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280A - 조절가능한 탄성 프로파일 압박 의류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탄성 프로파일 압박 의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4280A KR20140134280A KR1020147024558A KR20147024558A KR20140134280A KR 20140134280 A KR20140134280 A KR 20140134280A KR 1020147024558 A KR1020147024558 A KR 1020147024558A KR 20147024558 A KR20147024558 A KR 20147024558A KR 20140134280 A KR20140134280 A KR 201401342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ment
- compression
- body portion
- elastic
- r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61F13/085—Openable re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a)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b)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압박 의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상부에 둘러싸이거나(즉, 평행하게 인가됨) 또는 상기 제1 부분에 연속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상의 상기 제2 부분의 부착이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상기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치수는, 상기 의류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각각에 의해 덮이는 상기 바디부 둘레의 상대량이 착용 동안에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compression level fluctuation)을 인가하는 의류가 되는, 압박 의류.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2년 3월 12일자로 출원된 DYNAMIC COMPRESSION GARMENT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61/609,852호를 우선권으로 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및 압박 랩 장치(compression wrap devices)를 구비한 치료용 압박 의류(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s)에 관한 것이다.
부종, 림프수종 및 각종 정맥 질환과 같은 만성 순환계질환의 치료를 위해 압박 요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압박 의류가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압박 의류는 2개의 넓은 카테고리, 즉 탄성 및 비탄성으로 나뉜다.
원형 및 평탄형 니트인 압박 스타킹과 같은 탄성 압박 의류는 스판덱스(spandex) 또는 라텍스(latex)와 같은 탄성 섬유의 사용에 근거한다. 이러한 탄성 섬유는 스타킹이 압박을 제공하고 또한 다리에 스타킹을 적용하기 위해 스트레치되게 한다. 스타킹 설계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스타킹은 다리에 일정하거나 또는 정적인 압박을 제공하고; 반듯이 누운 자세로부터 일어서는 자세로 움직이는 등과 같이 개개인이 자세를 바꿀 때, 다리의 둘레는 변화한다. 스타킹의 탄성 특성은 그 둘레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스트레치하고,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계없이 상당히 일정한 압박 레벨을 유지한다. 이는 치료되는 다리에서의 과도한 부종의 제거로 인해, 환자의 다리 사이즈가 감소한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그러나, 반듯이 누운 자세(수면)에서는 압박 스타킹이 제거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정하게 높은 압박 레벨이 감소된 정맥압으로 인해 다리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탄성 압박은, 둘레 변화가 바디 움직임의 결과로서 발생할 때 제품이 스트레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탄성 압박과는 반대이다. 바디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것은 비탄성 압박 시스템 하에서의 실제의 압박 레벨이 상승하고 하락함으로써, 동적인 압박 시스템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비탄성 압박 시스템에 의한 압박 변화는 개선된 정맥 혈류역학 및 부종 감소에 놀라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비탄성 압박은, 비탄성의 조절가능한 랩뿐만 아니라, 운나부트(Unnas boot) 붕대, 쇼트-스트레치(short-stretch) 붕대, 다층(multi-layer) 붕대에 의해 성취된다. 또한, 이러한 압박 시스템은 하루 24시간 착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서 있고, 움직이고, 혈액 순환계에 대한 중력 영향에 대항하는 동안에, 압박 레벨이 필요로 할 때 가장 높기 때문이다. 압박 레벨은 반듯이 누워서 정맥압이 감소된 동안에 가장 낮다. 붕대 시스템이 동적인 압박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 시스템은 다리 사이즈의 감소에 조절하지 못하여 착용 동안에 압박 레벨이 떨어진다는 주요 결점이 있다. 이는 치료를 위한 적절한 압박을 유지하도록 붕대가 꽤 자주 제거되고 재적용되어야 한다. CircAid® 압박 의류와 같은 독특한 시스템은 즉각적으로 조절가능한 밴드를 가지므로, 다리 체적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압박 레벨이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최근에, 압박 시스템의 탄성 또는 강성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정적 강성 인덱스(Static Stiffness Index: SSI)로 지칭된다. 정적 강성 인덱스(SSI)는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로부터 반듯이 누운 자세로 바뀔 때 압박 의류에 의해 다리에 인가된 압박에 대한 절대 변화로서 정의된다. 서 있는 동안에 인가된 압력은 종종 작동압(working pressure)으로 지칭되는 한편, 반듯이 누운 동안에 인가된 압력은 안정압(resting pressure)으로 지칭된다. 1OmmHg 미만의 절대 작동-안정압 차이(bsolute working-resting pressure difference)를 갖는 시스템은 탄성 시스템으로 자격이 있다. 1OmmHg 이상의 차이를 갖는 것은 비탄성 시스템으로 고려된다.
모든 압박 시스템은, 그 시스템이 제공하는 절대 압박 레벨뿐만 아니라, 활동 또는 정적 강성 인덱스 동안에 압박 레벨이 변동하는 양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스타킹은 20-30mmHg의 압박 레벨을 제공하지만 5mmHg의 SSI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비탄성 랩은 20-30mmHg의 압박 레벨을 제공하지만 20mmHg의 SSI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가지의 시스템 사이에는 치료학적인 차이가 존재함을 입증하고 있다. 탄성 시스템이 다리 체적 변화와 더욱 일치하고 보다 적은 조절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바람직할 수 있지만, 그 조건은 비탄성 의류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혈액 순환 성능을 위한 필요성에 좌우할 수 있다. 20-30mmHg를 제공하고 10mmHg의 SSI를 제공하는 압박 의류가 존재한다면, 이는 아마도 특정 환자를 위한 이점에 대한 최선의 조합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박 의류는 아마도 존재할 수 없어서 현재의 의류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제품은, 제공하는 목표 압박 레벨에 의해 규정 및 처방되어 왔고, 일반적으로 탄성 또는 비탄성으로 명명된다. 제공하는 작동압 및 안정압 레벨은 변경될 수 없다. 일부 압박 의류는 다수 처방의 압박 레벨을 수용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조절가능한 압박 레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있지만, 이러한 의류의 정적 강성 인덱스는 비교적 변화되기 않고 유지된다. 그런데도, 의류 또는 그 의류 일부의 정적 강성 인덱스를 그 특유의 필요성을 만족하도록 처방된 레벨로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압박 시스템은 설계되어야 한다.
