐 파이프라인(1)의 내부의 잔존유(RO)를 흡입할 수 있다.When the suction pipe 431 receives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104 of FIG. 3 through the ROV discharge line 102, the suction pipe 431 sucks the residual oil RO inside the waste pipeline 1 by the suction force .

흡입된 잔존유(RO)는 흡입관(431), 흡입관헤드부(432), 흡입라인(433), 흡입제어기(412), ROV 배출라인(102) 쪽으로 이동하고, 이후 도 3에 도시된 ROV 지원수단(103) 및 펌프(104)를 경유하여 저장탱크(105) 쪽으로 회수될 수 있다.The sucked remaining oil RO is moved toward the suction pipe 431, the suction pipe head 432, the suction line 433, the suction controller 412 and the ROV discharge line 102, Can be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105 via the means 103 and the pump 104. [

도 6은 도 1의 제 3 단계(S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third step S30 of FIG.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3 단계(S30)는 제 2 ROV(110)에 의해 폐 파이프라인(1)을 단위별 개별 파이프(10)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3 단계(S30)는, 제 2 ROV(110)에 마련된 절단유닛(500)으로 폐 파이프라인(1)을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10)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the third step S30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1 into unit individual pipes 10 by the second ROV 110. The third step S30 may include cutting the waste pipeline 1 by the cutting unit 500 provided in the second ROV 110 and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1 into individual pipes 10.

즉, 제 2 ROV(110)는 매니퓰레이터의 동작 제어(예: 각도 제어)를 통해서, 절단유닛(500)이 폐 파이프라인(1)의 파이프 절단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That is, the second ROV 110 allows the cutting unit 500 to reach the pipe cutting position of the waste pipeline 1 through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or (e.g., angle control).

여기서, 제 2 ROV(110)의 매니퓰레이터는 절단유닛(500)에 해당하는 수중작업용 플라즈마 절단기 또는 와이어 톱(saw)과 같은 파이프 절단기를 이용하여 폐 파이프라인(1)을 절단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manipulator of the second ROV 110 is operable to cut the waste pipeline 1 using a pipe cutter, such as a water-cutting plasma cutter or wire saw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unit 500 have.

예컨대, 절단유닛(500)이 플라즈마 절단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 2 ROV(110)의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이동되는 절단유닛(500)에서 절단용 플라즈마 열이 폐 파이프라인(1)의 일측의 파이프 절단 위치(P1) 쪽으로 분사되는 과정과, 절단유닛(500)의 플라즈마 열 분사 정지 상태에서 제 2 ROV(110)가 파이프 절단 위치(P1, P2) 사이의 거리만큼 이동후 정지하는 과정과, 폐 파이프라인(1)의 타측의 파이프 절단 위치(P2) 쪽으로 절단용 플라즈마 열을 재분사하는 과정에 의해서, 결국 개별 파이프(10)가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utting unit 500 is a plasma cutter, cutting heat is applied to one side of a waste pipeline 1 in a cutting unit 500, which is moved by a manipulator of a second ROV 110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ROV 110 is moved by a distance between the pipe cutting positions P1 and P2 in a plasma thermal spraying stop state of the cutting unit 500, The individual pipe 10 can eventually be cut and separated from the waste pipeline 1 by the process of re-injecting the cutting plasma heat toward the pipe cutting position P2 on the other side of the waste pipeline 1.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할 바와 같이, 제 3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또는 구성도 또는 단면도들이다.7 to 10, the third step S40 is a schematic view, a structural view, or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step S40.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4 단계(S40)는 제 2 ROV(110)의 발사유닛(600)이 개별 파이프(10)를 향하여 커넥터(300)를 발사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300)가 개별 파이프(10)에 설치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발사유닛(600)은 제 2 ROV(110)의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힌지 결합된 부위에 마련된 자세 제어 장치(미 도시), 조명 장치, 화상 모니터링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발사유닛(600)의 건(gun) 또는 캐논(cannon)의 틸트(tilt), 회전(rotation) 등이 가능하여, 커넥터(300)의 조준 발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the fourth step S40 is a step in which the launching unit 600 of the second ROV 110 fires the connector 300 toward the individual pipe 10, May be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ipes 10. Here, since the launching unit 600 is hinged to the frame of the second ROV 110 and has an attitude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at the hinged portion, a lighting device, an image monitoring device, and the like, The tilt and rotation of a gun or a cannon of the launch unit 600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tactile firing of the connector 300 can be performed.

즉, 제 4 단계(S40)는, 제 2 ROV(110)에 마련된 발사유닛(600)으로 커넥터(300)를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벽 쪽으로 발사하여, 커넥터(300)가 파이프벽에 박히는 과정과, 상기 박히는 과정에서 하기에서 후술할 커넥터(300)의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300)가 상기 파이프벽에 고정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ourth step S40, the connector 300 is fired toward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by the launching unit 600 provided in the second ROV 110 so that the connector 300 is caught in the pipe wall And fixing the connector 300 to the pipe wall by the first fixing part or the second fixing part of the connecto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ourse of embedding.

