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314A -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314A
KR20140132314A KR20140137975A KR20140137975A KR20140132314A KR 20140132314 A KR20140132314 A KR 20140132314A KR 20140137975 A KR20140137975 A KR 20140137975A KR 20140137975 A KR20140137975 A KR 20140137975A KR 20140132314 A KR20140132314 A KR 2014013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communication function
watch
mobile phon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원
Original Assignee
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원 filed Critical 박동원
Priority to KR2014013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314A/ko
Publication of KR2014013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314A/ko
Priority to KR1020150007093A priority patent/KR20150010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일반휴대폰과 워치폰 사이에, 통신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이 멀리 떨어진 경우에 워치폰이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먼저 활성화한 다음에 원격조정하여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제어하고,
다시 거리가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일반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은 활성화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받아 통신가능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The Method To Control The Power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And Watch Phone To Use The Same Phone Number}
휴대폰 통신기능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기 기술의 발전으로 손목시계용 휴대폰(이하 "워치폰"이라 칭함)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워치폰은 화면이 작아서 대화면이 필요한 인터넷이나 TV시청 등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그래서 휴대의 편리성과 대화면의 필요성 때문에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을 같이 구비하고 동일 전화번호를 부여받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2개의 단말기 통신기능을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이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워치폰은 기기의 특성상 배터리 크기가 작아 가급적 절전을 해야 하므로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연결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한 상태에서 스마트워치처럼 저전력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받아 통화하거나 문자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고전력이 소모되는 이동통신 모듈의 구동이 필요 없게 되어 절전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일반 휴대폰은 그냥 놔두고 워치폰만 손목에 착용하고 외출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에는 워치폰의 통신기능이 차단된 상태에 있고 또 블루투스 교신이 중단되므로 통신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그래서 사용자는 부득이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연결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면서 통화에 이용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즉, 사용자가 워치폰의 통신기능을 연결하는 순간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모두 연결된다. 그러면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휴대폰과 워치폰이 수신하게 되어 통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또는 통화나 문자메시지가 워치폰이 아니고 일반 휴대폰으로 수신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워치폰 사용에 불편함을 겪게 될 것이므로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반대로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에는 워치폰의 배터리 절전을 위해서 가급적 빨리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원상회복(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은 연결하고 워치폰 통신기능은 차단)해야 하는 필요성도 생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휴대폰 사용 환경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창안하게 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1)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2007-0040943호) 2007. 04. 18
(특허문헌 02)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2003-0005536호) 2003. 01. 23
(특허문헌 03)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2010-0130478호) 2010. 12. 13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 사이에서,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고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워치폰을 스마트워치처럼 사용하다가 2개의 단말기 간에 거리가 멀어져서 워치폰을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였을 경우에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 모두 통신기능이 연결되어 있게 된다.
그러면 서로 거리가 먼곳에서 2개의 단말기가 기지국과 교신을 하게 되어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통화나 문자 메시지가 일반 휴대폰으로 수신되므로 워치폰만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통신에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므로 이런 불편함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다시 활성화하고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해야 하는 일이 생길 것이고, 이때를 대비하여 2개 단말기 이동통신기능의 자동제어를 위해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해 두어야 한다. 따라서 워치폰이 원격제어하여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차단한다고 해서 전원 자체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고 통신기능만 차단하고 전원 공급은 계속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나중에 2개의 단말기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지고 자동으로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워치폰의 통신기능을 활성화한 후에 워치폰으로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원격차단하는 것이다. 이때 원격차단할 때 일반 휴대폰의 전원은 계속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통신기능만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나중에 2개의 단말기 거리가 가까워져서 처음처럼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연결하고, 워치폰을 스마트 위치처럼 사용하고자 할 때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기능을 자동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폰과 워치폰이 가까워지면 다시 블루투스 교신이 재개되도록 하고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은 활성화하고, 워치폰의 통신기능은 차단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교신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받아 워치폰으로 통신하는 것이다.
워치폰으로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원격 차단하므로서 2개 단말기의 통신기능이 동시에 연결되어 통신 장애가 발생하거나, 통화나 문자 메시지가 착용하고 있는 워치폰이 아니고 멀리 떨어진 일반 휴대폰으로 수신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만 차단하고 전원은 계속 연결 유지하므로서 나중에 2개의 단말기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기능을 자동으로 가급적 빨리 제어하여 워치폰의 통신기능을 차단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교신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서 워치폰 배터리를 절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워치폰이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원격차단 제어하는 개략도면이고, 도 2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이 블루투스 교신두절시 워치폰의 통신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창 도면이다.
먼저 동일전화번호를 사용하면서 각각 기지국과 이동통신기능을 갖추고, 각각 사용자 식별 정보를 보유하여 독자적으로 통화할 수 있고, 각각 블루투스 기능을 장착하여 서로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한 일반 휴대폰과 손목시계형 휴대폰(워치폰)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워치폰에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여기에 원격제어를 받는 일반 휴대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한 원격제어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 휴대폰에는 원격조정을 받으면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여기에 원격제어하는 워치폰의 고유 번호 등 원격제어 단말기의 자료를 입력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다.