광범위하게, 본 발명은 초기의 탄성 프로파일 및 압박 변동 범위를 갖는 제1 재료로 이루어진 압박 의류를 제공한다. 제1 재료에 제2 재료가 추가됨으로써, 탄성 프로파일을 즉각 변경한다. 결국, 이는 통상적인 착용 동안에 (예컨대, 누운 자세로부터 서 있는 자세로의 다리 둘레가 변화함에 따라) 의류가 환자의 다리에 인가하는 압박 변동의 범위를 즉각적으로 변화시킨다.
바람직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b)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압박 의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상부에 둘러싸이거나(즉, 평행하게 인가됨) 또는 상기 제1 부분에 연속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상의 상기 제2 부분의 부착이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상기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한다. 더욱이, 설계 시에,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치수는, 상기 의류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각각에 의해 덮이는 상기 바디부 둘레의 상대량이 착용 동안에(즉, 환자의 자세가 변함에 따라 바디부의 직경이 변함에 따라)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compression level fluctuation)을 인가하는 의류가 되도록 선택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은 탄성일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비탄성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2 부분을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의류를 더욱 강성이 되게 하고, 덜 탄성이 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 각각을 위해 특정한 탄성 또는 비탄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들 부분은 (제2 부분이 덜 탄성인 상태로) 상이하지만, (제2 부분을 평행하게 추가하면 단순히 의류를 더욱 두껍게 하므로, 덜 탄성이 된 상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2 부분 상에 보유되거나, 또는 소정 위치에 바느질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은 탄성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패브릭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결정된다. 패브릭 인장력 및 다리 둘레가 알려질 때 압박 레벨이 알려지기 때문에, 둘레 등급(circumference scale)은 스트레치된 거리를 인가된 압박 레벨로 바꾼다. 이는 착용 동안에 환자의 다리가 증감함에 따라 환자의 다리에 알려지고, 예측가능한,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제공하도록 의류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리 둘레를 둘러싸기 위해 연장되는 밴드를 갖는 장치인) "스타킹/글러브" 또는 "압박 랩"과 같은 각종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에는 표시자(indicia)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상기 제2 부분(예컨대, 스트랩, 플랩 또는 폴드)이 상기 표시자와 정렬될 때, 상기 압박 의류가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제공하도록 보정(calibrate)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자는 2개 이상 세트의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세트는 상이한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세트의 표시자로부터 다른 표시자로 상기 제2 부분을 단순히 움직임으로써 하나의 알려진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으로부터 또 다른 알려진 범위의 압박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제2 단부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탄성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더욱이, 상기 표시자는 상기 제1 부분보다는 상기 제2 부분 상에 놓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압박 의류의 길이를 따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의류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범위의 압박 변동을 제공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부분은 부분적으로 연장되지만, 압박 의류의 제1 부분의 길이를 따라 완전히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정확하게 알려진 압박 레벨 변동 범위를 갖는 압박 의류를 제공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2가지 이상의 알려진 압박 레벨 변동 범위들 사이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조절가능한 부분에 대한 다수 규정된 결합 지점은 압박 레벨 변동 범위를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알려진 압박 레벨 변동 범위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새로운 범위 레벨로 조절될 수 있도록 쉽게 착용되는 압박 스타킹을 제공한다. 스타킹은 종종, 작동압 및 안정압이 의류가 제공하려는 기본적인 압박 레벨과 다른 의류에 걸쳐 정적인 압박 레벨을 제공한다. 정맥혈 흐름을 추가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마사지 또는 펌핑 변동 압력 효과를 형성하도록 종아리 영역에만 작동압 및 압박 레벨 변동 범위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중간 섹션을 갖는 압박 랩을 제공하며, 상기 중간 섹션으로부터 밴드가 연장된다. 의류를 설계할 때 상기 의류의 제1 및 제2 부분에 대한 상대 비율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의류는 다리 둘레에 둘러싸일 때 알려지고 예측가능한 범위의 동적인 압박력 변동을 제공한다. 착용 동안에 받는 압력 변동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어느 부분의 탄성이 바뀔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움직임 동안에 다리의 본래 둘레 변화보다는 압력 변동이 공압적으로 유도되는 팽창가능한 압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가 팽창하고 수축함에 따라 다리에 예측가능한 범위의 압박 변동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부분의 비율이 설계 또는 변경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탄성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바디부에 제1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인가하는, 상기 제1 부분의 제공 단계; 및 (b)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2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박 의류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압박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함으로써, 제1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으로부터 제2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으로 상기 의류에 의해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 범위를 변경한다.