커넥터(300)는 도 8 및 도 9의 제 1 커넥터(300a)와, 도 10 내지 도 12의 제 2 커넥터(300b)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300a) 혹은 제 2 커넥터(300b)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동일한 기술적 사상인 발사 가능한 연결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 1 커넥터(300a) 및 제 2 커넥터(300b)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nnector 300 collectively refers to the first connector 300a of Figs. 8 and 9 and the second connector 300b of Figs. 10 to 12 and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or 300a or a second connector 300b ), But they can all be understood as launchable connecting means which are the same technical idea,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can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in the first connector 300a and the second connector 300b.

도 8은 도 7의 커넥터 중 제 1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 1 커넥터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8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connector of FIG. 7,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300a)는 러그부(301), 판막부(302), 커넥터몸체부(303), 제 1 고착부(310), 체인 연결링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first connector 300a may include a lug portion 301, a valve portion 302, a connector body portion 303, a first anchoring portion 310, and a chain connecting ring portion 304 have.

러그부(301)는 인양프레임의 트롤리로부터 연장된 회수케이블, 또는 회수케이블의 끝단에 마련된 샤클과의 연결을 위해서, 고리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ug part 301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or a ring shape for connection with a recovery cable extended from a trolley of a lifting frame or a shackle provided at an end of the recovery cable.

러그부(301)는 커넥터몸체부(303)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과의 접촉을 통해 제 1 커넥터(300a)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The lug portion 301 is relatively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size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and can also serve as a stopper for stopping the first connector 300a through contact with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판막부(302)는 러그부(301)의 일측, 즉 러그부(301)의 상부에 형성되고 발사유닛에서 발생된 폭발력을 막아서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 또는 외측 테두리에 비해 중앙쪽 부위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portion 30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ug portion 301, that i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ug portion 301,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or a portion closer to the center side than the outer side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explosive force generated in the launching unit, It can be formed into a recessed shape.

커넥터몸체부(303)는 러그부(301)의 타측, 즉 러그부(301)의 하부에 형성되고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날카롭고 초경도의 재질로 만들어진 끝단(30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lug portion 301, that i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ug portion 301, and has an end 305 made of a sharp and hard material so as to penetrate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 ≪ / RTI >

제 1 고착부(310)는 커넥터몸체부(303)를 상기 날카로운 끝단(305)과의 충돌로 인해 파이프벽의 충돌지점이 파열되듯이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내측 끝단 테두리에 버(burr)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멍 또는 버에 고착될 수 있도록, 커넥터몸체부(303)에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310 is formed such that a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or body part 303 such that the impact point of the pipe wall ruptures due to collision with the sharp end 305 and burrs in the inner end edge of the hole. And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s 303 so as to be fixed to such holes or burrs.

여기서, 제 1 고착부(310)는 커넥터몸체부(303)의 표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가시부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고착부(310)의 가시부의 형상 또는 양태는 돌출되거나 턱을 형성하여 고착이 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제작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내용은 일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first anchoring portion 310 may be a plurality of visible portion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Here, the shape or the shape of the visible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10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manufactured within a rang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r the jaw may be formed and fix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

도 9를 참조하면, 발사유닛(600)은 미리 고압으로 충전해둔 유체를 일 순간에 분출시켜서 추진 에너지를 발생시키거나, 화약을 이용하여 폭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등으로 구성된 캐넌(601)을 포함하여, 제 1 커넥터(300a)를 발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aunching unit 600 includes a cannon 601 composed of a device for generating a propulsive energy by ejecting a fluid filled in a high pressure in a moment or generating an explosive force using a gunpowder , The first connector 300a can be fired.

여기서, 캐넌(601)의 작동 방식 또는 형상은 제 1 커넥터(300a) 등을 고속으로 발사시키고,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에 박힐 수 있을 정도의 충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제작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내용은 일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mode or shape of the cannon 601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manufactured within a range capable of generating an impact force such that the first connector 300a or the like is fired at a high speed,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 1 커넥터(300a)의 오발사 또는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사유닛(600)의 내부에는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의 드럼에 감겨져 있다가 발사 당시 자유롭게 풀려질 수 있고, 발사유닛(600)의 내부에 마련된 체인 릴리싱 수단(미 도시)에 의해 분리 또는 절단될 수 있는 체인(602)이 마련될 수 있고, 그 체인(302)은 제 1 커넥터(300a)의 체인 연결링부(30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onnector 300a from being erroneously blown or lost, the first unit 300a may be freely rotatably wound around a drum that is freely rotatable within the launch unit 600, A chain 602 which can be separated or cut by a chain releasing means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chain connecting ring portion 304 of the first connector 300a can be provided, Can be connected.

발사유닛(600)에 의해 캐넌(601)으로부터 발사된 제 1 커넥터(300a)의 커넥터몸체부(303)는 끝단(305)을 이용하여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벽에 충돌하면서 구멍(H)을 형성한다. 구멍(H)은 드릴에 의해 천공된 구멍과 달리 부분적으로 파열 또는 절개된 형상일 수 있고, 구멍(H)의 내측 끝단 테두리에는 거친 형상의 버(T)가 만들어질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of the first connector 300a emitted from the cannon 601 by the launching unit 600 collides with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using the end portion 305, . The hole H may be a partially ruptured or cut shape unlike the hole drilled by the drill, and a roughly shaped burr T may be formed at the inner end rim of the hole H. [

이런 구멍(H)을 커넥터몸체부(303)의 끝단(305)이 통과한 후, 다수의 제 1 고착부(310)가 구멍(H)의 표면 또는 버(T)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fter the end 305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passes through the hole H, a plurality of first anchoring portions 310 contact the surface of the hole H or the burr T and are fixed .

