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804A -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804A
KR20140132804A KR1020130050833A KR20130050833A KR20140132804A KR 20140132804 A KR20140132804 A KR 20140132804A KR 1020130050833 A KR1020130050833 A KR 1020130050833A KR 20130050833 A KR20130050833 A KR 20130050833A KR 20140132804 A KR20140132804 A KR 2014013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elements
home application
mobile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557B1 (ko
Inventor
전보경
이근찬
임규민
한정일
정우람
박창호
유인영
Original Assignee
(주)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카오 filed Critical (주)카카오
Priority to KR2013005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57B1/ko
Priority to JP2016512833A priority patent/JP6244015B2/ja
Priority to PCT/KR2014/004051 priority patent/WO2014182067A1/ko
Publication of KR2014013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추출된 요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FOR DISPLAYING WIDGET ON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의 운영체제(OS)는 크게 애플(Apple)사의 iOS와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Android)로 나누어 진다. 애플사의 iOS는 애플 제품의 전용 운영체제로서, 정해진 메뉴와 화면구성을 따라야 한다. 반면, 구글사의 안드로이드는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사의 운영체제를 인정하고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는 소스 코드를 일반에게 공개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풍부하고 통합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안드로이드의 장점 중 하나는 위젯(Widget)과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이다. 위젯은 웹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응용프로그램을 말하며, 런처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Android)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초기 화면을 사용자의 취향대로 바꿔주는 모바일 앱(App)을 말한다.
기존의 안드로이드 위젯은 위젯의 크기 조절이 불가능 하거나, 일부 제한적인 크기의 변화만을 제공하였다. 또한, 런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테마를 적용시키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어 권한은 제한적이었다.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위젯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위젯의 구성요소, 배치 또는 정보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런처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마를 변경 시, 위젯의 테마까지 일괄 변경시킬 수 있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마 변경 및 위젯의 테마 변경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추출된 요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위젯 실행부를 포함하되, 표시부는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추출된 요소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위젯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위젯의 구성요소, 배치 또는 정보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런처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마를 변경 시, 위젯의 테마까지 일괄 변경시킬 수 있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마 변경 및 위젯의 테마 변경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위젯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 표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테마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세부 테마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경화면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 표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젯 표시 시스템(1)은 서버(10) 및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젯 표시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젯 표시 시스템(1)은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위젯 표시 시스템(1)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1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와 복수의 디바이스(20)를 연결하는 제 1 네트워크와 디바이스(21)와 디바이스(22)를 연결하는 제 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는 광대역 네트워크이고, 제 2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때, 광대역 네트워크의 일 예는 LTE 네트워크이고, 근거리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reless LAN이다.
서버(10)는 위젯 표시 시스템(1) 내의 노드들간의 데이터를 중계한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2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의 일 예는 MIM(Mobile Instant Messenger) 메시지, SNS 메시지 또는 게임 메시지이다. 또한, 서버(10)의 일 예는 컨텐츠 제공 서버, 컨텐츠 서비스 제공자 서버, 미디어 서버, 헤드 엔드 등 다양하다.
서버(10)는 위젯과 관련된 정보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이 실시간 정보형 위젯이면, 서버(10)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위젯과 관련된 실시간 정보를 디바이스(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위젯의 실시간 정보에 대한 갱신을 요청 받으면, 서버(10)는 디바이스(20)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정보를 디바이스(2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형 위젯은 예를 들어, 날씨, 주식, 교통정보, 뉴스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이 멀티미디어형 위젯이면, 서버(10)는 디바이스(20)로부터 멀티미디어를 요청받고, 요청받은 멀티미디어를 디바이스(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의 일 예는 음악 컨텐츠 또는 비디오 컨텐츠이며, 서버(10)는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다운로드(download)방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디바이스(20)로부터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을 요청받으면, 요청받은 테마 파일을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테마 파일은 테마 파일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아이콘, 독 이미지, 위젯 및 배경화면 전환 정보를 테마 파일의 세부 테마 파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는 서버(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는 서버(10)로부터 위젯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위젯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1)는 제 2 디바이스(22)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서버(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의 일 예는 MIM(Mobile Instant Messenger) 메시지, SNS 메시지 또는 게임 메시지 등이다.