위와 같이 준비를 마친 상태에서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이 가까이 있으면 일반 휴대폰은 이동통신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이 차단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받아 통신가능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이동통신기능이 연결된 일반 휴대폰과 이동통신기능이 차단된 워치폰의 거리가 멀어져서 블루투스 교신이 중단되는 상태가 되면, 워치폰은 블루투스 교신 두절을 감지하고 교신두절상태가 약 10~20분 정도 경과하면 워치폰 스스로 기지국과의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교신 차단 후 약 10~20분 정도 기다리는 시간을 두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 사무실에 출근했다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사무실 책상 위, 서랍 또는 가방에 일반 휴대폰을 놔두고 워치폰만 착용하고 잠깐 소변을 보러, 물을 마시러, 흡연하러, 물건을 가지러, 가까운 슈퍼에 음료수를 사러 가는 것처럼 아주 간단한 볼일을 보는 경우가 매우 잦을 것이다. 그러면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 사이에 거리가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는 경우가 빈번할 것이고, 이에 따라 블루투스 교신도 중단과 재개가 빈번할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잠깐씩 간단한 용무를 볼 때마다 블루투스 교신 두절과 재개에 따라 통신기능을 차단하거나 활성화한다면 하루에도 수십 번 통신기능을 연결 차단하는 일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차라리 통신기능을 제어하지 않는 것보다 못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그래서 적어도 10~20분 이상 걸리는 용무를 볼 때에 한하여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워치폰 절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거리가 멀어진 곳에서 장시간 용무를 본다면 사용자는 일반 휴대폰을 미리 지참하고 나갈 것이므로 10~20분 이상 걸리는 용무에 한하여 통신기능 제어를 한다면 하루에 2~3회 정도만 제어하면 충분하다). 그래서 일정시간 경과 시간을 두는 것이다.
물론 이때 워치폰의 통신기능 활성화를 수동으로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워치폰이 일반 휴대폰과 거리가 멀어져서 블루투스 교신이 두절되고 약 10~20분이 경과하면, 워치폰은 블루투스 교신 중단 사실을 알리면서 자신의 통신기능을 수동으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신호(소리, 진동)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통신기능을 수동으로 활성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화면에 "통신기능 ON or OFF?"라는 제어창이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ON 을 터치할 경우 통신기능이 연결되도록 하여 직접 기지국과 통신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동으로 워치폰의 통신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에는 10~20분을 기다리는 것 없이 사용자가 바로 통신기능 제어창을 나타나게 해서 활성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해서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활성화되면 바로 워치폰에 장착된 원격조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을 차단하는 명령을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에서는 워치폰으로부터 받은 제어 명령을 다시 일반 휴대폰에 송신하며, 이 차단 명령을 받은 일반 휴대폰은 자신의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만 차단 제어하는 것이고 단말기의 전원은 계속 연결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위에서 본 발명의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은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면서 일반 휴대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한 상태에서 스마트워치처럼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일반 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전달받아 통신에 이용한다고 언급하였고,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이 거리가 멀어지면 워치폰의 통신기능은 활성화되고 일반 휴대폰의 통신기능은 차단한 후에 워치폰으로 통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러면 나중에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이 다시 가까워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는 다시 처음처럼 일반 휴대폰은 통신기능을 연결하고 워치폰은 통신기능을 차단한 채 스마트워치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이때, 일반 휴대폰의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면 워치폰과 블루투스 교신은 가능할 것이고, 그러면 블루투스 교신과 제어를 이용하여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일반 휴대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다면 워치폰과 거리가 가까워져도 블루투스 교신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대 단말기가 가까이 있는지 알 수가 없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이럴 때 사용자가 통신기능 연결과 차단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지 못한다면 배터리 용량이 작은 워치폰의 통신기능은 계속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의 구동에 따른 전력소모가 커져서 배터리가 빨리 소진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위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워치폰으로 일반 휴대폰을 원격제어할 때 이동통신기능만 차단하고 전원은 계속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면 나중에 2개 단말기의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바로 블루투스 교신은 가능해지면서 상대 단말기가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가급적 빨리 자동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통신기능 제어가 빨라지게 되고 그만큼 워치폰의 배터리의 소진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다시 거리가 가까워졌을 때 일반 휴대폰은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연결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한 다음 블루투스 교신을 이용하여 워치폰은 일반휴대폰으로부터 통신자료를 받아 통화나 문자 송수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위 방법 외에,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이 각각 먼저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 또는 활성화하고 나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 휴대폰에 통신기능 제어 명령을 내리면 명령을 받은 일반 휴대폰은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고, 또는 명령을 받은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즉, 워치폰이 일반 휴대폰과 가까워져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지면 일반 휴대폰이 먼저 자신의 통신기능을 활성화한 다음에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워치폰에 통신기능 차단 제어명령을 내리고 차단명령을 받은 워치폰은 통신기능을 차단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통신기능을 차단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반대의 경우로 워치폰이 먼저 자신의 통신기능을 차단한 다음에 일반 휴대폰에 통신기능 활성화 명령을 전달하고 명령을 전달받은 일반 휴대폰이 자신의 통신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이 가까워져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질 때, 이동통신 기능 제어를 수동으로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2개의 휴대폰 간에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지면 워치폰은 블루투스 교신재개 상태를 알리는 소리 진동을 포함한 신호를 나타내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기능을 수동으로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워치폰 화면에 "통신기능 ON or OFF?"