이후, 발사유닛(600)의 체인 릴리싱 수단(미 도시)에 의해 체인(602)이 절단됨으로써, 개별 파이프(10)에 대한 제 1 커넥터(300a)의 설치가 완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hain 602 is cut by the chain releasing means (not shown) of the launching unit 600,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connector 300a to the individual pipe 10 can be completed.

또한, 발사유닛(600)이 장착된 제 2 ROV가 개별 파이프(10)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 한 후, 다시 나머지 제 1 커넥터(300a)를 발사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제 1 커넥터(300a)들이 이격 거리를 유치한 상태로 개별 파이프(1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Also, by repeat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ROV with the launch unit 600 to another point of the individual pipe 10 and then firing the remaining first connector 300a,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300a Can be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ipes 10 in a state in which the spacing distance is maintained.

도 10은 도 7의 커넥터 중 제 2 커넥터의 일부분을 절단한 정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제 2 커넥터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of a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7 cut away, and FIGS. 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the second connector.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커넥터(300b)도 앞서 설명한 발사유닛(600)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connector 300b may be fi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ing unit 600 described above.

제 2 커넥터(300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러그부(301), 판막부(302), 커넥터몸체부(303), 체인 연결링부(304)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은 앞서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고착부(320)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The second connector 300b includes the lug portion 301, the valve portion 302,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and the chain connecting ring portion 304. Since these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320 in detail.

제 2 고착부(320)는 커넥터몸체부(303)의 리세스(321)(recess)에 마련된 조인트(322)를 기준으로 힌지 결합된 래치(323)(latch)을 포함한다. 여기서, 래치(323)의 일측 끝단에는 정지턱(324)이 형성되고, 래치(323)의 타측 끝단에는 걸림턱(325)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anchoring portion 320 includes a latch 323 hinged to a joint 322 provided in a recess 321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A stopper 3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atch 323 and a latching protrusion 32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323.

제 2 고착부(320)는 리세스(321)의 바깥쪽으로 래치(323)가 돌출될 수 있도록 래치(323)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3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체(326)는 조인트(322)에 설치된 스프링으로서, 이때 스프링의 일측 끝단은 래치(323)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타측 끝단은 리세스(321)의 주변의 커넥터몸체부(303)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320 includes an elastic body 326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323 so that the latch 323 can b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ecess 321. One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latch 323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303 at the periphery of the recess 321. The elastic body 326 is a spring Can be connected.

제 2 고착부(320)는 래치(323)가 리세스(321) 안쪽에 안착되도록 록킹시키거나, 래치(323)가 탄성체(326)에 의해 돌출되도록 릴리스시키는 기능을 위해서, 상기 래치(323) 주변, 예컨대 래치(323)의 상부쪽으로 커넥터몸체부(303)에 설치된 트리거(327)(trigg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20 is provided with the latch 323 for the purpose of locking the latch 323 to be seated inside the recess 321 or releasing the latch 323 to protrude by the elastic body 326. [ And a trigger 327 (trigger) mounted on the connector body portion 303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atch 323, for example.

트리거(327)는 커넥터몸체부(303)의 트리거 슬라이딩 구멍(303a)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핀부재로서, 커넥터몸체부(303)의 외표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트리거(327)에 결합된 푸시부(329)와, 트리거(327)의 위쪽으로 트리거 슬라이딩 구멍(303a)에 삽입된 스프링(328)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igger 327 is engaged with the trigger 327 so as to project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303. The trigger 327 is engaged with the trigger sliding hole 303a of the connector body 303, And a spring 328 inserted into the trigger sliding hole 303a above the trigger 327. The spring 328 is inserted into the trigger sliding hole 303a.

트리거(327)의 하부 끝단(327a)은 스프링(328)의 탄성력을 전달 받아서 하향으로 이동하려는 상태를 취함에 따라, 래치(323)의 걸림턱(325)을 임시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lower end 327a of the trigger 327 can assume the role of temporarily locking the latching jaw 325 of the latch 323 as it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28 and moves downward .

이와 같은 구성의 제 2 고착부(320)의 작동원리는 도 11 및 도 12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도 11을 참조하면, 발사유닛에 의해 캐넌으로부터 제 2 커넥터(300b)가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 벽쪽으로 발사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second connector 300b from the cannon is fired by the launching unit toward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발사에 의해 이동 중인 제 2 커넥터(300b)는 개별 파이프(10)의 파이프 벽에 박히고, 그 결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멍(H) 및 버(T)를 파이프벽에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300b, which is being moved by firing, is stuck in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10, so that the hole H and burr T can be formed in the pipe wall as described above.