본 방법에서, 상기 제2 부분의 폭은, 상기 바디부 둘레에 끼워지는 둘레 내에 상기 제1 부분이 스트레치되는 거리가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력 변동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1 부분의 원주에 대한 상대 백분율이 선택되도록 선택된다. 초기의 설계 과정 동안에, 상기 제2 부분의 선택된 폭을 증대시키면,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압박력 변동을 증대시키는 한편, 상기 제2 부분의 선택된 폭을 감소시키면,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압박력 변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도 1a 내지 3은 각종 탄성 및 비탄성 재료들의 스트레칭 및 압박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이기 전의) 원통 형상으로 둘러싸인 탄성의 패브릭 압박 의류에 대한 개략도,
도 1b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스트레치되어 제1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c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 스트레치되어 제2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d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더 스트레치되어 제3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a는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이기 전의) 원통 형상으로 둘러싸이며 비탄성 섹션을 부착한 탄성의 패브릭 압박 의류에 대한 개략도,
도 2b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스트레치되어 제1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c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 스트레치되어 제2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d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더 스트레치되어 제3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3은 비탄성 섹션을 부착한 탄성의 압박 의류와 비교된 탄성 압박 의류에 대한 인장 및 스트레칭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탄성 압박 의류에 의해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비탄성 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탄성 압박 의류에 의해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탄성 압박 의류의 보다 큰 부분이 비탄성 랩에 의해 덮인, 도 4b와 유사한 도면,
도 5a는 종아리에 부착된 단일의 비탄성 플랩을 갖는 탄성 압박 스타킹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종아리 위치에서의 도 5a의 압박 스타킹을 통한 절결 평면도,
도 6a는 그 자체 상에 다시 고정된 단일의 비탄성 스트랩에 의해 덮인 개구를 갖는 탄성 압박 스타킹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압박 스타킹을 통한 절결 평면도,
도 7 내지 44는 압박 랩 의류에 내장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7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위치되기 전에, 연장되는 밴드를 갖는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인 후의, 도 7의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좁은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넓은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3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테이퍼진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5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테이퍼링이 반대방향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7은 2개의 대향하는 제1 부분들 사이에서 제2 부분이 스패닝하는 상태의 압박 랩으로서, 제1 및 제2 부분이 의류의 원주 둘레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도면,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9는 의류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지 않는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1은 의류의 최상부 대 하부 길이로 연장되는 3개 재료층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3은 3개 재료층을 갖는 압박 랩으로서, 3개 재료 각각은 의류를 따라 상이한 상부 대 하부 길이로 연장되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5는 만곡된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7은 제2 부분이 제1 부분의 전체 폭을 스패닝하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9는 작은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1은 서로에 대해 연속하게 인가된 3개의 작은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도 3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3은 제1 재료로 제조된 밴드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메인 바디 섹션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도 3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5는 도 33과 유사하지만 삼각형 부분을 추가한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3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7은 제2 부분 상에 한 쌍의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3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9는 제2 부분 상의 한 세트의 표시자가 잘린 후에 제2 부분 상에 단일 세트의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3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41은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4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43은 제1 부분 상에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고, 제1 부분에 제2 부분을 추가한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도 4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a는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이기 전의) 원통 형상으로 둘러싸인 탄성의 패브릭 압박 의류에 대한 개략도,
도 1b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스트레치되어 제1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c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 스트레치되어 제2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1d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더 스트레치되어 제3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1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a는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이기 전의) 원통 형상으로 둘러싸이며 비탄성 섹션을 부착한 탄성의 패브릭 압박 의류에 대한 개략도,
도 2b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스트레치되어 제1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c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 스트레치되어 제2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2d는 의류가 다리 둘레에 더욱더 스트레치되어 제3 위치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후의, 도 2a에 대응하는 개략도,
도 3은 비탄성 섹션을 부착한 탄성의 압박 의류와 비교된 탄성 압박 의류에 대한 인장 및 스트레칭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탄성 압박 의류에 의해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비탄성 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탄성 압박 의류에 의해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탄성 압박 의류의 보다 큰 부분이 비탄성 랩에 의해 덮인, 도 4b와 유사한 도면,
도 5a는 종아리에 부착된 단일의 비탄성 플랩을 갖는 탄성 압박 스타킹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종아리 위치에서의 도 5a의 압박 스타킹을 통한 절결 평면도,
도 6a는 그 자체 상에 다시 고정된 단일의 비탄성 스트랩에 의해 덮인 개구를 갖는 탄성 압박 스타킹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압박 스타킹을 통한 절결 평면도,
도 7 내지 44는 압박 랩 의류에 내장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7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위치되기 전에, 연장되는 밴드를 갖는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인 후의, 도 7의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좁은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넓은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3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테이퍼진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5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테이퍼링이 반대방향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7은 2개의 대향하는 제1 부분들 사이에서 제2 부분이 스패닝하는 상태의 압박 랩으로서, 제1 및 제2 부분이 의류의 원주 둘레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도면,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9는 의류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지 않는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1은 의류의 최상부 대 하부 길이로 연장되는 3개 재료층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3은 3개 재료층을 갖는 압박 랩으로서, 3개 재료 각각은 의류를 따라 상이한 상부 대 하부 길이로 연장되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5는 만곡된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7은 제2 부분이 제1 부분의 전체 폭을 스패닝하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9는 작은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1은 서로에 대해 연속하게 인가된 3개의 작은 제2 부분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도 3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3은 제1 재료로 제조된 밴드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메인 바디 섹션을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도 3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5는 도 33과 유사하지만 삼각형 부분을 추가한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3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7은 제2 부분 상에 한 쌍의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37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39는 제2 부분 상의 한 세트의 표시자가 잘린 후에 제2 부분 상에 단일 세트의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39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41은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는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41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43은 제1 부분 상에 위치설정 표시자를 갖고, 제1 부분에 제2 부분을 추가한 압박 랩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도 43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a 내지 3은 환자의 다리(limb) 둘레에 둘러싸인 압박 의류에 형성된 각종 탄성 및 비탄성 재료들의 스트레칭 및 압박 특성을 도시한다. 의류에 의해 인가된 피부 압박 레벨은 재료의 스트레치 특성, 의류의 둘레 및 인가하는 다리의 둘레에 의해 결정된다. 그 결과적인 피부면 압력은 하기에 기술된 실린더를 위한 La Place 법칙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T=Pr
여기서, T= 실린더 내의 벽 인장력
P= 내부압
r= 실린더의 반경
치료용 압박 의류의 경우, 실린더(T) 내의 벽 인장력은 원통형 의류의 재료가 다리 둘레에 스트레치되는 크기이다. 이에 따라, 일정한 반경의 다리의 경우, 다리 상의 압박력은 의류를 스트레칭함으로써 증대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의류 내의 인장력은 스트레칭함으로써(다리의 반경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그 자체 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의류를 단축함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다음과 같다. 압박 의류(10)는 다리(L) 둘레에 둘러싸인다. 도 1a는 사용 전의 의류를 도시한다. 의류(10)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12, 14, 16, 18)를 갖는다. 도 1a에서, (다리(L)가 아직 삽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 내에 인장력이 없고, 내측방향 압력이 없다.
