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864A -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864A
KR20140132864A KR1020130051830A KR20130051830A KR20140132864A KR 20140132864 A KR20140132864 A KR 20140132864A KR 1020130051830 A KR1020130051830 A KR 1020130051830A KR 20130051830 A KR20130051830 A KR 20130051830A KR 20140132864 A KR20140132864 A KR 2014013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psychological
service
physical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우
Original Assignee
김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우 filed Critical 김행우
Priority to KR102013005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864A/ko
Publication of KR2014013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계량화된 힐링 서비스 모델
힐링 과정을 계량화하여 모바일 및 인터넷에서 그 진행 여부을 UCC로 촬영하고 완성도 여부을 상호 원격에서 체크하고 피드백 받을 수 있는 힐링, 웰니스 진행서비스 모델
신체 능력은 몸의 다섯 부분의 기본 자세를 따라 하게 하여 전문가와 일반인의 이완도 및 스피드,힘을 측정하게 하여 단계별 표시고 심리적 안정상태도 UCC 동영상의 측정 방법 및 특이점 에러 보정하는 방법 등을 체계화하여 신뢰성을 더 높여 동 비즈모델에서 사용된다.
- 계량 tool (심리생리 반응지수 , 오체이완도(경직도 / Power)
- 심리측정 모듈 (제시, 학습, 피드백 )
- 신체측정 모듈 (제시,학습, 피드백)
- Anti-aging module
- Knowledge based healing
- 치유용 컨텐츠
- 특이자 그룹
- 개인 맞춤형 콘텐츠 처방 모듈
- 힐링 진척도 관리 모듈

Description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easy measuring meathods for physical and psysiological changes on the face and the body using users created contents and the service model for healing and wellness using these techinics by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인터넷 및 모바일 환경하에 더 가중되는 현대사회에서 그 스트레스및 어떻게 관리하고 낮출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또한 노령화 되는 사회에서 건강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하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측정방법을 제공하며 실행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서구의 과학기술이 발전을 거듭해도 동양 철학에 관심이 더 높아 우리나라에도 선 센터 , 요가 등 이것에 대한 관심수요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 .
선, 요가라는 힐링법은 템플스테이나 선 센터 등에서 면(面)대 면(面) 전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IT기술과는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직도 일반인들에게는 구체적 접근이 어려운 머나먼 이야기꺼리이다.
그러나 IT 환경의 발전이 광대역화함에 따라 그 반대급부로 과 몰입에 따른 사회적 부조화와 이것의 치유에 대한 니즈가 발생하여 일부 참선, 요가 등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 연구가 태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역시 접근성 및 실용화 면에서 아직 요원한 상태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스마트 환경에서 실행가능한 툴로 계량화하는 방법을 찾는다면,
기존의 값비싼 자기공명장치나 뇌파 측정법 등의 방법을 쓰지 않고도 사람의 심리적 안정 상태 및 운동능력을 주변의 손쉬운 카메라의 이용하여 계수화하는 방법을 찾고 힐링의 단계별 추적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접근성 및 실용성을 높이면 그 효용이 지대할 것이다.
이에 사람의 심리 안정도 및 신체적 경직화 정도를 단계별 계수화하고 모델링하여 힐링 및 웰니스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수단과 방법을 제공코자 한다
인터넷, 모바일의 사용은 이미 보편화 되었으며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의 부가서비스는 계수화된 금융 서비스나 게임 등 데이터화 하기 쉬운 것부터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고 있으며, 스마트 환경 기술의 발달로 각종 센서화한 계측 모델이 융합 서비스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은 사람은 내부 심리도 및 이완,경직 정도에 따라 신체상의 변화가 반드시 일어나는 동양의 지혜에 착안한다.