이때, 구멍(H)의 상부 테두리(H1)와 제 2 고착부(320)의 푸시부(329)간 접촉이 이루어지고, 그 접촉력은 스프링(328)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그 결과 트리거(327)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upper edge H1 of the hole H and the push portion 329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20 is made and the contact force thereof is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28, Is moved upward.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트리거(327)의 상향 이동으로 인하여, 트리거(327)의 하부 끝단(327a)이 래치(323)의 걸림턱(325)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12, the lower end 327a of the trigger 327 can be pulled out of the latching jaw 325 of the latch 323 due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trigger 327. As shown in FIG.

이런 경우, 탄성체(326)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323)가 조인트(322)를 기준으로 회동되고, 결과적으로 래치(323)가 펼쳐지듯이 커넥터몸체부(303)의 외표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나온다.In this cas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326 causes the latch 323 to pivot relative to the joint 322, so that the latch 323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303 as if unfolded.

또한, 래치(323)의 회동은 정지턱(324)과 리세스(321)의 형상간 접촉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Also, the rotation of the latch 323 can be stopp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324 and the shape of the recess 321.

이렇게 돌출된 래치(323)는 구멍(H)의 하부 테두리의 버(T)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고, 이후 단계에서 상향으로 인양력이 전달될 때, 제 2 커넥터(300b)가 구멍(H)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protruded latch 323 contacts the burr T of the lower edge of the hole H to exert a frictional force and when the lifting force is transmitted upwardly in a subsequent step, H)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escaping.

이렇게 개별 파이프(10)에 대한 제 2 커넥터(300b)의 설치가 완성될 수 있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제 2 커넥터(300b)들이 이격 거리를 유치한 상태로 개별 파이프(1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Thus, the second connector 300b can be completely mounted on the individual pipe 10, and by repeating this,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300b can be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ipe 10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is maintained .

앞서 설명한 제 1, 제 2 커넥터(300b)의 설계 기준은 개별 파이프의 인양 하중 및 수중의 유동 마찰력(drag force)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고착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고,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커넥터 재질, 크기,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The design criteria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00b described above can be determined so that a fixed state can be established so as to withstand the lifting force of the individual pipes and the drag force in the water, Through which the connector material, size and shape can be determined.

도 13은 도 1의 제 5 단계(S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fth step (S50) of FIG.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5 단계(S50)는 선박(100)에 마련된 인양장치(120)에 의해 인양케이블(124), 인양프레임(200), 트롤리(210) 및 회수케이블(220)을 수중으로 하강하는 과정일 수 있다.1 and 13, the fifth step S50 is to move the lifting cable 124, the lifting frame 200, the trolley 210 and the recovery cable 220 ) To the wate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박(100)은 인양장치(120)용 인양타워(121, 122), 윈치(123), 인양케이블(124), 인양프레임(200), 트롤리(210) 및 회수케이블(220)을 가지고 있고, 또한, 각 트롤리(210)의 저부에 마련된 하중감지센서(205)(예: 로드셀을 장착한 센서블록몸체)와, 하중감지센서(205)의 센서블록몸체의 저부에 마련되고 회수케이블(220)과 연결되어 있는 고리부(211)와, 개별 파이프(10)의 커넥터(300)와 연결되기 위해 회수케이블(220)의 끝단에 마련된 샤클(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p 100 is supported by the lifting towers 121 and 122 for the lifting device 120, the winch 123, the lifting cable 124, the lifting frame 200, the trolley 210, A load sensor 205 (for example, a sensor block body provided with a load cell)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trolley 210 and a sensor block body 20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nsor block body of the load sensor 205 And a shackle 225 provided at an end of the recovery cable 22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0 of the individual pipe 10 .

여기서, 인양프레임(200)은 복수개의 인양케이블(124)에 매달려 있다.Here, the lifting frame 200 is suspended from a plurality of lifting cables 124.

또한, 복수개의 트롤리(210)는 초기 위치에서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인양프레임(200)에 배치되어 있고, 인양프레임(200)의 레일을 따라 인양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선박(100)의 하중제어부(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트롤리(210)의 이동을 제어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trolleys 210 are disposed in the lifting frame 200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initial position and can be moved along the rails of the lifting frame 20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frame 2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control unit 230 of the ship 10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trolley 210 can be controlled.

또한, 각 트롤리(210)의 하중감지센서(205)도 하중제어부(230)에 하중측정값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중제어부(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load sensor 205 of each trolley 21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controller 230 so as to input a load measurement value to the load controller 230.

또한, 샤클(225) 및 회수케이블(220)은 각 트롤리(2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hackle 225 and the recovery cable 220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each trolley 210.

인양장치(120)의 윈치(123)는 그의 드럼을 케이블 하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경우, 드럼에서 인양케이블(124)이 풀려나오고, 그 결과, 인양케이블(124)에 매달려 있는 인양프레임(200) 및 이를 기초로 한 각 트롤리(210), 하중감지센서(205), 고리부(211), 회수케이블(220) 및 샤클(225)도 개별 파이프(10)가 있는 심해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winch 123 of the lifting device 120 rotates its drum in the cable down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lifting cable 124 is unrolled from the drum and consequently the lifting frame 200 And the trolley 210, the load sensing sensor 205, the hook 211, the recovery cable 220 and the shackle 225 based on them can also be moved toward the deep sea where the individual pipes 10 are present.