도 1b에서, 의류(10)는 다리(L) 둘레에 끼우도록 래핑되고 다소 스트레치되어 있고, 파스너(12)는 파스너(14) 상에 연결된다. 의류의 스트레칭은 벽 인장력을 T1으로 증대시킨다. 결국, 이는 다리 상의 압박 압력을 P1으로 증대시킨다.
도 1c에서, 의류(10)는 파스너(12)가 파스너(16)에 연결하도록 다리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스트레치된다. 이에 따라, 의류에서의 인장력이 T1에서 T2로 증대되고, 그에 따라 다리 상의 내측방향 압력은 P1에서 P2로 증대된다. 도 1d는 파스너(12)가 파스너(18) 상에 연결되는 의류의 훨씬 더 스트레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인장력은 T3으로 더욱 증대되고, 다리 상의 대응하는 내측 반경방향 압력은 P3로 증대된다.
도 1b 내지 1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의류 내의 인장력(T)을 증대시키면, 다리의 반경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 내측 반경방향 압력(P)을 증대시킨다. 실린더를 위한 La Place 법칙에 의하면, 내측방향 압력(P)은, 다리의 반경이 증대되어 재료 내의 인장력이 반경이 증대된 것보다 높은 비율로 증대된다면 증대될 것이거나, 또는 다리의 반경이 감소하고 재료 내의 인장력이 반경보다 높은 비율로 감소해야 한다.
도 2a 내지 2d는 도 1a 내지 1d와 유사하지만, 비탄성 스트랩(15)이 탄성 압박 의류(10) 상에 부착되어 있다. 도 2a는 사용 전의 의류를 도시한다. (다리(L)가 삽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 내에 인장력이 없고, 내측방향 압력이 없다.
도 2b에서, 의류(10)는 둘러싸여서 다리(L) 둘레에 끼우도록 다소 스트레치되어 있고, 파스너(12)는 파스너(14) 상에 연결된다. 비탄성 부분(15)에 의해 덮인 탄성 의류(10)의 일부는 비탄성으로 스트레치될 것이다(즉, 대체로 강성을 유지하고, 적어도 매우 적게 스트레치될 것이다). 비탄성 부분(15)에 의해 덮이지 않은 의류(10)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스트레칭은 벽 인장력을 T1으로 증대시킨다. 결국, 이는 다리 상의 압박 압력을 P1으로 증대시킨다. 중요하게, (전체 둘레가 탄성인 도 1에 비해) 탄성 재료가 덜 스트레치되기 때문에, 도 2b에서의 인장력(T1)은 도 1b에서의 인장력(T1)보다 높을 것이다.
도 2c 및 2d는 파스너(12)가 파스너(16, 18) 각각에 연결하도록 다리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스트레치되어 있는 의류(10)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의류 내에서의 인장력은 T2에서 T3로 증대되고, 그에 따라 다리 상의 내측방향 압력은 P2에서 P3로 증대된다. 비탄성 스트랩(15)이 존재하면, 도 2c에서의 인장력이 도 1c에서보다 크고, 도 2c에서의 내측방향 압박(P2)이 도 1c에서보다 크도록 보장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중요 특징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비탄성 부분(15)에 의해 덮여야 하는 탄성 의류(10)의 원주량에 대한 선택이 의류 조립체의 강성을 결정한다. 설계자(또는 사용자)가 (바디 다리의 둘레보다 작게 둘러싸는) 보다 좁은 밴드(15)를 부착한다면, 전체 의류 조립체는 보다 탄성이 될 것이다. 반대로, 설계자(또는 사용자)가 (바디 다리의 둘레보다 크게 둘러싸는) 보다 넓은 밴드(15)를 부착한다면, 전체 의류 조립체는 덜 탄성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탄성이고 비탄성인 원주의 상대 백분율이 소정의 다리 둘레를 위해 소정의 압박력 또는 프로파일을 인가하도록 선택되는 압박 의류에 대한 설계를 포함한다.