사람의 신체를 감지하는 열 ,적외선, 자기공명 ,뇌파 ,혈압 ,등 다양한 측정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장비의 규모 및 가격으로 대중적인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심리적 안정은 뇌파의 떨림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호흡,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 별도의 장치를 가지고 계측하는 것은 불편함과 시간과 비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본 특허에서는 머리 및 얼굴의 특징점의 떨림을 계수화하고 이것을 기본 모델하여 의학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통계적 값을 이용, 특징점의 떨림으로 심리적 안정 단계로 레벨화하여 UCC 영상등 촬영 영상으로 그 심리단계의 안정도를 정하여 인터넷, 모바일을 이용한 힐링 서비스의 기본값으로 이용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신체는 오체이완도로 해석하며, 모션 캡쳐 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센서 없이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한 몸의 다섯 부분( 팔 ,다리, 목 ,등 ,배 )의 사전 정의된 특징점의 위치 값의 움직임을 사전 정의된 동작에 따라 측정하고 데이터 수집하여 그 경직도 및 POWER 를 물리법칙에 의거 계산하는 법으로서 기존의 카메라를 2대이상 설치 3차원 정보를 얻지 않고 서도 스마트폰의 카메라의 사전 정의된 동작의 2 차원정보로도 3 차원 정보에 맞는 해석이 되게 하여 역시 모바일,인터넷의 웰니스나 동작을 이용한 학습진척을 간편하게 관리하게하는 방법이다., 역시 통계적인 표준 모델링 기법을 도입하여 연령대 별(20 대 , 30 대 ,40 대, 50 대 ), 그룹별 ( 표준, 특이, 기타) 오체 이완도 및 스피드를 측정하여 신체의 노화 및 치유과정에 따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힐링 데이터로 활용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은, 몸속을 투과하는 빛 센서 등으로 혈류나 신경의 흐름을 측정하는 만능센서가 개발되기 전에는 불가한 일이겠으나, 오랜 동양의 지혜로서 인간의 마음이 움직이면 몸도 따라서 반응하며 이완되게도 경직되게도 한다는 것을 착안, 신체의 미세한 움직임을 이해하는 방법을 찾아 심리생리 반응지수 및 및 오체이완도 정도를 연산하고 이것을 힐링 서비스 등에서 계량적으로 이용하게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스마트 환경하에 가장 보편적인 동영상을 해석하여 간단하게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비용 및 접근성을 쉽게 하고, 주요 특징점의 변화 값 및 계층, 유형별 심리적인 안정상태 및 육체적인 건강한 사람 상태를 해석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스마트 환경에서 서비스를 받게 한다.
이런 과정에서 매우 용이하게 힐링 및 웰니스 과정을 추적하게 하는 보편적 동영상 해석 기술을 제안하고 이것을 이용한 서비스 모델이 탄생된다.
전술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전문가들의 시각으로 사용자를 인지하는 과학적 접근수단이 전제되어야 하나, 통상적인 전문가 면담이나 기존의 고가의 의학장비 등
특수 장치에 의존하여서는 그 비용이나 시간으로 볼 때 사업의 실현성이 낮은 상태이다.
그러나 스마트 환경에서 카메라의 고화질과 고속 프로세서속도에 사전 정의된 동작 및 방법에 의한 특징점 데이터 수집 및 연산으로 인체의 내부 스트레스 부하 정도 해석 및 신체경직도, 파워를 계산하는 수단 (오체이완도)은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특징점의 변화를 수집, 계산 , 피드 백까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주요 수단은
- 심리적 안정 상태를 추적하는 머리에서의 특징점의 위치 및 변화도 계산하는 방법
- 신체의 이완 및 경직도 측정하는 오체 이완도 및 측정하는 자세 및 데이터 수집 및 계산하는 법
- 간편한 UCC 영상 얼굴 및 신체 변화를 캐취 및 보정법
Mapping 및 그룹 모델링 및 사전 , 사후 피드백 하는 수단 및 방법
-힐링 UCC 컨텐츠 계량화 및 피드백 서비스 모델
힐링 및 웰리스 서비스 계량모듈 화하여 IT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모델로 힐링 과정에서 실제로 개선되어 가는 방법을 현실적으로 제시하고 사용자가 확인하게 하는 방법 및 서비스 모델이다.
-이용자의 신체상 변화 및 얼굴 값의 변화값에 의한 이력 표준 d/B와
-연령대 별 표준그룹 및 특이그룹 모델링 등
-타겟형 치유 컨텐츠 제시 및 힐링 이력관리 등 다양한 보편적 맞춤 서비스가 가능하다.
사람의 마음은 측정이 어려웠으나 심리생리 반응지수의 측정으로 간단한 카메라의 영상으로 그 안정성 여부를 계수적으로 수치화됨으로 스스로 자가진단하고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체 이완도는 건강한 사람과 비교한 통계적 데이터에 의거 ICT 서비스와 결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서비스 받음으로써 높은 효용의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비전되어온 참선이나 체조, 선 무술 등과 결합하여 보다 폭 넓게 이러한 Off Line 서비스를 인터넷과 모바일로 학습할 수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및 모델링이다.