도 14는 도 1의 제 6 단계(S60) 및 도 7 단계(S7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ixth step S60 and the step S70 in Fig.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6 단계(S60)는 회수케이블(220)과 커넥터(300)를 연결하는 단계로서, 연결을 위해 앞서 언급한 연결수단인 샤클(225)이 사용될 수 있다. 샤클(225)을 풀고 잠그는 과정은 제 2 ROV(110)의 집게회전유닛(700)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로 심해 잠수부(미 도시)가 투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14, the sixth step S60 is a step of connecting the withdrawal cable 220 and the connector 300, and the shackle 225, which is the aforementioned connecting means, may be used for connection. The process of unlocking and locking the shackle 225 may be performed by the gripper rotating unit 700 of the second ROV 110, or may be performed by inserting a deep-water diver (not shown).

즉, 집게회전유닛(700) 또는 잠수부에 의해 회수케이블(220)의 샤클(225)의 구멍은 커넥터(300)의 러그부의 구멍과 일치되고, 샤클핀이 일치된 구멍에 삽입되고, 샤클핀의 탄성단턱에 의해 삽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hole of the shackle 225 of the collecting cable 220 is aligned with the hole of the lug portion of the connector 300, the shackle pin is inserted into the aligned hole, The inserted state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step.

또한, 본 실시예는 단순히 샤클(225)로만 한정되지 않고, 고하중물과 케이블을 서로 취부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 장치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hackle 225, and various means such as a clamping device capable of attachably connecting a heavy load and a cable to each other can be applied.

제 7 단계(S70)는 인양프레임(200)에서 각 트롤리(210)를 이동시켜 상기 회수케이블(220)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eventh step S70 may be a step of moving each trolley 210 in the lifting frame 200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collection cable 220.

즉, 도 7 단계(S70)에서는, 하중제어부(230)가, 회수케이블(22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만큼 인양장치(120)의 윈치(123)의 드럼을 회전시켜서, 상기 드럼에 감겨진 인양케이블(124)과, 인양케이블(124)을 기초로 상기 인양프레임(200)의 트롤리(210)에 연결된 회수케이블(220)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 단계(S70)에서는 상기 장력에 따라 상기 트롤리(210)의 하중감지센서(205)에 입력되는 하중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양프레임(200)의 하중 분포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하중 분포가 상기 인양프레임(200)에서 균등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트롤리(210)를 상기 인양프레임(200)에서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7, the load controller 230 rotates the drum of the winch 123 of the lifting device 120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collection cable 220, A process of generating tension may be performed on the lifting cable 124 wound on the drum and the withdrawal cable 220 connected to the trolley 210 of the lifting frame 200 based on the lifting cable 124. In step S70 of FIG. 7, a load distribution of the lifting frame 200 is determined using a load measurement value input to the load sensing sensor 205 of the trolley 210 according to the tension. And moving or stopping the trolley 210 in the lifting frame 200 so that the load distribution is uniformly generated in the lifting frame 200. [

예컨대, 각 트롤리(21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하중제어부(230)는 인양장치(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하중 분포 파악을 위한 테스트 작동용 인양력을 인양케이블(124), 인양프레임(200), 트롤리(210), 고리부(211), 회수케이블(220), 샤클(225), 커넥터(300) 및 개별 파이프(10)에 인가한다. 이때, 인양장치(120)는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만큼 인양장치(120)의 윈치(123)의 드럼을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The load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120 so that the lifting force for the test operation for grasping the load distribution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cable 124, The lifting frame 200, the trolley 210, the claw 211, the recovery cable 220, the shackle 225, the connector 300 and the individual pipes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ifting device 120 rotates and stops the drum of the winch 123 of the lifting device 120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이런 경우, 회수케이블(220)이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에 대응한 장력은 회수케이블(220), 고리부(211) 및 센서블록몸체를 통해서 하중감지센서(205)에 전달될 수 있다. 하중감지센서(205)는 전달된 장력에 대응한 하중측정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하중제어부(230)에 입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tensioning of the withdrawal cable 220 can be transmitted to the load detection sensor 205 through the withdrawal cable 220, the hook 211, and the sensor block body. The load sensing sensor 205 may convert the load measurem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tens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load controller 230.

하중제어부(230)는 각 트롤리(210)의 하중감지센서(205)로부터 입력된 하중측정값들을 하중제어부(230)에 마련된 하중 분포 파악 알고리즘(미 도시)에 의해 비교 판단하여 처리한다. 예컨대, 하중 분포 파악 알고리즘에 따르면, 하중제어부(230)가 입력받은 각 트롤리(210)의 하중감지센서(205)의 하중측정값이 각 트롤리(210)별로 균등하게 조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개별 파이프(10)의 수평이 유지되게 하기 위한 각 트롤리(210)의 목적 위치를 산출하여 산출값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산출값에 대응하게 트롤리 이동 제어 신호를 각 트롤리(210)의 구동제어부(미 도시)에 입력하여 각 트롤리(210)가 해당 목적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제어 방법일 수 있다.The load controller 230 compares the load measurement values inputted from the load sensor 205 of each trolley 210 by a load distribution detection algorithm (not shown) provided in the load controller 230 and processes the comparison result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load distribution detection algorithm, the load measurement values of the load sensing sensors 205 of the trolleys 210 input by the load control unit 230 are uniformly adjusted for each trolley 210, (Not shown) of each trolley 2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value, and outputs the trolley movement control signal to the drive control unit (not shown) of each trolley 210 And to cause each trolley 210 to be moved to the target position.