라는 제어창이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OFF를 터치하면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차단되도록 하면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바로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을 전달하고, 이 명령을 받은 일반 휴대폰은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면 워치폰은 저전력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절전을 하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동일전화번호를 사용하면서 각각 기지국과 통신기능을 갖추고, 각각 사용자 식별 정보를 보유하여 독자적으로 통화할 수 있고, 각각 블루투스 기능을 장착하여 서로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한 일반 휴대폰과 손목시계형 휴대폰(이하 "워치폰"이라 칭함)의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일반휴대폰과 워치폰이 가까이 있으면 일반휴대폰은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과 교신하며 통신가능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 간에 거리가 멀어져 블루투스 교신이 중단되면 워치폰은 교신 중단 사실을 감지하고 교신중단 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워치폰이 자동으로 기지국과의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활성화되면, 워치폰은 통신기지국을 통하여 일반 휴대폰을 원격조정하여 일반 휴대폰의 전원 연결 상태는 계속 유지하면서 기지국과의 이동통신기능만을 차단제어하는 단계와;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거리가 다시 가까워져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지면, 일반휴대폰은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고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거나;
    또는 워치폰과 일반 휴대폰이 각각 먼저 자신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 또는 활성화하고 나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 휴대폰에 통신기능 제어 명령을 내리면 명령을 받은 일반 휴대폰은 이동통신기능을 활성화하고, 또는 명령을 받은 워치폰은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워치폰의 이동통신 기능을 차단하면 블루투스 기능으로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하면서, 워치폰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휴대폰과 교신하며 통신가능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일반 휴대폰과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수동으로 활성화하는 단계에 있어서,
    일반휴대폰과 워치폰 간에 거리가 멀어져서 블루투스 교신이 중단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워치폰은 교신두절 상태를 알리는 소리 진동을 포함한 신호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이동통신기능을 수동으로 활성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워치폰 화면에 "통신기능 ON or OFF?"라는 제어창이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ON을 터치하면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워치폰이 일반 휴대폰을 원격조정하여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워치폰에는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원격차단하는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여기에 제어를 받는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원격조정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 저장하고, 일반 휴대폰에는 제어 명령을 받으면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여기에 제어를 하는 워치폰의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원격제어에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며;
    워치폰이 일반 휴대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차단하는 명령을 기지국에 송신하고 차단 명령을 수신한 기지국은 다시 일반휴대폰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면, 제어명령을 받은 일반 휴대폰은 제어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의 전원 연결 상태는 계속 유지하면서 기지국과의 이동통신기능만을 차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거리가 다시 가까워져 블루투스 교신이 가능해졌을 때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단계에서,
    일반휴대폰과 워치폰 간에 거리가 가까워지면 워치폰은 일반 휴대폰과 블루투스 교신재개 상태를 알리는 소리 진동을 포함한 신호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이동통신기능을 수동으로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워치폰 화면에 "통신기능 ON or OFF?"라는 제어창이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OFF를 터치하면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 휴대폰과 워치폰의 이동통신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KR20140137975A 2014-10-13 2014-10-13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KR2014013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975A KR20140132314A (ko) 2014-10-13 2014-10-13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KR1020150007093A KR20150010005A (ko) 2014-10-13 2015-01-15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7975A KR20140132314A (ko) 2014-10-13 2014-10-13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314A true KR20140132314A (ko) 2014-11-17

Family

ID=524533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7975A KR20140132314A (ko) 2014-10-13 2014-10-13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KR1020150007093A KR20150010005A (ko) 2014-10-13 2015-01-15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093A KR20150010005A (ko) 2014-10-13 2015-01-15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323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1348B1 (en) * 2015-06-12 2019-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005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242B2 (en)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EP3125075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wearable device
CN100583658C (zh) 传感器屏幕节电器
US201502964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vibration patterns for notifications received at a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8439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JP5454533B2 (ja) 電子時計
US2014027421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5541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JP6251872B2 (ja) 携帯端末装置
US10623351B2 (en)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3021915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791547B (zh) 信息发送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40132314A (ko)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CN108306765A (zh) 一种对讲通信设备无线写频系统及其写频方法
KR101457849B1 (ko)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KR20160038657A (ko)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휴대폰과 워치폰의 통신기능 제어방법
JP5925636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4077800A (ja) 電子時計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218289B1 (ko) 전자기기 및 이의 전력제어 방법
KR20030009775A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101458748B1 (ko) 일반 휴대폰과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절전하며 사용하는 방법
KR20080045525A (ko) 근거리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5160153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制御方法
KR20140132702A (ko) 일반 휴대폰과의 거리에 따라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