대표도 참고
카메라 이용 사용자 심리 계량화를 통한 힐링 및 피드 백 서비스 모델
심리적 안정 상태나 신체적 이완 및 에너지를 기존 카메라 이용 계량화하여 측정하게 하고 이완상태나 치료되는 과정을 동작을 개인별 제시하고 피드백 받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힐링 및 강건한 신체를 만들어가는 서비스
- 피드백용 측정 모둘 및 학습모듈
- 표준 그룹 (ex: 20대, 30대, 40대, 50대 등 표준 값 제시)
- 운동 처방시 그 힐링 진척도 관리 모델
- 특이(질병관련)그룹 오체이완도 및 심리생리 반응지수
- 신체의 노화 및 힐링 개선치 통계치(Anti-Aging Module) 모형함 .
- 카메라, UCC 이용한 측정방법제시
이용자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자세 및 영상을 제공하고 손쉽게 촬영하여 전송
사전에 정의되어 불필요한 에러를 사전에 제거하게 하고 그룹별 객관화된
해석 정보를 제공하여 개연성 높은 서비스로 제공한다.
- 오체이완도도 부위별 기본 자세를 따라 하게 하여 전문가와 일반인의 이완도 및 스피드, 힘을 측정하게 하여 단계별 표시한다.
- 이것을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에서 쉽고 측정하는 방법 및 특이점 에러 보정하는 방법 등을 체계화하여 신뢰성을 더 높인다.
- 심리상태의 카메라 영상 특이점 통계 모델링을 통한 단계 세분화 방법
- 동영상 카메라에 의해 사전 정의된 특이점의 떨림도 및 변화 값 델타를 아주 짧은 시간 (밀리 세컨드) 측정하여 계수화하여 기존의 확보된 데이터 ( * 뇌파 등 과 MAPPING)와 비교하여 통계적 데이터화 하고 단계별로 계수화한다,
가칭 심리 생리 반응지수 (Physiological Responce Quoient)로 함.
- 신체 파워,이완도,학습도 UCC 영상이용 레벨 해석방법
- 신체의 이완 및 POWER는 신체를 특정 부위의 움직임을 카메라 촬영 영상 데이터로 수집하여 특징 포인트의 움직임을 약속된 동작의 3D 모션 캡쳐 영상과 비교한 값에 근거하여 UCC 2D 영상이라도 물리적 법칙을 해석하여 오체(팔, 다리, 목, 등,배)로 부위별 회전 및 직선운동의 회전각 및 각속도로 손발의 굴절도 및 각 스피드 ,직선 스피드를 데이터 수집하고, 레벨화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신체의 탄력이나 능력, 학습 정도를 해석하게 한다.
동 비즈 모델에서는 각 1에서 10으로 해석하여 오체 이완도 (5 Body Stiffness & Rediness Degree )라 칭한다.
심리 생리 반응지수 및 연산방법
신체의 변화는 아주 미묘하여 우주와 같이 데이터량이 많아 동질의 그룹별로 표
준 값을 추출하여 단순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데이터 수집도 정해진 방법에 의해
그 통계적으로 OUTLIE을 제거하여 서비스에 맞는 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수집 방법이 필요하다.
- 심리 생리 반응지수 수집 및 연산
머리의 꼭지점 (백회, 양안, 양 눈썹,양 눈꺼풀, 아래 꺼풀, 상하 입술의 미세 떨림 값 및 움직임을 측정하는데 측정 포인트는 센터 및 좌, 우 종단점 POINT 3곳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의 경과 값(점과 선)으로 단위 미세시간당 진동을 기본으로 하고 움직임 에러 제거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추출하여 연산.
- 기존의 데이터 분석 (뇌파 및 혈압 ,맥박)과 함께 임상 데이터 채취한 그룹데이터와 단계별 계수, 계량화하여 레벨화하여 통계적 데이터를 근거로 움직임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힐링 과정을 계량화한 힐링 & 웰니스 서비스 모델
상기의 서비스 모델로 힐링 과정을 계량화하여 모바일 및 인터넷에서 그 진행 여부을 UCC로 촬영하고 완성도 여부을 진단 받는 힐링 과정 및 웰니스 진행과정을
상호 원격에서 체크하고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서비스 모델
- 계량적 서비스
- 시스템 학습 모델 (Knowledge based healing)
- 정보취득 과정의 최적화 및 보정
여기에 측정 방법 및 기본적 연산 처리법을 표준화하고 동양적인 힐링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는 방법 및 모델화 과정을 자세, 움직임, 체조, 빠른 무술동작 과 연계하여 과정을 모델링하고 서비스 화한다. 오체이완도도 부위별 기본 자세를 따라 하게 하여 전문가와 일반인의 이완도 및 스피드, 힘을 측정하게 하여 단계별 표시한다.