각 트롤리(210)의 구동제어부는 입력받은 트롤리 이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게 트롤리(210)의 모터 작동 방식의 롤러를 회전시켜서, 트롤리(210)의 목적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할 수 있다. The drive control unit of each trolley 210 rotates the roller of the motor operation type of the trolley 210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trolley movement control signal and can stop the movement after moving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trolley 210. [

여기서, 트롤리(210)의 롤러는 기어 형상의 롤러일 수 있고, 트롤리(210)의 롤러에 결합된 인양프레임(200)의 레일은 기어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트롤리(210)에는 브레이크 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목적 위치까지 이동한 후 정지하고, 그 정지 상태를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roller of the trolley 210 may be a gear-shaped roller, and the rails of the lifting frame 200 coupled to the rollers of the trolley 210 may be formed in a gear shape. In each trolley 210, Further,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after moving to the target position, and the stopping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by the brake means.

이와 같은 각 트롤리(210)의 작동은 개별 파이프(10)를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트롤리(210)의 로드 밸런싱 제어일 수 있다.The operation of each of the trolleys 210 may be a load balancing control of the trolleys 210 capable of safely lifting the individual pipes 10.

이렇게 트롤리(210)의 로드 밸런싱 제어가 완료된 경우, 개별 파이프(1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인양될 수 있는 각 회수케이블(220)의 간격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개별 파이프(10)의 인양시 회수케이블(220)이 서로 꼬이지 않게 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ad balancing control of the trolley 210 is completed, the individual pipe 1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collection cables 220 that can be safely lifted while being kept horizontal. In this case, The time-sharing cables 220 may not be twisted with each other.

아울러, 각 트롤리(210)의 로드 밸런싱 제어는 개별 파이프(10)의 인양 도중에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수중에서 해수의 유동력 또는 해수와의 마찰, 즉 유동 마찰력(drag force)으로 인하여 개별 파이프(10) 또는 인양프레임(200)의 안정도(stabilization) 및 장력에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 balancing control of each trolley 210 can also occur during lifting of the individual pipes 10, for example, due to the drag force of the seawater in the water or friction with the seawater, i.e. drag force, 10 or the stabilization and tension of the lifting frame 200 may occur.

이 경우, 작업자의 수동 제어 또는 하중제어부(230)의 미리 정해진 자동 제어 프로세스(미 도시)에 의해 각 트롤리(210)의 구동제어부가 선박(100)의 최종 파이프 회수장의 높이까지 상승할 때까지 미세 작동을 수행하여서 트롤리(210)의 롤러의 회전 및 정지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하게 개별 파이프(10)를 선박(100) 쪽으로 인양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the manual control of the operator or the predetermined automatic control process (not shown) of the load control unit 230, the drive control unit of each trolley 210 is finely The control of the rollers of the trolley 210 is carrie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trolley 210 so that the individual pipes 10 can be reliably lifted toward the ship 100. [

도 15는 도 1의 제 8 단계(S8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eighth step S80 of FIG.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8 단계(S80)는 인양장치(120)에 의해 인양케이블(124), 인양프레임(200), 트롤리(210), 회수케이블(220), 커넥터(300) 및 개별 파이프(10)를 선박(100) 쪽으로 상승시켜 개별 파이프(10)를 회수하는 과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15, the eighth step S80 includes a lifting cable 124, a lifting frame 200, a trolley 210, a withdrawal cable 220, a connector 300, And raising the individual pipes 10 toward the ship 100 to recover the individual pipes 10.

즉, 제 8 단계(S80)에서는, 인양장치(120)가 개별 파이프(10)를 선박(100)의 파이프 회수장(130)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인양장치(120)의 윈치(123)의 드럼을 케이블 상승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선박(100)에 마련된 크레인(140이 상기 높이까지 도달한 상기 개별 파이프(10)를 잡아서 상기 파이프 회수장(130)쪽으로 옮겨 적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eighth step S80, the winch 123 of the lifting device 120 is lifted so that the lifting device 120 lifts the individual pipe 10 to the height of the pipe recovery bay 130 of the ship 100. [ Rotating the drum of the ship 100 in a cable rising direction and moving the crane 140 of the ship 100 to the pipe recovery bay 130 by holding the individual pipe 10 reaching the height.

이후, 개별 파이프(10)는 크레인(140)으로부터 분리되어 선박(100)의 파이프 회수장(130)에 적재 및 회수될 수 있다.The individual pipes 10 can then be separated from the crane 140 and loaded and recovered in the pipe recovery bay 130 of the ship 100.