디바이스(20)는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위젯을 표시한다. 또한,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의 크기 변경 요청을 입력받고, 위젯이 표시되는 위젯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위젯 영역에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한다. 이 때, 위젯의 요소들의 일 예는 이미지, 텍스트, 소리, 동영상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20)는 위젯의 크기 변경에 따라, 위젯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위젯의 크기 확대를 요청받으면, 위젯 영역의 크기를 제 1 크기에서 제 2 크기로 변경한 후, 위젯의 레이아웃 역시 제 1 레이아웃에서 제 2 레이아웃으로 변경한다.
디바이스(20)는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및 아이콘을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는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을 실행시킴으로써, 기 표시된 배경화면 및 아이콘의 테마를 일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때, 테마 파일은 디바이스(20)에 메모리에 기 저장되거나,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테마 파일일 수 있다.
디바이스(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어플리케이션의 제 1 테마 파일이 선택되면, 기 표시된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의 요소들을 제 1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세부 테마 파일은 테마 파일에 포함된 일부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세부 테마 파일은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테마 파일 중 일부인 제 1 세부 테마 파일만이 실행되는 경우, 디바이스(20)는 배경화면만을 제 1 세부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20)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위젯 표시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2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21 내지 22)를 의미한다. 다만, 디바이스(20)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 표시부(27), 위젯 실행부(26) 및 테마 파일 처리부(28)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2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홈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 기본으로 탑재된 홈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외부에서 다운로드한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을 통해 설치된 홈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이 때, 홈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와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가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조사 및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위젯 실행부(26)는 위젯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젯을 실행시킨다. 이 때, 위젯 데이터는 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젯 데이터는, 홈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설치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위젯 데이터는 홈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다운로드 및 저장될 수도 있다.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위젯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젯 실행부(26)에 의해 실행되며, 표시부(27)는 위젯의 실행에 대응하여 위젯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위젯 영역에 표시한다. 표시부(27)는 위젯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레이아웃을 위젯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레이아웃은 복수의 요소들이 복수의 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위젯의 요소는 위젯에 포함된 위젯의 구성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일 예는 이미지, 아이콘, 동영상, 소리, 텍스트, 실시간 정보형 요소 등이다. 이 때,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 객체 이미지 또는 아이콘 이미지를 포함한다.
위젯 실행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위젯 실행부(26)는 위젯 영역의 크기가 기존 제 1 크기에서 제 2 크기로 변경되는 경우, 제 2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크기에 대응하는 제 2 요소의 일부는 제 1 크기에 대응하는 제 1 요소와 동일하고, 제 2 크기에 대응하는 제 2 요소의 다른 일부는 제 1 크기에 대응하는 제 1 요소와 다를 수 있다.
표시부(27)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위젯 실행부(26)에 의해 추출된 요소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7)는 위젯 영역의 크기가 기존 제 1 크기에서 제 2 크기로 변경되는 경우, 제 1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제 2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로 대체한다. 다만, 표시부(27)는 제 1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에 제 2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결정하고, 위젯 실행부(26)는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셀 정보는 셀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개수를 4로 결정하고, 위젯 실행부(26)는 셀 개수 4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기존의 홈 어플리케이션은 위젯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 픽셀 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위젯의 픽셀 정보만을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특정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한 크기의 레이아웃과는 다른 크기의 레이아웃이 표시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의 위젯은 크기가 변해도 위젯 내부의 스크롤 영역이 커지거나 단순히 뷰(view)가 확장된 수준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했다.
반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셀 정보(예를 들어, 셀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셀 정보에 따라 레이아웃을 변경함으로써, 위젯 영역의 크기 변경에 따른 레이아웃 변경이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이다.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위젯의 픽셀 크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서 차지할 수 있는 셀의 개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표 1 및 수학식 1을 통해 셀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위젯 실행부(26)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로부터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젯 실행부(26)는 위젯 영역의 셀 개수가 기존 제 1 개수에서 제 2 개수로 변경되는 경우, 제 2 개수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개수에 대응하는 제 2 요소의 일부는 제 1 개수에 대응하는 제 1 요소와 동일하고, 제 2 개수에 대응하는 제 2 요소의 다른 일부는 제 1 개수에 대응하는 제 1 요소와 다를 수 있다.