이는 압박 패브릭 내의 인장력이 패브릭 내에 형성된 스트레치의 백분율에 직접 비례하기 때문이다(즉, 패브릭의 길이가 스트레치됨). 따라서, 탄성 재료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재료 내의 스트레치 및 힘의 백분율이 증대한다. 인장력의 이와 같은 증대는 다리에 인가된 압력을 증대시킨다. 탄성 재료의 스트레치/힘 특성이 알려진다면, 압력 범위는 상이한 다리 둘레를 위해 연산될 수 있고, 인장력은 특정 다리 둘레를 위한 압박 레벨을 형성하도록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다리 둘레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압박 레벨들 사이의 변동량이 바뀔 수 있다. 탄성 재료 대 비탄성 재료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파스너(14, 16, 18) 위치 각각에 표시자가 위치되면, 의류의 알려진 스트레치 정도를 위한 대략의 기본적인 압박 레벨이 교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스너 위치(14, 16, 18) 위치 각각에 근접할 때 대략의 압박력이 그들의 다리 상에 있음을 환자는 알게 된다. 그러나, 정확한 압박 레벨은 매일 바뀌는 다리의 실제 둘레와, 의류의 강성 프로파일 양자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의류의 전체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것이지, 의류가 제공하는 대략의 기본적인 압박 레벨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은 인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평탄하게 놓인 도 1 및 2의 의류에 대한 인장력 및 스트레칭 특성을 도시한다. 상부에서 하부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부분(10)은 인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동일한 탄성 부분(10)은 (그 단부가 거리(d1)로 스트레치되도록) 인장력(10)을 인가한 상태로 도시된다. 탄성 부분(10)은 비탄성 부분이 부착되고 인장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부분(10, 15)은 동일한 인장력(T)이 인가된 상태로 도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15)은 스트레치되지 않고 (그 바로 아래의 부분(10)도 스트레치되지 않는다). 그 결과, 의류는 위치(d2)로만 스트레치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탄성 부분(10) 상에 비탄성 부분(15)을 추가하면, 전체 의류 조립체를 더욱 강성이거나 덜 탄성(그리고 스트레치에 더욱 큰 저항성)이게 한다.
도 4a 내지 4c는 탄성 의류에 의해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의 통상적인 범위; 짧은 비탄성 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탄성 의류; 및 보다 긴 비탄성 랩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 탄성 의류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리 둘레에 둘러싸인 탄성 의류를 도시한다. 탄성 의류의 통상적인 착용 동안에, 다리 둘레는 변한다. 예를 들면, 누워 있을 때, 다리는 R11의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것이다. 다리 상의 압박력은 P1이 될 것이다. 서 있을 때, 다리는 R12의 (보다 큰) 반경을 가질 것이다. 다리 상의 압박력은 P2이 될 것이다. 의류(10)의 탄성이 높기 때문에, 다리의 직경 변화를 수용하도록 쉽게 스트레치될 것이다. 그 결과, 누워 있는 동안의 압력(P1)(즉, 20mmHg)은 서 있는 동안의 P2(즉, 23mmHg)로 약간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에 인가된 압박 범위는 하루 동안에 작은 범위(즉, 3 mmHg) 내에서만 변할 것이다.
도 4b는 탄성 부분(10)에 부착된 짧은 비탄성 스트랩(15)을 도시한다. 의류를 입은 후에 제2 부분(15)을 추가하면, 의류가 덜 탄성이 되게 하고, 보다 높은 강성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경우, 환자에게 인가된 기본적인 압박 레벨은 동일하다(20mmHg). 그러나, 서 있는 동안의 압력(P2)은 증대된다(즉, 30mmHg). 인가된 압박 범위는 하루 동안에 더욱 크게 변동할 것이다(10mmHg). 이에 따라, 도 4b는 본 발명의 중요 특징부를 도시하며, 재료의 제1 부분에 재료의 제2 부분을 부착하여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함으로써 다리에 인가된 압력 레벨 변동의 범위를 즉각적으로 변경한다.
마지막으로, 도 4c에서, 탄성 부분(10)은 파스너(14 내지 18)의 위치로부터 비탄성 부분(15)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레치된다. 이는 다리에 인가된 압박 범위를 20에서 40 mmHg로 증대시킬 것이다. 기본적인 압력은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20mmHg로 동일하게 유지한다. 도 4c는 (파스너(18)에 고정함으로써) 보다 큰 비탄성 재료를 추가하는 것이 변동 범위를 20mmHg(즉, 40mmHg-20mmHg=20mmHg)로 증대시킴을 도시한다. 이는 도 4a 및 4b에서 보이는 것보다 훨씬 크다.
작동 순서는 기본적인 압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치료학적으로, 의류를 입기 전에 비탄성 재료(15)가 추가되면, 증대된 압력 변동 범위와 함께 기본적인 압력이 증대할 것이다. 이는 착용 전 또는 후에 제2 부분(15)을 추가하는 것이 기본적인 압박 레벨 및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 또는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만을 변경하는 경우에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 5a 내지 6b는 탄성 압박 스타킹에 내장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종아리에 부착된 단일의 비탄성 플랩(30)을 갖는 탄성 압박 스타킹을 도시한다. 도 5b는 종아리에서의 압박 스타킹을 통한 절결 평면도이다. 사용시에, 사용자는 우선 스타킹을 끌어당긴 다음, (비탄성 스트랩(30) 상의 파스너(14)에 탄성 의류(20) 상의 파스너(12)를 부착함으로써) 비탄성 플랩(30)을 부착한다. 제2 부분(30)을 추가하면, 의류의 강성 프로파일을 변경하여 더욱 강성이 되고 덜 탄성이 되게 하므로, 종아리에 보다 높은 범위의 압박력 변동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걷는 동안에 종아리가 굴곡함에 따라)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한다.