이러한 제 2 내지 제 8 단계(S20 ~ S80)를 반복함으로써, 폐 파이프라인(1)으로부터 나머지 개별 파이프들도 모두 선박(100)의 파이프 회수장(130)쪽으로 모두 회수될 수 있다.By repeating the second to eighth steps S20 to S80, all the remaining individual pipes from the waste pipeline 1 can be all recovered toward the pipe recovery field 130 of the ship 100. [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 폐 파이프라인 10 : 개별 파이프
100 : 선박 101 : 제 1 ROV
110 : 제 2 ROV 120 : 인양장치
121, 122 : 인양타워 124 : 인양케이블
130 : 파이프 회수장 140 : 크레인
200 : 인양프레임 210 : 트롤리
220 : 회수케이블 230 : 하중제어부
300, 300a, 300b : 커넥터 303 : 커넥터몸체부
310 : 제 1 고착부 320 : 제 2 고착부
400 : 천공흡입유닛 500 : 절단유닛
600 : 발사유닛 700 : 집게회전유닛
1: waste pipeline 10: individual pipe
100: Ship 101: First ROV
110: second ROV 120: lifting device
121, 122: lifting tower 124: lifting cable
130: pipe recovery station 140: crane
200: lifting frame 210: trolley
220: recovery cable 230: load control unit
300, 300a, 300b: Connector 303: Connector body part
310: first fixing part 320: second fixing part
400: Perforation suction unit 500: Cutting unit
600: launch unit 700: gripper rotation unit

Claims (10)

선박의 제 1 ROV 및 제 2 ROV를 수중으로 투입하고, 상기 제 1 ROV 및 제 2 ROV를 폐 파이프라인 사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잔존유를 회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ROV에 의해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단위별 개별 파이프로 분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ROV의 발사유닛이 상기 개별 파이프를 향하여 커넥터를 발사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개별 파이프에 설치되는 제 4 단계;
상기 선박의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케이블, 인양프레임, 상기 인양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트롤리 및 상기 복수개의 트롤리에 연결된 회수케이블을 수중으로 하강하는 제 5 단계;
상기 회수케이블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6 단계;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상기 트롤리를 이동시켜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상기 회수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인양장치에 의해 상기 인양케이블, 상기 인양프레임, 상기 트롤리, 상기 회수케이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개별 파이프를 상승시켜 상기 개별 파이프를 회수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A first step of putting the first ROV and the second ROV of the ship into water and moving the first ROV and the second ROV toward the waste pipeline site;
A second step of recovering residual oil of the waste pipeline by the first ROV;
A third step of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by the second ROV;
A fourth step in which the connector is installed in an individual pipe as the launching unit of the second ROV fires the connector toward the individual pipe;
A fifth step of lower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frame, the plurality of trolleys disposed in the lifting frame, and the withdrawal cab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rolleys by the lifting device of the ship;
A sixth step of connecting the collection cable and the connector;
A seventh step of moving the trolley in the lifting frame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recovery cables connected to the trolley; And
And an eighth step of raising the lifting cable, the lifting frame, the trolley, the recovery cable, the connector and the individual pipes by the lifting device to recover the individual pipe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ROV에 마련된 천공흡입유닛의 드릴모듈로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과, 천공된 상기 구멍에 상기 천공흡입유닛의 흡입모듈의 흡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폐 파이프라인의 내부의 잔존유를 흡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tep includes the steps of: drilling a hole in a pipe wall of the waste pipeline by a drill module of a perforation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ROV; inserting a suction pipe of the suction module of the perforation suction unit into the perforated hole And suctioning residual oil in the interior of the waste pipe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흡입된 상기 잔존유는 상기 흡입모듈의 ROV 배출라인을 통해서 상기 선박에 마련된 ROV 지원수단 및 펌프를 경유하여 저장탱크 쪽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idual oil sucked in the second step is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via the ROV support means and the pump provided on the ship through the ROV discharge line of the suction modul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ROV에 마련된 절단유닛으로 상기 폐 파이프라인을 절단하여 개별 파이프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comprises cutting the waste pipeline with a cutt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V and separating the waste pipeline into individual pip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ROV에 마련된 발사유닛으로 커넥터를 상기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 쪽으로 발사하여, 커넥터가 파이프벽에 박히는 과정과, 상기 박히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파이프벽에 고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step may include a step of firing the connector to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by the launch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V, thereby causing the connector to be stuck to the pipe wall, and the first fixing part or the second fixing part Wherein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pipe wall by means of the conne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수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해 링형상을 갖는 러그부;
상기 러그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발사유닛에서 발생된 폭발력을 막아서 추진력을 확보하는 판막부;
상기 러그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개별 파이프의 파이프벽에 구멍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날카로운 끝단을 갖는 커넥터몸체부; 및
상기 커넥터몸체부를 상기 구멍에 고착시키기 위해 상기 커넥터몸체부에 마련된 제 1 고착부 또는 제 2 고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or includes a lug portion having a ring shape for connection with the return cable;
A valve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ug part to secure explosive force generated by the launching unit to secure propulsion;
A connector bod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ug part and having a sharp end so as to penetrate the pipe wall of the individual pipe; And
And a first securing portion or a second secur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nnector body portion to fix the connector body portion to the ho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몸체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sible portions extending radially in the connector body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착부는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리세스(recess)에 힌지 결합된 래치;
상기 리세스의 바깥쪽으로 상기 래치가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상기 래치가 상기 리세스 안쪽에 안착되도록 록킹시키거나, 상기 래치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돌출되도록 릴리스시키는 기능을 위해서, 상기 래치 주변으로 상기 커넥터몸체부에 설치된 트리거(trigger)를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attachment portion includes a latch hinged to a recess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An elastic bod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so that the latch protrudes outward of the recess;
And a connector firing including a trigger mounted on the connector body around the latch for the purpose of locking the latch to be seated inside the recess or releasing the latch to protrude by the elastic body Waste pipeline recovery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서는, 하중제어부가, 상기 회수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만큼 상기 인양장치의 윈치의 드럼을 회전시켜서, 상기 드럼에 감겨진 상기 인양케이블과, 상기 인양케이블을 기초로 상기 인양프레임의 트롤리에 연결된 상기 회수케이블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과정;
상기 장력에 따라 상기 트롤리의 하중감지센서에 입력되는 하중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양프레임의 하중 분포를 파악하는 과정; 및
상기 하중 분포가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균등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트롤리를 상기 인양프레임에서 이동 또는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venth step, the load control unit rotates the drum of the winch of the lifting device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o as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collection cables, so that the lifting cable wound around the drum and the lifting cable Generating tension on the return cable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lifting frame on the basis of the tension of the lifting cable;
Determining a load distribution of the lifting frame by using a load measurement value input to the load sensor of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tension; And
And moving or stopping the trolley in the lifting frame such that the load distribution is uniformly generated in the lifting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인양장치가 상기 개별 파이프를 상기 선박의 파이프 회수장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인양장치의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선박에 마련된 크레인이 상기 높이까지 도달한 상기 개별 파이프를 잡아서 상기 파이프 회수장쪽으로 옮겨 적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넥터 발사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device rotates the drum of the lifting device such that the lifting device raises the individual pipe to the height of the pipe recovery length of the ship, and the crane provided on the ship reaches the height of the individual pipe And transferring the collected waste water to the pipe recovery port side to load the collected waste water.
KR20130062875A 2013-05-31 2013-05-31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KR101465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875A KR101465734B1 (en) 2013-05-31 2013-05-31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875A KR101465734B1 (en) 2013-05-31 2013-05-31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34B1 true KR101465734B1 (en) 2014-11-28