표시부(27)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위젯 실행부(26)에서 추출된 요소로 대체한다. 또한, 표시부(27)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위젯의 요소들에 위젯 실행부(26)에서 추출된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다.
위젯 실행부(26)에 의하여 위젯이 실행되면, 표시부(27)는 위젯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위젯 실행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 또는 대응하는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을 추출할 수 있다.
표시부(27)는 기 표시된 제 1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위젯 크기 영역의 확대를 요청받은 경우, 위젯 실행부(26)는 확대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고, 표시부(27)는 제 1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위젯 크기 영역의 축소를 요청받은 경우, 위젯 실행부(26)는 축소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고, 표시부(27)는 제 1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27)는 위젯의 요소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으나, 요소들로 이루어진 레이아웃의 형태로 일괄 대체할 수도 있다.
표시부(27)가 기 표시된 제 1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함에 있어서, 제 1 레이아웃의 요소 중 어느 하나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레이아웃의 요소 중 어느 하나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날씨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그 형태가 변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는 제 2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레이아웃에는 오늘의 날씨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 1개가 존재하나, 제 1 레이아웃보다 큰 제 2 레이아웃에는 오늘의 날씨 및 내일의 날씨 각각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들 2개가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는 제 2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레이아웃에는 시간별 코스피 지수 및 코스닥 지수 각각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들 2개가 존재하나, 제 2 레이아웃 보다 작은 제 2 레이아웃에는 시간별 코스피 지수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 1개가 존재할 수 있다.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저장된 테마 파일 또는 테마 파일의 세부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테마 파일 또는 세부 테마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저장된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기 표시된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의 요소들을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테마 파일의 실행만을 담당하고,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의 요소들의 일괄 변경은 표시부(27)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테마 파일은 테마 파일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아이콘, 독 이미지, 위젯 및 배경화면 전환 정보를 테마 파일의 세부 테마 파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테마 파일에 포함된 세부 테마 파일들 모두를 실행시킴으로써, 기 표시된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의 요소들을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부 테마 파일 각각을 선택함으로써, 배경화면, 아이콘, 독 이미지, 위젯 및 배경화면 전환 방식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27)는 세부 테마 파일을 선택하는 세부 테마 선택 영역 및 선택된 세부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을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복수의 위젯 중 제 1 위젯의 테마 파일이 실행되면, 제 1 위젯의 요소는 물론 제 2 위젯의 요소도 제 1 위젯의 테마 파일에 대응하도록 일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해, 표시부(27)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위젯의 요소들 및 홈 제 2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한다고 가정하자.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저장된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제 2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테마 파일의 요소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저장된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 중 제 1 위젯의 세부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제 2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세부 테마 파일의 요소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제 1 위젯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제 2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테마 파일의 요소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및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표시부(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경하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의 제 1 서브 배경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서브 배경화면을 제 2 서브 배경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전환 입력은 스와이핑(Swiping), 스와이프(Swipe) 또는 플릭(Flick)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일 수 있다.