여기에 이것을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에서 쉽고 측정하는 방법 및 특이점 에러 보정하는 방법 등을 체계화하여 신뢰성을 더 높인다..
1. 심리생리 반응 지수 (Physiological Responce Quoient) : 동영상 카메라에 의해 사전 정의된 특이점의 떨림도 및 변화값 델타를 아주 짧은 시간 (밀리 세컨드) 측정하여 계수화하여 기존의 확보된 데이터 ( * 뇌파 등 과 MAPPING)와 비교하여 통계적 데이터화 하고 단계별로 계수화 함.
2. 오체 이완도 (5 Body Stiffness & Rediness Degree) : 신체의 강건도 측정을 위하여 오체( 팔 ,다리 ,목 ,등 ,배) 부위별 회전 및 직선운동의 회전각 및 각속도로 손발의 굴절도 및 각 스피드 ,직선 스피드를 데이터 수집하고, 레벨화 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신체의 탄력이나 파워, 학습 정도를 해석,동 비즈 모델에서는 각 1에서 10으로 해석.
3. 특징점 데이터 : 확보된 동영상에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얼굴 및 신체 부위에 점과 선(Point to Point)으로 물리적 연산을 쉽게 해석하게 하기위한 부여한 점(Point).

Claims (5)

  1. 카메라 이용 얼굴 표정 떨림 이용한 심리생리 반응 지수 추출 및 측정 방법.
    보편적 동영상의 심리,이벤트 반응별 얼굴 미세 움직임을 DATA BASE화하는 것으로 즉, 머리의 꼭지점(백회), 양안, 양눈섭 ,양 눈 꺼풀 ,아래 꺼풀 , 상하 입술 등의 미세 떨림 값(센터, 좌, 우 종단점 3 곳의 값)을 측정한다.
    그 이벤트로 다양하게 심리측정, 영화보기, 광고보기, 진실게임 등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반응별로 측정된 델타 값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UCC로 별도의 추가장치 없이 간편한 해석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측정 포인트는 (도1) 특이점 추출 포인트로 설명되어 있으며 델타 값은 점,선의 단위 시간당 변화 값을 계산하며 그 측정방법은 (도2) 에 설명되어 있다.
  2. 심리생리 반응 지수와 뇌파 등 MAPPING 해석방법
    의학 데이터(뇌파, 맥박, 호흡 등)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고도, 심리생리 반응 지수를 통계적 의학 데이터와 사전에 MAPPING 하고 이벤트별 표준화한 반응값으로 해석하여 심리의 반응, 광고의 반응, 진실게임의 반응 값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벤트 분석 및 심리 분석에 사용한다. 그리하여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심리 해석이 가능하여 모바일 및 웹으로 힐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심리생리반응지수 해석방법이다.
  3. 신체 부위 동작 움직임에 따른 신체이완도 및 POWER 단계별 해석방법
    사전 정의된 2D 영상으로도 3D 해석이 가능하게 하는 약속된 동작의 사전 전송 및 해석으로 신체 POWER 및 에너지, 변화신체 이완도 변화의 물리적 법칙의 연산을 가능하게 한다. 신체는 다섯부위(오체 : 목, 두팔 ,두다리, 배, 등)이며 몸의 굴신과 양팔 다리 목의 회전 및 움직임을 측정하여 굴신도 및 POWER를 단계별로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이것을 개인별 부위별 확인 할 수있으며 진척도 관리에 쓰인다,.
    도 4는 신체이완경직도 해석을 위한 동작 데이터베이스화한 해석및 피드백 시스템을 설명한다.
  4. 2D UCC 이용 3D 모션 캡쳐 영상해석
    사전 정의된 동작으로 특이 포인트와 직선의 움직임 해석을 더하여 2D 영상을 주고 받아도 사전 정의하여 계산된 툴 과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3D 수치 데이터 재연이 되도록 하여 3D 모션 캡쳐 물리적 해석과 유사한 학습효과로
    유져들에게 3D 동작과 흡사한 서비스가 될 수 있게 한다.