Family

ID=5229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875A KR101465734B1 (en) 2013-05-31 2013-05-31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86B1 (en) 2007-03-23 2008-08-19 한국해양연구원 Launch, recovery and procedure for underwater equipment
US20080253842A1 (en) 2005-10-07 2008-10-16 Heerema Marine Contractors Nederland B.V.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WO2011156867A1 (en) 2010-06-18 2011-12-22 Nautilus Minerals Pacific Pty Ltd A system for seafloor mi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3842A1 (en) 2005-10-07 2008-10-16 Heerema Marine Contractors Nederland B.V. Pipeline Assembly Comprising an Anchoring Device
KR100852786B1 (en) 2007-03-23 2008-08-19 한국해양연구원 Launch, recovery and procedure for underwater equipment
WO2011156867A1 (en) 2010-06-18 2011-12-22 Nautilus Minerals Pacific Pty Ltd A system for seafloor m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3113B (en) Underwater robot recovery system and recovery method thereof
JP64481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 SCR tapered stress joint or flex joint above the water surface
CN104354843B (en) Coordinate the miniature salvaging drilling equipment of over seat anker and the method for ROV
US20110240303A1 (en) Subsea well intervention module
US10766577B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subsea module
US20130008661A1 (en) Subsea well intervention module
NO783978L (en) PROCEDURE AND DEVICE FOR DEPARTMENT AND REPAIR IN DEEP WATER
US7455478B2 (en) Method for cutting and removing underwater pipeline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NO3395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KR20160118224A (en) Device for launching a subsurface mining vehicle into a water mass and recovering the same from the water mass
NO162163B (en) PROCEDURES AND DEVICE FOR SUPPLY OF HYDRAULIC FLUID TO HYDRAULIC DRIVE UNDERWATER EQUIPMENT.
EP2425095B1 (en) Subsea system
JP2017529282A (en) Marine machine or undersea machine and connection method related thereto
CN108216522B (en) A kind of unmanned underwater robot recyclable device and its recovery method
WO2014032106A1 (en) Buoy
KR101465734B1 (en)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GB2462638A (en) Water supported installation tube
KR101475404B1 (en)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KR101498217B1 (en) Method of vertical lifting type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US20220289345A1 (en) An offshore drilling vessel with an external cable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DK181182B1 (en) An offshore drilling vessel with an external cable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WO2012114065A1 (en) Apparatus for deployment and retrieval of a payload
AU2014100817A4 (en) Buoy
KR101475406B1 (en) Method for waste pipe line retrieval
CN113432023B (en) Remote control quick capture and relea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