표시부(27)는 다양한 화면 전환 방식에 따라 배경화면을 전환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7)는 밀어내기, 카드, 뒤집기, 브이(V), 안쪽 큐브 및 바깥쪽 큐브 등과 같은 방식으로 배경화면을 전환한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 전환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27)는 화면 전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경화면의 제 2 서브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은 좌측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우측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화면에는 예를 들어, 날씨 알림, MIM 메시지, SNS 게시 알림, 친구 생일 알림 및 게임 소식 알림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는 배경화면, 복수의 위젯(31 내지 33), 독(34) 및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은 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만 사용 가능한 위젯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젯의 일 예에는 실시간 정보형 위젯, 멀티미디어형 위젯, 모음 위젯, 제어 위젯 및 혼합 위젯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정보형 위젯(31 내지 32)은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간 정보형 위젯(31)은 예를 들어, 시계, 날씨정보, 스포츠 현황, 교통정보 및 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형 위젯(미도시)은 음악 컨텐츠 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며,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모음 위젯(미도시)은 특정한 종류의 여러 자료를 한 번에 모아 보여주는 기능을 하며, 예를 들어, 뉴스, 이메일 및 그림과 같은 정보를 한번에 모아 보여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어 위젯(33)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앱을 실행하지 않고 바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혼합 위젯(미도시)은 여러 기능을 조합하여 만든 위젯을 의미한다. 독(Dock, 34)은 일종의 빠른 실행 목록으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독(34)은 통화, 연락처, MIM, 앱 메뉴, 모바일 브라우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41)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41)에 대한 선택(예를 들어, 위젯 영역을 수 초간 터치 또는 더블 클릭)이 입력되면, 표시부(27)는 위젯 영역(41)을 변경 가능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27)는 위젯 영역(41)의 경계를 중심점을 포함한 실선으로 표시하여 위젯 영역(41)이 이동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그래픽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b는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크기가 변경된 위젯(42)이 표시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41)에 대한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크기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된 위젯 영역(42)의 변경될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또는 크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위젯 영역(42)의 크기에 대한 변경 요청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이동 또는 사용자의 두 손가락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이 서로 다른 방향(예를 들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검출된 위치 정보는 x축 및 y축 위치를 포함하는 2D좌표일 수 있고, x축, y축 및 z축 위치를 포함하는 3D 좌표일 수도 있다. 또한, 크기 정보는 위젯 영역(42)을 나타내는 소정 사각형의 크기 정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의 변경은 위젯 영역(42)에 대한 확대 및 축소를 포함한다.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위젯 실행부(26)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로부터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요소는 배경 이미지, 객체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한다. 위젯 실행부(26)는 위젯의 크기 정보(42)와 셀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들로 이루어진 레이아웃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표시부(27)는 대체된 레이아웃을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레이아웃은 예를 들어, 1x1, 2x1, 2x2, 4x1 및 4x2 를 위한 레이아웃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테마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테마 파일을 변경하기 위한 소정 입력이 수신되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테마 파일의 선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소정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를 제공하며, 미리보기에는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50), 복수의 위젯(51 내지 53) 및 독(54)이 포함된다.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가 선택되는 경우, 기 표시된 배경화면, 위젯 및 독을 도 5의 배경화면(50), 복수의 위젯(51 내지 53) 및 독(54)으로 일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가 수 초간 터치 또는 더블 클릭되면, 일괄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세부 테마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세부 테마 파일을 변경하기 위한 소정 입력이 수신되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세부 테마 파일의 선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테마 파일 또는 세부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영역(610), 세부 테마 파일 각각을 선택하는 세부 테마 선택 영역(620) 및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 각각을 대표하는 메뉴 텍스트의 집합인 메뉴 영역(630)을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메뉴 영역(630)은 테마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1), 배경화면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2), 아이콘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3), 독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4), 위젯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5) 및 전환에 대응하는 메뉴 텍스트(636)를 포함한다. 이 때, 메뉴 텍스트(631)는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하고, 메뉴 텍스트(632)는 배경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배경화면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하고, 메뉴 텍스트(633)는 아이콘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하고, 메뉴 텍스트(634)는 독을 변경하기 위한 독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하고, 메뉴 텍스트(635)는 위젯을 변경하기 위한 위젯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하고, 메뉴 텍스트(636)는 배경화면 전환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전환 방식 세부 테마 파일의 유형을 대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 텍스트(635)를 선택하는 경우, 세부 테마 선택 영역(620)에는 제 1 세부 테마 파일의 대표 이미지(621) 및 제 2 세부 테마 파일의 대표 이미지(622)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세부 테마 파일의 대표 이미지(621)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보기 영역(610)에는 제 1 세부 테마 파일의 적용을 가정한 미리보기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 미리보기 영역(610) 내의 위젯(611)은 제 1 세부 테마 파일에 대응된다.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사용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 내의 종료 버튼(640)을 선택하면 제 1 세부 테마 파일을 실행시킨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세부 테마 파일이 적용된 위젯(611)을 디바이스(20)에 저장된 제 2 세부 테마 파일에 대응하도록 변경시킨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부 테마 선택 영역(630)에서 제 2 세부 테마 파일의 대표 이미지(622)를 선택하면, 미리보기 영역(650)에는 제 2 세부 테마 파일의 적용을 가정한 미리보기 영상이 표시된다. 이 때, 미리보기 영역(650) 내의 위젯(651)은 제 2 세부 테마 파일에 대응된다.