    도 5는 2 D 영상으로 3D 해석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5. 사용자 심리 상태 및 신체 능력 계량화를 통한 힐링 제시 및 피드백 서비스 모델로 심리적 안정 상태나 신체적 이완 및 탄력도를 기존 카메라 등 이용 계량화하여 측정하게하고 이완상태나 치료되는 과정을 동작을 개인별 제시하고 피드백 받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힐링 및 강건한 신체를 만들어가는 서비스
    - 표준 데이터 베이스 모듈 (심리 MAPPING, 그룹 유형별 신체강건도 )
    - 심리측정 모듈 (제시, 학습, 피드백 )
    - 신체측정 모듈 (제시,학습, 피드백)
    - Anti-aging module
    - Knowledge based healing
    - 치유용 컨텐츠
    - 특이자 그룹
    도5는 힐링 ,웰니스서비스 를 위한 UCC 컨텐츠 계량화 및 피드백 서비스 도해함.
KR1020130051830A 2013-05-08 2013-05-08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KR20140132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830A KR20140132864A (ko) 2013-05-08 2013-05-08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830A KR20140132864A (ko) 2013-05-08 2013-05-08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864A true KR20140132864A (ko) 2014-11-19

Family

ID=5245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830A KR20140132864A (ko) 2013-05-08 2013-05-08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8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2261A (zh) * 2016-11-23 2017-02-01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一种心理健康治疗专用椅
KR20180070205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유니나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0166757A1 (ko) * 2019-02-14 2020-08-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과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한 스트레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210045552A (ko) * 2019-10-16 2021-04-27 임대열 머신 러닝을 이용한 사람의 감정 및 신체 상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2261A (zh) * 2016-11-23 2017-02-01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一种心理健康治疗专用椅
CN106362261B (zh) * 2016-11-23 2024-06-07 戚星宇 一种心理健康治疗专用椅
KR20180070205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유니나인 원격 미술 심리 상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0166757A1 (ko) * 2019-02-14 2020-08-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과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한 스트레스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210045552A (ko) * 2019-10-16 2021-04-27 임대열 머신 러닝을 이용한 사람의 감정 및 신체 상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pecci et al. The kimore dataset: Kinematic assessment of movement and clinical scores for remote monitoring of physical rehabilitation
Albert et al. Evaluation of the pose tracking performance of the azure kinect and kinect v2 for gait analysis in comparison with a gold standard: A pilot study
WO2020257777A1 (en) Wearable joint tracking device with muscle activity and methods thereof
US201503277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visualizing live kinetic and kinematic data for the musculoskeletal system
WO2019079489A1 (en) MEASUREMENT OF BODY MOVEMENT IN A DISEASE OF MOVEMENT DISORDERS
KR20140054197A (ko) 환자에 의해 관리되는 물리 재활치료를 증강시키기 위한 비침습적 모션 추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erraris et al. Monitoring of gait parameters in post-stroke individuals: A feasibility study using rgb-d sensors
Colantonio et al. Computer vision for ambient assisted living: Monitoring systems for personalized healthcare and wellness that are robust in the real world and accepted by users, carers, and society
Rahman Multimedia environment toward analyzing and visualizing live kinematic data for children with hemiplegia
KR20140132864A (ko) 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 변화의 동영상 이용 간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힐링서비스
Breedon et al. Enhancing the measurement of clinical outcomes using microsoft kinect
Hovareshti et al. VestAid: a tablet-based technology for objective exercise monitoring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García-de-Villa et al. A database of physical therapy exercises with variability of execution collected by wearable sensors
Sipari et al. SANE (Easy Gait Analysis System): Towards an AI-assisted automatic gait-analysis
US116367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using a mobile device
KR20140082449A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의 건강 및 재활 장치
Guaitolini et al. Evaluating the accuracy of virtual reality trackers for computing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grawal et al. IoT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of human heart: An Android application
Godfrey et al. Digital health: Exploring use and integration of wearables
WO2016172549A1 (en) Activity and exercise monitoring system
US12009083B2 (en) Remote physical therapy and assessment of patients
CN108804246A (zh) 上肢康复机器人的可用性评价方法
Basmaji et al. Posture detection framework using the internet of wearable things
Wang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n exergame system of knee with the Azure Kinect
Myllymäki et al. Concurrent validity and repeatability of inertial sensor gait analysis system for the measurement of gait parameters of young healthy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