도 6a는 비탄성 제2 부분(15)을 부착한 상태의 탄성 제1 부분(10)을 도시한다. 탄성 부분(10)에 비탄성 부분(15)을 추가하면, 다리에 인가된 압박력 범위를 증대시킨다. 더욱이, 위치(14, 16, 18)에 고정되도록 탄성 부분(10)을 스트레칭함으로써, 인가된 압박력 범위는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스너(12)가 파스너(14)에 부착되면, 의류는 20 내지 30mmHg의 압박력을 인가할 수 있다. 파스너(12)가 파스너(16)에 인가되면, 의류는 30 내지 40mmHg의 압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스너(12)가 파스너(18)에 인가되면, 의류는 40 내지 50mmHg의 압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들 압력 범위는 인가된 기본적인 압박 레벨이며, 의류의 강성에 관련된 압박 범위 변동과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의류가 착용되면, 비탄성 부분은 둘러싸여 비탄성 부착 영역에 부착됨으로써,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시키고, 착용 동안에 보다 큰 압박 레벨 변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 내지 44는 압박 랩에 내장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기 전에 연장되는 밴드(102)를 갖는 표준 압박 랩(100)을 도시한다. 도 8은 환자의 다리 둘레에 둘러싸인 후의, (서로 병치된 밴드(102)를 도시하는) 도 7의 압박 랩이다.
도 9는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도 7에 비해 착용 동안에 의류의 길이를 통해 탄성을 감소시키고 보다 큰 압박 레벨 변동을 유도하도록 좁은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탄성 부분(130)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탄성 부분(100)에 부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소정 위치에 바느질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도 7 및 9에 비해 착용 동안에 의류의 길이를 통해 탄성을 더욱 감소시키고 보다 큰 압박 레벨 변동을 증대시키도록 넓은 비탄성 부분(130)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11에서의 의류 조립체는 도 9에서의 의류 조립체보다 강성일 것이다.
도 13은 도 7의 표준의 탄성 압박 랩이지만, 테이퍼진 비탄성 부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의류는 상부(즉, 비탄성 부분(130)이 가장 넓은 단부)에서 강성이고, 하부(즉, 비탄성 부분(130)이 가장 좁은 단부)에서 덜 강성일 것이다. 보다 큰 압박 레벨 변동은 의류의 하부보다 상부에서 착용 동안에 받을 것이다. 도 14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테이퍼링이 다른 방향인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5에서, 의류는 상부에서 가장 탄성이 크고, 하부에서 가장 탄성이 작을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보다 큰 압박 레벨 변동은 의류의 상부보다 하부에서 착용 동안에 받을 것이다.
도 17은 2개의 제1 부분(100)들 사이에서 제2 부분(130)이 스패닝하는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분(100, 130)은 평행하기보다는 연속하게 작용한다. 도 18은 측면도이다.
도 19는 강성의 제2 부분(130)이 그 중간 섹션에 위치설정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의류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그 중간 섹션보다 큰 탄성일 것이다. 도 20은 측면도이다.
도 21은 3개 재료 부분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부분(140)은 부분(130) 상에 추가되므로, 도 17에서 보이는 것으로부터 강성 프로파일을 증대시킨다. 도 22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실시예와 비교가능하지만, 3개의 부분이 의류의 전체 상부 대 하부 길이를 주행하지 않는다. 도 24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만곡 부분(130)을 갖는 실시예이다. 의류는 부분(130)이 가장 넓은 영역에서 가장 강성이다. 도 26은 측면도이다. 변형적으로, 재료의 제1 부분(100)은 비탄성이고, 재료의 제2 부분(130)은 탄성이다. 이는 탄성 프로파일을 역전시킨다.
도 27은 제2 부분(130)이 의류의 전체 밴드 대 밴드 폭을 스패닝하는 실시예이다. 도 28은 측면도이다.
도 29는 큰 제1 부분(100)에 부착된 작은 제2 부분(130)을 도시한다. 도 30은 측면도이다.
도 31은 부분(100)을 가로질러 연속하게 부착된 3개의 제2 부분(130A, 130B, 130C)을 갖는 실시예이다. 도 32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메인 바디(100)가 제1 재료로 제조되고, 밴드(102)가 상이한 강성 프로파일을 갖는 제2 재료로 제조된 실시예이다. 도 34는 측면도이다. 각각의 밴드는 탄성을 변경할 수 있고, 이들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도 35는 제1 부분(100) 상에 부착된 삼각형 제2 부분(130)을 갖는 실시예이다. 도 36은 측면도이다. 비탄성 재료(130)는 종아리에서 구배 강성(gradient stiffness)을 유지하는 한편, 변드의 변경은 전체 의류의 강성 프로파일(stiffness profile)을 변경할 것이다.
도 37은 제2 부분(130) 상에 제1 및 제2 표시자(200, 202)를 갖는 실시예이다. 사용시에, 제2 부분(130)은 제1 또는 제2 세트의 표시자(200 또는 202)를 따라 트림(trim)될 수 있다. 선택되는 표시자에 따라서, 제2 부분의 나머지 양이 착용 동안에 바디부에 대한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도 38은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7과 동일한 실시예이지만, 제2 부분이 도 37에서 참조부호(200)으로 나타낸 표시자로 트림되어 있으므로, 착용 동안에 바디부에 대한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감소시키지만, 위치설정 표시자(202)의 한 세트만이 있다. 도 40은 측면도이다.
도 41은 표시자(200, 202, 204)를 갖는 실시예이다. 표시자는 소정의 압박 레벨 변동을 유도하도록 얼마나 많은 비탄성 재료가 추가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42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1과 유사하지만, 제2 부분(130)이 추가되어 있다. 도 44는 측면도이다. 재료(130)는 표시자와 맞추도록 트림될 수 있거나, 또는 의류 착용 전에 상이한 강성을 제공하도록 이들 영역에 스트레치되어 부착되는 잠재적으로 탄성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서, 각종 압박 의류가 제공된다. 이러한 압박 의류는 제1 및 제2 부분을 가지고, 다리 둘레에서의 이들 부분(및 사용된 재료)의 비율이 의류가 제공하는 상대 압박력 및 압박력 변동 범위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부분 상에는 표시자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다른 부분이 상기 표시자와 정렬될 때, 압박 의류가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 및/또는 압박력 변동을 제공하도록 보정(calibrate)된다. 바람직하게, 표시자는 표준 압박 유닛에서 압박 레벨 변동(예컨대, mmHg 또는 PSI)을 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30mmHg 마크를 선택하고, 이러한 마크를 비탄성 부분과 정렬하고, 착용 동안에 압박 레벨이 30mmHg로 증대하고 감소하는지를 알 수 있다.