사용자가 미리보기 영역(650)에 표시된 위젯(651)을 확인하고 종료 버튼(660)을 선택하면, 테마 파일 처리부(28)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종료됨에 따라 제 2 세부 테마 파일은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반영된다. 이 때,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꾸미기 마법사와 같은 편집 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경화면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의 디스플레이에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의 제 1 서브 배경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제 1 서브 배경화면에는 복수의 위젯, 어플리케이션 및 독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손가락(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경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화면 전환 입력은 스와이핑(Swiping), 스와이프(Swipe) 또는 플릭(Flick)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일 수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표시부(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제 1 방향(71)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경화면의 제 2 서브 배경화면(73)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방향(71)은 좌측 방향일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 2 서브 배경화면(73)에는 제 1 서브 배경화면의 그것들과 같거나 또는 다른 복수의 위젯, 어플리케이션 및 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표시부(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제 2 방향(72)으로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방향(72)은 우측 방향일 수 있다. 정보 제공 화면에는 날짜 및 요일(75), 정보 알림(76) 및 알림 설정(77)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날짜 및 요일(75)은 정보 알림(76) 메시지를 수신한 날짜 및 요일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알림(76)은 예를 들어, 날씨 알림, MIM 메시지, SNS 게시 알림, 친구 생일 알림 및 게임 소식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날씨 알림은 현재 기온 또는 날씨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서울의 일교차가 12도 이상 차이 납니다. 옷차림에 유념하세요!"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알림(76)에는 복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MIM 메시지가 미리보기 또는 전체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알림(76)에는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의 SNS에 글이 게시되는 경우, 또는 디바이스(20) 사용자의 SNS에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글이 게시되는 경우 SNS에 글이 게시되었음을 알려주는 SNS 게시 알림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알림(76)에는 SNS에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생일을 알려주는 생일 알림이 표시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게임의 초대, 추천, 아이템 교환 및 선물과 같은 게임과 관련된 소식을 알려주는 게임 소식 알림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알림 설정(77)은 암호 잠금 및 변경, 정보 알림(76)의 모아보기 설정 및 모아보기 삭제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이 도 8에도 적용된다.
단계 S810에서 표시부(27)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단계 S820에서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한다. 이 때, 요소들은 배경 이미지, 객체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위젯 실행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결정하고, 위젯 실행부(26)는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표시부(27)는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추출된 요소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820에서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아웃을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한다. 이 경우, 단계 S830에서 위젯 실행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고, 단계 S840에서 표시부(27)는 제 1 레이아웃을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레이아웃의 요소 중 어느 하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이고, 제 1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는 제 2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810에서 표시부(27)는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및 아이콘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 경우, 위젯 표시 방법은 단계 S810 내지 S840과 구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배경화면, 아이콘 및 위젯의 요소들을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820에서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위젯의 요소들 및 제 2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한다. 이 경우, 위젯 표시 방법은 단계 S810 내지 S840과 구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제 1 위젯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제 2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테마 파일의 요소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마 파일은 테마 파일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아이콘, 독 이미지, 위젯 및 배경화면 전환 정보를 상기 테마 파일의 세부 테마 파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젯 표시 방법은 단계 S810 내지 S840과 구별되는, 세부 테마 파일을 선택하는 세부 테마 선택 영역 및 선택된 세부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810에서 표시부(27)는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의 제 1 서브 배경화면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 경우, 위젯 표시 방법은 단계 S810 내지 S840과 구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경화면의 제 2 서브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방향은 좌측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우측 방향이고, 화면 전환 입력은 스와이핑(Swiping), 스와이프(Swipe) 또는 플릭(Flick)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일 수 있다.
