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478A -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478A
KR20140132478A KR1020130051657A KR20130051657A KR20140132478A KR 20140132478 A KR20140132478 A KR 20140132478A KR 1020130051657 A KR1020130051657 A KR 1020130051657A KR 20130051657 A KR20130051657 A KR 20130051657A KR 20140132478 A KR20140132478 A KR 2014013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rack bar
rack
support memb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국
손창욱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478A/ko
Publication of KR2014013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7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to drive shaft torsion, e.g. driveline osci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은 내측으로 랙 바가 관통하는 관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랙 바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피니언 삽입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랙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 삽입부를 피니언과 랙 바가 치합되는 지점으로부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랙 바의 치합 부위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랙 바의 끝부분을 지지하여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랙 바의 굽힘 변형과 래틀 노이즈를 방지함과 동시에, 피니언과 랙 바의 마찰을 개선하여 구동 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A rack housing of stee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조향 장치는 랙 & 피니언 방식으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조향 조작력이 조향축을 통해 피니언으로 제공되고, 이는 다시 피니언에 치합되어 차량의 좌우로 이동하는 랙 바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조향륜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랙 바와 피니언은 랙 하우징 내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랙 바는 랙 하우징 내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랙 바는 일측에 랙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그 랙 기어가 피니언과 치합되어 움직이며, 랙 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은 랙 하우징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랙 바와 피니언이 치합되는 부위의 랙 하우징에는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 그리고 피니언 삽입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랙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랙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랙 바 지지부재 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랙 하우징에 형성된 랙 바 지지부재 삽입부는 피니언과 랙 바가 만나는 지점을 통과하고, 상기 지점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가 피니언과 랙 바의 치합부위를 직접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지지력에 의해 랙 바의 좌/우 구동 시 프릭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낮추면 래틀 노이즈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2005-011640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랙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부의 위치를 피니언과 랙 바가 치합되는 지점이 아닌, 랙 바의 끝부분을 지지 가능한 지점에 형성하여 랙 바를 지지함으로써, 랙 바의 굽힘 변형과 래틀 노이즈를 예방하고, 피니언과 랙 바 간의 마찰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은 내측으로 랙 바가 관통하는 관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랙 바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피니언 삽입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랙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평행한 위치는 상기 피니언과 랙 바의 치합부위로부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삽입부는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인접한 상기 몸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삽입부는 상기 몸체의 축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 삽입부를 피니언과 랙 바가 치합되는 지점으로부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랙 바의 끝부분을 지지하여 랙 바의 굽힘 변형과 래틀 노이즈를 방지함과 동시에, 피니언과 랙 바의 마찰을 개선하여 구동 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100)(이하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100)'이라 함)는 몸체(10), 피니언 삽입부(20) 및 지지부재 삽입부(30)를 포함한다.
먼저, 자동차용 조향 장치는 외면에 랙 기어(210)를 갖는 랙 바(200) 및 피니언(300)이 랙 하우징(100)에 내설되며, 랙 바(200) 양 단부는 타이로드(도시되지 않음)와 볼 조인트(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랙 바(200)의 이송력을 전달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랙 하우징(100)의 일 측에는 랙 바(200)의 중심축과 일정각 기울기를 가지도록 피니언(300)이 설치되어 랙 바(200)에 형성된 랙 기어(210)와 치합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조향축(도시되지 않음)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더 자세하세는, 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100)은 상기한 자동차용 조향 장치에 적용되며, 내측으로 랙 바(200)가 관통하는 관형의 몸체(10), 몸체(10)에 형성되어 랙 바(200)에 치합되는 피니언(300)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20), 그리고 몸체(10)의 외주면 상에서 피니언 삽입부(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피니언 삽입부(20)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에 랙 바(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가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부(3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지지부재(400)는 랙 바(200)와 피니언(300)이 맞물려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300)에 치합되는 랙 바(200)를 피니언(300) 측으로 가압하여 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재(400)는 랙 바(2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시(410), 부시(4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20) 및 탄성부재(420)를 지지하고 지지부재 삽입부(30)의 입구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통해 탄성부재(420)를 압축시켜 랙 바(200)를 가압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플러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몸체(10)의 단부에서 몸체(10)의 축 방향 측으로 몸체(10)를 바라보았을 때,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피니언 삽입부(20)와 수직인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몸체(10)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피니언 삽입부(20)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평행한 위치는 피니언(300)과 랙 바(200)의 치합 부위로부터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이며, 더 자세하게는, 랙 바(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가 피니언(300)과 치합되는 랙 바(200)의 치합 부위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랙 바(200)의 치합 부위로부터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랙 바(200)의 지지가 가능한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몸체(10)에 형성된 피니언 삽입부(2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재(400)가 몸체(10) 내에 설치된 랙 바(200)의 끝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 삽입부(30)는 피니언 삽입부(20)에 대하여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되, 몸체(10)의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재 삽입부(30)는 피니언 삽입부(20)와 피니언 삽입부(20)와 인접한 몸체(10)의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재(400)가 피니언(300)과 치합되는 랙 바(200)의 치합 부위에 직접적인 지지력을 가하지 않고, 랙 바(200)의 치합 부위와 일정 거리 간격을 둔 랙 바(200)의 끝부분에 직접적인 지지력을 가할 수 있도록 피니언 삽입부(20)와 피니언 삽입부(20)와 인접한 몸체(10)의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몸체(10)의 단부를 기준으로 피니언 삽입부(20)에 대하여 몸체(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피니언(300)과 치합되는 랙 바(200)의 치합 부위에 직접적인 지지력을 가하지 않고, 랙 바(200)의 끝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피니언 삽입부(20)와 평행한 위치 즉, 피니언 삽입부(20)와 피니언 삽입부(20)와 인접한 몸체(10)의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지지부재 삽입부(30)는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재 삽입부(30)는 피니언(300)에 치합되는 랙 바(200)의 치합 부위를 기준으로 지지부재(400)가 랙 바(200)의 치합 부위 양 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상 필요에 따라 위치 및 수량이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 삽입부(30)를 피니언(300)과 랙 바(200)가 치합되는 지점으로부터 몸체(10)의 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400)가 랙 바(200)의 치합 부위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랙 바(200)의 끝부분을 지지하여 지지부재(400)의 지지력을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랙 바(200)의 굽힘 변형과 래틀 노이즈를 방지함과 동시에, 피니언(300)과 랙 바(200)의 마찰을 개선하여 구동 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외력에 의해 랙 바(200)가 피니언(300)과 접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부재(400)가 랙 바(200)를 피니언(300) 측으로 밀어줄 때, 지지부재(400)는 몸체(10) 끝단으로 갈수록 적은 힘을 주어도 작용길이(탄성부재(420)에 의해 부시(410)에서 조절 플러그(430)까지 인장 및 수축되는 거리)가 길어짐으로 피니언(300) 측에 인접해 있을 때와 동일한 모멘트를 생성하여 지지력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10. 몸체
20. 피니언 삽입부
30. 지지부재 삽입부
200. 랙 바
210. 랙 기어
300. 피니언
400. 지지부재
410. 부시
420. 탄성부재
430. 조절 플러그