Claims (14)
- 압박 의류(compression garment)에 있어서,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 및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상에 둘러싸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상의 상기 제2 부분의 부착이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상기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치수는, 상기 의류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각각에 의해 덮이는 상기 바디부 둘레의 상대량이 착용 동안에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compression level fluctuation)을 인가하는 의류가 되도록 선택되는,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바디부 둘레 주위로 완전히 연장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 둘레의 일부 주위에 둘러싸이는,
압박 의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는,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스타킹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스타킹에 부착된 밴드, 플랩 또는 스트랩인,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바디부 둘레를 둘러싸기 위한 밴드를 갖는 압박 랩(compression wrap)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압박 랩에 부착된 밴드, 플랩 또는 스트랩인,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상기 의류의 원주 둘레에 연속하여 부착되는,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에는 표시자(indicia)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표시자와 정렬될 때, 상기 압박 의류가 착용 동안에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제공하도록 보정(calibrate)되는,
압박 의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는 상이한 세트의 표시자를 포함하며, 각 세트는 상이한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에 대응하는,
압박 의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상에는 표시자가 포함되고,
상기 표시자의 위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표시자와 정렬될 때, 상기 압박 의류가 착용 동안에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제공하도록 보정(calibrate)되는,
압박 의류.
-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탄성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바디부에 제1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을 인가하는, 상기 제1 부분의 제공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상에 제2 부분을 부착하여, 상기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압박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으로부터 제2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으로 상기 의류에 의해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압박 의류에 의해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제2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의 강성을 증대시켜서, 상기 의류가 덜 탄성이 되게 함으로써 상기 바디부에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를 증대시키는,
압박 의류에 의해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는,
압박 의류에 의해 인가된 압박 레벨 변동의 범위를 변경하는 방법.
-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상기 바디부에 압박을 제공하는 제1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바디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제2 부분을 둘러싸거나 또는 부착하여, 상기 제1 부분 상의 상기 제2 부분의 부착이 제1 탄성 프로파일로부터 제2 탄성 프로파일로 압박 의류의 탄성 프로파일을 변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치수는, 상기 의류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 각각에 의해 덮이는 상기 바디부 둘레의 상대량이 착용 동안에 상기 바디부에 사전결정된 범위의 압박 레벨 변동(compression level fluctuation)을 인가하는 의류가 되도록 선택되는,
압박 의류를 설계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는,
압박 의류를 설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09852P | 2012-03-12 | 2012-03-12 | |
US61/609,852 | 2012-03-12 | ||
PCT/US2013/030626 WO2013138394A1 (en) | 2012-03-12 | 2013-03-12 | Adjustable elastic profile compression gar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280A true KR20140134280A (ko) | 2014-11-21 |
Family
ID=491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4558A KR20140134280A (ko) | 2012-03-12 | 2013-03-12 | 조절가능한 탄성 프로파일 압박 의류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9795171B2 (ko) |
EP (1) | EP2825143B1 (ko) |
JP (1) | JP2015513620A (ko) |
KR (1) | KR20140134280A (ko) |
AU (1) | AU2013232261B2 (ko) |
CA (1) | CA2863014C (ko) |
EA (1) | EA201491669A1 (ko) |
IL (1) | IL233690A0 (ko) |
MX (1) | MX2014010585A (ko) |
NZ (1) | NZ627780A (ko) |
TN (1) | TN2014000312A1 (ko) |
WO (1) | WO20131383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397912T1 (de) | 2004-10-11 | 2008-07-15 | Smm Medical Ab | Elektroaktive kompressionsbandage |
CN101404968B (zh) | 2006-01-13 | 2012-04-18 | 康沃特克科技公司 | 用于压缩治疗身体部位的装置、系统和方法 |
DE102014104800A1 (de) * | 2014-04-03 | 2015-10-08 | Aesculap Ag | Medizinische Befestigungseinrichtung sowie Referenzierungsvorrichtung und medizinisches Instrumentarium |
US10583046B2 (en) | 2015-08-12 | 2020-03-10 | Eric Wilson | Compression garments and uses thereof |
CA3017087C (en) | 2016-03-08 | 2019-10-01 | Pedilay Care Gmbh | Sock with stretchable sole part |
US11395752B2 (en) | 2016-06-30 | 2022-07-26 | Medi Usa, L.P. | Compression garment |
CH712939B1 (de) | 2016-09-20 | 2020-04-30 | Sigvaris Ag | Kompressionskleidungsstück |
CH712938B1 (de) | 2016-09-20 | 2020-04-30 | Sigvaris Ag | Kompressionskleidungsstück. |
DE102017101042A1 (de) | 2017-01-20 | 2018-07-26 | Julius Zorn Gmbh | Kompressionstextil zur postoperativen Kompressionsbehandlung einer Körperextremität |
US11051987B2 (en) | 2017-02-27 | 2021-07-06 | Sigvaris Ag | Method for tailoring a compression garment |
US10898390B2 (en) | 2017-02-27 | 2021-01-26 | Sigvaris Ag | Method and compression garment for establishing a compression to a human limb or body part |