도 8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8을 통해 설명된 위젯 표시 방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20)는 위젯 표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에 의하여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고, 서버(10)와 별도로 구성된 다른 서버에 의하여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고, 서버(10)와 다른 주체에 의하여 운용되는 다른 서버에 의하여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버
20: 디바이스
25: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6: 위젯 실행부
27: 표시부
28: 테마 파일 처리부

Claims (13)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상기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추출된 요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 배경 이미지, 객체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들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들로 이루어진 제 1 레이아웃을 상기 추출된 요소로 이루어진 제 2 레이아웃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서 상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위젯 실행부에서 상기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아웃의 요소 중 어느 하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실시간 정보형 요소이고,
    상기 제 1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는 상기 제 2 레이아웃의 실시간 정보형 요소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및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배경화면, 아이콘 및 상기 위젯의 요소들을 상기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1 위젯의 요소들 및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 2 위젯의 요소들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 1 위젯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제 2 위젯의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테마 파일의 요소로 일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파일은 상기 테마 파일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아이콘, 독 이미지, 위젯 및 배경화면 전환 정보를 상기 테마 파일의 세부 테마 파일로서 포함하고,
    상기 세부 테마 파일을 선택하는 세부 테마 선택 영역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테마 파일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의 제 1 서브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것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배경화면의 제 2 서브 배경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방향으로의 화면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표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좌측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우측 방향이고,
    상기 화면 전환 입력은 스와이핑(Swiping), 스와이프(Swipe) 또는 플릭(Flick)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표시 방법.
  10. 위젯 표시 방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11.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의 요소들을 상기 배경화면의 위젯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위젯 실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추출된 요소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위젯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젯 실행부는 상기 결정된 셀 정보에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배경화면 및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배경화면, 아이콘 및 상기 위젯의 요소들을 상기 테마 파일의 배경화면, 아이콘 및 요소들로 일괄 변경하는 테마 파일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20130050833A 2013-05-06 2013-05-06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7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833A KR101478557B1 (ko) 2013-05-06 2013-05-06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JP2016512833A JP6244015B2 (ja) 2013-05-06 2014-05-07 モバイルデバイスにウィジェットを表示する方法及びモバイルデバイス
PCT/KR2014/004051 WO2014182067A1 (ko) 2013-05-06 2014-05-07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833A KR101478557B1 (ko) 2013-05-06 2013-05-06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804A true KR20140132804A (ko) 2014-11-19
KR101478557B1 KR101478557B1 (ko) 2015-01-05

Family

ID=5186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0833A KR101478557B1 (ko) 2013-05-06 2013-05-06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44015B2 (ko)
KR (1) KR101478557B1 (ko)
WO (1) WO2014182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5447B (zh) * 2016-06-14 2019-03-15 武汉深之度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的生成方法、设备及计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429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관리장치에서 위젯의 폰트 변경 방법
KR101547960B1 (ko) * 2008-12-30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JP4783447B2 (ja) * 2009-04-02 2011-09-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1866287A (zh) * 2010-06-09 2010-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widget系统外观设置方法和装置
KR101864333B1 (ko) * 2011-03-21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14042B1 (ko) * 2011-08-31 2015-04-21 주식회사 케이티 위젯 편집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4015B2 (ja) 2017-12-06
WO2014182067A1 (ko) 2014-11-13
JP2016524744A (ja) 2016-08-18
KR101478557B1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7389B2 (en) File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274696B1 (en) Scroll bar with time details
US11140255B2 (en)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CN107369197B (zh) 图片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5930073B (zh) 用于支持电子设备中的通信的方法和装置
US9448692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menu options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57944B1 (ko)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US2014002609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facilitating user control of a menu
US20130254708A1 (en) Communication Room Management Systems
KR10213239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43755A (ko) 확장 가능 애플리케이션 표현, 액티비티 레벨들, 및 데스크탑 표현
EP3549311A1 (en) Messa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6368857B2 (ja) 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タギング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CN102272698B (zh) 用于利用简单姿态来定义内容下载参数的方法
US11314391B2 (en) Navigation bar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KR20160075457A (ko) 채팅 메시지를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WO2023231915A1 (zh) 消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98544A (ko) 채팅 영역에 대한 보안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0383244A (zh)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KR101613905B1 (ko) 컨텐츠에 포함된 요소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9256358B2 (en) Multiple panel touch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1586688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78557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11049940A (zh) 通信资源的配置方法、用户界面的导航的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