Claims (4)

  1. 내측으로 랙 바가 관통하는 관형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랙 바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피니언 삽입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평행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랙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2. 제1항에서,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평행한 위치는 상기 피니언과 랙 바의 치합부위로부터 몸체의 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인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 삽입부는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인접한 상기 몸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 삽입부는 상기 몸체의 축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KR1020130051657A 2013-05-08 2013-05-08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KR20140132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57A KR20140132478A (ko) 2013-05-08 2013-05-08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57A KR20140132478A (ko) 2013-05-08 2013-05-08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78A true KR20140132478A (ko) 2014-11-18

Family

ID=5245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657A KR20140132478A (ko) 2013-05-08 2013-05-08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4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4795B (zh) 用于在转向设备中自动调整轭架间隙的装置
KR100816401B1 (ko) 전동식 조향장치
US11945519B2 (en) Rea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nd steering device
KR20070092018A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KR20080105547A (ko) 서포트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정장치
KR101496117B1 (ko) 차량 부시용 조립장치
CN104214314A (zh) 电力转向装置的减速器
CN103994165A (zh) 一种具有驻车功能的卡钳
CN102452288B (zh) 车轮悬架
KR20140132478A (ko)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랙 하우징
KR102166704B1 (ko)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 지지장치
JP2009202740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5072953A (zh) 家具驱动装置
KR100804443B1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US20220212714A1 (en) Steer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73412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CN105774893A (zh) 齿条引导机构
KR20090091850A (ko) 길이 자동 조정형 타이로드와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조향장치
KR10180658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251213B1 (ko)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어셈블리
KR10224579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73412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KR101467027B1 (ko) 감속기
KR101140008B1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1129068B1 (ko) 전자석 부시를 구비한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