DE102017005187A1 (de) | 2017-05-24 | 2018-11-29 | Bauerfeind Ag | Kompressionsstrumpf |
US11086297B2 (en) | 2018-12-04 | 2021-08-10 | Sigvaris Ag | Methods and systems for fabricating, evaluating and improving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s |
EP3875072A1 (en) * | 2020-03-05 | 2021-09-08 | Medi USA, L.P. | Compression garments for a limb of a person and method for donning them |
US11848095B2 (en) * | 2021-04-29 | 2023-12-19 | Lymphatech, Inc. | Identifying body part or body area anatomical landmarks from digital imagery for the fitting of compression garments for a person in need thereof |
USD1030237S1 (en) | 2022-06-10 | 2024-06-11 | Rhonda YOUNG | Garment |
JP7479033B2 (ja) | 2022-09-05 | 2024-05-08 | 恭史 白石 | 圧迫装具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5687A (en) | 1978-05-02 | 1980-08-05 | Shaw Frank D | Body or limb encircling therapeutic device |
US4198834A (en) * | 1978-05-15 | 1980-04-22 | Carolon Company | Elastic stocking with circumferentially adjustable upper thigh |
US5918602A (en) * | 1996-06-04 | 1999-07-06 | Circaid Medical Products, Inc. |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
US5906206A (en) * | 1996-06-04 | 1999-05-25 | Circaio Medical Products, Inc. |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
US5653244A (en) * | 1996-06-04 | 1997-08-05 | Circaid Medical Products, Inc. |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
US6338723B1 (en) * | 1998-09-16 | 2002-01-15 | Circaid Medical Produts, Inc. | Compression device with compression measuring system |
IT1319230B1 (it) * | 2000-10-20 | 2003-09-26 | Gloria Maglieria Elastica S R | Calza elastica compressiva composita a collocazione facilitata. |
US7329232B2 (en) * | 2004-02-27 | 2008-02-12 | Circaid Medical Products, Inc. | Limb encircling therapeutic compression device |
US7942838B2 (en) * | 2004-03-22 | 2011-05-17 | Farrow Medical Innovations, Inc. | Compression garment |
US7103921B1 (en) * | 2005-10-05 | 2006-09-12 | Shoemaker Dorothy M | Adjustable E-Z hold |
US8491514B2 (en) * | 2009-06-08 | 2013-07-23 | Farrow Medical Innovations Holdings Llc | Customizable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
FR2961389B1 (fr) | 2010-06-21 | 2013-05-10 | Innothera Topic Int | Orthese de compression/contention pour le renforcement de la pompe musculo-aponevrotique du mollet. |
FR2967051B1 (fr) * | 2010-11-10 | 2012-11-30 | Innothera Topic Int | Orthese sur mesure de compression/contention, pour le renforcement de la pompe musculo-aponevrotique du mollet. |
US8801645B2 (en) * | 2011-01-10 | 2014-08-12 | Circaid Medical Products, Inc. | Graduated compression device having separate body and bands |
-
2013
- 2013-03-12 MX MX2014010585A patent/MX2014010585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3-12 CA CA2863014A patent/CA2863014C/en active Active
- 2013-03-12 AU AU2013232261A patent/AU2013232261B2/en active Active
- 2013-03-12 US US13/797,932 patent/US9795171B2/en active Active
- 2013-03-12 NZ NZ627780A patent/NZ627780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3-12 KR KR1020147024558A patent/KR201401342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3-12 EP EP13761669.4A patent/EP2825143B1/en active Active
- 2013-03-12 EA EA201491669A patent/EA201491669A1/ru unknown
- 2013-03-12 WO PCT/US2013/030626 patent/WO201313839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3-12 JP JP2015500533A patent/JP2015513620A/ja active Pending
-
2014
- 2014-07-17 IL IL233690A patent/IL233690A0/en unknown
- 2014-07-17 TN TNP2014000312A patent/TN2014000312A1/fr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L233690A0 (en) | 2014-09-30 |
EA201491669A1 (ru) | 2014-12-30 |
MX2014010585A (es) | 2014-09-18 |
US9795171B2 (en) | 2017-10-24 |
JP2015513620A (ja) | 2015-05-14 |
EP2825143A4 (en) | 2015-09-16 |
AU2013232261B2 (en) | 2015-12-10 |
EP2825143A1 (en) | 2015-01-21 |
CA2863014A1 (en) | 2013-09-19 |
US20130283500A1 (en) | 2013-10-31 |
AU2013232261A1 (en) | 2014-08-14 |
WO2013138394A1 (en) | 2013-09-19 |
NZ627780A (en) | 2015-10-30 |
EP2825143B1 (en) | 2018-08-01 |
CA2863014C (en) | 2019-11-26 |
TN2014000312A1 (en) | 2015-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34280A (ko) | 조절가능한 탄성 프로파일 압박 의류 | |
US11076974B2 (en) |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 |
KR101488914B1 (ko) | 착용이 용이한 탄성 정맥 압박 보조기 | |
US20080249454A1 (en) | Compression sock | |
US9301552B2 (en) | Anti-slip stocking sole | |
US20150051523A1 (en) | Graduated compression device having separate body and bands | |
EP1974704B1 (en) | Compression device | |
US9226842B2 (en) | Sock with integrally knit support | |
US11723811B2 (en) | Compression garment having enhanced strap configuration | |
AU2014367269A1 (en) | Knitted compression garment and knitted fabric | |
US20100100024A1 (en) | Anti-slip Mechanism, Garment, and Methods | |
US20050177927A1 (en) | Universal chap-style compression stocking | |
US11602462B2 (en) | Reversible compression garment | |
BR112019020850B1 (pt) | Peça de vestuário de compressão reversível | |
NZ588934A (en) | Anti-slip compression stocking 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